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546U - 기울어지지 않으면서 수직으로 승하강 되는 밀폐용기 속뚜껑 - Google Patents

기울어지지 않으면서 수직으로 승하강 되는 밀폐용기 속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546U
KR20140003546U KR2020120011280U KR20120011280U KR20140003546U KR 20140003546 U KR20140003546 U KR 20140003546U KR 2020120011280 U KR2020120011280 U KR 2020120011280U KR 20120011280 U KR20120011280 U KR 20120011280U KR 20140003546 U KR20140003546 U KR 2014000354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lid
lid
lid body
lowered
til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12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4242Y1 (ko
Inventor
김진란
Original Assignee
김진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란 filed Critical 김진란
Priority to KR20201200112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242Y1/ko
Publication of KR201400035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5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2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2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8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 A47J47/10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2Apparatus for compressing sauerkra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means for keeping contents in position, e.g. resilient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밀폐용기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속뚜껑에 관한 것으로, 밀폐용기에 삽입되는 속뚜껑의 구조를 속뚜껑 본체의 외주면에 상,하 수직으로 이루어지는 테두리벽을 형성하고, 테두리벽의 외측으로는 2단으로 형성되는 가압날개를 구비토록 함으로써 속뚜껑이 함체의 내벽에 밀착되어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하 승강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속뚜껑을 삽입하거나 인출할 때 수평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승,하강되도록 하여 속뚜껑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속뚜껑 본체의 하단에는 각 모서리 부분에 하측으로 돌출되게 받침부를 형성함으로써 속뚜껑 본체가 바닥면에 직접 닿지 않고 상부로 뜬 상태를 유지하여 양념이 바닥에 묻지 않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기울어지지 않으면서 수직으로 승하강 되는 밀폐용기 속뚜껑{inner lid of airtight container}
본 고안은 밀폐용기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속뚜껑에 관한 것으로, 속뚜껑을 삽입하거나 인출할 때 좌,우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되면서 수직으로 승하강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폐용기는 김치와 같은 반찬을 포함하여 다양한 음식물을 담아 보관하는 용기로, 함체와 뚜껑으로 이루어져 뚜껑에 형성된 패킹에 의하여 외기가 차단되도록 닫아 보관함으로써 음식물을 장기간 보관할 경우에 부패를 방지하면서도 음식물 냄새가 밖으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하는 용도로 사용되어진다.
그러나 최근에는 밀폐용기 내부에 속뚜껑을 마련하여 담겨진 음식물의 양에 맞추어서 속뚜껑을 하강토록 하여 밀폐용기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 즉 담겨진 음식물이 줄어들 경우에 줄어든 양에 따라 속뚜껑을 눌러줘 담겨진 음식물과의 ㅅ사상사이에 공간을 제거하여 음식물의 건조나 산패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속뚜껑의 문제가 속뚜껑을 삽입하거나 인출하는 과정에서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고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져 음식물이 묻게 되므로 사용이 매우 불편한 것이다.
또한, 속뚜껑은 음식물과 공기가 맞닿게 되는 것을 차단하여 산패를 방지하는 기능이 있는데, 속뚜껑이 기울어지게 되면 속뚜껑이 공기를 차단하지 못하게 되므로 속뚜껑을 사용하는 의미가 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김치와 같이 양념이 많이 묻어있는 음식물의 경우에는 속뚜껑을 사용중에 속뚜껑 하단에 양념이 묻게 되는데, 그 상태에서 식탁이나 싱크대 테이블에 속뚜껑을 올려두면 양념이 식탁이나 싱크대 테이블에 묻게 되므로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식탁이나 싱크대 테이블에 올려놓을 경우에는 속뚜껑을 뒤집어서 올려놓거나 또는 싱크대 내부에 넣어 두면서 사용하므로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00320호(2005.06.30)
따라서 본 고안은 밀폐용기에 삽입되는 속뚜껑의 구조를 개선하여 속뚜껑을 삽입하거나 인출할 때 수평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승,하강되도록 하여 속뚜껑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속뚜껑의 구조가 간단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속뚜껑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함체와의 밀폐 구조가 긴밀히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속뚜껑을 빼서 잠시 보관할 경우에 뒤집어서 보관할 필요없이 식탁이나 싱크대에 놓을 경우에도 속뚜껑의 하단에 묻은 음식물이 식탁이나 싱크대 테이블에 묻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함체와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밀폐용기의 내공간에 삽입되는 속뚜껑을 구비하고, 그 속뚜껑 본체의 외주면에 상,하 수직으로 이루어지는 테두리벽을 형성하고, 테두리벽의 외측으로는 2단으로 형성되는 가압날개를 구비토록 함으로써 속뚜껑이 함체의 내벽에 밀착되어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하 승강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속뚜껑 본체의 하단에는 각 모서리 부분에 하측으로 돌출되게 받침부를 형성함으로써 속뚜껑 본체가 바닥면에 직접 맞닿지 않고, 상부로 뜬 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양념이 바닥에 묻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이 받침부의 구조를 연질체로 형성함으로써 바닥에 놓을 경우에도 충격을 최소화하여 양념이 떨어지지 않게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속뚜껑을 밀폐용기에 삽입하거나, 밀폐용기에 삽입되어 있는 속뚜껑을 인출할 때 속뚜껑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수직 승,하강 되므로 속뚜껑이 기울어져 음식물 등이 묻는 것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속뚜껑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압날개의 2중 밀폐 구조에 의하여 밀폐용기 내벽에 양념이 남아있지 않도록 하면서도 공기차단이 긴밀히 이루어짐에 따라 음식물의 산패를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음식물을 장기간 보관할 경우에도 음식물이 변질되지 않고 맛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속뚜껑을 꺼낸 상태에서 식탁이나 싱크대 테이블에 잠시 보관할 경우에도 양념이 식탁 상판이나 싱크대 테이블 상면에 묻지 않고 청결하고도 위생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밀폐용기 속뚜껑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밀폐용기 속뚜껑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속뚜껑의 끼움 구조를 나타낸 밀폐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속뚜껑이 삽입되는 상태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속뚜껑이 인출되는 상태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속뚜껑의 가압날개에 컬이 형성된 상태의 부분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속뚜껑의 손잡이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속뚜껑의 저면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속뚜껑의 탄성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장착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내공간(110)을 갖도록 되면서 상측이 개방된 함체(100)에 뚜껑(200)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밀폐용기에 내장되는 속뚜껑(1)에 있어서, 속뚜껑(1)의 테두리가 내공간(110)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승강되도록 속뚜껑 본체(10)의 외측으로 연질체로 이루어지는 탄성부(20)를 형성하여 함체(100)의 내벽에 탄성부(20)가 밀착된 상태로 속뚜껑(1)의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탄성부가 탄성력에 의하여 내벽에 밀착 고정됨으로써 사용자가 조작하는 외력에 의하지 않고서는 임의로 승강되지 않으면서 삽입된 위치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러한 탄성부(20)의 구조를 2단으로 형성되는 가압날개(21)를 이용하여 내벽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속뚜껑(1)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도 밀폐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뚜껑 본체(10)의 외주면에 수직으로 직립되게 테두리벽(11)을 형성하면서 그 테두리벽(11)에 연질체로 이루어진 탄성부(20)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탄성부(20)는 외측으로 상,하 2단으로 가압날개(21)를 형성함으로써 상부측에 형성된 가압날개(21)와 하부측에 형성된 가압날개(21)가 함체(100)의 내벽에 밀착되어 속뚜껑(1)의 수평 상태를 지지하면서 속뚜껑(1)이 상,하측으로 수직이동을 할 경우에도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승강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속뚜껑(1)을 삽입하기 위하여 도 4와 같이 하측으로 밀어 넣거나, 또는 도 5와 같이 속뚜껑(1)을 인출하기 위하여 상측으로 당길 경우에도 속뚜껑(1)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삽입, 인출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따라서 사용자에 의한 부주의로 속뚜껑의 일부가 음식물에 잠겨서 양념이 묻어나게 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탄성부(20)는 속뚜껑 본체(10)와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하도록 하면 속뚜껑 본체(10)는 일정한 경도를 갖도록 하면서 그 테두리부분, 즉 탄성부(20)만 탄성 작동하도록 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속뚜껑 본체(10)와 탄성부(20)는 개별적으로 형성하여 끼움 조립에 의하여 제작할 수 있으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속뚜껑 본체(10)와 탄성부(20)를 서로 다른 재질로 이중 사출 등으로 성형하여 연질의 탄성부(20)가 속뚜껑 본체(10)의 테두리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압날개(21)의 단면 두께가 외측으로 점차 얇아지게 형성하면 외측으로 갈수록 가압날개(21)가 유연하게 작동하게 되므로 속뚜껑의 승강 작동이 용이하면서도 함체(100)의 내벽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이때 가압날개(21)의 단면을 도 6과 같이 단부가 상부측으로 만곡되도록 형성하면 가압날개(21)의 테두리에 컬(21a)이 형성되어 속뚜껑(1)을 눌러서 삽입할 때 컬(21a)의 만곡된 면을 타고 용이하게 삽입되는 것이고, 속뚜껑(1)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안정적으로 하강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되는 것이다.
또한, 속뚜껑(1)을 상부측으로 견인하여 인출할 때는 함체의 내벽에 밀착되어 있는 컬(21a)이 휘거나 뒤집어지면서 함체(100) 내벽과의 밀착상태를 일시에 해제하게 되는 것이고, 따라서 사용자가 속뚜껑(1)을 쉽게 인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속뚜껑(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탄성부(20)의 가압날개(2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짧게 형성하면 속뚜껑의 수평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속뚜껑 본체(10)에 탄성부(20)를 형성함에 있어서, 속뚜껑 본체(10)의 외주면에 내입단턱(12)을 형성하면 탄성부(20)가 내입단턱(12)에 삽입되게 부착되면서 가압날개(21)만 돌출되게 하여 미관을 수려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속뚜껑 본체(10)는 공기홀(13)을 형성하고, 그 공기홀(13)에 마개(14)를 장착하면 마개(14)의 개방 여부에 따라서 속뚜껑(1)을 삽입하거나 인출할 때 통기가 이루어지도록 되면서 더욱 쉽게 삽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공기홀(13)의 개폐 구조는 이미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구조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속뚜껑 본체(10)의 상부측으로 손잡이(15)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함체(100)에 속뚜껑(1)을 눌러 삽입하거나 인출할 때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러한 손잡이는 밀폐용기의 내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손잡이(15)를 절첩식으로 장착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즉, 속뚜껑(1)을 삽입하거나 인출할 때 손잡이를 세워 사용하고, 밀폐용기를 보관하고자 할 때는 손잡이(15)를 접어서 속뚜껑(1)과 함체(100)를 덮는 뚜껑(200)과의 이격공간이 최대한 발생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뚜껑 본체(10)에 요입부(15a)를 형성하고, 그 요입부(15a)의 양측에 힌지홀(15b)을 형성하여 힌지홀(15b)에 손잡이(15)를 에 끼워 절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손잡이(15)가 축 결합 된 상태에서 절첩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속뚜껑 본체(10)의 하측으로는 각 모서리 부분에 하측으로 돌출되게 받침부(30)를 형성하면 속뚜껑(1)을 밀폐용기에서 빼서 잠시 보관할 때 속뚜껑 본체(10)가 바닥면으로부터 뜬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속뚜껑 본체(10)가 식탁이나 싱크대 테이블과 같은 바닥면에 직접 맞닿게 되지 않고 뜬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속뚜껑(1) 하부에 묻어있는 양념이 바닥에 묻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받침부(30)는 속뚜껑 본체(10) 또는 탄성부(20)와 일체로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탄성부(20)의 접착 구조가 속뚜껑 본체(10)의 하부면까지 연장되도록 하면서 그 연장된 부분에 받침부(30)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접착 공정이나 조립공정이 필요없이 속뚜껑 본체(10)와 탄성부(20)의 제조시 탄성부(20)와 받침부(30)가 속뚜껑 본체(10)에 접착된 상태로 일체로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받침부(30)를 연질체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받침부(30)의 탄성력에 의하여 속뚜껑을 꺼낸 상태에서 식탁이나 싱크대 테이블에 속뚜껑(1)을 잠시 올려놓고 보관할 경우에도 속뚜껑을 놓을 때 충격을 흡수하여 완충작용을 함으로써 양념이 식탁 상판이나 싱크대 테이블 상면에 떨어지지 않게 되며 청결하고도 위생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 속뚜껑
10: 속뚜껑 본체 11: 테두리벽
12: 내입단턱 13: 공기홀
14: 마개 15: 손잡이
20: 탄성부 21: 가압날개
21a: 컬
30: 받침부
100: 함체 110: 내공간
200: 뚜껑

Claims (6)

  1. 내공간(110)을 갖는 함체(100)와 뚜껑(200)으로 이루어지는 밀폐용기에 내장되는 속뚜껑(1)에 있어서,
    상기 속뚜껑(1)은 속뚜껑 본체(10)의 외주면에 수직으로 직립되게 테두리벽(11)이 형성되면서 그 테두리벽(11)에는 연질체로 이루어진 탄성부(20)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20)는 외측으로 상,하 2단으로 가압날개(21)가 형성되어 상부측에 형성된 가압날개(21)와 하부측에 형성된 가압날개(21)가 속뚜껑의 수평 상태를 지지하면서 상,하 수직으로 승강 작동을 유도하도록 되는 기울어지지 않으면서 수직으로 승하강 되는 밀폐용기 속뚜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속뚜껑 본체(10)와 탄성부(20)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져 이중사출로 성형제작되고, 가압날개(21)는 외측으로 점차 두께가 얇아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어지지 않으면서 수직으로 승하강 되는 밀폐용기 속뚜껑.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속뚜껑 본체(10)는 외주면에 내입단턱(12)이 형성되어 탄성부(20)가 내입단턱(12)에 삽입되게 부착되면서 가압날개(21)만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어지지 않으면서 수직으로 승하강 되는 밀폐용기 속뚜껑.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속뚜껑 본체(10)는 공기홀(13)이 형성되고, 그 공기홀(13)에 마개(14)가 장착되어 마개(14)의 개방 여부에 따라서 속뚜껑(1)을 삽입하거나 인출할 때 통기가 이루어지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어지지 않으면서 수직으로 승하강 되는 밀폐용기 속뚜껑.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속뚜껑 본체(10)는 힌지 작동하면서 절첩되는 손잡이(1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어지지 않으면서 수직으로 승하강 되는 밀폐용기 속뚜껑.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속뚜껑 본체(10)의 하측으로는 각 모서리 부분에 하측으로 돌출되게 받침부(30)가 형성되어 속뚜껑 본체(10)가 바닥면으로부터 뜬 상태를 유지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어지지 않으면서 수직으로 승하강 되는 밀폐용기 속뚜껑.
KR2020120011280U 2012-12-04 2012-12-04 기울어지지 않으면서 수직으로 승하강 되는 밀폐용기 속뚜껑 KR2004742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280U KR200474242Y1 (ko) 2012-12-04 2012-12-04 기울어지지 않으면서 수직으로 승하강 되는 밀폐용기 속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280U KR200474242Y1 (ko) 2012-12-04 2012-12-04 기울어지지 않으면서 수직으로 승하강 되는 밀폐용기 속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546U true KR20140003546U (ko) 2014-06-12
KR200474242Y1 KR200474242Y1 (ko) 2014-09-03

Family

ID=52000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1280U KR200474242Y1 (ko) 2012-12-04 2012-12-04 기울어지지 않으면서 수직으로 승하강 되는 밀폐용기 속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2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74571A1 (ko) * 2017-03-24 2018-09-27 주식회사 쓰리스타 진공밀폐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687Y1 (ko) * 2017-11-28 2020-06-02 추중휴 저장식품 누름용 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830Y1 (ko) * 2001-10-18 2002-01-05 윤인서 넘침 방지용 김치 보관 용기
US7494025B2 (en) * 2005-02-14 2009-02-24 Planetary Design, Llc Internal cover for enclosing container conten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74571A1 (ko) * 2017-03-24 2018-09-27 주식회사 쓰리스타 진공밀폐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242Y1 (ko) 2014-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73366A1 (en) Fast freeze container and seal
KR200465164Y1 (ko) 물김치의 건더기 침지를 위한 속뚜껑이 구비된 밀폐용기
KR101975660B1 (ko) 밀폐용기
KR200474242Y1 (ko) 기울어지지 않으면서 수직으로 승하강 되는 밀폐용기 속뚜껑
KR101790244B1 (ko) 캡형 물티슈
USD517318S1 (en) Storage container for packaged collectible items
KR200466582Y1 (ko) 밀폐형 음식물 보관 용기용 누름판의 쏠림 방지구조
KR200472089Y1 (ko) 밀폐용기
USD931059S1 (en) Insulated container
KR101786163B1 (ko)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KR200403040Y1 (ko) 식품보관용 잠금구조
KR20050081348A (ko) 용량가변 밀폐용기
KR100606603B1 (ko) 밀폐성이 개선된 진공용기
KR200336409Y1 (ko) 밀폐보장이 가능한 용기 밀폐구조
KR100749826B1 (ko) 밀폐용기
KR200253340Y1 (ko) 진공용기
JP3225210U (ja) 真空鮮度保存容器
KR102249433B1 (ko) 유아용 밀폐 용기
USD954293S1 (en) Lid for sample storage container
KR200385832Y1 (ko) 실링지를 이용한 식품보관용 밀폐구조
KR200485154Y1 (ko) 용기용 캡의 구조
KR200474353Y1 (ko) 용기에 담겨진 발효식품과 뚜껑과의 사이에 공기층을 제거하기 위한 누름을 위한 속뚜껑
KR101962935B1 (ko) 휴대용 진공 보관용기
KR20080005911U (ko) 밀폐용기
KR20040054462A (ko) 다수의 수용 내용물에 대한 독립적 밀폐 및 사용이 용이한식품보관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