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7136B1 -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기구 - Google Patents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7136B1
KR101437136B1 KR1020130102392A KR20130102392A KR101437136B1 KR 101437136 B1 KR101437136 B1 KR 101437136B1 KR 1020130102392 A KR1020130102392 A KR 1020130102392A KR 20130102392 A KR20130102392 A KR 20130102392A KR 101437136 B1 KR101437136 B1 KR 101437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water
coffee
main body
bean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2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지영
Original Assignee
최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지영 filed Critical 최지영
Priority to KR1020130102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1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5Portable or compact beverage making apparatus, e.g. for travelling, for use in automotive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냉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수용된 냉수가 미리 설정된 양만큼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부 일측에 냉수배출구가 형성되는 냉수수용팩과, 상기 냉수수용팩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일측에 지지수단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냉수수용팩의 하부에 형성되고, 내부에 원두분쇄물이 수용되는 원두수용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원두수용공간이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냉수수용공간과 연통되며, 커피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부 일측에 커피배출구가 형성된 원두수용팩 및 상기 커피배출구가 형성된 상기 원두수용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원두분쇄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여과지를 포함하되, 상기 냉수수용부와, 상기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원두수용부는 상호 일체로 형성되고,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기구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냉수수용팩, 원두수용 및 지지플레이트를 플렉시블한 재질로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제조단가를 절감하여 판매비용을 현저하게 감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휴대성을 높이면서도 취급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기구{Portable dripping tool of duch coffee beans}
본 발명은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단가를 절감하여 판매비용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휴대성을 높이면서도 취급이 용이한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기구에 관한 것이다.
커피는 커피나무에서 생두를 수확하여 가공공정을 거쳐 볶은 후 한 가지 혹은 두 가지 이상의 원두를 섞어 추출하여 음용하는 기호 음료로서, 받침컵 상부에 위치하는 여과지에 원두분쇄물을 인입하고 뜨거운 물을 공급하여 커피액을 추출하는 추출방식, 즉 드립커피가 주로 이용되고 있는데, 최근 소비자의 기호가 다양해지면서 찬물을 사용하여 장시간 원두분쇄물로부터 커피액을 추출하는 더치 커피가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더치커피(Dutch coffee)는 워터드립커피라고도 하며, 뜨거운 물 추출법이 아니라 상온의 물 또는 찬물을 이용하여 오랜 시간 동안 추출하기 때문에 드립커피에 비해 카페인 함량이 적고 오랜 시간 향과 맛이 지속된다는 장점이 있어 드립커피 보다 추출시간이 상당시간 늘어남에도 불구하고 애호가들 사이에서 즐겨찾고 있다.
도1은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기구의 측면도이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기구(100)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냉수가 저장되며 하단에 냉수가 배출되는 냉수배출구(121)가 형성된 본체(120)와, 프레임(110)의 일측 중 본체(120)의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원두분쇄물이 저장되며 하부에 커피액이 하방으로 배출되는 커피배출구(131)가 형성된 바스킷(13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기구(100)는 바스킷(130)의 하부에 받침컵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본체(120)의 내부에 저장된 냉수가 냉수배출구(121)를 통해 바스킷(130)으로 유입되면, 유입된 냉수가 바스킷(130) 내부에 저장된 원두분쇄물을 통과하면서 커피배출구(131)를 통해 커피액이 추출된다.
그러나,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기구(100)는 각 구성이 경질(硬質)로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바 큰 부피를 가질 뿐 아니라 본체(120) 및 바스킷(130)의 경우에는 유리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중량이 상당하고, 그 취급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기구(100)는 큰 부피를 가지면서 무거운 중량으로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하기에 적합하지 않을 뿐 아니라 그 구입단가가 높게 형성되는 등 다양한 계층의 소비자가 더치 커피를 간편하게 즐기기에는 여러가지 제약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단가를 절감하여 판매비용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휴대성을 높이면서도 취급이 용이한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냉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수용된 냉수가 미리 설정된 양만큼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부 일측에 냉수배출구가 형성되는 냉수수용팩과, 상기 냉수수용팩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일측에 지지수단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냉수수용팩의 하부에 형성되고, 내부에 원두분쇄물이 수용되는 원두수용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원두수용공간이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냉수수용공간과 연통되며, 커피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부 일측에 커피배출구가 형성된 원두수용팩 및 상기 커피배출구가 형성된 상기 원두수용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원두분쇄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여과지를 포함하되, 상기 냉수수용부와, 상기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원두수용부는 상호 일체로 형성되고,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기구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냉수배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원두수용공간으로 이동되는 냉수를 필터링하는 정수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하부가 개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상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 일측에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상면개폐부 및 상기 상면개폐부의 상면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수단이 걸림결합되는 걸림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본체의 하부 일측 중 상호 대향하는 일측에 각각 형성되고, 일측이 절개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본체의 내측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본체의 내측방향으로 절곡되는 거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의 일측에 상기 본체의 하부를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저면개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냉수수용팩, 원두수용 및 지지플레이트를 플렉시블한 재질로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제조단가를 절감하여 판매비용을 현저하게 감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휴대성을 높이면서도 취급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본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면계폐부의 삽입홀을 통해 지지플레이트의 일측을 삽입하여 지지수단이 걸림부재에 걸림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지지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수단이 제공되지 않더라도 커피액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기구의 측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기구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기구의 분해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기구의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하부에 저면개폐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플레이트를 상면개폐부의 삽입홀로 삽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수단을 걸림부재에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부를 본체의 내측방향으로 절곡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부를 통해 커피를 추출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기구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기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기구의 단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하부에 저면개폐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 내지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기구는 커피추출부(10) 및 커피추출부(10)를 지지하면서 커피추출부(10)를 보관할 수 있는 지지박스(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커피추출부
커피추출부(1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냉수, 원두분쇄물을 이용하여 더치 커피를 추출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냉수가 수용되는 냉수수용팩(11)과, 냉수수용팩(11)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는 정수필터(12)와, 냉수수용팩(11)의 상부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플레이트(13)와, 냉수수용팩(11)의 하부에 형성되는 원두수용팩(14) 및 원두수용팩(14)의 하부에 결합되는 여과지(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냉수수용팩(11)은 대략 직사각형의 팩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냉수를 수용하기 위한 냉수수용공간(11a)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외부로부터 냉수수용공간(11a) 내에 냉수를 투입하기 위한 냉수투입구(11b)가 개폐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냉수수용팩(11)은 하부 중앙에 냉수가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냉수배출구(11c)가 형성되며, 냉수수용공간(11a) 내에 수용된 냉수가 냉수배출구(11c)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저부가 냉수배출구(11c)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냉수수용팩(11)은 커피액을 추출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냉수를 일정시간 저장하면서 미리 설정된 양, 즉 냉수배출구(11c)의 직경에 따라 일정량의 냉수를 후술하는 원두수용팩(14)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정수필터(12)는 냉수수용팩(11)의 냉수배출구(11c)를 통해 원두수용팩(14)의 원두수용공간(14a)으로 이동되는 냉수의 이동로 상에 설치되어 냉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와 같은 정수필터(12)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임이 자명한 것으로 구체적인 구성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지지플레이트(13)는 한 쌍이 냉수수용팩(11)의 상부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는 것으로서,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플레이트(13)는 상부 일측에 지지수단(13a)으로서 각각 거치홀이 형성되고, 거치홀을 통해 외부의 일정영역에 지지되면서 일체로 형성되는 냉수수용부 및 원두수용부가 일정높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냉수수용부 및 원두수용부에 의해 더치 커피가 추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원두수용팩(14)은 냉수수용팩(11)보다는 작은 크기의 직사각형 팩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원두분쇄물을 수용하기 위한 원두수용공간(14a)이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원두수용공간(14a) 내에 원두를 인입할 수 있도록 측부 일측에 원두투입구(14b)가 개폐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원두수용팩(14)은 하부 중앙에 원두분쇄물을 통과한 냉수, 즉 커피액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부 중앙에 커피배출구(14c)가 형성되며, 커피액이 커피배출구(14c)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냉수수용팩(11)과 같이 저부가 커피배출구(14c)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원두수용팩(14)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원두분쇄물을 저장하고, 냉수수용팩(11)으로부터 공급되는 일정량의 냉수가 원두분쇄물을 통과한 후 커피배출구(14c)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커피의 향과 맛을 품은 커피액이 추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원두수용팩(14)은 냉수수용팩(11)과 같이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원두수용팩(14)의 외면 일측을 가압하여 원두수용공간(14a) 내에 위치하는 원두분쇄물의 밀도가 높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커피액의 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냉수투입구(11b) 및 원두투입구(14b)는 각각 냉수수용팩(11) 및 원두수용팩(14)의 내면 중 상호 대향하는 일측에 각각 수부(M)와 암부(W)를 형성하여 일반적인 지퍼백과 같이 수부(M)와 암부(W)를 탈착하는 것으로 개폐가능하게 형성할 수 있다.
여과지(15)는 원두수용팩(14)의 일측 중 커피배출구(14c)가 형성된 일측에 부착되어 원두분쇄물을 통과한 커피액이 통과되도록 하면서 원두수용팩(14) 내에 수용된 원두분쇄물이 원두수용팩(14)으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와 같은 여과지(15)는 일반적인 드립방식에서 사용되는 여과지(15)와 동일한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커피 추출부(10)는 플렉시블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지지박스(20) 내부에 말려진 상태 또는 접힌 상태로 보관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 후 세척을 통해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박스
지지박스(20)는 대략 박스형상의 본체(21)와, 본체(21)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상면개폐부(22)와, 상면개폐부(22)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부재(23)와, 본체(21)의 측부 일측에 형성되는 거치부(24) 및 본체(21)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저면개폐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한 커피추출부(10)를 보관할 수 있도록 보관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커피추출부(10)의 일측을 지지하여 커피액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지지박스(20)은 사용 후 납작하게 접어 보관할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체(21)는 대략 상하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커피추출부(10)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21a)이 형성되며, 걸림부재(23)가 커피추출부(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면개폐부(2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체(21)는 전면 일측에 후술하는 상면개폐부(22)의 제1 고정돌부(22b)가 끼움결합되어 제1 고정돌부(22b)를 고정하는 고정돌기(21b)가 형성된다.
상면개폐부(22)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체(21)의 상단부 일측에 본체(21)의 상부를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개폐플레이트(22a)와, 제1 개폐플레이트(22a)의 선단 일측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제1 고정돌부(2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상면개폐부(22)는 본체(21)의 내부에 커피추출부(10)가 수납되는 경우 저면개폐부(25)와 함께 본체(21)의 상부 및 하부를 각각 차폐하여 커피추출부(10)가 본체(21)의 내부에 보관되도록 함과 아울러 커피를 추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걸림부재(23)를 통해 지지플레이트(13)를 지지하여 커피액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1 고정돌부(22b)는 일측에 제1 끼움홈(22ba)가 형성되어 상기한 제1 고정편(21b)에 끼움결합됨으로써 본체(21)의 상면을 차폐하는 제1 개폐플레이트(22a)의 차폐상태가 고정되도록 한다.
걸림부재(23)는 상면개폐부(22)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지지수단(13a)의 지지영역을 제공함으로써 지지플레이트(13)가 상면개폐부(22) 일측에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거치부(24)는 본체(21)의 측부 중 하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동된 코너부분에 한 쌍의 절개부(24a)가 상호 이격되게 수평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본체(21)의 내측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본체(21)의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하단부가 받침컵(C)의 상단부에 지지된다.
이와 같은 거치부(24)는 본체(21)가 받침컵의 상단부에 용이하게 거치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하단부가 받침컵(C)의 상단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본체(21)가 유동되는 경우 본체(21)의 하부 내면이 받침컵(C)의 외면 일측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본체(21)가 받침컵(C)의 상단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21)의 하부가 개방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21)의 하부를 개폐할 수 있는 저면개폐부(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면개폐부(25)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체(21)의 하단부 일측에 본체(21)의 하부를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개폐플레이트(25a)와, 개폐플레이트의 선단 일측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제2 고정돌부(25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저면개폐부(25)는 본체(21)의 내부에 커피추출부(10)가 수납되는 경우 상면개폐부(22)와 함께 본체(21)의 상부 및 하부를 각각 차폐하여 커피추출부(10)가 본체(21)의 내부에 보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2 고정돌부(25b)는 일측에 제2 끼움홈(25ba)가 형성되어 본체(21)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2 고정편(21c)에 끼움결합됨으로써 본체(21)의 하부를 차폐하는 제2 개폐플레이트(22a)의 차폐상태가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진 않지만 상기한 커피 추출부 (10) 및 지지박스(20)는 투명재질로 형성되어 커피 추출시 사용자가 커피의 추출과정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플레이트를 상면개폐부의 삽입홀로 삽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수단을 걸림부재에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부를 본체의 내측방향으로 절곡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추출부를 통해 커피를 추출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기구의 사용동작을 첨부된 도6 내지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면개폐부(22) 및 저면개폐부(25)를 개방하고, 본체(21)의 내부에 수납된 커피추출부(10)를 외부로 인출한다.
그리고, 냉수투입구(11b) 및 원두투입구(14b)를 통해 각각 냉수수용공간(11a) 및 원두수용공간(14a)에 냉수 및 원두분쇄물을 인입하고, 냉수투입구(11b) 및 원두투입구(14b)를 밀폐한다.
다음, 커피추출부(10)의 지지플레이트(13)를 삽입홀에 삽입하되,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면개폐부(22)의 하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삽입하고,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13)의 지지수단(13a), 즉 거치홀을 걸림부재(23)의 일측에 걸림결합한다.
이후, 상면개폐부(22)의 고정수단을 본체(21)의 고정홀에 삽입고정하여 본체(21)의 상부를 차폐하고, 도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거치부(24)의 외면 일측을 본체(21)의 내측방향으로 가압하여 거치부(24)가 본체(21)의 내측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한다.
다음, 본체(21)의 내측방향으로 절곡된 거치부(24)의 하단부를 받침컵의 상단부에 지지하면, 중력에 의해 냉수수용팩(11) 및 원두수용팩(14)이 펴지게 되고, 도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냉수수용팩(11)으로부터 원두수용팩(14)으로 냉수가 낙하하며, 낙하한 냉수가 밀도가 높게 저장된 원두분쇄물 단층을 통과하면서 커피의 향과 맛을 품게된 커피액이 여과지(15)를 통해 한 방울씩 받침컵으로 추출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기구 10 : 커피추출부
11 : 냉수수용팩 11a : 냉수수용공간
11b : 냉수투입구 11c : 냉수배출구
12 : 정수필터 13 : 지지플레이트
13a : 지지수단 14 : 원두수용팩
14a : 원두수용공간 14b : 원두투입구
14c : 커피배출구 15 : 여과지
20 : 지지박스 21 : 본체
21a : 수납공간 21b : 제1 고정편
21c : 제2 고정편 22 : 상면개폐부
22a : 제1 개폐플레이트 22b : 제1 고정돌부
22ba : 제1 끼움홈 23 : 걸림부재
24 : 거치부 24a : 절개부
25 : 저면개폐부 25a : 제2 개폐플레이트
25b : 제2 고정돌부 25ba : 제2 끼움홈

Claims (5)

  1. 내부에 냉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수용된 냉수가 미리 설정된 양만큼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부 일측에 냉수배출구가 형성되는 냉수수용팩과;
    상기 냉수수용팩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일측에 지지수단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냉수수용팩의 하부에 형성되고, 내부에 원두분쇄물이 수용되는 원두수용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원두수용공간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냉수수용공간과 연통되며, 커피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부 일측에 커피배출구가 형성된 원두수용팩; 및
    상기 커피배출구가 형성된 원두수용팩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원두분쇄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여과지를 포함하되,
    냉수수용부와, 상기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원두수용팩은 상호 일체로 형성되고,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하부가 개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상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 일측에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상면개폐부; 및
    상기 상면개폐부의 상면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수단이 걸림결합되는 걸림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기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 일측 중 상호 대향하는 일측에 각각 형성되고, 일측이 절개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본체의 내측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본체의 내측방향으로 절곡되는 거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 상기 본체의 하부를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저면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기구.
KR1020130102392A 2013-08-28 2013-08-28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기구 KR101437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2392A KR101437136B1 (ko) 2013-08-28 2013-08-28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2392A KR101437136B1 (ko) 2013-08-28 2013-08-28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7136B1 true KR101437136B1 (ko) 2014-09-02

Family

ID=51759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2392A KR101437136B1 (ko) 2013-08-28 2013-08-28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713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0946A (ko) 2014-10-06 2016-04-15 최윤순 휴대용 더치커피 추출 장치
KR200480686Y1 (ko) 2015-06-01 2016-06-24 이상엽 휴대용 에스프레소 머신
KR101703282B1 (ko) 2016-07-14 2017-02-06 허동혁 커피제조기
KR101821283B1 (ko) * 2017-11-02 2018-01-23 박영길 드립 백 임시 보관 겸용 포장 상자
KR20200020449A (ko) * 2018-08-17 2020-02-26 울산과학기술원 일회용 커피 드리퍼
KR102541201B1 (ko) * 2022-11-03 2023-06-13 전정연 휴대가 용이한 박스형 커피 디스펜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6843A (ja) * 1991-12-30 1993-07-20 Apex:Kk 飲料抽出用パック及び飲料抽出装置
JP2001258743A (ja) * 2000-03-16 2001-09-25 Saeko Onda ホルダー付嗜好性飲料抽出用バッグ
KR101229661B1 (ko) 2012-08-09 2013-02-04 노승춘 드립퍼를 겸한 포장팩 및 이를 이용하는 자동판매장치
KR20130081558A (ko) * 2012-01-09 2013-07-17 권승준 더치커피 추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6843A (ja) * 1991-12-30 1993-07-20 Apex:Kk 飲料抽出用パック及び飲料抽出装置
JP2001258743A (ja) * 2000-03-16 2001-09-25 Saeko Onda ホルダー付嗜好性飲料抽出用バッグ
KR20130081558A (ko) * 2012-01-09 2013-07-17 권승준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229661B1 (ko) 2012-08-09 2013-02-04 노승춘 드립퍼를 겸한 포장팩 및 이를 이용하는 자동판매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0946A (ko) 2014-10-06 2016-04-15 최윤순 휴대용 더치커피 추출 장치
KR200480686Y1 (ko) 2015-06-01 2016-06-24 이상엽 휴대용 에스프레소 머신
KR101703282B1 (ko) 2016-07-14 2017-02-06 허동혁 커피제조기
KR101821283B1 (ko) * 2017-11-02 2018-01-23 박영길 드립 백 임시 보관 겸용 포장 상자
KR20200020449A (ko) * 2018-08-17 2020-02-26 울산과학기술원 일회용 커피 드리퍼
KR102097318B1 (ko) * 2018-08-17 2020-04-06 울산과학기술원 일회용 커피 드리퍼
KR102541201B1 (ko) * 2022-11-03 2023-06-13 전정연 휴대가 용이한 박스형 커피 디스펜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7136B1 (ko)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기구
US7540232B2 (en) Hot beverage maker brew basket adaptor
KR101488920B1 (ko) 음료 추출 기기 및 방법
KR200459398Y1 (ko)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JP2017500084A (ja) 飲料を浸出するための器具および方法
US20110271845A1 (en) Disposable coffee-brewing device
KR101453921B1 (ko) 더치커피 제조용 휴대용기
KR101011692B1 (ko) 필터 일체형 핸드밀
US20160007795A1 (en) 3 in 1 mini coffee tube as a container, a filter, and a stirring tool
US8701549B2 (en) Brewing apparatus
US8763518B2 (en) Percolation machine for producing beverages
US20210330114A1 (en) Portable coffee drip-brewer
KR200469512Y1 (ko)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
KR101651519B1 (ko) 휴대용 드립 커피 추출기
JP6416081B2 (ja) 二位置水容器を備えた飲料製造装置
KR101543151B1 (ko) 온도 차이를 최소화한 상태로 물을 내려 줄 수 있는 드립퍼
KR200480118Y1 (ko) 휴대용 음료 추출 용기
KR101804326B1 (ko) 휴대용 원두커피 드립용기세트
JP2017533813A (ja) 飲み物を抽出する機械、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160088984A (ko)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한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544308B1 (ko) 캐니스터 그라인더
KR101455150B1 (ko) 커피가루를 다지는 탬퍼 보관용 받침대와 겸용으로 사용되는 더치커피 추출용 홀더
KR200458422Y1 (ko) 차 음용을 위한 물병 마개형 휴대용 인퓨저
KR101464987B1 (ko) 더치 커피 추출장치
KR100277216B1 (ko) 휴대용원두커피섭취용기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