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8295A - 복합재질 용기에 결합되는 착탈식 손잡이 - Google Patents

복합재질 용기에 결합되는 착탈식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8295A
KR20210158295A KR1020200179179A KR20200179179A KR20210158295A KR 20210158295 A KR20210158295 A KR 20210158295A KR 1020200179179 A KR1020200179179 A KR 1020200179179A KR 20200179179 A KR20200179179 A KR 20200179179A KR 20210158295 A KR20210158295 A KR 20210158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inding
handle
container body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9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7270B1 (ko
Inventor
박봉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륙제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륙제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륙제관
Priority to KR1020200179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7270B1/ko
Publication of KR20210158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8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1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 B65D43/0216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inside a peripheral U-shaped channel in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7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 B65D21/0222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the closure and the bottom presenting co-operating peripheral ribs and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67Handles with respective ends fixed to local areas of two opposite sides or wall-part
    • B65D25/2873Straps or s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rrosive chemic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테와 뚜껑에 라미네이트 강판을 사용하여 내식성과 내약품성이 우수하고, 라미네이팅된 필름이 와테와 뚜껑 사이의 실링재 역할을 하게 되어 기밀성 향상은 물론 내용물 보존성이 우수하며, 와테와 뚜껑이 결합되는 결합부와 실링부를 분리하여 서로 다른 부분에 형성함으로써 결합시 이중으로 밀착되게 되어 용기 운반중 충격이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뚜껑이 쉽게 분리되지 않고, 용기의 바닥면에 형성된 외곽리브의 내측에 내곽리브를 형성해 둠으로써 외기온도가 상승하여 용기의 바닥면이 외측으로 볼록하게 부풀어 오르는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변형된 용기가 뒤뚱거리면서 기울어지지 않게 되는 복합재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복합재질 용기에 결합되는 착탈식 손잡이{Detachable handle that attaches to the composite container}
본 발명은 복합재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잡이를 용기 본체와 결합시켰을 때 용기 본체에서 돌출 형성된 이탈방지돌기가 손잡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는, 복합재질 용기에 결합되는 착탈식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페인트 등을 공장에서 출하할 때에는 규격화된 금속용기 또는 플라스틱 용기에 충전물을 담은 다음 뚜껑을 결합하여 밀폐된 상태로 출하하고, 사용자는 충전물을 사용하고자 할 때 뚜껑을 개방해서 사용하는데, 용기를 운반하거나 보관할 때 그 내용물이 누출되지 말아야 하고, 용기에 담겨진 충전물을 전부 사용하지 않고 일부를 사용하고 난 후 보관이나 운반하고자 할 때에는 뚜껑을 다시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용기의 뚜껑을 결합하기가 수월해야 하고, 운반이나 보관중 용기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임의로 뚜껑이 분리되지 않아야 하며, 온도가 상승하여 용기 바닥이 부풀어 오르면서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변형된 용기가 뒤뚱거리면서 흔들리거나 옆으로 넘어지지 않아야 하며, 적층 보관된 용기 중에서 일부 용기를 꺼낼 때 용기 본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이탈방지돌기가 인접한 용기의 이탈방지돌기 또는 손잡이 등과 간섭을 일으키면서 인접한 용기가 움직이지 않아야 한다.
용기의 상단에 위치한 와테에 뚜껑을 결합시키는 구조에 관하여 실용신안등록 제201673호 "액체용기와 합성수지 와테의 결합구조", 실용신안등록 제407248호 "이중 밀봉으로 밀봉기능이 강화된 포장용 캔" 등과 같은 많은 기술이 출현하였으나, 상기 기술들은 와테의 가장자리를 따라 '∪' 형상의 오목홈을 설치하고, 뚜껑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 형상의 돌기를 형성하여, 결합되는 오목홈과 돌기가 억지끼워맞춤되면서 양 측면이 서로 밀착하여 실링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특허등록 제2033424호 "포장용 용기"와 같이 외기온도가 상승했을 때 용기 바닥면의 변형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용기 바닥에 보강리브를 원형과 방사상으로 형성하고, 손잡이와 용기 본체를 연결했을 때 무거운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용기 본체의 측면에 보강돌부와 지지돌기 및 이탈방지돌기를 형성한 기술이 출현하였다.
하지만, 상기 기술을 포함하여 지금까지 출현했던 용기에 관한 기술들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와테와 뚜껑을 결합시킬 때 오목홈과 돌기를 억지끼워맞춤을 하므로 결합시키기가 매우 어렵고, 용기의 운반이나 보관중 충격이 가해지면 뚜껑이 쉽게 이탈하여 분리되는 문제가 있어서 뚜껑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의 플라스틱 부재를 용기 상단에 결합시키고 있다는 문제가 있다.
둘째, 결합부와 실링부가 분리되어 있지 않고 뚜껑과 와테의 결합부가 면과 면이 접촉하면서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특히 사용후 일부 내용물이 남아서 뚜껑을 결합시켜 보관하고자 할 때 결합부 전체가 동일하게 접촉하면서 결합되기 어려우므로, 전체가 균일한 실링이 되지 않게 되어 기밀성이 약화되면서 내용물이 누출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셋째, 용기는 플라스틱을 사용하더라도 와테와 뚜껑은 금속 강판을 사용하고 부식방지를 위해 강판에 수지를 도포하여 사용하는데, 도포한 수지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와테와 뚜껑을 결합했을 때 도포된 수지가 실링재 역할을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강도가 약해서 스크래치가 생기기 쉬우므로 부식성에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넷째, 외기온도가 상승하면 용기 바닥이 외측으로 부풀어 오르면서 변형이 발생하게 되는데, 변형 방지를 위해 용기 본체의 바닥면에 보강리브를 형성했더라도 바닥이 부풀어 오르는 변형이 발생하면서 변형된 용기가 균형을 유지하지 못하고 뒤뚱거리면서 흔들리거나 기울어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다섯째, 손잡이를 용기 본체와 결합했을 때 손잡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용기 본체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해 놓은 이탈방지돌기가 손잡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적층 보관된 용기 중에서 일부 용기를 꺼내거나 움직일 때, 손잡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이탈방지돌기가 인접하여 보관된 용기의 이탈방지돌기 또는 손잡이에 걸리면서 간섭을 일으켜 인접한 용기도 따라 움직이게 되어 보관 상태가 흐트러지거나 용기가 넘어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손잡이의 양단(兩端) 부분에 돌출방지리브를 형성해 둠으로써 손잡이를 용기 본체와 결합시켰을 때, 용기 본체에서 돌출 형성된 이탈방지돌기가 손잡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는, 복합재질 용기에 결합되는 착탈식 손잡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질 용기에 결합되는 착탈식 손잡이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일정 폭을 갖는 띠 형상이며, 파지(把持)하는 부분을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한 보강부가 구비되어 구성된 그립부; 상기 그립부의 양단부(兩端部)에 각각 천공(穿孔)되어 형성된 결합홀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홀은, 상기 그립부의 띠 형상 양단 부분에 일정 직경을 갖는 원 형상으로 천공되어 각각 형성된 결착부; 상기 각 결착부보다 내측에 형성되며,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장공(長孔) 형상으로 천공되어 형성된 삽입부; 상기 결착부와 삽입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양측으로 배치된 걸림부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걸림부 사이의 폭은 결착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삽입부에서 폭이 가장 큰 부분은 결착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결착부의 원 형상 외측부와 걸림부의 외측에는 다른 부분 보다 두껍게 형성된 돌출방지리브가 더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손잡이의 결착부를 용기 본체에 체결하여 결합할 때는, 손잡이의 삽입부에 용기 본체에 형성된 결착돌기를 삽입하고 그립부를 잡아당겨 결착돌기가 결착부에 체결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용기 본체는 바닥면이 폐쇄된 원통 형상이고, 원통 형상의 상단 부근 외측면에는 서로 대향(對向)하는 위치에 일정 직경을 갖는 결착돌기가 각각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각 결착돌기의 단부(端部)에는 결착돌기보다 직경이 큰 이탈방지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각 이탈방지돌기의 최외측 면은 평평하도록 형성되어, 결착돌기에 착탈식 손잡이가 체결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질 용기에 결합되는 착탈식 손잡이는, 손잡이의 양단 부분에 돌출방지리브가 다른 부분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손잡이를 용기 본체와 결합시켰을 때, 용기 본체에서 돌출 형성된 이탈방지돌기가 손잡이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므로, 보관된 용기 중에서 일부 용기를 꺼내거나 움직일 때 손잡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이탈방지돌기가 인접하여 보관된 용기의 이탈방지돌기 또는 손잡이 등에 걸리거나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되므로, 인접한 용기의 보관 상태가 흐트러지거나 넘어지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질 용기에 손잡이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와테와 뚜껑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와테와 뚜껑이 결합된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 ⒝는 변형 전과 후의 용기의 바닥면 부분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 ⒝는 용기를 적층시켰을 때 변형 전과 후의 용기의 지지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질 용기의 기술적 특징은, 용기의 와테와 뚜껑에 라미네이트 강판을 사용함으로써 내식성과 내약품성 및 내용물 보존성을 현저히 향상시켰다는 점과, 와테와 뚜껑의 결합부와 실링부를 분리하여 구성함으로써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뚜껑이 쉽게 분리되지 않으면서 기밀성을 현저히 향상시켰다는 점과, 용기의 바닥면에 일정 크기와 높이를 갖는 내곽리브를 형성함으로써 온도가 상승하더라도 변형된 용기가 뒤뚱거리거나 기울어지지 않게 했다는 점과, 용기 본체에 결합하는 손잡이에 돌출방지리브를 형성해 둠으로써 용기 본체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가 손잡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했다는 점이다.
용기(20)의 용기 본체(21)는 바닥면이 폐쇄된 원통 형상인데 플라스틱(합성수지)으로 제조된 것이고, 용기 본체의 상단과 일체로 결합된 와테(22) 및 와테(22)와 결합되는 뚜껑(23)은 석판에 PE, PT 또는 PET 재질의 필름을 라미네이팅 하여 만든 라미네이트 강판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용기 본체(21)의 재질과 와테(22) 및 뚜껑(23)의 재질이 서로 다른 이종(異種) 재질을 사용한 것이어서 '복합재질 용기'라고 명명하였다. 와테(22)와 뚜껑(23)에 라미네이트 강판을 사용했기 때문에 용기의 내식성과 내약품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금속판에 수지를 도포하여 사용했는데, 본 발명과 같이 라미네이트 강판을 사용하면 라미네이팅된 필름의 두께가 수지를 도포한 두께보다 훨씬 두껍기 때문에 용기의 취급중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으며, 와테와 뚜껑을 결합했을 때 라미네이팅된 필름이 실링재 역할을 하게 되므로 용기의 기밀성 향상은 물론 내용물 보존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와테(20)는 시밍부(221)와 결합홈부(222) 및 권취부(22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시밍부(221)는 용기 본체(21)의 상단과 와테(22)의 외측단이 시밍(seaming) 접합되어 형성된 부분인데,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용기 본체(21)에 라미네이팅 강판으로 제작된 와테의 시밍부(221) 단부가 박혀서 일체로 결합되기 때문에 어떤 상황에서도 분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시밍부(221)를 통한 누설이 근본적으로 차단된다. 결합홈부(222)는 시밍부(221)의 내측으로 형성되는데, 시밍부(221)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시밍부의 내측으로 시밍부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고, 상방으로 개방된 'ㄷ' 형상 즉 요부(凹部)로 형성된다.
권취부(223)는 결합홈부(222)에서 내측에 위치하는 측벽의 상단에서 측벽과 내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권취되어 형성된 구성이다. 권취부(223)는 외권(外卷)되어 형성되며, 권취부(223)의 위치가 결합홈부(222)의 상단보다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홈부(222)에서 내측에 위치하는 측벽의 상단에서 상향으로 경사진 방향에 권취부(22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뚜껑(23)을 와테(22)에 결합시킬 때 뚜껑(23)을 누르면서 가해지는 힘을 권취부(223)가 함몰되지 않고 버텨줄 수 있게 된다. 또한, 권취부(223)가 외권(外卷)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라미네이트 강판을 절단할 때 생기는 절단면이 뚜껑(23)과 와테(22)의 실링부 외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용기 본체(20)에 저장된 내용물이 권취된 강판의 단부(端部)인 절단면에 접촉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절단면의 부식을 근원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뚜껑(23)은 판상(板狀)의 라미네이트 강판을 절곡시켜 제조하며, 결합돌부(231)와 테두리(232) 및 절곡돌출부(233)를 구비하게 된다. 결합돌부(231)는 하향 절곡된 부분으로, 결합홈부(22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상방이 개방된 'ㄷ' 형상 즉 철부(凸部) 형상이며, 와테와 뚜껑을 결합시켰을 때 뚜껑의 결합돌부(231)가 와테의 결합홈부(222)에 삽입되어 결합되게 된다. 뚜껑(23)을 와테(22)에 결합시켰을 때, 결합돌부(231)의 양 측벽 외측면이 결합홈부(222)의 양 측벽 내측면에 밀착 삽입되어 결합되면서 뚜껑(23)과 와테(22)의 결합부를 형성하게 되는데, 결합돌부(231)의 양 측벽 사이의 간격은 결합홈부(222)의 양 측벽 사이의 간격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어야 결합부에서 뚜껑(23)과 와테(22)가 밀착 결합될 수 있게 된다.
테두리(232)는 결합돌부(231)의 외측에 위치하는 측벽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권취되어 형성된 구성으로, 뚜껑(23)을 와테(22)에 결합시켰을 때, 와테(22)에 형성된 결합홈부(222)의 외측에 위치하는 측벽 상단과, 뚜껑(23)에 형성된 테두리(232)의 하단 사이에는 일정 간격(d)이 형성되어 있어야 뚜껑(23)을 개방시킬 때 일(一)자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를 간격(d)에 삽입하여 수월하게 개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결합돌부(231)의 양 측벽 높이는 결합홈부(222)의 양 측벽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어야 결합홈부(222)의 측벽 상단과 테두리(232)의 하단 사이에 간격(d)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용기(20)를 적재시킬 때 상부에 놓이게 되는 용기의 하단에 돌출 형성된 외곽리브(24)가 테두리(232)의 외주면과 와테의 시밍부(221)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되어 용기를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 있게 된다.
절곡돌출부(233)는 결합돌부(231)에서 내측에 위치하는 측벽의 상단에서 내측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후 다시 하방으로 절곡되어, 하방으로 개방된 'ㄷ' 형상으로 형성된 구성인데, 뚜껑(23)을 와테(22)에 결합시켰을 때, 와테(22)에 형성된 권취부(223)의 최내측에 위치하는 외주면이 뚜껑(23)에 형성된 절곡돌출부(233)의 내측벽(233a)에 밀착되어 실링부를 형성하게 되며, 실링부에서는 내측벽(233a)의 벽면에 권취부(223)의 최내측 외주면이 밀착하게 되면서 면과 선이 만나서 실링부(실링선)를 형성하게 되며, 뚜껑(23)과 와테(22)에 라미네이팅된 필름이 실링재 역할을 하게 되므로 기밀성을 현저하게 향상시켜 주게 된다.
이와 같이 뚜껑(23)과 와테(22)의 결합구조가 결합돌부(231)의 양 측벽 외측면이 결합홈부(222)의 양 측벽 내측면에 밀착 삽입되어 결합되면서 뚜껑(23)과 와테(22)의 결합부를 형성하고, 와테(22)에 형성된 권취부(223)의 최내측에 위치하는 외주면이 뚜껑(23)에 형성된 절곡돌출부(233)의 내측벽(233a)에 밀착되어 실링부(실링선)를 형성하게 되므로, 결합부와 실링부(실링선)가 서로 다른 위치로 분산되어 이중으로 밀착되면서 형성되기 때문에 뚜껑(23)을 와테(22)에 결합하기도 수월하고, 용기의 운반이나 보관중에 용기에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뚜껑(23)이 와테(22)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또한, 용기 본체(21)에 저장된 내용물이 실링부(실링선) 외측으로는 유출될 수가 없으므로 라미네이트 강판 절단면의 부식방지는 물론 내용물이 결합부로는 전혀 유입되지 않으므로 견고한 결합이 지속될 수 있게 된다.
복합재질 용기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용기 몸체(21)의 상단 부분에 금속으로 제작된 와테(22)와 뚜껑(23)이 밀착 결합되어 기밀이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기온도가 상승하면 보관된 용기가 팽창하게 되면서,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용기 몸체(21)의 바닥면이 외측으로 볼록하게 원호를 이루면서 처짐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바닥면이 부풀어서 바닥면 처짐이 발생하게 되면 용기 본체가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뒤뚱거리면서 옆으로 기울어지게 되어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없게 되고, 심하면 용기가 옆으로 넘어지고 적층된 용기는 바닥으로 굴러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용기 본체의 바닥면에 리브를 형성하고 그 내측으로도 원형 및/또는 방사상으로 보강리브를 형성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외기온도가 올라갔을 때 용기 본체가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뒤뚱거리면서 옆으로 기울어지게 되어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질 용기는 용기 본체(21)의 바닥면에 원 형상의 외곽리브(24)와 내곽리브(25)를 일정 조건에 맞춰서 형성했다는 점이 중요한 기술적 특징 중 하나이다. 즉 외기온도가 상승하여 용기 본체(21)의 바닥면이 외측으로 부풀어 오르면서 하향으로 처지게 되는 변형이 발생했을 때, 외곽리브(24)는 용기가 놓여져 있는 바탕면에서 이격되어 공중에 떠있는 상태가 되고, 내곽리브(25)가 용기 본체(21)를 바탕면에 지지해 주게 되어 용기 본체(21)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용기가 뒤뚱거리거나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도 5 참조).
일반적인 플라스틱 재질의 용기는 용기 본체(21)의 바닥면이 외측으로 볼록하게 변형되어 부풀어 오르면서 원호 형상을 이루었을 때, 바닥면이 최대로 처졌을 때의 원호 형상의 반경(R)의 크기는 용기 본체(21)의 외경(D)의 크기의 2배가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외곽리브(24)는 용기 본체(21)의 바닥면 가장자리 부근을 따라 일정 높이(H)를 갖고 바닥면 외측으로 돌출된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용기 본체(21)의 바닥면이 변형되어 외측으로 볼록하게 부풀어 오르면서 원호 형상을 이루었을 때, 변형되어 원호 형상을 이룬 바닥면의 최대 처짐량이 외곽리브(24)의 높이(H)보다 커지기 때문에 원호 형상을 이룬 용기 본체(21)의 바닥면이 용기 본체가 놓여진 바탕면에 닿게 되므로 용기 본체가 뒤뚱거리면서 기울어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외곽리브(24)의 내측에 일정 조건에 맞는 내곽리브(25)를 형성해 줌으로써, 원호 형상을 이룬 바닥면이 바탕면에 닿지 않고 대신 내곽리브(25)가 용기 본체가 놓여진 바탕면에 닿으면서 용기 본체를 지지해 주게 되어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도 5 ⒝ 참조).
내곽리브(25)는 외곽리브(24)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외곽리브(24)의 내측에 일정 높이(h)와 외경(d)을 갖고 바닥면 외측으로 돌출된 원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용기 본체의 바닥면에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용기 본체가 수평상태의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기 위해서는 내곽리브(25)의 외경(d)의 크기는 용기 본체(21)의 외경(D) 크기의 50∼75%로 형성하여야 한다. 만일 내곽리브(25)의 외경(d)의 크기가 용기 본체의 외경(D)의 50% 보다 작거나 75% 보다 커지면 용기 본체의 바닥면에 최대 처짐이 발생했을 때 원호 형상을 이룬 용기 본체의 바닥면만 바탕면에 닿고 내곽리브(25)는 바탕면에서 이격되어 공중에 떠있는 상태가 되므로 용기 본체가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뒤뚱거리면서 기울어지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내곽리브(25)의 높이(h)는, 외곽리브의 높이(H)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하고, 또한, 외기온도가 상승하여 용기 본체의 바닥면이 외측으로 부풀어 오르면서 처지는 최대 처짐량과 같거나 크게 형성하여야 한다. 만일 내곽리브(25)의 높이(h)를 외곽리브(24)의 높이(H)보다 크게 형성하면 용기 본체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내곽리브(25)만 바탕면에 닿고 외곽리브(24)는 항시 바탕면에서 이격되어 공중에 떠있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내곽리브(25)의 높이(h)를 용기 본체 바닥면의 최대 처짐량보다 작게 형성하면 용기 본체의 바닥면에 최대 처짐이 발생했을 때 원호 형상을 이룬 용기 본체의 바닥면만 바탕면에 닿고 내곽리브(25)는 바탕면에서 이격되어 공중에 떠있는 상태가 되므로 용기 본체가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뒤뚱거리면서 기울어지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를 적층시켜 상온에서 변형이 발생하지 않았을 때, 상부에 놓인 용기 본체의 외곽리브(24)는 하부에 놓인 용기의 와테의 시밍부(221)와 결합홈부(222) 상단 사이를 연결하는 부분에 놓여지면서, 내곽리브(25)는 뚜껑(23)에서 절곡돌출부(233)를 원주로 하여 형성된 원 형상의 내측 바닥면에서 떠있는 상태가 되면서 외곽리브(24)의 지지로 인해 안정적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도 6의 ⒜ 참조).
한편, 용기를 적층시켜 놓고 고온에서 변형이 발생하였을 때, 용기 본체의 바닥면이 외측으로 부풀어 올라 원호 형상을 이루면서 바닥면에서 최대 처짐이 발생한 부분이 뚜껑(23)에서 절곡돌출부(233)를 원주로 하여 형성된 원 형상의 내측 바닥면에 닿게 되거나 약간 떠있게 되고, 내곽리브(25)는 뚜껑(23)에서 절곡돌출부(233)를 원주로 하여 형성된 원 형상의 내측 바닥면에 닿게 되면서 용기 본체를 지지하여 안정적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부에 놓인 용기 본체의 외곽리브(24)는 하부에 놓인 용기의 와테의 시밍부(221)와 결합홈부(222) 상단 사이를 연결하는 부분에서 이격되어 떠있는 상태가 된다(도 6의 ⒝ 참조).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질 용기는 용기의 취급 및 운반 편의를 위해 손잡이(10)를 착탈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손잡이(10)를 용기 본체(21)에 착탈할 수 있기 위해서는 용기 본체(21)에 결착돌기(211)와 이탈방지돌기(212)가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용기 본체(21)는 바닥면이 폐쇄된 원통 형상이고, 원통 형상의 상단 부근 외측면에는 서로 대향(對向)하는 위치에 일정 직경을 갖는 결착돌기(211)가 각각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각 결착돌기(211)의 단부(端部)에는 결착돌기(211)보다 직경이 큰 이탈방지돌기(212)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각 이탈방지돌기(212)에서 밖으로 노출되는 최외측 면은 평평하도록 형성되어, 결착돌기(211)에 착탈식 손잡이(10)가 체결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질 용기의 용기 본체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손잡이(10)는 그립부(11)와, 그립부(11)의 양단에 천공된 결합홀(12)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립부(11)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일정 폭을 갖는 띠 형상이며, 사용자가 파지(把持)하는 부분을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한 보강부(111)가 구비되어 구성되는데, 보강부(111)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손잡이(10)가 튼튼할 뿐만 아니라 그립감도 좋고, 사용자가 내용물이 든 용기를 장시간 들고 있어도 손도 아프지 않게 된다. 또한, 그립부(11)의 양단부(兩端部)에는 각각 결합홀(12)이 천공(穿孔)되어 있다.
결합홀(12)은 용기 본체에 형성된 결착돌기(211)와 체결되는 결착부(122)와, 결착부(122)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삽입부(121)와, 삽입부(121)와 결착부(122) 사이에 배치된 걸림부(12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결착부(122)는 그립부(11)의 띠 형상 양단 부분에 각각 형성된 구성으로, 일정 직경을 갖는 원 형상으로 천공되어 있는데, 결착부(122)를 이루는 원 형상의 직경은 용기 본체에 형성된 결착돌기(211)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부(121)는 결착부(122)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장공(長孔) 형상으로 천공되어 형성된 구성으로, 삽입부(121)에서 폭이 가장 큰 부분은 결착부(122)를 이루는 원 형상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 걸림부(123)는 결착부(122)와 삽입부(121)가 연결되는 부분에 양측으로 배치된 구성으로, 양 걸림부(123) 사이의 폭은 결착부(12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어야 결착돌기(211)에 결합된 결합된 결착부(122)가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도 3 참조). 만일 걸림부(123) 사이의 폭이 결착부(12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면 용기 본체에 결합된 손잡이가 쉽게 분리되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손잡이(10)를 용기 본체(21)에 체결할 때는, 손잡이의 삽입부(121)에 용기 본체에 형성된 결착돌기(211)를 삽입한 다음, 띠 형상의 그립부(11)를 잡아당기면 용기 본체(21)에 돌출 형성된 결착돌기(211)가 걸림부(123)를 통과하여 결착부(122)에 체결된 후, 양 걸림부(123) 사이의 폭이 결착부(12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결착돌기(211)가 결착부(122)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삽입부(121)에서 폭이 가장 큰 부분은 결착부(12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결착돌기(211)를 결합홀(12)에 삽입하여 체결할 때 편리하다.
본 발명에서 착탈식 손잡이(10)가 결합된 복합재질 용기(20)의 기술적 특징 중 하나가 돌출방지리브(13)를 형성한 것이다. 돌출방지리브(13)는 결착부(122)의 원 형상 외측부와 걸림부(123)의 외측에 다른 부분 보다 두껍게 형성된 부분인데, 돌출방지리브(13)의 두께는 이탈방지돌기(212)의 두께와 같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 참조). 용기 본체의 상단 부분에는 서로 대향(對向)하는 위치에 결착돌기(211)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10)를 용기 본체(21)의 결착돌기(211)에 체결한 후에 결착돌기(211)에서 손잡이(10)가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결착돌기(211)의 단부(端部)에는 결착돌기(211)의 직경보다 큰 이탈방지돌기(2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손잡이에 돌출방지리브(13)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손잡이가 결착돌기(211)에 체결된 후에 이탈방지돌기(212)가 손잡이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게 되고, 이와 같이 이탈방지돌기(212)가 손잡이(10)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적층 보관된 용기 중에서 일부 용기를 꺼내거나 움직일 때, 손잡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이탈방지돌기(212)가 인접하여 보관된 용기의 이탈방지돌기(212) 또는 손잡이에 걸리면서 간섭을 일으켜 인접한 용기도 따라 움직이게 되어 보관 상태가 흐트러지거나 용기가 넘어지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손잡이의 체결부(122) 주위에 돌출방지리브(13)를 형성해 뒀기 때문에 이탈방지돌기(212)가 손잡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돌출방지리브(13)와 이탈방지돌기(212)의 밖으로 노출되는 최외측 면이 동일한 면을 이루게 되므로, 이탈방지돌기(212)가 다른 용기의 이탈방지돌기(212) 또는 손잡이에 걸려서 간섭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손잡이 11 : 그립부
111 : 보강부 12 : 결합홀
121 : 삽입부 122 : 결착부
123 : 걸림부 13 : 돌출방지리브
20 : 용기 21 : 용기 본체
211 : 결착돌기 212 : 이탈방지돌기
22 : 와테 221 : 시밍부
222 : 결합홈부 223 : 권취부
23 : 뚜껑 231 : 결합돌부
232 : 테두리 233 :절곡돌출부
24 : 외곽리브 25 : 내곽리브

Claims (4)

  1. 복합재질 용기의 용기 본체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착탈식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일정 폭을 갖는 띠 형상이며, 파지(把持)하는 부분을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한 보강부가 구비되어 구성된 그립부;
    상기 그립부의 양단부(兩端部)에 각각 천공(穿孔)되어 형성된 결합홀;
    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홀은,
    상기 그립부의 띠 형상 양단 부분에 일정 직경을 갖는 원 형상으로 천공되어 각각 형성된 결착부;
    상기 각 결착부보다 내측에 형성되며,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장공(長孔) 형상으로 천공되어 형성된 삽입부;
    상기 결착부와 삽입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양측으로 배치된 걸림부;
    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걸림부 사이의 폭은 결착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삽입부에서 폭이 가장 큰 부분은 결착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질 용기에 결합되는 착탈식 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부의 원 형상 외측부와 걸림부의 외측에는 다른 부분 보다 두껍게 형성된 돌출방지리브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질 용기에 결합되는 착탈식 손잡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결착부를 용기 본체에 체결하여 결합할 때는, 손잡이의 삽입부에 용기 본체에 형성된 결착돌기를 삽입하고 그립부를 잡아당겨 결착돌기가 결착부에 체결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질 용기에 결합되는 착탈식 손잡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바닥면이 폐쇄된 원통 형상이고, 원통 형상의 상단 부근 외측면에는 서로 대향(對向)하는 위치에 일정 직경을 갖는 결착돌기가 각각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각 결착돌기의 단부(端部)에는 결착돌기보다 직경이 큰 이탈방지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각 이탈방지돌기의 최외측 면은 평평하도록 형성되어, 결착돌기에 착탈식 손잡이가 체결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질 용기에 결합되는 착탈식 손잡이.
KR1020200179179A 2020-06-23 2020-12-21 복합재질 용기에 결합되는 착탈식 손잡이 KR102477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179A KR102477270B1 (ko) 2020-06-23 2020-12-21 복합재질 용기에 결합되는 착탈식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126 2020-06-23
KR1020200179179A KR102477270B1 (ko) 2020-06-23 2020-12-21 복합재질 용기에 결합되는 착탈식 손잡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126 Division 2020-06-23 2020-06-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295A true KR20210158295A (ko) 2021-12-30
KR102477270B1 KR102477270B1 (ko) 2022-12-13

Family

ID=7917885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9179A KR102477270B1 (ko) 2020-06-23 2020-12-21 복합재질 용기에 결합되는 착탈식 손잡이
KR1020200179174A KR102442767B1 (ko) 2020-06-23 2020-12-21 복합재질 용기의 바닥구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9174A KR102442767B1 (ko) 2020-06-23 2020-12-21 복합재질 용기의 바닥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772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572B1 (ko) * 2022-01-24 2022-07-11 한화시스템(주) 전투관리 체계 콘솔의 운용자 조작장치용 착탈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47728A1 (en) * 2002-07-19 2005-11-10 Rieke Corporation Container for liquids, including sealing mechanisms
KR101675937B1 (ko) * 2015-05-27 2016-11-14 경성리빙테크주식회사 용기의 손잡이 결합구조
KR101853020B1 (ko) * 2016-06-27 2018-04-30 한용남 사용이 간편한 전자렌지 및 스팀조리기용 음식용기
KR102033424B1 (ko) * 2014-03-11 2019-11-08 오제이씨(주) 포장용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64348B2 (en) 2002-03-07 2005-11-15 Kw Plastics Plastic paint can
KR200334768Y1 (ko) * 2003-08-27 2003-12-01 (주)새신프라코 밀폐 뚜껑을 갖춘 용기
KR102066866B1 (ko) 2018-09-05 2020-01-17 김돈일 의료 폐기물 수거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47728A1 (en) * 2002-07-19 2005-11-10 Rieke Corporation Container for liquids, including sealing mechanisms
KR102033424B1 (ko) * 2014-03-11 2019-11-08 오제이씨(주) 포장용 용기
KR101675937B1 (ko) * 2015-05-27 2016-11-14 경성리빙테크주식회사 용기의 손잡이 결합구조
KR101853020B1 (ko) * 2016-06-27 2018-04-30 한용남 사용이 간편한 전자렌지 및 스팀조리기용 음식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572B1 (ko) * 2022-01-24 2022-07-11 한화시스템(주) 전투관리 체계 콘솔의 운용자 조작장치용 착탈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7270B1 (ko) 2022-12-13
KR20210158294A (ko) 2021-12-30
KR102442767B1 (ko) 2022-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25471A (en) Plastic container with double lid
US6283319B1 (en) Collapsible container with reduced deflection
US5535910A (en) Stakable refuse container with improved handle and lid drain
JPH06507594A (ja) 大容積の蓋付き容器
KR20130109993A (ko) 용기용 서스펜션 장치
CA2441380C (en) Container sidewall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EP3152123B1 (en) Lid structure for container
KR102442767B1 (ko) 복합재질 용기의 바닥구조
JP2013542896A (ja) 頂部突出縁付き積み重ね可能な容器
US20210403205A1 (en) Container and seal assembly
JP5939455B2 (ja) 組み立て式コンテナおよび組み立て式コンテナの組み立て方法
CA2776554A1 (en) Disposable container with fitting attachment
JP5362005B2 (ja) 蓋付き容器
KR102484003B1 (ko) 조립식 운송용 포장박스
KR200391522Y1 (ko) 진공용기
JP2020097430A (ja) パレット
US20060138141A1 (en) Reduced thickness cover
KR200485378Y1 (ko) 음식물 저장용기
JP7384385B2 (ja) 蓋体及び蓋付き容器
JP3195733U (ja) 取手および取手付き容器
WO2004080832A1 (en) Container
EP2842888B1 (en) A container assembly and a lid
EP3445674A1 (en) Container in the form of a receptacle with removable lid
KR200262144Y1 (ko) 식품저장용기의 손잡이 구조
KR200393684Y1 (ko) 다단 적층되는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