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0449A - 일회용 커피 드리퍼 - Google Patents

일회용 커피 드리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0449A
KR20200020449A KR1020180096180A KR20180096180A KR20200020449A KR 20200020449 A KR20200020449 A KR 20200020449A KR 1020180096180 A KR1020180096180 A KR 1020180096180A KR 20180096180 A KR20180096180 A KR 20180096180A KR 20200020449 A KR20200020449 A KR 20200020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late
cup support
main body
coffee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7318B1 (ko
Inventor
박영우
안재현
장유진
김한서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80096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318B1/ko
Publication of KR20200020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포장재 없이 패키징이 가능하며, 컵에 바로 장착하여 드립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일회용 커피 드리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커피 드리퍼는 추출된 커피음료를 수용하는 컵의 상부에 지지되는 복수의 컵지지부와, 상기 컵지지부의 상단부를 연결하며 천공홀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판을 포함하는 메인본체와, 상기 메인본체의 커버판 하면에 결합되며, 커피원두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물이 유입되면 상기 커피원두로부터 커피음료가 추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상기 수용공간이 상기 커버판의 천공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거름망부와, 상기 메인본체의 천공홀을 덮어 상기 커피원두로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덮개부와, 상기 거름망부의 하부에서 상기 거름망부를 감싸도록 상기 거름망부 또는 상기 메인본체에 체결되어 상기 거름망부를 보호하는 보호캡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일회용 커피 드리퍼 {DISPOSABLE COFFEE DRIPPER}
본 발명은 일회용 커피 드리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포장재 없이 패키징이 가능하며, 컵에 바로 장착하여 드립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일회용 커피 드리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 드리퍼는 보온성, 경제성, 편리성에 따라 도자기, 플라스틱, 동 제품으로 이루어지며, 구조에 따라 메리타, 칼리타, 고노, 하티오 등의 종류로 나뉜다.
이 중에서도 칼리타는 밑면에 3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물 빠짐이 용이하면서도 깔끔하고 산뜻한 맛을 내기 때문에 가장 애용되는 드리퍼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드리퍼를 이용하여 핸드드립으로 추출한 원두커피는 맛과 향이 좋은 장점이 있지만, 드리퍼의 휴대가 어려우므로 장소에 따른 제약이 있고, 드리퍼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작업이 번거로운 점이 있다.
따라서 원두커피를 음용하기 위해서 원두커피 전문점이나 테이크 아웃(take-out)매장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는 비교적 고가이므로 수요자에게 부담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에 관한 기술이 개발되어 왔는데, 일례로 등록 실용신안공보 20-0459395가 출원된 바 있다.
상기 문헌의 종래기술은 드리퍼를 구비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추출용기의 입구에 드리퍼가 수용되며, 추출된 원두커피액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가 일체로 구비되고, 하단에는 복수개의 추출홀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여과지에 원두커피를 담지한 상태로 별도의 포장용기에 패키징을 하기 때문에 패키징에 따른 비용이 많이 들고, 사용자가 포장용기를 제거한 후 여과지를 인출해 사용해야 하며, 특히 원두커피가 담겨진 여과지를 커피 드립이 이루어지는 동안 컵에 장착해 두어야 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며, 때로는 여과지가 커피의 추출 과정에서 컵의 내부로 들어가 원활한 커피 추출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59398호(20120323)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66331호(20130403)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80326호(20020702)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사용 편의성이 우수하며, 심미성이 뛰어난 일회용 커피 드리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커피 드리퍼는 추출된 커피음료를 수용하는 컵의 상부에 지지되는 복수의 컵지지부와, 상기 컵지지부의 상단부를 연결하며 천공홀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판을 포함하는 메인본체와, 상기 메인본체의 커버판 하면에 결합되며, 커피원두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물이 유입되면 상기 커피원두로부터 커피음료가 추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상기 수용공간이 상기 커버판의 천공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거름망부와, 상기 메인본체의 천공홀을 덮어 상기 커피원두로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덮개부와, 상기 거름망부의 하부에서 상기 거름망부를 감싸도록 상기 거름망부 또는 상기 메인본체에 체결되어 상기 거름망부를 보호하는 보호캡을 포함한다.
상기 덮개부는 스티커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본체는 상기 커버판을 중심으로 상기 컵지지부가 방사상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커버판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컵지지부에는 상기 메인본체를 장착할 컵에 대하여 지지하기 위한 지지편이 형성되되, 상기 지지편은 상기 컵지지부의 일측에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단부는 컵지지부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컵지지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본체는 상기 커버판이 오각형의 판재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판의 다섯 모서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수록 폭이 점점 커지도록 된 연장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컵지지부는 상기 연장판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될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삼각형이 되도록 전개되고, 상기 연장판은 양측 가장자리가 상호 맞닿도록 접어지면 상기 커버판의 모서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외측으로 점점 벌어지는 형태로 결합되고, 상기 컵지지부는 각각의 하단부와 가장자리가 상호 맞닿도록 결합되어 오각기둥 형상으로 상기 거름망부와 보호캡을 감싸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컵지지부에는 커피원두의 종류나 로스팅 정도를 인지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컵지지부의 하단부에는 각각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컵지지부가 상호 분리되어 상기 메인본체의 내부공간을 외부로 노출하지 않도록 상기 체결홀들을 통과하도록 끼워져 상기 컵지지부의 하단부가 상호 맞닿은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고정스트랩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판에는 상기 커버판과 연결되는 상단부와 상기 컵지지부와 연결되는 하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측단부에 인접하는 연장판들을 상호 접합하기 위해 상호 맞닿아 접합되는 접함면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커버판에는 상기 천공홀의 외측으로 상기 커버판의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하나 이상의 체결절개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캡의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고, 상기 체결절개선을 통해 단부가 상기 커버판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끼워지는 체결날개가 상기 체결절개선의 형성위치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천공홀을 덮도록 상기 커버판의 상부에 결합될 때, 상기 체결절개선을 통해 커버판의 상부로 돌출된 상기 보호캡의 체결날개를 함께 덮어 상기 보호캡을 상기 커버판에 고정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커피 드리퍼.
본 발명의 일회용 커피 드리퍼는 종이컵, 플라스틱컵, 머그컵 등 다양한 종류의 컵에 설치하여 효율적으로 커피 원두로부터 커피를 추출할 수 있으며, 별도의 포장재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커피 추출 후 사후 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커피 드리퍼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회용 커피 드리퍼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일회용 커피 드리퍼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1의 일회용 커피 드리퍼의 본체를 전개한 전개도,
도 5는 도 1의 일회용 커피 드리퍼를 컵에 거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일회용 커피 드리퍼가 컵에 거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도 1의 일회용 커피 드리퍼를 통해 커피를 추출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커피 드리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회용 커피 드리퍼(10)는 커피 원두가 저장되어 있으며, 컵의 상단에 고정시킨 후 물을 부어 핸드드립 커피를 음용할 수 있게 커피음료를 추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회용 커피 드리퍼(10)는 메인본체(100)와, 메인본체(100)에 마련되는 거름망부(200)와, 거름망부(200)를 감싸는 보호캡(300)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본체(10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커버판(110)과, 연장판(120) 및 컵지지부(130)가 전개된 상태의 종이를 접어서 형성한 것이다.
상기 커버판(110)은 오각형의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원형의 천공홀(111)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장판(120)은 커버판(110)의 다섯 모서리에 각각 연결되도록 다섯 개가 형성되어 있는데, 커버판(110)과 연결되는 연장판(120)의 상단부로부터 컵지지부(130)와 연결되는 연장판(120)의 하단부를 향해 연장될수록 폭이 점점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만 상기 연장판(120)은 인접하는 연장판(120)과 상단에서 하단으로 연장될수록 상호 이격되는 이격거리가 점점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연장판(120)은 인접하는 연장판(120)과 상단부와 하단부를 연결하는 측단부에 연장판(120)과 연장판(120)을 상호 접합하기 위한 접합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합부(121)는 상기 연장판(120)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도록 접힌 상태에서 인접하는 연장판(120)의 접합부(121)와 상호 접합된다. 따라서 상기 접합부(121) 사이의 접합이 완료되면 상기 연장판(120)은 측단부가 상호 맞닿은 상태가 되도록 상호 연결되지만 커버판(110)이 수평상태에서 상면이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경우 연장판(120)은 커버판(110)의 모서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외측으로 점점 벌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커버판(110)과 후술하는 컵지지부(130) 사이에 연장판(120)이 형성되어 있어서 메인본체(100)는 포장된 상태일 경우 다이아몬드 형상이 되어 심미성이 우수하며, 외부 충격에 대해서도 형상유지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 컵지지부(130)는 연장판(120)의 단부로부터 방사상의 방향으로 연장되는데, 외측으로 연장될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끝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컵지지부(130)는 전체적으로 삼각형 형상이 된다.
컵지지부(130)는 포장상태일 경우 양측 변과 끝단부가 상호 맞닿은 상태가 되도록 접히게 되는데, 컵지지부(130)가 이렇게 접힘에 따라 메인본체(100)는 거름망부(200)와 보호캡(30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컵지지부(130)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외표면에 커피 원두의 종류나 로스팅 정도와 같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정보표시부(1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정보표시부(133)는 정보를 문자나 색상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정보표시부(133)가 컵지지부(130)에 형성되어 있고, 컵지지부(130)는 커피가 추출되는 동안 컵의 상부에서 상하로 연장되는 기립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커피와 관련된 정보를 가장 명확하고 편리하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컵지지부(130)에는 또한 컵의 상단에 컵지지부(130)를 포함하여 메인본체(1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편(1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편(131)은 상기 컵지지부(130)의 일측에 절개선(132)을 형성함으로써 마련된다.
상기 절개선(132)은 컵지지부(130)의 일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될수록 상호 접점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절개되어 있는데, 이 절개선(132)에 의해 형성된 지지편(131)은 상단이 컵지지부(130)에 연결되어 있고, 상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컵지지부(1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컵지지부(130)의 하단은 컵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하고, 상기 지지편(131)은 컵의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끼우면 상기 지지편(131)과 컵지지부(130)가 연결되는 연결부에 컵의 상단부가 걸리게 되어 메인본체(100)가 컵의 상부에 기립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컵지지부(130)는 연장판(120)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자유롭게 벌어질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컵에 대하여 장착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두 개의 절개선(132)에 의해 삼각형 형태의 지지편(131)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으나, 상기 지지편(131)이 사각형 형태가 되도록 절개선(132)이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컵지지부(130)의 하단부에는 각각 체결홀(1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홀(134)은 컵지지부(130)외 외표면과 내표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컵지지부(130)가 상호 맞닿아 후술하는 거름망부(200)와 보호캡(30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패키징되어 있을 때, 컵지지부(130)들이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스트랩(140)을 끼워 설치한다.
상기 고정스트랩(140)은 각 컵지지부(130)의 체결홀(134)들을 통과한 후 양 단부를 상호 묶어 고정할 수 있는데, 고정스트랩(140)을 통해 심미성을 더욱 높이고, 제품의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다.
상기 거름망부(200)는 커버판(1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데, 커피원두(210)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수용공간이 커버판(110)의 천공홀(11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거름망부(200)는 커피 추출이 가능한 여과지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으로 물을 부으면 물이 커피원두(210)를 통과한 후 여과지를 통해 낙하하면서 드립커피를 추출하게 된다.
상기 천공홀(111)은 물을 부을 때에만 외부로 노출되어야 하므로 스티커 형태의 덮개부(400)를 통해 가려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티커 형태의 덮개부(400)는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천공홀(111)을 덮도록 커버판(110)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물을 붓기 위해 덮개부(400)를 제거하면 수용공간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보호캡(300)은 거름망부(200)를 감싸도록 메인본체(100)의 내부에 결합된다.
상술한 것처럼 메인본체(100)는 다수의 컵지지부(130)가 상호 맞닿은 상태가 되도록 접어져 거름망부(200)를 감싸도록 패키징 된다. 하지만 컵지지부(130)들의 사이에 공기나 습기와 같은 외부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포장상태에서 커피원두(210)의 변질을 방지하고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거름망부(200)를 감쌀 수 있도록 합성수지 형태의 보호캡(300)을 장착한다.
상기 커버판(110)에는 상기 천공홀(111)의 외측으로 상기 커버판(110)의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두 개의 체결절개선(112)이 천공홀(111)을 중심으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캡(300)의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체결날개(3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날개(310)의 폭은 상기 체결절개선(112)을 관통할 수 있는 정도로 형성되기 때문에 보호캡(300)을 상기 거름망부(200)를 감싸도록 장착할 때, 상기 체결날개(310)가 상기 체결절개선(112)을 통해 커버판(11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400)는 상기 천공홀(111)을 덮도록 상기 커버판(110)의 상부에 결합될 때, 상기 체결절개선(112)을 통해 커버판(110)의 상부로 돌출된 상기 보호캡의 체결날개(310)를 함께 덮어 상기 보호캡(300)을 상기 커버판(110)에 고정한다.
상기 보호캡(300)은 고정스트랩(140)을 제거하여 컵지지부(130)를 벌린 상태에서 메인본체(100)를 컵에 장착하기 전에 메인본체(100)로부터 분리하며, 커피 추출 후에는 메인본체(100)를 컵으로부터 분리한 다음 보호캡(300)으로 거름망부(200)의 하부를 감싸도록 체결한 후 버린다.
이렇게 커피 추출 후에도 보호캡(300)으로 거름망부(200)를 감싸면 거름망부(200)에 잔류하는 추출액이 흘러나와 사용후의 커피 드리퍼(10)를 처리하는 처리자의 옷이나 손에 묻거나 다른 쓰레기를 오염시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회용 커피 드리퍼(10)를 이용해 커피 음료를 추출하는 과정을 도 7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의 (a)에 도시된 것처럼 포장된 상태의 일회용 커피 드리퍼(10)에서 고정스트랩(140)을 풀어 컵지지부(130)의 고정을 해제한다.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캡(300)을 제거하고, 도 7의 (c)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컵지지부(130)의 지지편(131)이 컵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컵지지부(130)의 단부는 컵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컵의 상부에 안착시켜 메인본체(100)를 컵에 고정한다.
커버판(110)에 부착된 덮개부(400)를 제거하여 천공홀(111)과 거름망의 수용공간을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도 7의 (d)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적정 온도의 물을 거름망의 커피원두(210)를 향해 투입한다. 물이 커피원두(210)를 통과하고 거름망을 거치면서 커피음료가 추출된다.
커피음료의 추출이 완료되면 도 7의 (e)에서 처럼 메인본체(100)를 컵으로부터 분리하고, 도 7의 (f)와 같이 보호캡(300)을 다시 거름망부(200)를 감싸도로고 끼운 상태에서 버린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일회용 커피 드리퍼
100: 메인본체
110: 커버판 111: 천공홀
112: 체결절개선 120: 연장판
121: 접합부 130: 컵지지부
131: 지지편 132: 절개선
133: 정보표시부 134: 체결홀
140: 고정스트랩
200: 거름망부
210: 커피원두
300: 보호캡
310: 체결날개
400: 덮개부

Claims (9)

  1. 추출된 커피음료를 수용하는 컵의 상부에 지지되는 복수의 컵지지부와, 상기 컵지지부의 상단부를 연결하며 천공홀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판을 포함하는 메인본체와;
    상기 메인본체의 커버판 하면에 결합되며, 커피원두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물이 유입되면 상기 커피원두로부터 커피음료가 추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상기 수용공간이 상기 커버판의 천공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거름망부와;
    상기 메인본체의 천공홀을 덮어 상기 커피원두로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덮개부와;
    상기 거름망부의 하부에서 상기 거름망부를 감싸도록 상기 거름망부 또는 상기 메인본체에 체결되어 상기 거름망부를 보호하는 보호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커피 드리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스티커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커피 드리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본체는 상기 커버판을 중심으로 상기 컵지지부가 방사상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커버판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컵지지부에는 상기 메인본체를 장착할 컵에 대하여 지지하기 위한 지지편이 형성되되,
    상기 지지편은 상기 컵지지부의 일측에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단부는 컵지지부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컵지지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절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커피 드리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본체는 상기 커버판이 오각형의 판재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판의 다섯 모서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수록 폭이 점점 커지도록 된 연장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컵지지부는 상기 연장판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될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삼각형이 되도록 전개되고,
    상기 연장판은 양측 가장자리가 상호 맞닿도록 접어지면 상기 커버판의 모서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외측으로 점점 벌어지는 형태로 결합되고,
    상기 컵지지부는 각각의 하단부와 가장자리가 상호 맞닿도록 결합되어 오각기둥 형상으로 상기 거름망부와 보호캡을 감싸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커피 드리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컵지지부에는 커피원두의 종류나 로스팅 정도를 인지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표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커피 드리퍼.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컵지지부의 하단부에는 각각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컵지지부가 상호 분리되어 상기 메인본체의 내부공간을 외부로 노출하지 않도록 상기 체결홀들을 통과하도록 끼워져 상기 컵지지부의 하단부가 상호 맞닿은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고정스트랩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커피 드리퍼.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판에는 상기 커버판과 연결되는 상단부와 상기 컵지지부와 연결되는 하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측단부에 인접하는 연장판들을 상호 접합하기 위해 상호 맞닿아 접합되는 접함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커피 드리퍼.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판에는 상기 천공홀의 외측으로 상기 커버판의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하나 이상의 체결절개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캡의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고, 상기 체결절개선을 통해 단부가 상기 커버판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끼워지는 체결날개가 상기 체결절개선의 형성위치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커피 드리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천공홀을 덮도록 상기 커버판의 상부에 결합될 때, 상기 체결절개선을 통해 커버판의 상부로 돌출된 상기 보호캡의 체결날개를 함께 덮어 상기 보호캡을 상기 커버판에 고정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커피 드리퍼.
KR1020180096180A 2018-08-17 2018-08-17 일회용 커피 드리퍼 KR102097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180A KR102097318B1 (ko) 2018-08-17 2018-08-17 일회용 커피 드리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180A KR102097318B1 (ko) 2018-08-17 2018-08-17 일회용 커피 드리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449A true KR20200020449A (ko) 2020-02-26
KR102097318B1 KR102097318B1 (ko) 2020-04-06

Family

ID=69637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180A KR102097318B1 (ko) 2018-08-17 2018-08-17 일회용 커피 드리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73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8830A (ko) * 2018-01-22 2020-09-21 멜리타 싱글 포션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포션 팩 및 방법
KR20200108890A (ko) * 2018-01-22 2020-09-21 멜리타 싱글 포션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포션 팩을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포션 팩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329U (ja) * 1991-06-14 1993-02-23 健五 多川 コ−ヒ−等の抽出器
JP2000000165A (ja) * 1998-06-16 2000-01-07 Azumi Roshi Kk 折り畳み式フィルター及び折り畳み式カップ
KR200280326Y1 (ko) 2002-03-25 2002-07-02 (주)아마레또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기구
JP4096456B2 (ja) * 1999-05-18 2008-06-04 王子製紙株式会社 紙製フィルター保持器及びコーヒーメーカー
KR20100112998A (ko) * 2009-04-10 2010-10-20 주식회사 미창페케이지 제품 포장용 박스
KR200459398Y1 (ko) 2011-11-24 2012-03-23 신관표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KR200466331Y1 (ko) 2010-09-29 2013-04-09 유재혁 수동형 커피 드립퍼
KR101437136B1 (ko) * 2013-08-28 2014-09-02 최지영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기구
KR101783240B1 (ko) * 2016-02-23 2017-09-29 이의선 원두 커피 드립 백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329U (ja) * 1991-06-14 1993-02-23 健五 多川 コ−ヒ−等の抽出器
JP2000000165A (ja) * 1998-06-16 2000-01-07 Azumi Roshi Kk 折り畳み式フィルター及び折り畳み式カップ
JP4096456B2 (ja) * 1999-05-18 2008-06-04 王子製紙株式会社 紙製フィルター保持器及びコーヒーメーカー
KR200280326Y1 (ko) 2002-03-25 2002-07-02 (주)아마레또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기구
KR20100112998A (ko) * 2009-04-10 2010-10-20 주식회사 미창페케이지 제품 포장용 박스
KR200466331Y1 (ko) 2010-09-29 2013-04-09 유재혁 수동형 커피 드립퍼
KR200459398Y1 (ko) 2011-11-24 2012-03-23 신관표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KR101437136B1 (ko) * 2013-08-28 2014-09-02 최지영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기구
KR101783240B1 (ko) * 2016-02-23 2017-09-29 이의선 원두 커피 드립 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8830A (ko) * 2018-01-22 2020-09-21 멜리타 싱글 포션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포션 팩 및 방법
KR20200108890A (ko) * 2018-01-22 2020-09-21 멜리타 싱글 포션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포션 팩을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포션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7318B1 (ko) 202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52782T3 (es) Cartucho de bebida
US4715271A (en) Disposable beverage brewer
ES2591179T3 (es) Cartucho de bebidas
JPH0239971Y2 (ko)
US9809379B2 (en) Beverage cartridge
JP5583427B2 (ja) 特に固形状またはペースト状の製品用の容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容器とそれを受け入れる入れ物とからなる包装
KR200459398Y1 (ko)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US3344734A (en) Individual coffee extractor with controlled extracting time
KR102097318B1 (ko) 일회용 커피 드리퍼
KR101636661B1 (ko) 드립 커피용 컵 세트
BR0313717B1 (pt) Cápsula que conserva sua forma para preparar uma bebida própria para consumo, conjunto, e, método para preparar uma bebida própria para consumo
JP2012515043A (ja) 使い捨てコーヒー豆抽出機
KR200280326Y1 (ko)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기구
KR101641534B1 (ko) 손잡이를 구비한 접이식 컵
EP2566786B1 (en) Package for a beverage preparation
US7147879B2 (en) Tea bag package
JP2008018102A (ja) 簡易ドリップ式嗜好性飲料抽出パック
JP2015523123A (ja) ストレーナー
US3343682A (en) Coffee filter element
US20080173184A1 (en) Tea cup device
JP2018508318A (ja) 飲料を調製するための使い捨て手段
JP2007296307A (ja) 茶こし茶器構造体
KR102232300B1 (ko) 커피액 추출 도구
KR102576031B1 (ko) 기호성 음료 추출용 드립백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추출용 포장용기
JPH08182613A (ja) コーヒー濾過用の濾過容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濾過装置、ならびに当該濾過容器の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