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5571Y1 - 일회용 차(茶)의 추출용기 - Google Patents

일회용 차(茶)의 추출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5571Y1
KR200195571Y1 KR2019980001190U KR19980001190U KR200195571Y1 KR 200195571 Y1 KR200195571 Y1 KR 200195571Y1 KR 2019980001190 U KR2019980001190 U KR 2019980001190U KR 19980001190 U KR19980001190 U KR 19980001190U KR 200195571 Y1 KR200195571 Y1 KR 2001955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tea
coffee beans
cup
filter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11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7803U (ko
Inventor
윤영노
Original Assignee
윤영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노 filed Critical 윤영노
Priority to KR20199800011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5571Y1/ko
Publication of KR199900078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8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55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55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5Portable or compact beverage making apparatus, e.g. for travelling, for use in automotive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조가 간단하며 어떤 컵에나 결합하여 즉석에서 신속하게 원두커피나 녹차등과 같은 차를 추출하여 마실 수 있게 한 일회용 차(茶)의 추출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저면에 뚫어 설치된 유출구(13)들을 봉해주게 바닥면에 부착되는 여과지(20)와 상부 내주면에 형성된 단턱(12)에 외주연이 부착되어 개방된 상부를 봉해주는 여과지(20')들 사이의 공간에 원두커피나 차입자가 수용된 용기체(10)를 컵(50)의 상부내에 결합하여 상부에 뜨거운 물을 부어주면 원두커피나 차성분이 추출되어 원두커피나 녹차등과 같은 차를 마실 수 있게 한 일회용 차의 추출용기에 있어서, 상기 여과지(20)(20')들은 각각의 고정링(30)(30')들로 결착고정하고, 용기체(10)의 상단 외주면에 빙둘러 형성되는 테두리(11)의 일측에는 공기유통구(41)가 상하로 관통하게 형성된 손잡이(40)를 일체로 세워 설치하여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일회용 차(茶)의 추출용기
본 고안은 일회용 차의 추출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조가 간단하고 어떤 컵에나 결합하여 즉석에서 신속하게 원두커피나 녹차등과 같은 차를 추출하여 마실 수 있게 한 일회용 차의 추출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스탄트커피는, 커피가루의 덩어리가 생기지 않고 물에 잘 녹을 수 있게 가공된 것으로서, 빠른 시간에 즉석에서 물에 타서 마실 수 있는 장점은 있었으나 커피고유의 맛과 향을 낼 수는 없었다.
또한, 커피고유의 맛과 향을 낼 수 있는 원두커피는 인스탄트커피와는 달리 커피입자가 물에 녹지 않게 됨은 물론, 물이 커피입자를 통과하여 흐르게 하여야 커피성분이 원활하게 추출되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런점을 감안하여 고유의 커피맛과 향이 그대로 유지되면서도 인스탄트커피와 같이 즉석에서 원두커피를 추출하여 마실 수 있는 일회용 커피여과용기(국내실용신안공고 제89-2252호)가 고안되었는데, 이 여과용기는 저면에 배수공이 다수 형성된 용기의 하부내에 두장의 여과지를 서로 격리되게 부착하여, 이들 여과지 사이의 공간부에 원두커피입자를 수납하고, 상부에는 덮개를 결합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원두커피를 추출하여 마실 때에는 상기 여과용기를 컵의 상단에 재치시킨 후 덮개를 열어 뜨거운 물을 용기내에 일정량 붓고 덮개를 닫아 잠깐동안 기다리면 뜨거운 물이 여과지들 사이에 수용된 원두커피입자들을 통과하여 흘러내릴 때 커피성분이 추출되어 컵에 커피액이 고이게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일회용 커피여과용기는, 여과용기의 제조시 내저면과 그 상측부에 빙둘러 형성된 단턱에 여과지들의 외주연을 부착하였는데, 이때 여과지들을 정확한 위치에 단단히 부착하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기계적으로 대량 생산하는데 많은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부착상태가 불안정하게 되므로 수용된 원두커피입자가 유출되는 등의 단점도 있었다.
또한, 원커피를 추출하기 위해 여과용기를 컵의 상단에 재치하게 되면 용기의 단턱 저면이 컵의 상단에 밀착되기 때문에, 용기에 물을 붓고 덮개를 닫았을 때 비록 용기내부로는 덮개와 용기 상주연부 사이에 형성된 틈새들을 통해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용기내의 물에 대기압이 가해지게 되지만 컵내의 공기는 잘 배출되지 못하게 되므로, 용기내의 물이 컵으로 원활하게 흘러내리지 않게 되어 기다리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커피를 빨리 추출하기 위해서는 용기를 들어올렸다 내려놓았다 하는 동작을 반복해야 되기 때문에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점도 있었다.
그리고, 용기가 컵의 상단에 재치되게 형성된 것이므로 이 용기를 녹차와 같은 차의 추출용으로는 사용할 수 없어 그 용도가 한정되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용기의 제조가 매우 간단 용이하여 단시간에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되며 원두커피의 추출시 기다리는 시간이 최대한 단축되는 일회용 차의 추출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녹차등과 같은 차의 추출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일회용 차의 추출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추출용기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동 원두커피 추출시의 사용상태 종단면도,
도 3은 동 녹차 등의 추출시 사용상태 종단면도,
도 4a는 본 고안 실시예중 고정링의 변형 예를 보인 사시도,
도 4b는 동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체
12 : 단턱 13 : 유출구
20, 20' : 여과지
30, 30' : 고정링
311 : 몸체 312 : 지지대
313 : 파지핀
40 : 손잡이 41 : 공기유통구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들은 여과지들을 부착고정하지 않고 조립식으로 용기체내에 단단히 결착시켜 주며 원두커피가 신속 원활히 추출되게 함은 물론, 녹차등과 같은 차도 추출하여 마실 수 있게 되는 일회용 차의 추출용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이 추출용기는 여과지들을 부착하지 않고 각각의 고정링들로 용기체내에 고정조립하며, 또 상단테두리에는 공기유통구가 뚫어 설치된 손잡이를 부설하여 된다.
따라서, 여과지들이 조립식으로 결착고정되기 때문에 제조가 매우 간단 용이하게 되어 단시간에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되며, 사용시에는 용기체를 컵의 상부내에 결합시켜 준 다음 용기체에 뜨거운 물을 부어주면 컵내의 공기가 손잡이에 뚫어 설치된 공기유통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물이 여과지들 사이의 공간내에 수용되어 있는 원두커피입자들을 원활하게 통과하여 컵내로 흘러 내리게 되어 보다 신속 원활하게 커피가 추출됨은 물론, 여과지들 사이의 공간내에 녹차등과 같은 차입자들이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차입자들이 물에 잠기도록 용기체를 통해 컵에 물을 충분히 부어주면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차의 추출용기는,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주면에는 테두리(11)가 외측으로 빙둘러 수평연장되고 내주면에는 단턱(12)이 빙둘러 형성되며 저면에는 유출구(13)들이 뚫어 설치된 상광하협 현상의 용기체(10)와, 이 용기체의 바닥면에 얹혀지게 결합되어 유출구(13)들을 봉해주는 여과지(20)의 주연부를 바닥 외주면에 고정되게 결착시켜 주는 고정링(30)과, 상기 단턱에 외주연부가 얹혀지게 결합되어 용기체(10)의 상부를 봉해주는 여과지(20')의 외주연부를 단턱(12)에 고정되게 결착시켜 주는 고정링(30')과, 상기 테두리의 일측 상면에 적정길이로 수직연장되며 공기유통구(41)가 관통설치된 손잡이(40)로 구성된다.
상기 용기체는 상광하협상의 컵 또는 일회용컵(50)의 상부내에 삽입하면 테두리(11)의 외단이 상기 컵의 상부 내주면의 걸맞게 되는 부위에 걸쳐지는 상태로 결합되며, 이렇게 결합되면 용기체의 외주면과 상기 컵(50)의 내주면 사이에는 직경들의 차이에 비례하는 간격이 유지된다.
그리고, 여과지(20)(20')들 사이의 공간(A)내에는 원두커피나 녹차(60)등과 같은 차입자들이 수용되며, 고정링(30)은 용기체(10)의 바닥 외주면에 꼭 끼이게 되는 크기의 직경으로 되고, 고정링(30')은 단턱(12)의 외주면에 꼭 끼이게 되는 크기의 직경으로 된다.
따라서, 여과지(20)(20')들은 각각의 고정링(30)(30')들에 의해 각 주면이 용기체(20)의 바닥면과 단턱에 단단히 결착 고정된다.
한편, 상기 용기체는 일회용컵(50)에 결합된 상태로 포장 공급하여도 되지만, 일회용컵이 아닌 일반컵을 사용할 수 있게 용기체만 포장 공급하여도 된다.
그리고, 고정링(30)(30')들을 기계적인 자동화 장치로 각각 용기체(10)내의 바닥면과 단턱(12)에 삽입ㆍ고정할 때에는, 고정링(30)은 그 직경이 상기 용기체의 상부내경보다 작기 때문에 이 용기체내에 삽입시켜 눌러 고정시켜 주는 작업이 용이하게 되지만, 고정링(30')의 경우에는 그 직경이 단턱(12)과 같거나 조금 크게 되므로 이 단턱에 정확하게 결합ㆍ고정할 때 정밀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고정링(30)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링형상의 몸체(311) 내부에 지지대(312)를 종횡으로 가로지르게 하고, 이들 지지대의 교차지점인 중앙상면에 파지핀(313)을 일체로 세워 설치하며, 상기 몸체의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는 절개부(314)를 설치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고정링(30')이 형성되면, 기계적인 자동화 장치의 핸드(도시하지않음)가 파지핀(313)을 잡아 단턱(12)에 정확하게 결합ㆍ고정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결합과정에서 몸체(311)에는 절개부(314)들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몸체의 직경이 단턱(12)보다 큰 경우 절개부(314)에 의해 몸체(311)가 오므러들게 되어 결합이 용이하게 되고, 결합후에는 자체탄성에 의해 오므러진 만큼 벌어지려고 하기 때문에 더욱 단단히 결착된다.
또한, 상기 변형예에서는 지지대(312)들이 합쳐지는 중앙상면에 파지핀(313)이 설치된 것을 그 예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핸드를 갖춘 자동화 장치가 아니고 공기흡착기를 사용하는 장치인 경우에는 중앙부에 상기 파지편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또, 파지핀(313)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이 핀을 원뿔형상으로 되게 함과 동시에 내부가 하부로 개방되는 공동으로 되게 하면, 이 공동에 다른 고정링(30')의 파지핀(313) 상부가 결합되기 때문에 이들 고정링의 적층공간을 최대한 축소시켜 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차의 추출용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원두커피를 추출하여 마시고져 할 때에는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간(A)에 원두커피입자(60)가 수용된 용기체(10)를 컵(50)의 상부내로 삽입하여 그 테두리(11)가 내주면에 걸쳐지게 결합하면 되는데, 이렇게 되면 상기 컵의 상부에는 적정한 수용공간(B)이 형성되며, 테두리(11)의 외단은 상기 컵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이후, 수용공간(B)에 적정량의 뜨거운 물을 부어주면 되는데, 이렇게 하면 상기 용기체의 테두리(11)가 컵(5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뜨거운 물은 이들 사이로는 흘러내리지 못하고, 단턱(12)에 주면부가 고정링(30')으로 결착고정된 여과지(20')를 통과하여 공간(A)내에 수용되어 있는 원두커피입자(60)들과 저면에 주면부가 고정링(30)으로 결착고정된 여과지(20)를 거쳐 저면의 유출구(13)를 통과하여 컵(10)의 하부내로 흘러내리게 되며, 이 과정에서 원두커피입자(60)의 커피성분이 흘러내리는 물에 용해되어 추출되기 때문에 상기 컵의 하부내에는 원두커피액이 담기게 된다.
이러한 추출과정에서 컵(50) 내부의 공기는 손잡이(40)에 형성된 공기유통구(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용기체(10) 상부에 부어진 뜨거운 물이 순조롭게 흘러내리게 되므로 원두커피는 보다 신속 원활하게 추출된다.
따라서, 용기체(10)내에 부어진 뜨거운 물이 모두 흘러내리게 되면 손잡이(40)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체를 컵(50)으로부터 들어내고 추출된 커피액을 마시면 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부어주는 물의 분량을 수용공간(B)에 부어지는 물이 모두 컵(50)으로 흘러내렸을 때 공간(A)에 수용되어 있는 원두커피입자(60)가 흘러내린 물에 잠기지 않을 정도로 하면 된다.
한편,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체(20)의 공간(A)내에 녹차등과 같은 차입자(60)가 수용된 경우에는 부어주는 물의 분량을 컵(50)내로 흘러내린 물에 의해 상기 공간에 수용된 차입자들이 충분히 잠길 정도로 하면 된다.
그리고, 이렇게 물을 부어준 다음 적정시간이 경과되어 차입자(60)의 차성분이 충분히 추출된 다음 용기체(20)를 들어 내고 추출된 차액을 마시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차의 추출용기는 용기체의 공간내에 수용되는 원두커피나 차입자를 감싸주게 되는 여과지들이 각각의 고정링들로 결착고정시켜 주는 조립식이 되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매우 간단 용이하게 되며, 이에 따라 단시간에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되는 등의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시 용기체를 컵내에 결합하면, 컵내의 공기가 용기체에 부설된 공기유통구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원두커피의 경우에는 추출이 보다 신속 원활하게 수행되며, 이에 따라 기다리는 시간도 단축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그리고, 용기체가 컵내에 결합되기 때문에 녹차등과 같은 차의 추출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그 사용범위가 넓어지게 되는 등의 잇점도 있다.

Claims (3)

  1. 저면에 뚫어 설치된 유출구(13)들을 봉해주게 바닥면에 부착되는 여과지(20)와 상부 내주면에 형성된 단턱(12)에 외주면이 부착되어 개방된 상부를 봉해주는 여과지(20')들 사이의 공간에 원두커피나 차입자가 수용된 용기체(10)를 컵(50)의 상부내에 결합하여 물을 부어주면 원두커피나 차액이 추출되므로 마실 수 있게 한 일회용 차의 추출용기에 있어서, 상기 여과지(20)(20')들은 각각의 고정링(30) (30')들로 결착고정하고, 용기체(10)의 상단 외주면에 빙둘러 연장되는 테두리(11)의 일측에는 공기유통구(41)가 관통설치된 손잡이(40)를 수직연장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차의 추출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링(30')은 링형상의 몸체(311)와, 이 몸체의 내부를 종횡으로 가로지르게 일체로 형성된 지지대(3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차의 추출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지지대(312)들의 교차지점인 중앙 상면에는 내부가 하부로 개방된 공동으로 되는 원뿔형상의 파지핀(313)이 세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차의 추출용기
KR2019980001190U 1998-02-04 1998-02-04 일회용 차(茶)의 추출용기 KR2001955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190U KR200195571Y1 (ko) 1998-02-04 1998-02-04 일회용 차(茶)의 추출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190U KR200195571Y1 (ko) 1998-02-04 1998-02-04 일회용 차(茶)의 추출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803U KR19990007803U (ko) 1999-02-25
KR200195571Y1 true KR200195571Y1 (ko) 2000-09-01

Family

ID=19531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1190U KR200195571Y1 (ko) 1998-02-04 1998-02-04 일회용 차(茶)의 추출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557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299B1 (ko) * 2017-06-15 2019-01-04 주식회사 에버빈스 음료 추출 장치
KR20190074427A (ko) * 2017-12-20 2019-06-28 조형래 커피 추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342Y1 (ko) * 2017-12-18 2019-10-31 강현식 커피가루 분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299B1 (ko) * 2017-06-15 2019-01-04 주식회사 에버빈스 음료 추출 장치
KR20190074427A (ko) * 2017-12-20 2019-06-28 조형래 커피 추출 장치
KR102027657B1 (ko) * 2017-12-20 2019-10-01 조형래 커피 추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803U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3946A (en) Infusing device for a beverage
US5813317A (en) Brewing pot
EP2294949B1 (en) Pitcher with infuser
CN102137609A (zh) 具有插入到容器中的插入件的饮料制备机
CN103841859A (zh) 单杯饮料配料滤篮及其使用方法
US20100072159A1 (en) Beverage Bottle Having Straining Function
JP5668884B2 (ja) 飲料用ポット
KR200195571Y1 (ko) 일회용 차(茶)의 추출용기
US6161470A (en) Permanent filter for the preparation of tea in pots or cups
KR20070114940A (ko) 찻잎 우림용 다기 구조체
EP2165941A1 (en) Beverage bottle having straining function
KR200195570Y1 (ko) 일회용 차(茶)의 추출용기
KR200297236Y1 (ko) 차(茶) 추출용 거름망이 구비된 용기
JP7417318B1 (ja) 濾過器及び飲料抽出器
US20190000260A1 (en) Filter Kettle Structure
CN217390525U (zh) 具有可拆分隔构件的容器及其分隔构件
CN202277148U (zh) 一种具有下腔结构的茶壶
CN211961223U (zh) 便携茶具
RU220425U1 (ru) Кольцевая часть с фиксаторами и прокалывателем для съемного гнезда капсулы
CN216256546U (zh) 一种新型茶水分离杯
CN219594262U (zh) 一种茶水分离水杯
KR102556040B1 (ko) 찻잔에 설치되는 차잎 거름대의 두껑부재
CN201920360U (zh) 可滤渣的杯子
CN219594332U (zh) 一种多功能饮品冲调器具
CN210681457U (zh) 一种多口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5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