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3424B1 - 포장용 용기 - Google Patents

포장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3424B1
KR102033424B1 KR1020140028644A KR20140028644A KR102033424B1 KR 102033424 B1 KR102033424 B1 KR 102033424B1 KR 1020140028644 A KR1020140028644 A KR 1020140028644A KR 20140028644 A KR20140028644 A KR 20140028644A KR 102033424 B1 KR102033424 B1 KR 102033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handle
protrusion
hol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8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6294A (ko
Inventor
김병철
박재옥
김은혜
Original Assignee
오제이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제이씨(주) filed Critical 오제이씨(주)
Priority to KR1020140028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424B1/ko
Publication of KR20150106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32Bail handles, i.e. pivoted rigid handles of generally semi-circular shape with pivot points on two opposed sides or wall parts of the cona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포장용 용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포장용 용기는: 본체와, 본체를 운반하기 위해 구비되는 손잡이부 및 본체와 손잡이부를 상호 연결하는 손잡이결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장용 용기{PACKAGING CONTAINER}
본 발명은 포장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청 발생을 방지하고, 손잡이부와 본체의 연결을 강화하여 운반시 본체의 무거운 하중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으며, 그립감을 향상시키는 포장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용유나 음료와 같은 식부자재 또는 윤활유, 페인트, 신너(thinner)등의 산업용 자재와 같은 각종 액상 내용물들은 용기에 충전한 후 뚜껑으로 밀봉 운반하고 사용할 때는 뚜껑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사용하고 남은 내용물이 있을 경우에는 변질 및 응고되지 않도록 뚜껑이 용기에 기밀하게 닫혀지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포장용 용기는 상부가 개방된 통형의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용기뚜껑으로 구성된다.
한편, 국내 등록특허 제 1186543호(등록일: 2012.09.21)에는 "포장용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의 일부를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외부충격에 의한 파손 및 발청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포장용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손잡이부와 본체의 연결을 강화하여 운반시 본체의 무거운 하중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으며,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포장용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용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운반하기 위해 구비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본체와 상기 손잡이부를 상호 연결하는 손잡이결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저면을 커버하는 저판과, 상기 바디의 상단에 결속되는 와테와, 상기 와테에 결합되어 상기 바디의 상면을 커버하는 봉함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와 저판은 일체로 플라스틱 사출 형성되며, 상기 와테와 봉함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그립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립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저면에 형성되어 손가락이 수용되도록 곡률지게 형성되는 요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의 양측에는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비틀림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결속부는 상기 본체의 양측에 일체로 사출 형성되는 결속돌기부 및 상기 결속돌기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손잡이부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결속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속돌기부는 상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점진적으로 돌출 형성되는 보강돌부와, 상기 보강돌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속홀부에 연결되는 지지돌기 및 상기 지지돌기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결속홀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속홀부는 상기 이탈방지돌기가 삽입되는 진입홀과, 상기 진입홀의 하부로 연이어 형성되고, 간격이 점차 줄어들게 형성되는 연결홀 및 상기 연결홀의 하부에 연이어 형성되어 상기 지지돌기가 수용되며, 상기 이탈방지돌기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고정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속홀부의 주변에는 상기 이탈방지돌기를 지지하는 지지리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용기는 본체의 바디와 저면을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외부충격에 의한 파손 및 발청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부가 결합되는 결속돌기부가 일체로 사출 형성되어 제조가 용이하고, 결속돌기부는 점진적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조에 의해 지지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부의 저면에 손가락이 수용되도록 라운드 형성되는 요철로 이루어진 그립부가 구비되어 운반 시 그립감을 향상시키고 손의 통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부에 비틀림방지부가 형성되어 손잡이부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운반 시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저판은 상부로 볼록한 만곡부가 구비되고, 저면에 보강리브가 구비되어 하부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의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의 손잡이결속부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의 손잡이결속부에 의해 손잡이 결속을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용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의 평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의 저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의 손잡이결속부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의 손잡이결속부에 의해 손잡이 결속을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100)는 본체(110), 손잡이부(120) 및 손잡이결속부(13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11)와, 바디(111)의 저면을 커버하는 저판(112)과, 바디(111)의 상단에 결속되는 와테(115)와, 와테(115)에 결합되어 바디(111)의 상면을 커버하는 봉함(116)을 포함한다. 이때, 바디(111)와 저판(112)은 일체로 플라스틱 사출 형성되고, 와테(115)와 봉함(116)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로서,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11)와 저판(112)은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와테(115)는 바디(111)의 상단부에 끼워져 결속되어 바디(111)의 형상을 유지하며, 봉함(116)은 와테(115)에 결합되어 바디(111)의 상부를 커버하여 내부가 밀폐되게 한다.
바디(111)의 상면에는 봉함(116)을 커버하도록 별도의 덮개(117)가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부(120)는 본체(110)를 운반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후술되는 손잡이결속부(130)에 의해 본체(110)의 양측에 결합된다.
손잡이부(12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각 단부가 본체(110)의 양측에 결합되어 도 1 또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곡률지게 형성되어 본체(110)의 양측을 연결한다. 손잡이부(120)에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그립부(122)가 구비된다. 그립부(122)는 손잡이부(120)의 저면에 형성되어 손가락이 수용되도록 곡률지게 형성되는 요철(123)로 이루어진다. 즉, 손잡이부(120)의 저면 중앙부에 손가락의 폭만큼 이격 배치되는 요철(123)로 이루어지며, 각 요철(123)은 곡률지게 형성되어 그립감을 향상시킴으로써, 본체(110)의 운반 시 하중에 의해 손에 전해지는 통증을 억제할 수 있다.
손잡이부(120)에는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비틀림방지부(124)가 구비된다. 손잡이부(120)는 얇은 편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본체(110)의 운반 시 비틀림이 발생하게 되는데, 손잡이부(120)의 상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비틀림방지부(124)에 의해 손잡이부(120)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부(120)는 손잡이결속부(130)에 의해 본체(110)와 상호 연결된다. 손잡이결속부(130)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양측에 일체로 사출 형성되는 결속돌기부(140), 및 결속돌기부(140)와 결합되도록 손잡이부(120)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결속홀부(150)를 포함한다. 결속돌기부(140)는 본체(110)의 양측에 각각 점진적으로 돌출 형성되는 보강돌부(142), 보강돌부(142)에서 돌출 형성되어 결속홀부(150)에 연결되는 지지돌기(144), 및 지지돌기(144)의 단부에 형성되어 결속홀부(15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146)를 포함한다.
보강돌부(142)는 도 3 또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바디(111)에서 넓은 범위로 돌출 형성되는 제1보강돌부(142a)와, 제1보강돌부(142a)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보강돌부(142b)로 이루어지는 다단으로 형성되어 지지돌기(144)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 지지하여 지지돌기(144)가 부러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결속홀부(150)는 이탈방지돌기(146)가 삽입되는 진입홀(152)과, 진입홀(152)의 하부로 연이어 형성되고, 간격이 점차 줄어들게 형성되는 연결홀(154) 및 연결홀(154)의 하부에 연이어 형성되어 지지돌기(144)가 수용되며, 이탈방지돌기(146)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고정홀(156)을 포함한다. 즉,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돌기(146)와 직경이 유사한 진입홀(152)을 통해 이탈방지돌기(146)가 삽입된 상태로 손잡이부(120)를 잡아당기면 지지돌기(144)가 하방으로 간격이 좁아지는 연결홀(154)을 통과하여 고정홀(156)에 결속된다. 이때, 연결홀(154)의 간격이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므로 지지돌기(144)는 진입홀(152)측으로 이동되지 않고, 고정홀(156)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진입홀(152)은 이탈방지돌기(146)의 의도되지 않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주면에 걸림돌기(153)가 형성된다.
결속홀부(150)의 주변에는 이탈방지돌기(146)를 지지하는 지지리브(160)가 구비된다. 지지리브(160)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홀부(150)를 중심으로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부는 본체(110)의 운반 시 결속홀부(15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이탈방지돌기(146)를 지지할 수 있고, 상단부는 손잡이부(120)의 비틀림을 방지한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100)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10)는 바디(111), 저판(112), 와테(115), 봉함(116)으로 이루어지고, 바디(111)와 저판(112)은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기존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본체(110)에 비해 외부충격에 의해 찌그러지거나, 긁힘에 의한 발청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조가 용이하다.
저판(112)에는 도 3과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부(113)가 형성되고, 보강리브(114)가 형성되어 내용물에 의해 저판(112)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디(111)의 양측에 형성되는 결속돌기부(140) 또한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제조가 용이하며, 손잡이부(120)를 연결하던 기존의 리벳방식에 비해 견고하고, 발청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바디(111)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결속돌기부(140)에 손잡이부(120)의 결속홀부(150)가 결합되어 본체(110)를 운반할 수 있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손잡이결속부(130)의 결합을 살펴보면, 이탈방지돌기(146)와 결속홀부(150)의 진입홀(152)을 일치시켜 진입홀(152)에 이탈방지돌기(146)를 삽입하고, 손잡이부(120)를 들어올려주면 지지돌기(144)가 연결홀(154)을 지나 고정홀(156)에 안착된다. 연결홀(154)은 하부로 갈수록 그 간격이 줄어드는 구조로 되어 있어 지지돌기(144)는 고정홀(156)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진입홀(152)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153)가 형성되어 지지돌기(144)가 진입홀(152)에 위치한 상태에서도 이탈방지돌기(146)와 접촉되므로 지지돌기(144)의 의도되지 않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된 손잡이부(120)를 파지하여 본체(110)를 운반할 수 있다. 이때, 손잡이부(120)의 중앙 저면에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그립부(122)가 구비된다. 그립부(122)는 곡률지게 형성되는 요철(123)로 이루어져 그립감을 향상시켜 운반 시 하중에 의한 손에 전해지는 통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120)에는 나란하게 형성되는 비틀림방지부(124)가 형성되어 손잡이부(120)의 비틀림이 방지된다.
그리고, 결속돌기부(140)는 도 3과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점진적으로 돌출되는 제1보강돌부(142a)와 제2보강돌부(142b)로 이루어지는 보강돌부(142)와 보강돌부(142)에서 돌출되는 지지돌기(144) 및 지지돌기(144)의 단부에 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146)로 이루어져 지지돌기(144)의 지지강성을 향상시키는 구조를 지닌다.
또한, 결속홀부(150)의 주변에는 지지리브(160)가 구비되어 결속홀부(15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이탈방지돌기(146)를 지지함으로써, 지지강성을 향상시키고, 'U'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로 연장되므로 손잡이부(120) 단부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에 의하면, 본체의 일부 및 손잡이부 결속부위를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외부충격에 의한 파손 및 발청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손잡이부와 본체의 연결을 강화하여 운반시 본체의 무거운 하중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으며,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포장용 용기 110 : 본체
111 : 바디 112 : 저판
113 : 만곡부 114 : 보강리브
115 : 와테 116 : 봉함
117 : 덮개 120 : 손잡이부
122 : 그립부 123 : 요철
124 : 비틀림방지부 130 : 손잡이결속부
140 : 결속돌기부 142 : 보강돌부
142a : 제1보강돌부 142b : 제2보강돌부
144 : 지지돌기 146 : 이탈방지돌기
150 : 결속홀부 152 : 진입홀
153 : 걸림돌기 154 : 연결홀
156 : 고정홀 160 : 지지리브

Claims (9)

  1. 본체;
    상기 본체를 운반하기 위해 구비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본체와 상기 손잡이부를 상호 연결하는 손잡이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결속부는,
    상기 본체의 양측에 일체로 사출 형성되는 결속돌기부; 및
    상기 결속돌기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손잡이부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결속홀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속돌기부는 상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점진적으로 돌출 형성되는 보강돌부; 및
    상기 보강돌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속홀부에 연결되는 지지돌기; 및
    상기 지지돌기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결속홀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돌부는 상기 본체의 바디에서 넓은 범위로 돌출 형성되는 제1보강돌부; 및
    상기 제1보강돌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보강돌부를 포함하여 다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돌기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 지지하므로 상기 지지돌기가 부러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바디;
    상기 바디의 저면을 커버하는 저판;
    상기 바디의 상단에 결속되는 와테;
    상기 와테에 결합되어 상기 바디의 상면을 커버하는 봉함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와 상기 저판은 일체로 플라스틱 사출 형성되며;
    상기 와테와 상기 봉함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그립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저면에 형성되어 손가락이 수용되도록 곡률지게 형성되는 요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양측에는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비틀림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홀부는 상기 이탈방지돌기가 삽입되는 진입홀;
    상기 진입홀의 하부로 연이어 형성되고, 간격이 점차 줄어들게 형성되는 연결홀; 및
    상기 연결홀의 하부에 연이어 형성되어 상기 지지돌기가 수용되며, 상기 이탈방지돌기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고정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홀부의 주변에는 상기 이탈방지돌기를 지지하는 지지리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KR1020140028644A 2014-03-11 2014-03-11 포장용 용기 KR102033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644A KR102033424B1 (ko) 2014-03-11 2014-03-11 포장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644A KR102033424B1 (ko) 2014-03-11 2014-03-11 포장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294A KR20150106294A (ko) 2015-09-21
KR102033424B1 true KR102033424B1 (ko) 2019-11-08

Family

ID=54245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644A KR102033424B1 (ko) 2014-03-11 2014-03-11 포장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34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8294A (ko) * 2020-06-23 2021-12-30 주식회사 대륙제관 복합재질 용기의 바닥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462B1 (ko) * 2018-11-13 2019-06-05 고창일 손잡이 고리가 구비된 패트병 마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52918A1 (en) * 2004-05-11 2005-11-17 Sonoco Development, Inc. Container having a metal end to which a membrane is sealed
KR200436053Y1 (ko) * 2006-11-08 2007-05-02 정주현 병 뚜껑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99953U (ko) * 1987-06-12 1988-12-22
CH686242A5 (de) * 1995-05-08 1996-02-15 Elpatronic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etallbehaelters sowie entsprechender Behaelter.
BRMU9001277U2 (pt) * 2010-06-02 2012-10-23 Brasilata Embalagens Metalicas acessório de suspensão para recipient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52918A1 (en) * 2004-05-11 2005-11-17 Sonoco Development, Inc. Container having a metal end to which a membrane is sealed
KR200436053Y1 (ko) * 2006-11-08 2007-05-02 정주현 병 뚜껑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8294A (ko) * 2020-06-23 2021-12-30 주식회사 대륙제관 복합재질 용기의 바닥구조
KR20210158295A (ko) * 2020-06-23 2021-12-30 주식회사 대륙제관 복합재질 용기에 결합되는 착탈식 손잡이
KR102442767B1 (ko) * 2020-06-23 2022-09-15 주식회사 대륙제관 복합재질 용기의 바닥구조
KR102477270B1 (ko) * 2020-06-23 2022-12-13 주식회사 대륙제관 복합재질 용기에 결합되는 착탈식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294A (ko) 2015-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31921A1 (en) Damage resistant container and locking feature
KR20060015011A (ko) 재밀폐 가능한 음식물 저장용기
RU2431209C2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хранения радиоактивных отходов
US8387821B2 (en) Food container
US20100096398A1 (en) Pour and seal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180127163A1 (en) Container stopper having multi-lock structure
NO126125B (ko)
US20150122817A1 (en) Container with an insert and a lid
KR102033424B1 (ko) 포장용 용기
KR101252567B1 (ko) 밀폐 용기
JP2021102486A (ja) 嵌合式組合せ容器
KR20180003125U (ko) 다층식 찬합세트
TW201700367A (zh) 食物容器
JPS63501417A (ja) ゲ−ブルトツプ型カ−トン容器用の再利用可能な蓋器具
KR20090056748A (ko) 하나의 뚜껑을 서로 다른 용기 목에 결합하는 구조
WO2018116776A1 (ja) 包装用容器
JP7054175B2 (ja) 包装用内嵌合容器
KR101355042B1 (ko) 용기뚜껑 오프너
KR200485510Y1 (ko) 손잡이를 구비한 뚜껑
GB1570263A (en) Closable container
KR200485378Y1 (ko) 음식물 저장용기
JP6370555B2 (ja) ティッシュケース
KR200466117Y1 (ko) 재활용이 가능한 캔
KR100913430B1 (ko) 포장용 용기
KR200491157Y1 (ko) 포장용 캔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