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3430B1 - 포장용 용기 - Google Patents

포장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3430B1
KR100913430B1 KR1020070127053A KR20070127053A KR100913430B1 KR 100913430 B1 KR100913430 B1 KR 100913430B1 KR 1020070127053 A KR1020070127053 A KR 1020070127053A KR 20070127053 A KR20070127053 A KR 20070127053A KR 100913430 B1 KR100913430 B1 KR 100913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ainer body
cover
sealing
contain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7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9950A (ko
Inventor
김윤휘
Original Assignee
원정제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정제관(주) filed Critical 원정제관(주)
Priority to KR1020070127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3430B1/ko
Publication of KR20090059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9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5/28Handles
    • B65D2525/281Details relating to handles
    • B65D2525/285Details relating to handles removable or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6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 B65D2543/0007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 B65D2543/00092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circu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개시된 포장용 용기는, 상부가 개구된 통 형상을 가지며, 상단부 외주면 둘레로는 밀폐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단부 내주면 둘레로는 외향 돌출단이 형성된 잠금단을 가지는 용기본체; 용기본체의 개구된 상부를 밀폐하는 판 부재로, 저면 둘레로는 용기본체의 잠금단에 걸림되는 외향 걸림단이 형성된 걸림내벽과, 용기본체의 밀폐돌기에 밀착되는 내향 밀폐단이 형성된 밀폐외벽을 가지는 용기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포장용, 용기, 뚜껑, 덮개

Description

포장용 용기{Packaging container}
본 발명은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담긴 식용유나 윤활유 또는 페인트 등과 같은 액상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뚜껑의 개방이 용이함과 더불어 재밀폐시 안정적인 밀폐상태를 유지되게 하는 포장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용유나 음료와 같은 식부자재 또는 윤활유, 페인트, 신너(thinner) 등의 산업용 자재와 같은 각종 액상 내용물들은 용기에 충전한 후 뚜껑으로 밀봉 운반하고 사용할 때는 뚜껑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사용하고 남은 내용물이 있을 경우에는 변질 및 응고되지 않도록 뚜껑이 용기에 기밀하게 닫혀지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포장용 용기(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통형의 용기본체(2)와, 상기 용기본체(2)의 상부를 개폐하는 용기뚜껑(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용기본체(2)의 상단부에는 둘레로 체결홈(4)이 형성된 체결테두리(5)를 구비하며, 상기 용기뚜껑(3)에는 상기 체결테두리(5)의 체결홈(4)에 대응되는 하방 절곡된 체결단(6)을 구비하여, 상기 용기뚜껑(3)의 체결단(6)을 상기 용기본체(2)에 형성된 체결홈(4)에 체결하여 포장용 용기(1)를 밀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포장용 용기(1)는 내부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 상기 용기뚜껑(3)을 개방할 경우, 상기 용기본체(2)에서 상기 용기뚜껑(3)을 개봉하기 위한 별도의 도구가 필요하며,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뚜껑(3)을 개방한 후에는 상기 용기본체(2)의 체결홈(4)이나 상기 용기뚜껑(3)의 체결단(6)과 말림된 테두리부분이 손상되면서 이후 완전 밀봉이 되지 못함과 더불어 재사용이 힘들어 사용하고 남은 내용물이 변질 및 응고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포장용 용기(1)는 상기 용기본체(2)에 담긴 내용물을 사용시, 상기 용기본체(2)의 체결홈(4)에 내용물이 고이거나, 용기뚜껑(3)의 말림된 테두리부분과 용기본체(2)의 테두리 사이에 내용물이 묻은 상태로 응고되면서, 이후 상기 용기뚜껑(3)의 체결단(6)이 완전 삽입 체결되지 못하여 밀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함과 더불어 재개봉이 어려워 사용의 불편함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뚜껑의 개방이 용이함과 더불어 내용물을 사용 후 뚜껑의 밀봉을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하여 사용하고 남은 내용물의 변질 및 응고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포장용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포장용 용기는, 상부가 개구된 통 형상을 가지며, 상단부 외주면 둘레로는 밀폐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단부 내주면 둘레로는 외향 돌출단이 형성된 잠금단을 가지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된 상부를 밀폐하는 판 부재로, 저면 둘레로는 상기 용기본체의 잠금단에 걸림되는 외향 걸림단이 형성된 걸림내벽과, 상기 용기본체의 밀폐돌기에 밀착되는 내향 밀폐단이 형성된 밀폐외벽을 가지는 용기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용기덮개에는 개방손잡이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방손잡이는 상기 용기덮개의 상면부에 결합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방손잡이는 상기 용기덮개의 밀폐외벽에 하향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기덮개의 상면부 테두리에는 적층단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기덮개의 저면부에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복수개의 보강돌기줄이 방사상으로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포장용 용기는, 합성수지 재질의 상기 용기덮개에 형성된 걸림단과 밀폐단을 각각 용기본체의 돌출단과 밀폐돌기에 각각 걸림 고정 및 접촉되게 하게 밀봉하여 사용자가 젖힘에 의한 개봉이 용이하게 되며, 상호 대응되게 접하는 걸림단과 돌출단, 밀폐단과 밀폐돌기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아 다시 용기덮개로 용기본체의 개구된 상부를 밀폐하더라도 안정적인 밀봉상태를 유지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용기는, 용기본체(100), 용기덮개(2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용기본체(100)는 내부에 액상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된 통 형상을 가지는 부재이다.
여기서, 상기 용기본체(100)는 원통형이나 사각통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사각통형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판재를 절곡 및 각접기를 통해 제작한다.
따라서, 상기 용기본체(100)를 제작하는 판재로는 비금속이나 금속재질, 합성수지, 플라스틱재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절곡 및 각접기 작업에 따른 조직약화가 작게 발생하는 금속이나 비금속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단부에는 외주면 둘레로 밀폐돌기(110)를 돌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단부에는 내주면 둘레로 내향 돌출되게 잠금단(120)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잠금단(120)의 하단부에는 이후 설명될 상기 용기덮개(200)의 걸림내벽(220)이 걸림되어 상기 용기덮개(200)가 상기 용기본체(100)의 개구된 상부를 밀폐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외향 절곡된 돌출단(121)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덮개(200)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개구된 상부를 밀폐하는 판 부재이다.
여기서, 상기 용기덮개(200)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개구된 상부 형상에 따라 원형이나 사각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용기덮개(200)는 내용물에 의한 부식을 방지함과 더불어 상기 용기본체(100)에 대한 결합 및 해체 작업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기덮개(200)의 저면에는 내용물에 의한 압력이 높아질 경우, 상기 용기덮개(200)의 팽창에 의한 휨을 방지하도록 상기 용기덮개(200)의 강도를 보강하는 복수개의 보강돌기줄(210)을 중심점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용기덮개(200)의 저면 둘레로는 걸림내벽(220)과 밀폐외벽(230)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내벽(220)은 상기 용기본체(100)의 개구된 부분을 통해 상기 용기본체(100)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잠금단(120)에 접하게 되며, 하단부에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잠금단(120)에 형성된 돌출단(121)에 걸림되는 외향 걸림단(221)을 형성한다.
즉, 상기 걸림내벽(220)의 걸림단(221)은 상기 용기본체(100) 내부의 내용물에 의한 압력 상승에 의해 상기 용기덮개(200)가 상기 용기본체(100)의 개구된 상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 고정되게 한다.
상기 밀폐외벽(230)은 상기 용기덮개(200) 테두리부의 저면둘레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100)의 외주면을 밀봉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밀폐외벽(230)의 하단부에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밀폐돌 기(110)에 밀착되도록 내향되게 형성된 밀폐단(231)을 구비한다.
즉, 상기 밀폐외벽(230)은 상기 밀폐단(231)을 상기 용기본체(100)의 밀폐돌기(110)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상기 용기본체(100) 내부의 내용물이 상기 걸림내벽(220)과 상기 용기본체(100)의 잠금단(120)을 통해 누수되더라도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밀봉함과 더불어 상기 용기덮개(200)를 상기 용기본체(100)에 안정적인 결합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용기덮개(200)에는 상기 용기덮개(200)를 상기 용기본체(100)에 결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도록 개방손잡이(300)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개방손잡이(300)는 상기 용기덮개(200)의 밀폐외벽(230)에 하향 연장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부에 결합 구비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용기덮개(200)의 상면부 테두리 둘레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포장용 용기(10)의 하단부에 대응되게 삽입 끼움되면서 안정적인 적층이 가능하도록 적층단(240)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포장용 용기의 작용을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최초 상기 용기본체(100) 내부에 내용물이 충전되고 상기 용기덮개(200)가 결합된 상태일 경우에는, 상기 용기덮개(200)의 걸림내벽(220)에 형성된 걸림단(221)이 상기 용기본체(100)의 잠금단(120)에 형성된 돌출단(121)에 걸림 고정되고, 상기 밀폐외벽(230)의 밀폐단(231)은 상기 밀폐돌기(110)에 접하면서 내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밀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상기 용기덮개(200)를 상기 용기본체(100)에서 이탈시켜 내부의 내용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개방손잡이(300)를 잡고 젖히게 되면, 먼저 상기 밀폐외벽(230)의 밀폐단(231)과 상기 밀폐돌기(110)의 접하는 상태가 해제된다.
더불어, 계속적으로 상기 개방손잡이(300)를 잡고 젖히게 되면 상기 용기덮개(200)의 걸림내벽(220)과 상기 용기본체(100)의 잠금단(120)의 접한 상태에서 해제되면서, 상기 돌출단(121)과 상기 걸림단(221)의 상호 걸림 상태도 해제되면서 상기 용기덮개(200)를 상기 용기본체(100)에서 해체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용기본체(100)의 내용물을 일정량 사용 후, 다시 밀봉이 필요할 경우에는, 상기 용기덮개(200)의 걸림내벽(220)을 상기 용기본체(100)의 개구된 상부로 일정길이 삽입한 상태에서 압력을 가하면, 다시 상기 용기덮개(200)의 걸림단(221)이 상기 용기본체(100)의 돌출단(121)에 걸림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용기덮개(200)의 밀폐단(231)이 상기 용기본체(100)의 밀폐돌기(110)에 접하면서 안정적인 밀봉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포장용 용기는, 합성수지 재질의 상기 용기덮개(200)에 형성된 걸림단(221)과 밀폐단(231)을 각각 상기 용기본체(100)의 돌출단(121)과 밀폐돌기(110)에 각각 걸림 고정 및 접촉되게 하게 밀봉하여 사용자가 젖힘에 의한 개봉이 용이하게 되며, 상호 대응되게 접하는 걸림단(221)과 돌출단(121), 밀폐단(231)과 밀폐돌기(110)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아 다시 상기 용기덮개(200)로 상기 용기본체(100) 의 개구된 상부를 밀폐하더라도 안정적인 밀봉상태를 유지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포장용 용기를 나타낸 일부 확대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의 적층 상태 단면도

Claims (6)

  1. 상부가 개구된 통 형상을 가지며, 상단부 외주면 둘레로는 밀폐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단부 내주면 둘레로는 외향 돌출단이 형성된 잠금단을 가지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된 상부를 밀폐하는 판 부재로, 저면 둘레로는 상기 용기본체의 잠금단에 걸림되는 외향 걸림단이 형성된 걸림내벽과, 상기 용기본체의 밀폐돌기에 밀착되는 내향 밀폐단이 형성된 밀폐외벽을 가지는 용기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덮개에는 개방손잡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손잡이는 상기 용기덮개의 상면부에 결합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손잡이는 상기 용기덮개의 밀폐외벽에 하향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덮개의 상면부 테두리에는 적층단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덮개의 저면부에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복수개의 보강돌기줄이 방사상으로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KR1020070127053A 2007-12-07 2007-12-07 포장용 용기 KR100913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7053A KR100913430B1 (ko) 2007-12-07 2007-12-07 포장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7053A KR100913430B1 (ko) 2007-12-07 2007-12-07 포장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950A KR20090059950A (ko) 2009-06-11
KR100913430B1 true KR100913430B1 (ko) 2009-08-21

Family

ID=40989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7053A KR100913430B1 (ko) 2007-12-07 2007-12-07 포장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34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845B1 (ko) * 2011-03-18 2013-03-25 박지용 비강세척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3961A (ja) 1986-02-12 1987-08-26 村山 達吉 耐圧安全容器
JPH04189756A (ja) * 1989-11-13 1992-07-08 Sekisui Chem Co Ltd 密閉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80817Y1 (ko) 2002-04-06 2002-07-06 주식회사 덴키스트 포장용 용기
KR200403823Y1 (ko) 2005-09-30 2005-12-14 (주)옥야 용기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3961A (ja) 1986-02-12 1987-08-26 村山 達吉 耐圧安全容器
JPH04189756A (ja) * 1989-11-13 1992-07-08 Sekisui Chem Co Ltd 密閉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80817Y1 (ko) 2002-04-06 2002-07-06 주식회사 덴키스트 포장용 용기
KR200403823Y1 (ko) 2005-09-30 2005-12-14 (주)옥야 용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950A (ko) 200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73432B (zh) 防篡改桶
CA2579319C (en) Lid and container
EP2097333B1 (en) A container and container closure
US4004710A (en) Container and closure therefor
JP5542956B2 (ja) 弾性リングを備えた再係止可能な蓋を有する容器
TW201544408A (zh) 具有頸環及蓋的可再密封式容器
RU2673619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крышки для контейнера
US20130140306A1 (en) Recyclable composite container
US8387822B2 (en) Sealing lid for a container
NZ547667A (en) Improved closure for containers
RU2416557C2 (ru) Устройство укупорочного средства для банок
ES2256714T3 (es) Cierre recerrable para un recipiente.
KR100913430B1 (ko) 포장용 용기
CN1732115B (zh) 包括安全密封件的桶
CN110234575B (zh) 液密式和防篡改的桶布置
KR102033424B1 (ko) 포장용 용기
KR200441597Y1 (ko) 식품 보관용 밀폐용기
AU2010305305A1 (en) Safety rings for liquid containers
RU2819379C2 (ru) Пробка для емкости
JP6410662B2 (ja) 詰め替え容器
EP3360816B1 (en) Assembly with replaceable tamper-evident seal, replaceable tamper-evident seal and method for using such an assembly
KR20110074247A (ko)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뚜껑
IL109789A (en) Lid for plastic container
RU24186U1 (ru) Полимерная тара для жидких, сыпучих и пастообразных продуктов (варианты)
RU41705U1 (ru) Полимерная упаков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