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955B1 - 저장용기 - Google Patents

저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955B1
KR102052955B1 KR1020130023145A KR20130023145A KR102052955B1 KR 102052955 B1 KR102052955 B1 KR 102052955B1 KR 1020130023145 A KR1020130023145 A KR 1020130023145A KR 20130023145 A KR20130023145 A KR 20130023145A KR 102052955 B1 KR102052955 B1 KR 102052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ntainer body
rotating member
pack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3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9029A (ko
Inventor
구홍식
Original Assignee
쓰리웨이테크놀러지(주)
구홍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웨이테크놀러지(주), 구홍식 filed Critical 쓰리웨이테크놀러지(주)
Priority to KR1020130023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955B1/ko
Publication of KR20140109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9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6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 B65D2543/0007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 B65D2543/00101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square-like or rectangular-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저장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저장용기는, 커버, 패킹 및 용기본체를 포함하고, 커버에는 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커버와 패킹 사이에는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회전부재가 용기본체에 결합될 때, 회전부재는 커버를 일측으로 당겨서 용기본체에 결합되게 하고, 패킹의 수축에 의해 공기통로를 폐쇄하게 한다.

Description

저장용기{CONTAINER}
본 발명은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커버를 용기본체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음식물의 보관 기간을 늘리고 위생적인 보관을 위해서 저장용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저장용기(10)는 도 1에서와 같이, 커버(12) 및 용기본체(16)로 구성되어 있으며, 커버(12)의 둘레에는 결합날개(14)가 구비되어 있고, 용기본체(16)의 둘레에는 네 개의 결합날개(14)가 걸리게 되는 걸림단턱(18)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12)를 용기본체(16)에 결합하여 용기본체(16)를 완전히 밀폐하기 위해서는, 네 개의 결합날개(14)를 모두 아래로 당겨서 걸림단턱(18)에 걸리게 해야 한다. 그리고 커버(12)를 용기본체(16)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네 개의 결합날개(14)를 모두 위로 당겨서 걸림단턱(18)에서 분리해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저장용기(10)는 커버(12)의 결합 및 분리 과정에서, 결합날개(14)를 모두 아래로 당기거나 또는 위로 당겨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커버(12)의 분리 또는 결합 과정에서 네 개의 결합날개(14) 중에서 하나의 결합날개(14)라도 잠그지 않게 되면, 용기본체(16) 내부에 있는 내용물이 외부로 흘러 내리거나 용기본체(16)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내용물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저장용기(10)는 커버(12)와 결합날개(14)의 연결 부분이, 결합날개(14)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오목하게 형성된 커버(12)와 결합날개(14)의 연결 부분으로 인해, 커버(12)가 청결하게 세척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저장용기(10)는 네 개의 결합날개(14)를 모두 세척해야 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의 저장용기(10)는 커버(12)의 내부에 삽입되는 고무 패킹(rubber packing)(15)을 구비하고 있다. 고무 패킹(15)은 커버(12)가 용기본체(16)에 결합하는 경우, 양자 사이를 씰링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종래의 저장용기(10)는 커버(12)의 반복적인 결합에 의해서 패킹(15)이 변형되거나 수축됨으로써 밀폐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커버를 용기본체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저장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패킹의 밀폐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저장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저장용기는, 커버, 패킹 및 용기본체를 포함하고, 커버에는 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커버와 패킹 사이에는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회전부재가 용기본체에 결합될 때, 회전부재는 커버를 일측으로 당겨서 용기본체에 결합되게 하고, 패킹의 수축에 의해 공기통로를 폐쇄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기통로는 커버에 형성되어 있고, 회전부재가 용기본체에 결합할 때, 공기통로는 패킹에 의해 가압되어 폐쇄될 수 있다.
커버는 내부둘레면 및 외부둘레면과, 내부둘레면 및 외부둘레면 사이에 형성된 패킹홈을 구비하고, 공기홈은 외부둘레면, 패킹홈 및 내부둘레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부둘레면에는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된 누름면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부재는 가압부재를 구비하며, 회전부재가 용기본체에 결합될 때, 가압부재는 누름면을 가압하여 공기통로가 폐쇄되게 할 수 있다.
패킹은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내부공간에는 패킹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커버를 용기본체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저장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의 분리 과정에서 패킹이 커버에서 이탈하는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저장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저장용기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의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예시된 저장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예시된 저장용기의 커버의 저면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예시된 저장용기의 회전부재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예시된 회전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예시된 패킹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예시된 용기본체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3에 예시된 용기본체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하는 초기 과정으로서, 회전부재와 회전걸림부의 결합관계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결합 상태에서, 측면돌기와 측면걸림부의 결합관계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커버가 도 10의 상태에서 일측 하방으로 이동한 것으로, 회전부재와 회전걸림부의 결합관계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상태에서, 측면돌기와 측면걸림부의 결합관계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커버가 도 12의 상태에서 더욱 일측 하방으로 이동하여 저장용기에 완전히 결합된 것으로, 회전부재와 회전걸림부의 결합관계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상태에서, 측면돌기와 측면걸림부의 결합관계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일측 및 타측 그리고 후면 및 측면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측방향, 일 측방향 및 타측 방향은 수평 방향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경사각을 갖는 측방향까지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는 음식물, 화장품 및 액세서리 등 다양한 물건을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의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예시된 저장용기(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모서리가 곡선으로 처리된 사각 형상을 갖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다각형, 타원형 또는 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커버(120), 용기본체(200) 및 패킹(260)을 포함한다. 커버(120)는 그 둘레에 용기본체(200)에 결합하기 위한 회전부재(14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하나의 회전부재(140)를 조작함으로써 커버(120)를 용기본체(200)에 대해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 할 수 있다.
커버(120)에는 패킹(260)이 결합된다.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 결합된 경우, 패킹(260)은 커버(120)와 용기본체(200) 사이에 개재되어 밀폐력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의 커버(12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2에 예시된 저장용기(100)의 커버(120)의 저면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커버(120)는 용기본체(200)에 결합하여 용기본체(200)를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커버(120)의 측면에는 하나의 회전부재(14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커버(120)는, 회전부재(140)가 용기본체(200)의 회전걸림부(22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일측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용기본체(200)에 대해 결합한다.
커버(120)는 커버바디(122), 외부둘레면(124), 후면돌기(130), 측면돌기(160), 내부둘레면(170) 및 패킹홈(180)을 포함한다. 그리고 커버(120)의 외부둘레면(124) 중 일 측에는 회전부재(14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커버바디(122)는 용기본체(200)의 상부를 커버하는 부분이므로 용기본체(200)와 유사한 횡단면을 갖는다. 그리고 커버바디(122)는 용기본체(200)에 올려진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용기본체(200)의 입구에 비해 약간 크게 형성된다. 커버바디(122)의 둘레에는 외부둘레면(124)이 형성되어 있고, 커버바디(122)의 내측에는 내부둘레면(170) 및 패킹홈(180)이 형성되어 있다.
외부둘레면(124)은 커버(120)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커버바디(122)에서 일정한 길이를 갖고 하향 연장되어 형성된다. 사각 형상을 갖는 커버바디(122)에서, 그 세 개의 측면에는 외부둘레면(124)이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하나의 측면(둘레홈(126)이 형성된 부분)에는 외부둘레면(124)이 형성되어 있지 않거나, 형성되어 있더라도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있다. 외부둘레면(124)이 형성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그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는, 회전부재(140)가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120)는 외부둘레면(124)이 세 개의 측면에서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하향 연장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커버(120)를 그 내면이 바닥을 향하게 두더라도, 커버(120) 내부의 내부둘레면(170) 및 패킹(260)은 바닥과 접촉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커버(120)를 뒤집어 놓지 않더라도, 커버(120)에 의해 바닥면이 오염되거나 또는 바닥면에 의해 커버(120)의 내면이 오염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외부둘레면(124)은 그 단면이 곡선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외부둘레면(124)의 내부에 위치하는 패킹(260)은, 이와 같은 외부둘레면(124)의 형상에 대응하여, 그 외측테두리(264)에 비해 내측테두리(266)가 높게 형성된다.
외측테두리(264)에 비해 내측테두리(266)가 더욱 높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 결합할 때 내측테두리(266)에 많은 탄성력이 가해지게 된다. 또한,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 대한 결합이 해제되는 경우, 내측테두리(26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커버(120)가 상부 측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외부둘레면(124)이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 결합할 때 커버(120)가 측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 결합할 때, 외부둘레면(124)의 내측면은 용기본체(200)의 용기단부(212)를 하향 압박하는데, 외부둘레면(124)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120)의 측면 이동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또한, 외부둘레면(124)은 용기본체(200)의 용기단부(212)의 외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저장용기(100)에 낙하 등에 의해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커버(120)의 측방향 이동을 억제하여 커버(120)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외부둘레면(124)의 일 측에는 둘레홈(126)이 형성되어 있다. 둘레홈(126)은 외부둘레면(124)에서 약간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에 해당한다. 둘레홈(126)에는 약간 오목하게 형성된 누름면(12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누름면(128)의 내측에는, 용기본체(20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통로에 해당하는 공기통로(129)가 형성되어 있다.
누름면(128)은 둘레홈(126)의 다른 부분에 비해서 두께가 얇게 형성된 부분에 해당한다. 그리고 누름면(128)은,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 결합하는 경우, 가압돌기(148)에 의해 가압되어 측방향으로 변형되면서 패킹(260)을 가압한다. 이로 인해, 누름면(128)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통로(129)가 패킹(260)에 의해 밀폐된다.
둘레홈(126)이 형성된 부분에는, 도 2에서와 같이 회전부재(140)가 외부둘레면(12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그리고 둘레홈(126)은, 회전부재(140)에 형성되어 있는 가압돌기(148)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외부둘레면(124)의 내측에는 한 쌍의 후면돌기(13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후면돌기(130)는 외부둘레면(124) 중에서 둘레홈(126)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후면돌기(130)는 용기본체(200)에 형성된 회전걸림부(220)에 걸리게 된다.
후면돌기(130)는 경사면(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은, 후면돌기(130)가 회전걸림부(220)의 회전걸림돌기(222)에 용이하게 걸릴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120)는 한 쌍의 후면돌기(130)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후면돌기(130)는 용기본체(200)의 용기테두리(210)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용기테두리(210)와 동일한 높이로 결합되거나 또는 그 상부에 결합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는 후면돌기의 높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외부둘레면(124)의 내측에는 한 쌍의 측면돌기(160)가 좌우 대칭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측면돌기(160)는 용기본체(200)에 형성된 측면걸림부(230)에 걸리게 된다.
측면돌기(160)의 측면 및/또는 상면에는 경사면(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은, 측면돌기(160)가 측면걸림부(230)에 용이하게 걸릴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120)는 좌우 두 개씩 모두 네 개의 측면돌기(160)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커버(120)는 좌우 각각 한 개 또는 세 개 이상의 측면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측면돌기(160)는 용기본체(200)의 용기테두리(210)의 하부에 걸리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용기테두리(210)와 동일한 높이로 결합되거나 또는 그 상부에 형성된 별도의 돌기(도시하지 않음)에 결합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는 측면돌기(160)의 높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커버바디(122)의 내면에는 내부둘레면(170)이 하향 돌출되어 있다. 내부둘레면(170)은 외부둘레면(124)의 내부에 위치한다. 내부둘레면(170)과 외부둘레면(124)의 사이에는, 패킹(260)이 삽입되는 패킹홈(180)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의 커버(120)는 용기본체(20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측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커버(120)의 측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내부둘레면(170)은 용기본체(200)의 입구에 비해 다소 작게 형성된다.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 결합하는 경우, 내부둘레면(170)은 용기본체(200)의 내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내부둘레면(170)에는 위치설정돌기(172)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하향 돌출 형성된다. 위치설정돌기(172)는, 커버(120)를 용기본체(200)에 올려 놓는 경우, 커버(120)의 위치 설정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위치설정돌기(172)는, 커버(120)가 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용기본체(200)의 내면과 접하면서, 커버(120)의 과도한 이동을 방지하는 기능도 한다.
도 4 내지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둘레홈(126)에 인접한 내부둘레면(170)의 내측면에는 공기통로(174)가 형성되어 있다. 공기통로(174)는,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 결합하는 경우, 용기본체(200)의 내부에 위치한다. 또한, 공기통로(174)는 다른 공기통로(129, 173)와 연통된다.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공기통로(129)가 회전부재(140)의 회전에 의해 개방되면, 공기는 다른 공기통로(173, 174)를 통해서 용기본체(20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로 인해, 커버(120)를 용기본체(200)로부터 분리할 때, 개방된 공기통로(129, 173, 174)로 인해서 진공압이 해제되어 커버(12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패킹홈(180)에는 패킹(260)이 삽입된다. 그리고 패킹홈(180)의 바닥면에는 공기통로(173)가 형성되어 있다. 패킹홈(180)의 바닥면은, 도 10 등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곡선 형상을 갖는 외부둘레면(124)에 의해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패킹홈(180)의 형상에 대응하여, 패킹(260)도 외측테두리(264)에 비해 내측테두리(266)가 높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커버(120)에 공기통로(129, 173, 174)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패킹(260) 및/또는 용기본체(200)에도 공기통로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커버(120)에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패킹(260)에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 결합할 때 패킹(260)에 형성된 공기통로는 커버에 의해 가압되어 공기통로가 폐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3 그리고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커버(120)에 결합되는 회전부재(14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2에 예시된 저장용기(100)의 회전부재(14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예시된 회전부재(140)의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 그리고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하나의 회전부재(140)를 구비한다. 그리고 회전부재(140)는 커버(120)의 외부둘레면(12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 결합할 수 있게 한다.
회전부재(140)는 절개부(141), 받침돌기(144), 회전잠금돌기(146) 및 가압돌기(148)를 포함한다. 회전부재(140)는 가압돌기(148)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141)는 회전부재(140)의 상부 중앙에 형성된 것으로, 그 내부에는 가압돌기(148)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절개부(141)의 좌우측에는 외부둘레면(124)과 연결되는 연결단부(142)가 각각 위치한다. 회전부재(140)는 연결단부(142)를 중심으로 회전을 한다.
받침돌기(144)는 가압돌기(148)의 좌우에 각각 대칭적으로 돌출 형성된다. 받침돌기(144)는, 회전부재(140)가 회전하여 용기본체(200)의 회전걸림부(220)에 결합하는 경우, 용기본체(200)의 용기테두리(210)를 가압한다. 그리고 회전부재(140)를 아래로 더욱 당기면, 회전부재(140)는 받침돌기(144)를 중심으로 회전을 하면서 커버(120)를 측방향으로 당기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돌기 형상의 받침돌기(144)에 의해서 커버(120)가 측방향으로 당겨지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받침돌기(144)가 형성된 부분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는 구조에 의해서도 커버(120)를 측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또한, 회전부재(140)의 연결단부(142)의 위치를 외부둘레면(124) 방향으로 더욱 안쪽으로 형성함에 의해서도 받침돌기(144)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회전부재(140)의 내면에는 한 쌍의 회전잠금돌기(146)가 돌출되어 있다. 회전잠금돌기(146)는 ㄴ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회전잠금돌기(146)는 용기본체(200)의 회전걸림돌기(222)에 결합한다.
가압돌기(148)는 회전부재(140)의 중앙에 하나가 구비된다. 가압돌기(148)는 ㄴ 형상을 갖고, 그 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된다.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 결합할 때, 가압돌기(148)는 누름면(128)을 가압하여 패킹(260)에 의해 공기통로(129, 174)가 폐쇄되게 한다. 그리고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서 분리될 때, 가압돌기(148)는 누름면(128)에 대한 측방향 가압을 해제하여 공기통로(129, 174)가 개방되게 한다. 또한,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서 분리될 때, 가압돌기(148)는 용기본체(200)에 구비된 가압돌기삽입홈(224)에 걸리게 되면서, 회전부재(140)의 상향 회전에 의해서 커버(120)가 들려지게(pushed up)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의 회전부재(140)는 대칭적으로 형성된 한 쌍의 받침돌기(144) 및 회전잠금돌기(146)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받침돌기 및 회전잠금돌기의 배치 형태 및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3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의 패킹(26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도 3에 예시된 패킹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패킹(260)은 커버(12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 결합할 때, 패킹(260)은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밀폐력을 제공한다.
패킹(260)은 내부공간(262), 외측테두리(264) 및 내측테두리(266)를 구비한다.
패킹(260)의 내부공간(262)은 패킹(260)의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에 해당한다. 내부공간(262)에는 다수 개의 패킹지지부(274)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패킹지지부(274)는 패킹(260)의 탄성복원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에 따른 패킹(260)은 수직으로 형성된 패킹지지부(274)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패킹지지부(274)는 수평 또는 경사 방향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측테두리(264)는 패킹(260)의 외측면을 형성하고, 내측테두리(266)는 패킹(260)의 내측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패킹홈(180)의 형상에 대응하여, 내측테두리(266)는 외측테두리(264)에 비해 높게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3 그리고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의 용기본체(2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도 3에 예시된 저장용기(100)의 용기본체(200)를 예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3에 예시된 용기본체(200)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 그리고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용기본체(200)는 일정한 부피를 갖고 그 내부에 내용물(도시하지 않음)을 수납할 수 있는 빈 공간을 갖는다. 용기본체(200)는 좌우 및 상하 대칭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커버(120)의 회전부재(140)가, 도 8에 예시된 용기본체(200)에 대해 좌우 임의의 방향에 배치되더라도 커버(120)의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용기본체(200)는 용기테두리(210), 측면걸림부(230) 및 회전걸림부(220)를 구비한다.
용기테두리(210)는 용기본체(200)의 둘레를 따라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용기테두리(210)에는, 회전부재(140) 또는 후면돌기(130)가 결합하는 회전걸림부(220)와, 측면돌기(160)가 결합하는 측면걸림부(23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용기테두리(210)에는 용기단부(212)가 상향 돌출되어 있다.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 결합한 경우, 용기단부(212)는 패킹(260)에 의해 가압된다. 그리고 도 9를 참조하면, 용기단부(212)는 그 단면이 곡선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따라서 가압된 패킹(260)은 용기단부(212)에 완전 밀착되는데, 이로 인해 패킹(260)의 밀폐력이 향상된다.
측면걸림부(230)는 용기본체(200)의 일 측면에 두 쌍씩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다. 측면걸림부(230)는 용기테두리(210) 중에서 커버(120)의 측면돌기(160)가 걸리는 부분이다. 그리고 측면걸림부(230)의 하부는 오목하게 형성되어, 측면돌기(160)가 용이하게 걸릴 수 있게 된다. 측면걸림부(230)의 입구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측면돌기(160)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측면걸림부(230)는 용기본체(200)의 일 측에 하나 또는 세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원형의 저장용기의 경우, 측면걸림부(230)는 용기본체의 임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측면걸림홈(232)은 용기테두리(210)의 일부가 절단된 형상을 갖는다.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 올려지는 경우, 측면돌기(160)는 측면걸림홈(232)을 통과하여 용기테두리(210)와 동일한 높이 또는 낮은 높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서 분리되는 경우, 측면돌기(160)는 측면걸림홈(232)을 통과하여서 용기테두리(210)에서 분리된다.
이동절개면(234)은 측면걸림홈(232)의 하부에 형성된 것으로, 용기본체(200)의 측면 일부가 약간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을 갖는다. 이동절개면(234)은 측면걸림부(230)의하부에 위치하는 측면돌기(160)의 측방향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회전걸림부(220)는 용기본체(200)의 타 측면에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다. 회전걸림부(220)에는 회전부재(140)의 회전잠금돌기(146)가 걸리게 된다. 그리고 회전걸림부(220)는 회전걸림돌기(222) 및 가압돌기삽입홈(224)을 구비한다.
회전걸림돌기(222)는 용기테두리(210)의 하면에서 하향 돌출되고,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다. 회전걸림돌기(222)에는 회전부재(140)의 회전잠금돌기(146) 또는 후면돌기(130)가 걸리게 된다.
회전걸림돌기(222)의 내측에는 가압돌기삽입홈(224)이 형성되어 있다. 가압돌기삽입홈(224)은 용기테두리(210)에서 일정한 깊이를 갖고 형성된 홈에 해당한다. 가압돌기삽입홈(224)에는 회전부재(140)에 구비된 가압돌기(148)의 끝부분이 삽입된다. 이로 인해, 가압돌기(148)가 용기테두리(210)에 걸려서 회전부재(140)의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120)를 용기본체(20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 회전부재(140)를 들어 올릴 때, 가압돌기(148)는 가압돌기삽입홈(224)에 걸리면서 커버(120)를 상부 측방향으로 들어 올리는 역할을 한다.
가압돌기삽입홈(224)은 홈 형상은 물론 돌기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압돌기삽입홈(224)은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용기(100)가 원형인 경우, 일정한 배치 간격으로 다수 개의 가압돌기삽입홈이 구비될 수 있다.
가압돌기삽입홈(224)의 바닥면 중앙에는 홀(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홀은 가압돌기삽입홈(224)에 유입된 이물질을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의 용기본체(200)는 하향 돌출된 회전걸림돌기(222)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회전부재(140)의 회전잠금돌기(146)와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서 돌기 형상뿐만 아니라 홈 형상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용기본체(200)의 측면은 약간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은, 용기본체(200)의 강도를 보강한다. 또한, 용기본체(200)의 측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은, 내용물(도시하지 않음)과 용기본체(200)의 내측면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여 공기의 순환을 용이하게 하고, 용기본체(200)에 있는 액체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의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 결합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 도 12 및 도 14은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 결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예시한 도면으로서, 회전부재(140)와 회전걸림부(220)의 결합관계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1, 도 13 및 도 15는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 결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예시한 도면으로서, 도 10, 도 12 및 도 14에 각각 대응하고, 측면돌기(160)와 측면걸림부(230)의 결합관계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는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 결합하는 초기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0에서 원의 내부는 공기통로(129, 173, 174)가 개방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커버(120)를 용기본체(200)에 결합하기 위해서 커버(120)를 용기본체(200)에 우선 올려 놓는다. 이때, 커버(120)에 구비된 내측둘레면(170) 및 위치설정돌기(172)는 용기단부(212)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커버(120)의 위치를 설정한다. 그리고 회전부재(140)의 받침돌기(144)는 용기테두리(210)와 접하고 있고, 가압돌기(148)의 끝부분은 가압돌기삽입홈(224)의 내부에 위치하며, 회전잠금돌기(146)는 회전걸림돌기(222)에 걸리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후면돌기(130)도 회전걸림돌기(222)에 걸리지 않은 상태에 있다.
그리고 공기통로(129, 173, 174)는 개방된 상태에 있다. 즉, 패킹(260)이 수직 방향으로 가압되지 않았기 때문에 패킹홈(180)에 형성된 공기통로(173)는 패킹(260)에 의해 폐쇄되지 않고 개방되어 있다. 또한, 누름면(128)도 가압돌기(148)에 의해 측방향으로 가압되지 않았기 때문에, 공기통로(129, 174)도 개방된 상태에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0의 상태에서 측면돌기(160)는 측면걸림홈(232)을 통과하여 용기테두리(210)에 비해 낮게 위치한다. 이때, 측면돌기(160)는 측면걸림부(220)에 걸리기 이전의 상태에 있다.
도 10 내지 도 11의 상태에서 회전부재(140)를 하향 가압하면(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커버(120)가 좌측 방향 및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도 12 내지 도 13의 상태로 된다.
도 12 내지 도 13은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 결합하는 중간 과정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의 상태에서, 회전부재(140)를 하향 가압하면, 받침돌기(144)가 용기테두리(210)를 가압한다. 이로 인해, 회전부재(140)는 받침돌기(144)를 중심으로 회전을 하면서 커버(120)를 측방향(도 10 및 도 11에서는 우측 방향) 및 하향 이동하게 하여 도 12 내지 도 13의 상태가 되게 한다.
커버(120)의 측방향 및 하향 이동에 의해,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측면돌기(160)도 측방향 및 하향 이동하면서 측면걸림부(230)에 걸리게 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결합의 초기 단계로서 회전부재(140)의 회전잠금돌기(146)는 회전걸림돌기(222)에 접한다. 또한, 후면돌기(130)도 마찬가지로 결합의 초기 단계로서 회전걸림돌기(222)에 접한다.
도 12 내지 도 13의 상태에서 회전부재(140)를 아래로 더욱 당기면 도 14 내지 도 15의 상태가 된다.
도 14 내지 도 15는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에서 원의 내부에는 공기통로(129, 173 174)가 폐쇄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 완전히 결합된 경우, 커버(120)의 회전잠금돌기(146)는 회전걸림돌기(222)에 결합되고, 커버(120)의 후면돌기(130)도 회전걸림돌기(222)에 결합된다. 따라서 커버(120)의 일 측(도 14에서 오른쪽 부분) 및 타 측(도 14에서 왼쪽 부분)이 모두 결합된다. 또한, 커버(120)의 측면돌기(160)도 모두 측면걸림부(230)에 걸리게 된다. 이로 인해, 커버(120)는 용기본체(200)를 하향 압박하면서 패킹(260)을 수축시켜서 밀폐력을 가하게 된다.
회전부재(140)가 용기본체(200)에 완전히 결합하여 패킹(260)이 커버(120)에 의해 하향 가압되면, 공기통로(173)는 패킹(260)에 의해 폐쇄된다. 그리고 가압돌기(148)는 커버(12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누름면(128)을 가압하는데, 이로 인해 공기통로(173, 174)가 폐쇄된다.
커버(120)에 의해 수축된 패킹(260)은 용기테두리(210)의 용기단부(212)에 완전히 밀착되어서 강한 밀폐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하나의 회전부재(140)만을 결합하면 되기 때문에 결합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하나의 회전부재(140)만을 구비하는 저장용기(100)는 구조가 간소하여 세척도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회전부재(140) 및 후면돌기(130) 그리고 좌우 대칭적으로 구비된 측면돌기(160)에 의해 용기본체(200)에 결합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의 커버(120)는 하나의 회전부재(140)만을 구비함에도 불구하고, 용기본체(200)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커버(120)를 용기본체(200)에서 분리하는 과정은, 커버(120)의 결합과정의 역순에 해당한다. 즉, 회전부재(140)를 위로 당기면, 도 14 내지 도 15의 상태에서, 도 12 내지 도 13의 상태 및 도 10 내지 도 11의 상태로 순차적으로 변하면서,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서 분리된다.
도 14 내지 도 15의 상태에서 회전부재(140)를 위로 당기면, 회전부재(140)의 회전잠금돌기(146)가 회전걸림돌기(222)에서 분리되기 시작한다.
회전부재(140)의 상승으로 인해서, 가압돌기(148)는 커버(120)의 누름면(128)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고, 커버(120)는 패킹(260에 대한 가압을 해제한다. 이로 인해 공기통로(129)가 개방되어서 용기본체(20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된다. 용기본체(200)의 내부에 유입된 공기는 진공압을 해제하여 커버(12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이와 같은 회전부재(140)의 상승으로 인해서 저장용기(100)는 도 12 내지 도 13의 상태가 된다.
도 12 내지 도 13의 상태에서 회전부재(140)를 더욱 위로 당기면, 가압돌기(148)가 가압돌기삽입홈(224)의 내부를 하향 가압하면서 커버(120)를 위로 들어 올리는 힘을 가하게 된다. 가압돌기(148)에 의한 커버(120)의 상승력에 의해서 커버(120)는 측방향(도 12 내지 도 13에서는 좌측 방향) 및 상향 이동한다.
회전부재(140)의 계속적인 상승에 의해서, 회전잠금돌기(146)는 회전걸림돌기(222)에서 완전히 분리되어 도 10 내지 도 11의 상태가 된다. 이때, 커버(120)도 측방향(도 10 내지 도 11에서 좌측 방향) 및 상향 이동을 완료하여 초기 상태가 된다. 도 10 내지 도 11의 초기 상태에서, 후면돌기(130)도 회전걸림돌기(222)에 대한 걸림이 해제되고, 측면돌기(160)도 측면걸림부(230)에 대한 걸림이 해제된다. 그리고 공기통로(129, 173, 174)는 완전히 개방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하나의 회전부재(140)만을 들어 올리면 되기 때문에, 커버(120)를 용기본체(20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특히, 회전부재(140)의 상승 과정에서, 가압돌기(148)가 가압돌기삽입홈(224)에 걸려서 커버(120)를 측방향 및 상향으로 이동하게 하기 때문에, 커버(120)를 더욱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회전부재(140)의 상승에 의해 공기통로(129, 173, 174)가 개방되기 때문에, 진공압에 의해 커버(120)를 쉽게 분리할 수 없는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회전부재(140)가 커버(120)에 결합되어서, 잠금 과정에서 커버(120)가 일측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하지만, 회전부재(140)는 용기본체(200)에도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회전부재(140)가 커버(12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커버(120)는 일측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저장용기 120: 커버
124: 외부둘레면 130: 후면돌기
140: 회전부재 160: 측면돌기
170: 내부둘레면 180: 패킹홈
200: 용기본체 210: 용기테두리
230: 측면걸림부 220: 회전걸림부
260: 패킹

Claims (5)

  1. 커버, 패킹 및 용기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에는 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커버와 패킹 사이에는 공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내부둘레면 및 외부둘레면과, 상기 내부둘레면 및 외부둘레면 사이에 형성된 패킹홈을 구비하며,
    상기 공기통로는, 상기 외부둘레면의 내측면 및 상기 내부둘레면의 외측면과, 상기 패킹홈의 바닥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될 때,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외부둘레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공기통로가 폐쇄되며,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용기본체에서 분리될 때,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외부둘레면에 대한 가압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공기통로가 개방되는 저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둘레면에는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된 누름면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는 가압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될 때,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누름면을 가압하여 공기통로가 폐쇄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공간에는 패킹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4. 삭제
  5. 삭제
KR1020130023145A 2013-03-05 2013-03-05 저장용기 KR102052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145A KR102052955B1 (ko) 2013-03-05 2013-03-05 저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145A KR102052955B1 (ko) 2013-03-05 2013-03-05 저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9029A KR20140109029A (ko) 2014-09-15
KR102052955B1 true KR102052955B1 (ko) 2019-12-06

Family

ID=51755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3145A KR102052955B1 (ko) 2013-03-05 2013-03-05 저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9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271A (ko) 2019-05-08 2020-11-18 쓰리웨이테크놀러지(주) 슬라이드 개폐식 커버의 보관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5995A (en) 1995-03-31 1996-09-17 Galer; Herbert W. Square container for hazardous powdered materials
JP2004307059A (ja) 2003-04-08 2004-11-04 Hana Cobi Co Ltd 飲食物保管容器
JP2009241970A (ja) 2008-03-31 2009-10-22 Yoshino Kogyosho Co Ltd 容器
JP2012192976A (ja) 2011-02-28 2012-10-11 Iwaki Houseware Co Ltd 開閉蓋付き容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0058U (ko) * 1986-02-08 1987-08-17
KR20090006782U (ko) * 2007-12-31 2009-07-03 윤종병 밀폐용기용 패킹의 구조
KR101348305B1 (ko) * 2012-01-20 2014-01-08 구홍식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5995A (en) 1995-03-31 1996-09-17 Galer; Herbert W. Square container for hazardous powdered materials
JP2004307059A (ja) 2003-04-08 2004-11-04 Hana Cobi Co Ltd 飲食物保管容器
JP2009241970A (ja) 2008-03-31 2009-10-22 Yoshino Kogyosho Co Ltd 容器
JP2012192976A (ja) 2011-02-28 2012-10-11 Iwaki Houseware Co Ltd 開閉蓋付き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9029A (ko) 2014-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1023501A9 (nl) Een capsule, een systeem voor het bereiden van een drinkbaar brouwsel uit een dergelijke capsule en het gebruik van dergelijke capsule in een drankbereidingsinrichting
JP6111272B2 (ja) 格納容器
KR101348305B1 (ko)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
EP2508442A2 (en) Storage container
JP2016152921A (ja) 摂取に適する所定量の飲料を用意するためのカプセル、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40036914A (ko) 용기본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
IL272047B2 (en) Assembly of a capsule and brewing chamber, brewing chamber,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capsule and use of the capsule
KR102052955B1 (ko) 저장용기
KR20150030128A (ko)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
WO2014160608A1 (en) Vacuum container, cap, and vacuum container assembly
CN108291571A (zh) 改进的吸足
US2857947A (en) Food container
KR20140120237A (ko) 저장용기
KR101215123B1 (ko) 조리용기 뚜껑의 탈부착 손잡이
KR20140036578A (ko) 저장용기
KR101818944B1 (ko) 수직이동자를 사용한 첨가제 수용 용기마개
KR20160033086A (ko) 밀폐용기용 커버
KR101285178B1 (ko) 밀폐용기
KR101378076B1 (ko) 구이판
US20210387772A1 (en) Storage container
KR20160048734A (ko) 저장용기
KR20140003546U (ko) 기울어지지 않으면서 수직으로 승하강 되는 밀폐용기 속뚜껑
KR20180004415A (ko) 저장용기
KR20130121641A (ko) 저장용기
KR101348309B1 (ko) 밀폐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