KR101464987B1 - 더치 커피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더치 커피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4987B1
KR101464987B1 KR1020130114834A KR20130114834A KR101464987B1 KR 101464987 B1 KR101464987 B1 KR 101464987B1 KR 1020130114834 A KR1020130114834 A KR 1020130114834A KR 20130114834 A KR20130114834 A KR 20130114834A KR 101464987 B1 KR101464987 B1 KR 101464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dutch
water
pipe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4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문일
Original Assignee
정문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문일 filed Critical 정문일
Priority to KR1020130114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49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4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5Portable or compact beverage making apparatus, e.g. for travelling, for use in automotive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휴대과정에서 더치 커피를 제조하여 음용할 수 있어 더치 커피의 보급율을 높일 수 있는 더치 커피 추출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장치는, 생수가 적재된 생수통으로 인입 설치되고; 임의 형상을 갖는 중공형 함체의 하부로 로스팅된 분쇄커피가 매립되어, 상기 생수의 수압에 의해 역방향의 더치가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함체의 상부로 더치 커피 원액이 추출되며, 상기 중공형 함체는,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 구조를 갖는 중공형 구조의 더치 파이프이며, 상기 더치 파이프는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 구조를 갖는 중공형 구조의 파이프 형태의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홀을 구비한 중앙 격벽에 의해 상측으로 더치 적재함을 형성하며, 하측으로 원두 적재함을 형성하고, 상기 원두 적재함으로 로스팅 후 분쇄된 커피가 이탈하지 않도록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밀폐된 구조로 제시함에 따라 더치 커피 향의 분실을 원천적으로 봉쇄하여 더치 커피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로스팅된 커피를 이용하여 소비자가 직접 더치 커피를 제조하도록 함에 따라, 지역 내 커피전문점에서 제조 판매하는 고유의 더치 커피 맛을 지역에 관계없이 배포할 수 있어, 지역 커피전문점의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더치 커피 추출장치{INSTALLATION FOR EXTRACTING DUTCH COFFEE}
본 발명은 더치(Dutch) 커피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로스팅한 커피의 분말이 적재된 커피 수용체의 상부로 연통하여 더치 커피를 수용하는 더치 수용체로 구성한 후 휴대 가능한 생수통과 결합함으로써, 생수의 수압에 의해 커피 분말을 더치시켜 더치 수용체로 더치 커피가 수용되도록 한 더치 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Coffee)는, 커피나무에서 수확한 열매(Cherry)의 생두(Green bean)를 가공하여 볶은 원두(Coffee bean)로부터 물을 이용하여 그 성분을 추출하여 음용하는 기호 음료이다. 이러한 커피를 추출하는 방식으로는 터키식 침출법에 의한 터키식 커피(Turkish coffee), [0003] 뜨거운 물을 부어 천천히 추출하는 필터식 추출방식의 핸드드립(Hand drip), 전자식 제어를 통해 자동으로 뜨거운 물을 고르게 부어 커피를 뽑는 기계드립(Automatic drip), 증기의 압력, 물의 삼투압 현상을 이용해 추출하는 진공식 추출방식의 버큠포트(Vacuum pot), 수증기의 압력을 이용해서 추출하는 모카포트(Mocha pot) 등 개별적인 추출기구들이 개발되었고, 근자에 들어서는 현대식 에스프레소 머신(Espresso machine) 또는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전자동 커피 머신으로 편리성을 겸비하고 있다.
여기서, 워터드립(Water dip)은 일명 더치커피(Dutch cffee)라고도 하며, 찬물로 오랜 시간 추출하는 것이 특징이어서 카페인이 적고 장시간 보관이 가능하다. 그런데, 찬물로 추출하다 보니 시간이 4~12시간 정도가 걸리기 때문에 물의 량이나 외적인 영향에 의해 커피 맛에 변화되기가 쉬우므로 주변을 청결히 하고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만 어려움이 있었다.
이와 같이, 더치커피(Dutch coffee)는 워터드립커피라고 하며, 뜨거운 물 추출법이 아니라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오랜 시간 동안 추출한 커피를 일컫는다. 따라서, 이러한 더치커피는 찬물로 우려내기 때문에 일반커피에 비해 카페인 함량이 적고 오랜 시간 향과 맛이 지속되는 장점이 있다.
첨부된 특허문헌은 더치 커피의 추출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1), 커피 원두를 저장하는 원두탱크(2), 원두탱크(2)의 원두를 통과하면서 추출된 액상커피를 수집하는 커피추출액 수집탱크(3), 및 상기 물탱크(1) 내지 커피추출액 수집탱크(3)를 상하 적층구조로 배치되게 지지하는 거치대(5)로 이루어진다.
상기 물탱크(1)는 거치대(5)의 최상부에 거치되며, 개구된 상단에 뚜껑(7)이 구비되고 하단의 배출부(6)에 물 드립량을 조절하기 위한 드립량 조절밸브(8)가 설치된다. 상기 드립량 조절밸브(8)는 물탱크(1)의 배출부(6) 중앙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배출부(6)의 유로와 밸브 구멍이 일치되는 면적을 조절하여 원두탱크(2)로 떨어지는 물 드립량 및 커피 내리는 속도를 조정한다.
상기 원두탱크(2)는 물탱크(1)의 하부에 배치되며, 바닥면에는 커피추출액을 여과하는 필터(9)가 놓여진다. 상기 커피추출액 수집탱크(3)는 원두탱크(2)의 하부에 배치되며, 원두탱크(2)와의 사이에 시각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 나선관(4)이 배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상기 물탱크(1)에서 조금씩 떨어지는 물이 원두탱크(2)의 원두를 통과하면서 액상의 커피가 추출되고, 추출된 커피는 나선관(4)을 통과하여 떨어져 커피추출액 수집탱크(3)에 모이게 된다. 이때, 상기 물탱크(1)는 드립량 조절밸브(8)를 열어도 뚜껑(7)을 덮은 상태에서는 물을 배출하지 못하므로 커피를 내릴 때에는 도 2와 같이 뚜껑(7)을 열어두게 된다.
그러나, 전술된 더치 장치는 로스팅한 커피로 극히 소량의 용수를 낙하시켜 더치 커피를 제조함에 따라, 더치 커피의 제조시간이 매우 길게 된다. 따라서, 더치 커피를 음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커피 전문점을 방문하거나, 만들어 놓은 더치 커피 원액을 일정 용량별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상에서 구매해야 한다. 이와 같이, 방문 또는 구매하는 더치 커피는 프랜차이즈 커피점과 달리 구매의 불편함이 야기되며, 더욱이 더치 커피의 장점이라 할 수 있는 커피 향의 손실이 크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81558, 공개일자 2013년07월17일, 발명의 명칭 '더치커피 추출장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량 단위의 더치 커피를 제조할 수 있는 기구를 제공함으로써, 휴대과정에서 더치 커피를 제조하여 음용할 수 있는 더치 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생수병을 이용하여 더치 커피를 제조함으로써 제조 단가를 격감시켜 소비자의 부담을 격감시킬 수 있는 더치 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밀폐된 구조로 제시함에 따라 더치 커피 향의 분실을 원천적으로 봉쇄하여 더치 커피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더치 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로스팅된 커피를 이용하여 소비자가 직접 더치 커피를 제조하도록 함에 따라, 지역 내 커피전문점(독립형 커피전문점, 비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에서 제조 판매하는 고유의 더치 커피 맛을 지역에 관계없이 배포할 수 있어, 지역 커피전문점의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는 더치 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더치 커피 추출장치는, 생수가 적재된 생수통으로 인입 설치되고; 임의 형상을 갖는 중공형 함체의 하부로 로스팅된 분쇄커피가 매립되어, 상기 생수의 수압에 의해 역방향의 더치가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함체의 상부로 더치 커피 원액이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중공형 함체는,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 구조를 갖는 중공형 구조의 더치 파이프이며, 상기 더치 파이프는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 구조를 갖는 중공형 구조의 파이프 형태의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홀을 구비한 중앙 격벽에 의해 상측으로 더치 적재함을 형성하며, 하측으로 원두 적재함을 형성하고, 상기 원두 적재함으로 로스팅 후 분쇄된 커피가 이탈하지 않도록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원두 적재함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서 인입되어 설정된 위치에서 더치 원액을 상기 더치 적재함으로 전달하는 격벽 형성관; 상기 격벽 형성관의 중앙격벽과 밀착되도록 인입 설치되어 더치 원액만을 상기 더치 적재함으로 배출하기 위한 상부 부직포; 상기 상부 부직포의 하부로 설정 용량만큼 적재되는 분쇄 원두; 상기 분쇄 원두의 분말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 부직포; 상기 하부 부직포의 이탈을 방지하고 용수의 유입을 안내하는 격벽 체결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격벽 형성관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홀을 구비한 중앙격벽이 상부에 설치되고 하부가 개방된 구조이며; 상기 격벽 체결관은 상기 하부 부직포)와 밀착되어 용수의 유입을 유도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홀이 마련된 이탈 방지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커피 추출장치는, 소량 단위의 더치 커피를 제조할 수 있는 기구를 제공함으로써, 휴대 구조 기반으로 더치 커피를 제조하여 음용할 수 있어 더치 커피의 보급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생수병을 이용하여 더치 커피를 제조함으로써 제조 단가를 격감시켜 소비자의 부담을 격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밀폐된 구조로 제시함에 따라 더치 커피 향의 분실을 원천적으로 봉쇄하여 더치 커피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로스팅된 커피를 이용하여 소비자가 직접 더치 커피를 제조하도록 함에 따라, 지역 내 커피전문점에서 제조 판매하는 고유의 더치 커피 맛을 지역에 관계없이 배포할 수 있어, 지역 커피전문점의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더치 커피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더치 커피 추출장치의 더치 파이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더치 파이프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험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더치 커피를 제조하기 위한 휴대용 구조로서, 통상의 생수통과 결합하여 더치 커피를 추출한다. 즉, 임의 구조를 갖는 중공형 함체,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구조의 하부에 로스팅된 원두를 적재하고, 생수통에 수용된 용수를 이용하여 수압에 의한 역방향의 더치(Dutch)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역방향 더치는 생수의 수압에 의해, 원통의 하부에 위치한 원두로 생수가 유입되고, 상기 원두를 거쳐 더치됨으로써 원통의 상부로 더치 커피 원액이 추출되는 것이다.
여기서, 수압을 이용하는 것은 원두의 내부로 용수가 자연적으로 유입도록 하는 것으로, 수압의 크기는 생수통에 적재된 용수의 수위에 비례할 것이다. 따라서, 생수통의 수위에 대응하여 더치 커피의 제조 용량이 결정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더치 커피(Dutch Coffee)는 우려내는 커피로써, 상기 더치(Dutch)의 의미를 우려내는 개념으로 사용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더치 커피 제조 도구 즉, 더치커피 추출기로써 더치 파이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더치 파이프(200)는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 구조를 갖는 중공형 구조의 파이프 형태의 하우징(205)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205)의 내부 일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홀을 구비한 중앙 격벽에 의해 상측으로 더치 적재함(201)을 형성하고, 하측으로 원두 적재함(203)을 형성하며, 상기 원두 적재함(203)으로 로스팅 후 분쇄된 커피가 이탈하지 않도록 적재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더치 파이프(200)는 소정 용량의 용수가 수용된 생수병의 입구로 인입 설치하되, 상기 원두 저재함(203)이 지면을 향하도록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 더치 파이프(200)의 하부를 통해 용수가 유입되어 원두 적재함(203)의 커피를 관통한 후 상기 더치 적재함(201)으로 더치 커피가 생성된다. 상기 용수가 더치 파이프(200)의 하부로 유입되는 것은 생수병 내의 수압에 의한 것으로서, 상기 원두 적재함(203)으로 적재된 분쇄커피의 밀도, 용량에 따라 더치 커피의 생성 시간은 가변될 것이다.
상기한 더치 파이프(200)는 생수병의 용수 수압에 의해 더치 커피를 생성하는 것으로, 더치 파이프(200)의 길이는 기성품의 생수병 또는 임의 제작된 생수병의 높이 보다 짧아야 하며, 더치 파이프(200)의 외경은 상기 생수병의 입구 내경과 근접하도록 작게 설계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더치 적재함(201)과 원두 적재함(203)을 구획하는 중앙 격벽의 위치는 더치 적재함(201)의 용량과 원두 적재함(203)의 용량 대비 5:1 내지 4:1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는 원두 1g 당 더치커피 4㎖ ~ 5㎖가 생성되어야 적절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더치 과정에서 원두의 부피 팽창을 감안하여 상기 원두 적재함(203)의 용량을 다소 늘릴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생수병에 적재된 용수를 이용하여 더치 커피를 생성하기 때문에, 생성된 더치커피의 원액을 생수병의 용수에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더치 커피 용액이 생성된 후, 상기 더치 파이프(200)를 생수병으로부터 분리하여 생수병의 용수와 희석하거나, 더치 파이프(200)의 상단부에 용수와 원액의 혼합을 위한 희석홀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더치 커피가 완성된 후 생수병의 뚜껑을 개방하고, 상기 더치 파이프(200)는 생수병 내부에 장착된 상태로서 커피잔에 더치 커피를 옮길 때, 더치 파이프(200)의 상부 개방면을 통해 더치 커피 원액이 배출되고 더불어 희석홀을 통해 생수병의 용수가 배출된다.
결국, 더치 커피 원액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생수병의 용수가 같이 배출되어 자동으로 희속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생수병의 용량과 더치 파이프(200)의 용량을 대비하여 생수병의 체적과 용수의 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더치 아메리카노, 더치 언더락, 더치 라떼 등을 제조할 경우, 더치 원액 20㎖ 당 생수 또는 용수를 1:3 비율 즉, 60㎖로 희석하게 된다. 이를 감안하여, 상기 더치 파이프(200)에서 생성되는 더치 원액을 40㎖ 내지 50㎖를 생성하고자 할 경우, 원두의 용량은 대략 10g 정도가 소요되며, 용수의 용량은 80㎖ 정도가 필요하다.
즉, 더치 파이프(200)의 용량은 대략 60㎖ 정도이며, 300㎖의 생수병을 사용하여 용수를 230㎖를 수용토록 한다. 용수의 적재량을 축소하는 것은 더치 파이프(200)가 생수병으로 인입될 때, 생수병의 수위 및 내부 공기량을 감안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원두 적재함(203)으로 적재되는 분쇄커피는 10g이고, 이로부터 추출되는 더치 커피는 50㎖이며, 더치 커피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용수는 80㎖이다.
따라서, 230㎖의 용수를 사용하여 더치 커피를 제조할 경우 80㎖의 용수가 사용되고, 나머지 용수는 150㎖가 된다. 그리고, 생성되는 더치 커피는 50㎖로서, 완성된 더치 커피를 배출할 때, 더치 원액은 50㎖이고, 생수 즉, 용수는 150㎖가 되어 1:3의 비율로 희석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더치 커피를 생성함과 동시에 생수를 이용하여 적절한 비율의 희석이 가능함에 따라 더치 커피의 맛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더치 파이프(200)는 더치 과정을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더치 파이프(200)의 재질을 투명 재질의 플라스틱,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으로 성형되며, 상온의 생수를 사용할 경우를 대비하여 테프론 코팅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두 적재함(203)으로 적재되는 원두 즉, 분쇄커피의 직경이 너무 작을 경우에, 더치 과정에서 분말의 체적이 증가할 때 용수의 관통이 매우 어렵게 되며, 분쇄커피의 직경이 너무 클 경우에는 더치 커피의 고유 맛과 향이 울어 나오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더치 시간과, 더치 향, 맛을 감안하여 분쇄커피의 직경을 0.5mm 내지 1.5mm로 한정하며, 생두의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분쇄커피의 분말이 더치 원액 또는 희석된 더치 커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적재되는 분쇄커피의 상측 및 하측부에 부직포를 설치한다. 부직포는 티백 제품에 사용되는 재질로써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더치 파이프(2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더치 파이프(200)를 구성하는 하우징(205)의 하부로 원두 적재함(203)이 인입되어 조립되는 구조로서, 상기 원두 적재함(203)은 상기 하우징(205)의 하부에서 인입되어 설정된 위치에서 더치 원액을 상기 더치 적재함(201)으로 전달하는 격벽 형성관(311)과, 상기 격벽 형성관(311)의 중앙격벽(313)과 밀착되도록 인입 설치되어 더치 원액만을 상기 더치 적재함(201)으로 배출하기 위한 상부 부직포(317)와, 상기 상부 부직포(317)의 하부로 설정 용량만큼 적재되는 분쇄 원두(321)와, 상기 분쇄 원두(321)의 분말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 부직포(341)와, 상기 하부 부직포(341)의 이탈을 방지하고 용수의 유입을 안내하는 격벽 체결관(331)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격벽 형성관(31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홀(315)을 구비한 중앙격벽(313)이 상부에 설치되고 하부가 개방된 구조이며, 상기 격벽 체결관(331)은 상기 하부 부직포(341)와 밀착되어 용수의 유입을 유도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홀(335)이 마련된 이탈 방지격벽(333)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더치 파이프(200)는 생수병의 입구로 인입 설치되도록 함에 따라, 더치 파이프(200)의 외경이 생수병의 입구 내경과 근접하도록 설계하여 끼움 결합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더치 파이프(200)의 외경을 생수병의 내경보다 충분히 작게 설계할 경우, 상기 하우징(205)의 상부 즉, 더치 적재함(201)의 개방면에서 연장되도록 추출 손잡이(350)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추출 손잡이(350)를 사용하지 않고 하우징(205)의 종단과 생수병의 뚜껑이 상호 나사 결합 또는 억지끼움 결합하도록 한 후, 더치 과정이 종료될 때, 상기 생수병의 뚜껑과 하우징(205)을 분리하여 더치 원액을 추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더치 파이프(200)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더치 파이프(200)는 생수병의 뚜껑과 체결된 후, 상기 생수병으로 인입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205)의 상부에는 상기 생수병 뚜껑과 결합 가능하도록 체결 수단 예컨대, 나사 결합하도록 구성되도록 숫나사 형상으로 성형되고, 상기 생수병 뚜껑의 안측에는 상기 숫나사와 결합하도록 암나사가 형성된다. 이후, 생수병 뚜껑과 결합한 더치 파이프(200)는 생수병 내부로 인입된 후, 상기 생수병 뚜껑에 의해 체결 및 밀봉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더치 커피 추출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시된 더치 커피 추출기는 더치 적재함(201)과 원 적재함(203)이 상호 분리되는 구조이며, 이는 더치 커피의 향과 맛을 실험하기 위한 구조로 제시고 있다.
도시된 도 5의 (가)와 같이, 생수병과 더치 파이프(202)가 체결되며, 생수병에는 일정량의 생수가 적재되고 있다. 따라서, 생수병의 수압은 더치 파이프(202)의 하부를 통해 전달되며, 수압에 의해 상기 격벽 체결관(331)의 유입홀(335)을 따라 생수가 유입된다. 상기 생수는 하부 부직포(341)를 거쳐 분쇄 원두(321)로 서서히 공급된다.
상기 분쇄원두(321)로 공급되는 생수는 분쇄원두(321)를 더치(Dutch) 시킨 후 상기 상부 부직포(317)를 거쳐 격벽 형성관(311)의 이동홀(315)을 따라 상기 하우징(205)의 더치 적재함(201)으로 공급된다. 상기 더치 적재함(201)으로 공급되는 더치 원액은 상기 생수병의 수위와 동일할 때까지 서서히 공급된다. 도 5의 (나)는 10분 경과 후의 더치 원액이 추출됨을 보이고 있고, 도 5의 (다)는 20분 경과 후의 더치 원액이고, 도 5의 (라)는 30분 경과 후의 더치 원액이 생성됨을 보이고 있다.
더치 원액의 추출 시간은 상기 원두 적재함(203)으로 적재되는 분쇄원두의 밀도에 따라 다소 차이가 발생하나, 본 발명의 실험에서는 분쇄 원두의 중량을 10g으로 적재하여 원액 추출시간을 30분으로 유도하였다. 도 5의 (마)는 생수병으로부터 더치 파이프를 분리한 사진이며, 더치 파이프의 하우징(205) 종단에 장착된 생수병 뚜껑을 분리함으로써 더치 원액을 직접 또는 희석하여 음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더치 커피의 원액을 추출함에 있어, 드립 방식의 추출이 아닌, 생수의 수압을 이용하여 하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더치 커피를 추출하게 된다. 따라서, 생수의 압력을 통해 더치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되며, 더욱이 더치 커피 추출기를 휴대용 그리고, 일회용으로 구현함에 따라 독립형 커피전문점의 고유 커피맛을 충분히 배포할 수 있게 된다. 즉, 독립형 커피전문점에서 제조하는 더치 커피는 더치 시간이 매우 길기 때문에, 더치 커피의 판매량에 한계가 존재하나, 본 발명에 따른 더치 파이프를 판매함에 따라 더치 커피의 공급이 원활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200 : 더치 파이프 201 : 더치 적재함
203 : 원두 적재함 205 : 하우징
311 : 격벽 형성관 313 : 중앙 격벽
315 : 이동홀 317 : 상부 부직포
321 : 분쇄원두 331 : 격벽 체결관
333 : 이탈 방지격벽 335 : 유입홀
341 : 하부 부직포 350 : 추출 손잡이

Claims (7)

  1. 생수가 적재된 생수통으로 인입 설치되고;
    임의 형상을 갖는 중공형 함체의 하부로 로스팅된 분쇄커피가 매립되어, 상기 생수의 수압에 의해 역방향의 더치가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함체의 상부로 더치 커피 원액이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 커피 추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함체는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 구조를 갖는 중공형 구조의 더치 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 커피 추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더치 파이프는,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 구조를 갖는 중공형 구조의 파이프 형태의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홀을 구비한 중앙 격벽에 의해 상측으로 더치 적재함을 형성하고, 하측으로 원두 적재함을 형성하며, 상기 원두 적재함으로 로스팅 후 분쇄된 커피가 이탈하지 않도록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 커피 추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원두 적재함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서 인입되어 설정된 위치에서 더치 원액을 상기 더치 적재함으로 전달하는 격벽 형성관;
    상기 격벽 형성관의 중앙격벽과 밀착되도록 인입 설치되어 더치 원액만을 상기 더치 적재함으로 배출하기 위한 상부 부직포;
    상기 상부 부직포의 하부로 설정 용량만큼 적재되는 분쇄 원두;
    상기 분쇄 원두의 분말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 부직포;
    상기 하부 부직포의 이탈을 방지하고 용수의 유입을 안내하는 격벽 체결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 커피 추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형성관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홀을 구비한 중앙격벽이 상부에 설치되고 하부가 개방된 구조이며;
    상기 격벽 체결관은 상기 하부 부직포)와 밀착되어 용수의 유입을 유도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홀이 마련된 이탈 방지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 커피 추출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더치 적재함의 종단과 생수병의 뚜껑이 상호 나사 결합 또는 억지끼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 커피 추출장치.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더치 파이프는 플라스틱,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 커피 추출장치.

KR1020130114834A 2013-09-26 2013-09-26 더치 커피 추출장치 KR101464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834A KR101464987B1 (ko) 2013-09-26 2013-09-26 더치 커피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834A KR101464987B1 (ko) 2013-09-26 2013-09-26 더치 커피 추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4987B1 true KR101464987B1 (ko) 2014-12-01

Family

ID=52676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4834A KR101464987B1 (ko) 2013-09-26 2013-09-26 더치 커피 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49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92509B2 (en) 2016-04-08 2019-12-03 Ronnoco Coffee, Llc Cold coffee brewing system and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9330A (ko) * 1997-08-29 1999-03-15 황유연 티백의 차성분 용출파이프
KR200334920Y1 (ko) * 2003-03-03 2003-12-01 유한남 다용도 물통
JP2009056069A (ja) * 2007-08-31 2009-03-19 Shizuoka Chasho Kogyo Kyodo Kumiai 飲料用容器及び飲料用容器の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9330A (ko) * 1997-08-29 1999-03-15 황유연 티백의 차성분 용출파이프
KR200334920Y1 (ko) * 2003-03-03 2003-12-01 유한남 다용도 물통
JP2009056069A (ja) * 2007-08-31 2009-03-19 Shizuoka Chasho Kogyo Kyodo Kumiai 飲料用容器及び飲料用容器の使用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92509B2 (en) 2016-04-08 2019-12-03 Ronnoco Coffee, Llc Cold coffee brewing system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31079B1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for large size beverages
AU2014345773B2 (en) Device for preparing a chilled infused beverage
JP6185057B2 (ja) 飲料を醸造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17500084A (ja) 飲料を浸出するための器具および方法
US9629497B2 (en) Beverage production method and devices
KR20120078180A (ko) 더치커피기구의 수압 안정장치
JP2016521170A (ja) ドリップコーヒー製造機
CN105848538A (zh) 饮料机
US20150257582A1 (en) Refillable beverage brewer system
KR101437136B1 (ko)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기구
US20160007795A1 (en) 3 in 1 mini coffee tube as a container, a filter, and a stirring tool
KR200469512Y1 (ko)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
KR101464987B1 (ko) 더치 커피 추출장치
AU2015348844B2 (en) Machine, method and system for brewing a beverage
KR101569824B1 (ko) 커피 추출장치
KR101852000B1 (ko) 다중 분배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장치
US1039065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tracting Dutch coffee
US20210267405A1 (en) Drip filter head and method
CN112074213B (zh) 饮料制备设备、装置和方法
KR20210019970A (ko) 커피 캡슐
WO2010034097A1 (en) Device for producing a brewed beverag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20230138110A (ko) 드립 커피 메이커
KR20190080210A (ko) 커피 자동 추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