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117Y1 - 재활용이 가능한 캔 - Google Patents

재활용이 가능한 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117Y1
KR200466117Y1 KR20120008009U KR20120008009U KR200466117Y1 KR 200466117 Y1 KR200466117 Y1 KR 200466117Y1 KR 20120008009 U KR20120008009 U KR 20120008009U KR 20120008009 U KR20120008009 U KR 20120008009U KR 200466117 Y1 KR200466117 Y1 KR 2004661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sealing
lid
body portion
c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080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환희
Original Assignee
이환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환희 filed Critical 이환희
Priority to KR201200080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1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1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1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31Reclosable openings
    • B65D2517/004Reclosable openings by means of an additional element
    • B65D2517/0041Reclosable openings by means of an additional element in the form of a cov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에 내용물을 수납하는 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캔을 오픈하여 캔 내부에 최초로 수납되어진 내용물을 사용한 후 상기 잔여 내용물이나 새로운 내용물을 수납하여 다시 봉합할 수 있도록 하고, 일단 봉합이 된 후에는 캔몸체부에 구비된 원터치탭을 사용하여 개방하도록 하여 내용물을 다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재활용이 가능한 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재활용이 가능한 캔{Recyclable can}
본 고안은 내부에 내용물을 수납하는 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캔을 오픈하여 캔 내부에 최초로 수납되어진 내용물을 사용한 후 상기 잔여 내용물이나 새로운 내용물을 수납하여 다시 봉합할 수 있도록 하고, 일단 봉합이 된 후에는 캔몸체부에 구비된 원터치탭을 사용하여 개방하도록 하여 내용물을 다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재활용이 가능한 캔에 관한 것이다.
알루미늄등 금속재질을 이용하는 캔은 셀 수 없이 다양하고 많은 형태로 우리의 일상 실생활에서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기존의 캔들은 뚜껑이 없는 캔과 있는 캔으로 크게 구분되어 질 수 있다.
뚜껑이 없는 캔은 내용물을 수납하는 몸체부 하나로 이루어지며, 음료용 캔 등에서 보듯이 몸체부 상부에 원터치탭 등 사용자가 손쉽게 오픈할 수 있도록 구비된 탭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사용하는 형태이거나, 통조림 캔에서 보듯이 오픈 탭이 없어 깡통따개 등의 기구인 오프너를 이용하여 캔의 몸체부 일부에 구멍을 내거나 몸체부의 가장자리를 절단하여 내용물을 이용하는 형태로서 그 오픈방식에 따라 구분되어 질 수 있다.
상기 뚜껑이 없는 캔은 주로 음료 등 액상의 내용물을 포함하여 내용물이 새지 않도록 밀봉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내용물을 수납하는 데 이용되어진다.
뚜껑이 있는 캔은 내용물을 수납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서 결합되어 봉합하는 뚜껑부의 2개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뚜껑이 있는 캔의 몸체부는 주로 그 상부에 비닐, 종이, 알루미늄박 등을 이용하여 밀봉하게 되며 일부 뚜껑이 있는 캔에서는 상기 뚜껑이 없는 캔에서 볼 수 있는 오픈탭을 구비하는 캔도 존재한다.
한편 캔을 구매하여 사용하는 소비자 측면에서 보면, 상기 뚜껑이 없는 캔은 오픈하여 내용물을 이용한 후에는 캔의 구조와 형태상 재사용이 가장 안 되며 가장 손쉽게 버려지게 된다. 캔의 비용을 포함하여 지불하였지만 결국 쓸모없이 버려지게 된다.
즉, 뚜껑이 없는 캔(몸체부 하나로 구성된 캔)은 재활용도가 거의 없어 소비자 비용과 자원의 낭비가 큰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반면 뚜껑이 있는 캔(뚜껑부와 몸체부 2개 부분으로 구성된 캔)은 뚜껑이 없는 캔에 비하여 캔은 오픈하여 내용물을 이용한 후 에도 비교적 그 활용도가 높을 수 있다. 특히 내용물이 고급과자이거나 고가의 상품들인 경우 등에는 캔 자체의 크기가 크고 캔 외부의 프린팅이 시각적으로 미려하여 내용물을 사용한 후에도 버리지 않고 다른 내용물을 담아 재활용되는 가능성이 뚜껑이 없는 캔보다는 높게 된다.
그러나 뚜껑이 있는 캔의 재활용도도 그 캔의 구조와 형태 문제상 일정한 한계가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캔의 내용물을 사용한 후에 사용자가 다른 내용물을 담아 넣고 다른 사람이 그 내용물을 볼 수 없도록 하여 보관하고 싶은 경우가 있을 것이다.
이런 경우에 기존의 뚜껑이 없는 캔은 거의 사용이 불가능하며 기존의 뚜껑이 있는 캔의 경우에도 뚜껑을 닫고 그 둘레를 테이프등 으로 감는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테이프를 제거한 후 다시 감아 놓는다면 알 수 가 어려울 수 있어 안전한 방법이 될 수 없다.
또한 사용한 캔에 다른 내용물을 담아 다시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기존의 캔은 일단 오픈하여 내용물을 꺼내 사용하고 나면 누구나 캔이 오픈되어 사용된 것을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에 다시 사용하여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기가 꺼려진다. 특히 내용물을 쉽게 볼 수 없는 상태에서 전달하기에는 더욱 어려움이 있게 된다.
도1과 도2는 종래의 캔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1과 2에서 보듯이 종래의 캔은 몸체부 하나만으로 구성되거나 몸체부 상부에 덮이는 뚜껑부를 포함하여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1의 몸체부 하나만으로 구성된 뚜껑이 없는 캔은 내용물을 수납하는 몸체부 하나로 이루어지며 대부분 원터치탭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오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몸체부 하나만으로 구성된 뚜껑이 없는 캔은 애당초 간편하게 사용하고 버려지는 일회용 소모성 캔으로서 일단 오픈이 되면 다시 다른 내용물을 담아 보관하여 재사용하기가 거의 불가능하여 캔의 종류 중 가장 재활용이 안 되며 가장 손쉽게 버려지게 된다.
도2에 도시된 뚜껑이 있는 캔은 내용물을 수납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서 결합되어 봉합하는 뚜껑부의 2개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뚜껑이 있는 캔의 몸체부는 주로 그 상부에 비닐, 종이, 알루미늄박 등을 이용하여 밀봉하게 되며 일부 뚜껑이 있는 캔에서는 상기 뚜껑이 없는 캔에서 볼 수 있는 오픈탭을 구비하는 캔도 존재한다.
뚜껑이 있는 캔(뚜껑부와 몸체부 2개 부분으로 구성된 캔)은 뚜껑이 없는 캔에 비하여 활용도가 높을 수 있다.
특히 내용물이 고급과자이거나 고가의 상품들인 경우 등에는 캔 자체의 크기도 크고 캔의 재질도 고급의 알루미늄을 사용하며 캔 외부의 프린팅도 시각적으로 미려하여 일회용품으로 사용하고 버리기에는 아까운 부분이 있다.
상기 예를 들어 살펴본 바와 같이 뚜껑이 있는 캔의 재활용도도 그 캔의 구조와 형태 문제 상 일정한 한계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캔의 재 활용도를 최대로 높이며, 특히 캔에 새로운 내용물을 넣고 재 봉합이 가능하도록 하며, 재 봉합이 된 후에는 캔몸체부에 구비된 원터치탭을 사용하여 개방하도록 하여 안전하게 내용물을 다시 보관할 수 있는 재활용이 가능한 캔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재활용이 가능한 캔은 캔뚜껑부(100); 상부면은 봉합수단에 의해 봉합되어 있고 하부는 개방된 형태로, 상부가 상기 캔뚜껑부(100)의 내주면과 끼움결합하는 캔몸체부(200); 상기 캔몸체부(200)의 하부에 결합하며, 상기 캔몸체부(200)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과 끼움결합하는 캔봉합부(300)를 포함하며, 처음으로 내용물을 담을 경우에는 캔몸체부(200)를 뒤집은 상태에서 캔뚜껑부(100)를 캔몸체부(200)의 뒤집은 상태에서의 상부에 결합시켜서 사용하고, 두번째로 내용물을 담을 경우에는 캔몸체부(200)의 상부에는 캔뚜겅부(100)를 결합시키고, 캔몸체부(200)의 하부에는 캔봉합부(300)를 결합시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봉합수단은 원터치오픈탭(210)이다.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캔봉합부(300)와 상기 캔몸체부(200)의 서로 맞닿는 면에는 상기 캔봉합부(300)와 상기 캔몸체부(200)의 끼움결합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결합수단은 캔봉합부(300)와 캔몸체부(200)의 서로 맞닿는 면에 서로 상응하는 위치에 환형으로 형성된 결합홈, 캔봉합부(300)와 캔몸체부(200)의 서로 맞닿는 면에 서로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돌기, 캔봉합부(300)와 캔몸체부(200)의 서로 맞닿는 면에 서로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다수의 후크형상의 걸림쇠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다.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캔봉합부(300)의 하부에는 캔몸체부(200)의 하부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환형홈(350)이 형성된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환형홈(350)에는 실런트(355)가 삽입되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캔의 형상이 다각형 형상, 캐릭터형상 또는 문양형상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형상을 가진다.
본 고안에 의하면, 캔에 최초로 수납된 내용물을 오픈하여 사용한 이후에도
새로운 내용물을 수납하여 안전하게 봉합하여 캔을 재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다시 수납된 새로운 내용물을 개봉하기 위해서 구비된 오픈탭을 사용하여 재차 오픈한 이후에도 또 다시 제 2의 새로운 내용물을 담아 뚜껑을 덮어 캔을 재사용할 수 있게 되어 캔의 활용도를 최대로 높이게 된다.
도1 기존의 뚜껑이 없는 캔의 구조 도면,
도2 기존의 뚜껑이 있는 캔의 구조 도면,
도3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캔의 구조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캔의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캔의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걸림쇠가 형성된 캔의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환형홈이 형성된 캔봉합부의 개략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캔에 최초로 담긴 내용물을 사용한 후에 새로운 내용물을 담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캔의 재활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주요목적은 캔의 재활용도를 최대한 높여 자원의 낭비를 줄이며 동시에 구매비용을 지불한 캔을 활용가치를 높이고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재물의 낭비도 줄이고자 하는 것으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캔의 구성과는 달리 캔의 구성이 3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즉, 캔뚜껑부(100)와 캔몸체부(200)외에 추가로 캔봉합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하, 각 구성요소별로 설명한다.
캔뚜껑부(100)는 종래의 뚜껑부와 몸체부 2개 부분으로 구성된 캔의 뚜껑부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캔몸체부(200)는 내용물을 수납하여 보관하는 부분이며, 캔뚜껑부(100)의 하부에 결합한다. 캔몸체부(200)의 직경은 캔뚜껑부(100)의 직경보다 작아서 캔뚜껑부(100)가 캔몸체부(200)의 외측으로 결합하게 된다. 다만, 캔몸체부(200)와 캔뚜껑부(100)의 결합은 끼움결합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서의 끼움결합방식이라 함은 결합하는 제1물체의 내경이 결합하는 제2물체의 외경과 동일 또는 약간의 차이가 있어서 단순히 제1물체와 제2물체를 끼우기만 하여도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캔몸체부(200)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캔몸체부(200)의 하부는 개봉된 형태이고, 캔몸체부(200)의 상부는 봉합수단(210)에 의해 막힌 형태로 제작한다. 여기서의 봉합수단은 캔의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 또는 누수되지 않도록 캔몸체부(200)의 상부면을 막는 수단이며, 아울러 개봉이 용이하도록 제작된 것이다. 봉합수단(210)의 예시로서는 참치캔 등의 상부면에 사용되는 원터치오픈탭을 들 수 있다. 원터치오픈탭(210)은 손으로 간단히 잡아당기면 미리 형성된 개봉선이 절단되면서 손쉽게 오픈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원터치오픈탭(210)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캔몸체부(200)의 구조에 따라 작용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캔봉합부(300)는 캔몸체부(200)의 하부에 결합하는 부분으로서, 캔몸체부(200)와 캔봉합부(300)는 끼움결합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가 된다. 여기서는 캔몸체부(200)의 직경이 캔봉합부(300)의 직경보다 크거나 작아도 상관없으나, 캔의 외관을 고려할 때에는 캔몸체부(200)의 직경이 캔봉합부(300)의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캔봉합부(300)의 하면부에는 외부로 환형턱(310)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캔봉합부(300)의 캔몸체부(200)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하는 경우에 캔몸체부(200)의 내부로 캔봉합부(300)가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캔봉합부(300)와 캔몸체부(200)는 서로 끼움결합방식으로 결합시의 결합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캔봉합부(300)와 캔몸체부(200)의 서로 맞닿는 면에는 서로 상응하는 위치에 결합수단을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다.
결합수단의 예시로서는 결합홈(220,320), 결합돌기(230,330) 및 걸림쇠(240,340)등을 들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캔의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는데, 결합홈(220,320)은 캔몸체부(200)와 캔봉합부(300)의 환형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도 4에서는 캔봉합부(300)가 캔몸체부(200)의 내부로 결합하는 경우이므로, 캔봉합부(300)의 외주면에는 외부 방향으로 볼록하게 환형의 결합홈(320)이 형성되어 있고, 캔몸체부(200)의 내주면에는 캔봉합부(300)의 결합홈에 대응하는 결합홈(220)이 형성되어 있어서, 캔몸체부(200)와 캔봉합부(300)에 각각 형성된 결합홈(220,320)이 결합하여서 결합의 강도를 향상시킨다.
도 5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캔의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걸림쇠가 형성된 캔의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캔봉합부(300)와 캔몸체부(200)의 서로 맞닿는 면에서 서로 상응하는 위치에는 다수의 요철형상의 결합돌기(230,330)가 형성되어 있어서, 캔의 결합시에는 이들이 맞물려서 결합의 강도는 더욱 향상된다.
도 6에서는 캔봉합부(300)에를 후크형상의 돌기(340)가 형성되어 있고, 캔몸체부(200)에는 후크형상의 돌기(340)에 상응하는 위치에는 후크형상의 걸림쇠(240)가 형성되어 있어서, 캔의 결합시에는 이들이 맞물려서 결합의 강도는 더욱 향상된다.
한편, 캔봉합부(300)의 하부에는 캔몸체부(200)의 하부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환형홈(350)을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환형홈이 형성된 캔봉합부의 개략도이다. 도 3에서의 캔봉합부(300)와 달리, 도 7에서의 캔봉합부(300)는 하부에 환형홈(350)을 포함하고 있으며, 환형홈(350)에는 캔몸체부(200)의 하부가 삽입되게 된다.
환형홈(350)은 캔봉합부(300)의 하부에 형성되며, 이는 도 3에서의 캔봉합부(300)의 외주면에 캔몸체부(200)가 삽입할 수 있을 정도의 틈을 가지고 있는 환형의 홈이다. 환형홈(350)에는 캔몸체부(200)의 하부가 삽입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결합의 강도가 향상될 뿐 아니라, 캔 내부에 보관된 물건을 더욱 안전하고 밀폐된 상태로 보호할 수 있다. 나아가 환형홈(350)에는 실런트(355)가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캔몸체부(200)를 캔몸체부(200)에 결합시 캔몸체부(200)의 하부를 환형홈(350)에 삽입하고 힘을 가해서 결합을 하게 되면, 실런크가 캔몸체부(200)의 하부면에 의해 눌러져서 완전히 밀봉을 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음료와 같은 액상의 내용물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최초로 캔의 내부에 물건을 넣고 밀봉시에는 캔뚜껑부(100)와 캔몸체부(200)의 결합하는 부분에 은박지, 비닐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외면을 감싸게 하는 실링처리를 할 수도 있다. 여기서의 실링처리는 밀봉의 개념보다는 새 제품임을 표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의한 캔에 물건을 넣는 방법과 재활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캔에 최초로 담긴 내용물을 사용한 후에 새로운 내용물을 담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캔몸체부(200)에 내용물을 담을 때에는 캔몸체부(200)의 상부 즉 원터치오픈탭(210)이 구비된 쪽을 바닥에 접하도록 놓고 내용물을 담은 후, 도 8(b)에서와 같이 위에서 캔봉합부(300)를 캔몸체부(200)에 꼭 맞도록 위치시킨 후 손바닥 등으로 압력을 가하여 캔봉합부(300)가 캔몸체부(200)에 완전히 삽입되어 캔몸체부(200)의 가장 끝부분이 캔봉합부(300)의 접합부에 맞닿아 캔몸체부(200)의 결합홈과 캔봉합부(300) 결합홈이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이후 도 8(c)와 같이 캔몸체부(200)의 상부가 위로 향하도록 하여 캔뚜껑부(100)를 상부에서 닫으면 된다.
이렇게 캔봉합부(300)와 캔몸체부(200)가 밀착하여 고정되고 단단히 결합된 상태에서 캔을 다시 개봉하기 위해서는 캔몸체부(200) 상부에 구비된 원터치오픈탭(210)를 이용하여야 한다.
이로써 최초로 담긴 내용물을 사용한 후에 새로운 내용물을 담아 다시 안전하게 봉합하여 처음 사용하는 캔처럼 수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캔은 3회에 걸쳐서 안전하게 내용물을 담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최초 2회까지는 개봉되기 전까지의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캔의 재활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는 1차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품판매자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로 캔뚜껑부(100)와 캔몸체부(200)만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담아 판매할 수 있다. 즉, 상품판매자가 처음으로 내용물을 담을 경우에는 캔몸체부(200)를 뒤집은 상태에서 내용물을 넣고 캔뚜껑부(100)를 캔몸체부(100)의 뒤집은 상태에서의 상부에 결합시켜서 캔뚜껑부(100)와 캔몸체부(200)만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담아 판매할 수 있다. 이 때 상품판매자는 아름답고 고급스럽게 생산한 포장재인 캔을 소비자가 다시 재활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기 위하여 추가로 캔봉합부(300)를 제공하여 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캔은 내용물 없이 선물용캔 등으로 캔 자체로만으로도 판매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캔뚜껑부(100)의 외부에는 은박지, 비닐등을 이용하여 실링처리를 할 수도 있다.
상기된 상품판매자의 상품을 구매한 소비자가 실링된 은박지등의 실링부분을 개봉하여 내용물을 사용한 후에 추가로 제공된 캔봉합부(300)를 사용하여 캔을 재활용하는 내용이 도 9(b)에 도시되어 있다.
최초로 담긴 내용물을 사용한 후 빈 캔몸체부(200)의 상부 즉 원터치오픈탭(210)이 구비된 쪽을 바닥에 접하도록 놓고 새로운 내용물을 담은 후 위에서 캔봉합부(300)를 캔몸체부(200)에 꼭 맞도록 위치시킨 후 손바닥 등으로 압력을 가하여 캔봉합부(300)가 캔몸체부(200)에 완전히 삽입되어 캔몸체부(200)의 하부가 캔봉합부(300)의 환형턱(310)에 맞닿아 캔몸체부(200)의 결합홈(220)과 캔봉합부(300) 결합홈(320)이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이후 캔몸체부(200)의 상부가 위로 향하도록 하여 캔뚜껑부(100)를 상부에서 닫아 새로 수납된 내용물을 타인이 쉽게 볼 수 없는 상태에서 보관할 수 있으며 또한 최초로 사용하는 캔처럼 개봉되기 전의 상태로 사용하거나 타인에게 전달될 수 있다.
도 9(c)는 본 고안에 따른 캔의 3차 사용의 일 실시예를 표시한 도면으로,
도 9(b)에 설명한 새로운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하여 캔몸체부(200)의 원터치오픈탭(210)을 이용하여 개봉한 후에도 캔봉합부(300)의 결합홈(320)과 캔몸체부(200)의 결합홈(2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에 캔뚜껑부(100)를 닫아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도 9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캔은 캔에 최초로 수납된 내용물을 오픈하여 사용한 이후에 새로운 내용물을 수납하여 안전하게 봉합하여 캔을 재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다시 수납된 새로운 내용물을 개봉하기 위해서 구비된 원터치오픈탭(210)을 사용하여 재차 오픈한 이후에도 또 다시 제 2의 새로운 내용물을 담아 뚜껑을 덮어 캔을 재사용할 수 있게 되어 캔의 활용도를 최대로 높이게 된다.
특히 도 9(b)의 캔의 2차사용 설명에서 처럼 최초로 사용하는 캔처럼 개봉되기 전의 상태로 보관하여 사용하거나 타인에게 전달될 수 있으며 또한 타인이 쉽게 볼 수 없는 상태에서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서의 캔의 재질은 알루미늄, 철 등을 포한하는 금속류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합성수지류 등의 다양한 재질로 만들 수 있으며, 아울러 캔몸체부(200), 캔봉합부(300), 캔뚜껑부(100)를 서로 다른 재질로 만들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또는 철로 만든다.
나아가 도면에서는 원통형상의 캔에 대해서만 도시하였지만, 캔의 형상이 다각형 형상, 캐릭터형상 또는 문양형상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형상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100:캔뚜껑부 200:캔몸체부
300:캔봉합부 210:봉합수단
220, 320:결합홈 230, 330:결합돌기
240, 340:걸림쇠 310:환형턱
350:환형홈

Claims (7)

  1. 내부에 내용물을 담아 수용하는 캔에 있어서,
    캔뚜껑부(100);
    상부면은 봉합수단에 의해 봉합되어 있고 하부는 개방된 형태로, 상부 또는 하부가 상기 캔뚜껑부(100)의 내주면과 끼움결합하는 캔몸체부(200); 및
    상기 캔몸체부(200)의 하부에 결합하며, 상기 캔몸체부(200)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과 끼움결합하는 캔봉합부(300)를 포함하며,
    처음으로 내용물을 담을 경우에는 캔몸체부(200)를 뒤집은 상태에서 캔뚜껑부(100)를 캔몸체부(200)의 뒤집은 상태에서의 상부에 결합시켜서 사용하고,
    두번째로 내용물을 담을 경우에는 캔몸체부(200)의 상부에는 캔뚜겅부(100)를 결합시키고, 캔몸체부(200)의 하부에는 캔봉합부(300)를 결합시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수단은 원터치오픈탭(2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캔봉합부(300)와 상기 캔몸체부(200)의 서로 맞닿는 면에는 상기 캔봉합부(300)와 상기 캔몸체부(200)의 끼움결합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캔봉합부(300)와 캔몸체부(200)의 서로 맞닿는 면에 서로 상응하는 위치에 환형으로 형성된 결합홈, 캔봉합부(300)와 캔몸체부(200)의 서로 맞닿는 면에 서로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돌기, 캔봉합부(300)와 캔몸체부(200)의 서로 맞닿는 면에 서로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다수의 후크형상의 걸림쇠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캔봉합부(300)의 하부에는 캔몸체부(200)의 하부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환형홈(350)이 형성된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홈(350)에는 실런트(355)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캔의 형상이 다각형 형상, 캐릭터형상 또는 문양형상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캔.
KR20120008009U 2012-09-10 2012-09-10 재활용이 가능한 캔 KR2004661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08009U KR200466117Y1 (ko) 2012-09-10 2012-09-10 재활용이 가능한 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08009U KR200466117Y1 (ko) 2012-09-10 2012-09-10 재활용이 가능한 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6117Y1 true KR200466117Y1 (ko) 2013-04-03

Family

ID=51386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08009U KR200466117Y1 (ko) 2012-09-10 2012-09-10 재활용이 가능한 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11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6792A (ko) 2021-02-15 2022-08-23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재활용이 가능한 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172Y1 (ko) * 1989-09-21 1992-01-15 김대윤 걸이부가 부착된 삼각 캔
JP2004307014A (ja) * 2003-04-07 2004-11-04 Toyo Seikan Kaisha Ltd 両端開口容器
KR200415613Y1 (ko) * 2006-02-23 2006-05-04 안종덕 다단 적층형 다용도 보관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172Y1 (ko) * 1989-09-21 1992-01-15 김대윤 걸이부가 부착된 삼각 캔
JP2004307014A (ja) * 2003-04-07 2004-11-04 Toyo Seikan Kaisha Ltd 両端開口容器
KR200415613Y1 (ko) * 2006-02-23 2006-05-04 안종덕 다단 적층형 다용도 보관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6792A (ko) 2021-02-15 2022-08-23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재활용이 가능한 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34651A (en) Mesh reinforced closure for full opening can
US9452863B2 (en) Biodegradable container for liquid and/or semi-solid products
US8640914B2 (en) Tamper-evident thermoformed package and tab arrangement
RU2431588C2 (ru) Способ присоединения горлышка к пакету из эластичной пленки
US3101870A (en) Film sealed container with pouring spout
US20140097183A1 (en) Canister
JP2006052012A (ja) 再密閉可能な食物貯蔵容器
PH12015501825B1 (en) Thermoformed container with lid
EP1559656A1 (en) Container and lid with tear-away tamper resistant sealing strip
WO2001044069A1 (en) Resealable closure for a container
CN102958814A (zh) 可再关闭容器
US3048299A (en) Re-usable plastic containers
CA1188255A (en) Pourable recloseable lid
CA1127597A (en) Reclosable structure for a container
WO2015045025A1 (ja) レフィル容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レフィル容器製品、並びにそれを用いた二重容器製品
US20220274743A1 (en) Metal container and end closure with seal
JP4925113B2 (ja) 容器
JP5827174B2 (ja) レフィル容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レフィル容器製品、並びにそれを用いた二重容器製品。
US20140231433A1 (en) Tear-Away Tamper-Evident Packaging
US3441168A (en) Reversed easy open ring tab
KR200466117Y1 (ko) 재활용이 가능한 캔
CN202219914U (zh) 一种用于罐式包装的易揭盖
RU169446U1 (ru) Конструкция емкости с контролем вскрытия
KR20080047374A (ko) 컨테이너, 폐쇄 수단 및 이의 용도
JP6299257B2 (ja) 易開封性容器の開封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