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3241B1 -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 - Google Patents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3241B1
KR101063241B1 KR1020090095120A KR20090095120A KR101063241B1 KR 101063241 B1 KR101063241 B1 KR 101063241B1 KR 1020090095120 A KR1020090095120 A KR 1020090095120A KR 20090095120 A KR20090095120 A KR 20090095120A KR 101063241 B1 KR101063241 B1 KR 101063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tact portion
packing
hole
vacuum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5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7611A (ko
Inventor
김천용
Original Assignee
(주)코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덱스 filed Critical (주)코덱스
Priority to KR1020090095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3241B1/ko
Publication of KR20110037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3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3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08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 bo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3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 B65D51/164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the element being a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 B65D2543/00962Sealing means inserted
    • B65D2543/0097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은 내용물이 담기는 공간이 마련된 용기 본체의 입구부를 개폐하며, 일부에 밸브 장착공과 밸브 장착공에 인접하여 공기 연락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테두리의 내측으로 하방을 향해 개구된 'ㄷ'자 형상의 패킹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뚜껑 몸체, 공기 연락공을 포위하는 몸체부의 저면에 결합 돌기를 구비하고 밸브 장착공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공기 연락공을 포위하여 개폐함에 의해 공기 연락공을 통해 용기 본체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한편 외부로부터의 공기 유입을 차단하는 체크 밸브, 그리고 패킹 장착홈에 수용 장착되며, 패킹 장착홈의 상면에 밀착되는 상부 밀착부와 상부 밀착부와 일측이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하부로 연장되어 있는 연결부와 연결부의 측면으로부터 상부 밀착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적어도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중간 공기 배출홈이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밀착부 및 연결부의 타측과 상부 밀착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밀착되어 용기 내부를 진공화시키는 하부 밀착부를 갖는 패킹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우수한 탄성 복원력을 갖는 패킹 구조를 통해 사용자가 별도의 고진공화장치를 이용하거나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도 손쉽게 용기 내부를 고진공화 함으로써 용기의 밀폐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외부 공기의 유입 차단을 위해 용기 본체의 입구부와 밀착되는 패킹이 충분한 두께를 가질 뿐만 아니라 패킹 장착홈 내에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한체 밀폐가 이루어져 초기의 고진공 상태를 장시간 지속시킬 수 있어 음식물 등의 내용물의 변질 또는 부패를 방지하고 신선도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다.
진공 용기, 밸브 장착공, 체크 밸브, 패킹, 공기 배출공

Description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THE VACUUM VESSEL COVER WHOSE SHUTTING TIGHTLY IS EASY}
본 발명은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패킹을 구비한 뚜껑을 눌러 용기 내부의 공기를 체크 밸브를 통해 배출함으로써 용기 내부를 진공 밀폐시켜 내부에 보관되는 음식물 등의 내용물의 부패를 막고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진공 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등의 내용물의 변질을 방지하고 장기간 보관하기 위해서 음식물의 냉장 보관 기술과 함께 음식물 등은 진공 상태에서는 오래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음식물 등이 담긴 용기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어 보관하는 진공 용기가 개발되어 사용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진공 용기에 관한 대표적인 종래 기술로는 도면 도 12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뚜껑에 공기를 빼낼 수 있는 체크 밸브가 구비된 2006.08.11일자로 출원인 '박윤식'에 의해 출원된 특허공개번호 제2008-0014536호에 기재된 "다용도 진공 용기 뚜껑"이 있다.
여기서, 도 12 및 도 13은 각각 종래의 진공 용기 뚜껑이 적용된 진공 용기 의 조립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14는 도 12의 A-A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 도 15 및 도 16은 각각 종래의 진공 용기 뚜껑이 적용된 진공 용기의 진공 밀폐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진공 용기 뚜껑은 음식물 등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있는 용기 본체(10)의 개구된 입구부(12)에 장착되어 입구를 개폐하도록 가운데 부분에 밸브 안착홈(22) 및 공기 연락공(24)이 형성되어 있은 뚜껑 몸체(20), 이 뚜껑 몸체(20)의 밸브 안착홈(22)에 장착되어 공기의 유출입을 통제하는 체크 밸브(30), 및 뚜껑 몸체(20)의 테두리(28)의 내측 패킹 장착홈(28-1)에 장착되어 밀폐시 용기 본체(10)의 입구부(12) 내면과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패킹(40)을 구비하고 있다.
패킹(40)은 내측의 수직한 장착부(42)와 이 장착부(42)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면서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용기 본체(10)의 입구부(12) 내면에 밀착되며 단부 근방에 위쪽으로 탄성 돌기(44-1)가 형성된 밀착부(44)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밀착부(44)는 단부로 갈수록 그 두께가 얇아지는 구성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진공 용기 뚜껑의 사용 방법을 살펴보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0)의 내부에 음식물 등의 내용물을 넣은 상태에서 용기 본체(10)의 입구부(12)에 뚜껑을 덮고서 사용자가 뚜껑 몸체(20)를 아래 방향으로 누르면 패킹(40)의 밀착부(44)가 용기 본체(10)의 입구부(12)에 접촉하며 그 외측 단부가 위로 향하는 상태로 휘어지면서 뚜껑이 하강하여 용기 본체(10) 내의 공기는 공기 연락공(24)을 통해 체크 밸브(30)를 들어올리면서 용기(1)로부터 배출된다. 사용자의 누르는 작동력이 제거되면 하강된 뚜껑은 패킹(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약간 상승하면서 용기 내부의 공기를 팽창시켜 용기 내를 진공화시키게 된다. 이때, 패킹(40)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0)의 입구부(12) 내면에 부합되는 형태로 휘어지면서 밀착되어 용기 본체(10)의 입구를 폐쇄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진공 용기 뚜껑은 패킹(40)의 밀착부(44)가 외측 단부로 갈수록 그 두께가 아주 얇아지는 구성으로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입구부(12) 내면에 밀착되는 밀착부(44)의 외측 단부가 매우 얇아 사용자가 뚜껑 몸체(20)를 아래 방향으로 힘껏 누르더라도 패킹(40)의 탄성 복원력이 미미하여 용기 내를 고진공화가 어렵기 때문에 밀폐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패킹(40)의 구조로 인해 용기 내 고진공 형성을 위해서는 별도의 진공화장치를 이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패킹(40)의 밀착부(44)는 외측 단부가 입구부(12) 내면에 부합되는 형태로 휘어지면서 밀착된체 용기 본체(10)의 입구를 폐쇄하기 때문에 밀착부(44)의 밀착 부분이 얇으면서도 불안정한 형상으로 밀폐가 이루어져 시간이 지날수록 밀착부(44)의 외측 단부로 외부 공기가 용기 내부로 서서히 유입되면서 용기 내부의 진공력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진공화장치를 이용하거나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도 손쉽게 용기 내부를 고진공화 함으로써 용기의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초기의 고진공 상태를 장시간 지속시킴으로써 음식물 등의 내용물의 변질 또는 부패를 방지하고 신선도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진공 용기 뚜껑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은 내용물이 담기는 공간이 마련된 용기 본체의 입구부를 개폐하며, 일부에 밸브 장착공과 상기 밸브 장착공에 인접하여 공기 연락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테두리의 내측으로 하방을 향해 개구된 'ㄷ'자 형상의 패킹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뚜껑 몸체, 상기 공기 연락공을 포위하는 몸체부의 저면에 결합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장착공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공기 연락공을 포위하여 개폐함에 의해 상기 공기 연락공을 통해 상기 용기 본체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한편 외부로부터의 공기 유입을 차단하는 체크 밸브, 그리고 상기 패킹 장착홈에 수용 장착되며, 상기 패킹 장착홈의 상면에 밀착되는 상부 밀착부와 상기 상부 밀착부와 일측이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하부로 연장되어 있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상부 밀착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공기 배출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밀착부 및 상기 연결부의 타측과 상기 상부 밀착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밀착되어 상기 용기 내부를 진공화시키는 하부 밀착 부를 갖는 패킹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밀착부는 상기 상부 밀착부보다 단면적이 작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를 상기 하부 밀착부에 밀착시켜 상기 용기 내부를 진공화시키는 경우, 상기 공기 배출공 및 상기 하부 밀착부의 측면을 통해 상기 패킹 장착홈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공은 직경이 1 내지 2 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밀착부는 상기 공기 배출공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공기 배출공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패킹 장착홈은 측면에 상기 상부 밀착부를 수용하여 결합하는 걸림턱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은 내용물이 담기는 공간이 마련된 용기 본체의 입구부를 개폐하며, 일부에 밸브 장착공과 상기 밸브 장착공에 인접하여 공기 연락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테두리의 내측으로 하방을 향해 개구된 'ㄷ'자 형상의 패킹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뚜껑 몸체, 상기 공기 연락공을 포위하는 몸체부의 저면에 결합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장착공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공기 연락공을 포위하여 개폐함에 의해 상기 공기 연락공을 통해 상기 용기 본체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한편 외부로부터의 공기 유입을 차단하는 체크 밸브, 그리고 상기 패킹 장착홈에 수용 장착되며, 상기 패킹 장착홈의 상면에 밀착되는 상부 밀착부와 상기 상부 밀착부와 일측이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하부로 연장되어 있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상부 밀착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적어도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중간 공기 배출홈이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밀착부 및 상기 연결부의 타측과 상기 상부 밀착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밀착되어 상기 용기 내부를 진공화시키는 하부 밀착부를 갖는 패킹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밀착부는 측면에 상기 중간 공기 배출홈에 대응하는 하부 공기 배출홈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를 상기 하부 밀착부에 밀착시켜 상기 용기 내부를 진공화시키는 경우, 상기 중간 공기 배출홈 및 상기 하부 공기 배출홈을 통해 상기 패킹 장착홈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패킹은 전체 높이가 15 내지 20 mm 이며, 각 밀착부의 높이는 1 내지 2 mm 이며, 상기 패킹은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를 상기 하부 밀착부에 밀착시켜 진공 밀폐시키는 경우 높이에 대한 최대 수축률이 40 내지 60 퍼센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 공기 배출홈은 가로가 2 내지 4 mm 이며, 세로가 5 내지 7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밀착부는 측면에 상기 중간 공기 배출홈에 대응하는 상부 공기 배출홈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패킹 장착홈은 측면에 상기 상부 밀착부를 수용하여 결합하는 걸림턱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에 의하면 우수한 탄성복원력을 갖는 패킹 구조를 통해 사용자가 별도의 진공화장치를 이용하거나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도 손쉽게 용기 내부를 고진공화 함으로써 용기의 밀폐가 용이한 유리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에 의하면 외부 공기의 유입 차단을 위해 용기 본체의 입구부와 밀착되는 패킹이 충분한 두께를 가질 뿐만 아니라 패킹 장착홈 내에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한체 밀폐가 이루어져 초기의 고진공 상태를 장시간 지속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음식물 등의 내용물의 변질 또는 부패를 방지하고 신선도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사시도 및 단면도 등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 및 그 작동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 및 그 작동 방법은 특허공개번호 제2008-0014536호에 기재된 "진공 용기 뚜껑"을 개선한 것이므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기 위해 필요한 범위 내에서 진공 용기 뚜껑의 개선 구성 부분 및 이에 따른 작동 방법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 구성 부분 및 작동 방법은 특허공개번호 제2008-0014536호를 통해 용이하게 확인 가능함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먼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에 대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이 적용된 진공 용기의 조립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이 적용된 진공 용기의 진공 밀폐 전과 후의 상태를 보여주기 위해 도 1의 B-B 선을 따라 각각 잘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의 진공 밀폐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사각통 형태의 진공 용기(1)를 예시하고 있으며, 진공 용기의 형태는 본 실시예에 예시된 사각통 형태 이외에도 삼각통, 육각통, 팔각통 등의 다각통 형태나 원통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그 형태에 의해 구애 받지는 않는다. 다만 종래의 진공 용기와 달리 음식물 등의 내용물이 담기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용기 본체(10)의 입구부(12)가 가압의 편의를 위해 바닥으로부터 수직 상부를 향하도록 설계 변형이 되었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음을 밝혀 둔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밀폐가 용이한 진공 뚜껑은 뚜껑 몸체(100), 체크 밸브(200) 및 패킹(300)을 포함하고 있다.
뚜껑 몸체(100)는 용기 본체(10)의 개구된 입구부(12)에 장착되어 입구부(12)를 개폐한다. 이를 위해 뚜껑 몸체(100)는 가운데 부분에 밸브 장착공(12)과 밸브 장착공(122)에 인접하여 공기 연락공(124)으로 이루어진 밸브 안착홈(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테두리(130)는 도 3의 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면으로 볼 때 용기 본체(10)의 입구부(12)를 일정 부분 덮을 수 있도록 아래쪽으로 내측으로 하방을 향해 절곡 개구된 'ㄷ'자 형상의 패킹 장착홈(132)이 형성되어 있다. 즉 패킹 장착홈(132)은 하방을 향해 개구된 부분을 제외하고 상면(134)과 측면(136)으로 막혀 있는 부분으로 이루어진 형상이다.
체크 밸브(200)는 밸브 장착공(122)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공기 연락공(124)을 포위하여 개폐함에 의해 공기 연락공(124)을 통해 용기 본체(1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한편 외부로부터의 공기 유입을 차단한다.
패킹(300)은 뚜껑 밀폐시 하강하는 뚜껑 몸체(100)에 의해 압착되어 사용자가 뚜껑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는 압축되었다가 사용자의 작동력이 제거되면 약간 복원되면서 내려간 뚜껑을 약간 상승시켜 용기 내부의 공기를 팽창시킴으로써 용기 내부를 진공화시킨다. 이를 위해 패킹(300)은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 재질을 이 용하여 사출 성형 등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며, 전체적으로는 밀착되는 용기 본체(10)의 입구부(12)에 상응하는 형상인 즉 사각띠 또는 사각환 형태이며, 측면에서 보았을 때 요철 형상인 상부 밀착부(310), 연결부(314), 중간 밀착부(316), 그리고 하부 밀착부(318)를 포함하도록 마련되어 패킹 장착홈(132)에 수용 장착되어 있다.
상부 밀착부(310)는 패킹 장착홈(132)의 상면(134)에 밀착되며, 상면(134)과 상부 밀착부(310)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공기 배출공(310a)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면(134)과 상부 밀착부(310) 사이의 밀착 정도에 따라 본 실시예와 달리 제1 공기 배출공(310a)은 생략될 수도 있다.
연결부(314)는 상부 밀착부(310)와 일측이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하부로 연장되어 있다. 연결부(314)는 전체적으로 패킹(300)의 탄성 복원력을 형성하는 지지대 역할을 한다.
중간 밀착부(316)는 연결부(314)의 측면으로부터 상부 밀착부(310)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진공 용기(1)의 진공 밀폐시 패킹 장착홈(132) 내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공기 배출공(316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중간 밀착부(316)는 밀폐의 용이성 및 밀폐력을 고려하여 단면적이 상부 밀착부(310)와 동일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 1 및 제 2 공기 배출공(310a, 316a)은 공기 배출의 편의성과 가압 작업의 편의를 다 같이 고려하여 직경이 1 내지 2 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중간 밀착 부(316)는 다섯층으로 마련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단층 또는 다른 다층으로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하부 밀착부(318)는 연결부(314)의 타측과 상부 밀착부(310)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하부 밀착부(318)는 용기 본체(10)의 입구부(12)에 밀착되어 진공 용기(1) 내부를 진공화시킨다.
하부 밀착부(318)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밀착부(310) 및 중간 밀착부(316)보다 폭(W1)이 작기 때문에 단면적이 작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하부 밀착부(318)는 측면이 용기 본체(10)와 결합하기 전에는 패킹 장착홈(132)의 측면(136)과 분리되어 있다. 그러나, 하부 밀착부(318)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0)의 입구부(12)를 하부 밀착부(318)에 밀착시켜 진공 용기(1) 내부를 진공화시키는 경우, 가압되는 압력으로 인해 폭(W2)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른 단면적의 팽창에 의해 그 측면이 상기 패킹 장착홈(132)의 측면(136)에 밀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킹(300)은 용기 본체(10)와의 결합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전체 높이(L1)가 가 15 내지 20 mm가 바람직하며, 각 밀착부(310, 316), 318)의 높이는 1 내지 2 mm가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패킹(300)은 진공 밀폐에 따른 최대 수축시 높이(L2)는 밀폐의 용이성과 적정 진공도 확보를 위해 가압에 필요한 신축성을 고려하여 수축 전 전체 높이(L1)에 대해 수축률이 40 내지 60 퍼센트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의 작동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용기 본체(10)의 내부에 내용물, 예컨대 음식물(미도시)을 넣은 상태에서 용기 본체(10)의 입구부(12)에 패킹(300)의 하부 밀착부(318)가 대응되도록 뚜껑을 덮고서 용기(1) 내부를 진공화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뚜껑 몸체(100)를 아래로 누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배출공(310a, 316a) 및 하부 밀착부(318)의 외곽 측면을 통해 패킹 장착홈(132)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가압이 진행될수록 압력으로 인해 하부 밀착부(318)의 폭은 점점 증가하게 되며 최대 밀착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밀착부(318)는 그 측면이 패킹 장착홈(132)의 측면(136)에 밀착되는 폭(W2) 및 단면적을 가지게 되어 진공 용기(1) 내부는 진공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상부 밀착부(310)가 상면(134)에 완전 밀착되고 하부 밀착부(318)가 입구부(12)와 완전히 밀착된 경우라면 하부 밀착부(318)는 그 측면이 상기 패킹 장착홈(132)의 측면(136)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더라도 압력을 제거해도 진공을 형성하는 데에는 문제가 없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을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은 두껑 몸체(101)의 패킹 장착홈(133)이 그 측면(136)에 상부 밀착부(310)를 수용하여 결합하는 걸림턱(138)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과 동일하다.
따라서, 패킹(300)을 패킹 장착홈(132)에 진입시켜 완전히 삽입되면 상부 밀 착부(310)가 패킹 장착홈(132)의 상면(134)에 완전히 진공 밀착되면서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패킹(300)이 밀폐 과정에서 더욱 패킹 장착홈(132)으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게 되고, 반면에 패킹(300)의 일부위를 손으로 잡아당겨 진공 상태를 해제시킨 후 패킹 장착홈(132)으로부터 패킹(300)을 점차적으로 분리하면 간단하게 분리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용기 본체(10)에 뚜껑을 닫거나 여는 평상적인 작동에서는 패킹(300)의 전 구간에 더욱 균일한 압력이 작용하여 분리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고, 청소시와 같이 사용자가 패킹을 분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패킹(300)의 일부분을 손으로 잡아당겨 일지점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패킹 장착홈(132))으로부터 패킹(300)을 쉽게 분리한 후 청소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을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뚜껑이 적용된 진공 용기의 조립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이 적용된 진공 용기의 진공 밀폐 전과 후의 상태를 보여주기 위해 도 7의 C-C 선을 따라 각각 잘라 도시한 단면도,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이 적용된 진공 용기의 진공 밀폐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9의 "B" 영역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은 패킹(301)의 상부 밀착부(311) 및 중간 밀착부(317)가 공기 배출공(310a, 316a) 대신 각각 외측 네변의 중앙부에 절개 형성된 상부 공기 배출홈(311a)과 중간 공기 배출홈(317a)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밀착부(319)는 중간 밀착부(317)와 동일한 면적으로 이루어지되 중간 공기 배출홈(317a)에 대응하는 하부 공기 배출홈(319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에 의해서도 용기 본체(10)의 내부에 내용물, 예컨대 음식물(미도시)을 넣은 상태에서 용기 본체(10)의 입구부(12)에 패킹(301)의 하부 밀착부(319)가 대응되도록 뚜껑을 덮고서 용기(1) 내부를 진공화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뚜껑 몸체(102)를 아래로 누르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배출홈(311a, 317a, 319a)을 통해 패킹 장착홈(132)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각 공기 배출홈(311a, 317a, 319a)은 공기 배출의 편의를 고려하여 가로(a)가 2 내지 4 mm이며, 세로가 5 내지 7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각 공기 배출홈(311a, 317a, 319a)은 필요에 따라 각 밀착부(311, 317, 319)의 외측 네변이 아니라 내측 네변에 마련되어도 무방하며 내측 및 외측 네변에 각각 마련되는 것도 가능할 뿐만 아니라 그 개수도 각변에 각각 복수개로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부 밀착부(311)에는 상부 공기 배출홈(311a)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에 의하면 우수한 탄성복원력을 갖는 패킹(300, 301) 구조를 통해 사용자가 별도의 진공화장치를 이용하거나 많을 힘을 들이지 않고도 손쉽게 진공 용기(1) 내부를 고진공화함으로써 진공 용기(1)의 밀폐가 용이한 유리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에 의하면 외부 공기의 유입 차단을 위해 용기 본체(10)의 입구부(12)와 밀착되는 패킹(300)이 충분한 두께를 가질 뿐만 아니라 패킹 장착홈(132) 내에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한체 밀폐가 이루어져 초기의 고진공 상태를 장시간 지속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음식물 등의 내용물의 변질 또는 부패를 방지하고 신선도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이 적용된 진공 용기의 조립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이 적용된 진공 용기의 진공 밀폐 전과 후의 상태를 보여주기 위해 도 1의 B-B 선을 따라 각각 잘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이 적용된 진공 용기의 진공 밀폐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A" 영역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의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뚜껑이 적용된 진공 용기의 조립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이 적용된 진공 용기의 진공 밀폐 전과 후의 상태를 보여주기 위해 도 7의 C-C 선을 따라 각각 잘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이 적용된 진공 용기의 진공 밀폐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9의 "B" 영역의 확대도,
도 12 및 도 13은 각각 종래의 진공 용기 뚜껑이 적용된 진공 용기의 조립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14도 도 12의 A-A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
도 15 및 도 16은 각각 종래의 진공 용기 뚜껑이 적용된 진공 용기의 진공 밀폐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진공 용기 10 : 용기 본체
12 : 입구부 100, 101, 102 : 뚜껑 몸체
120 : 밸브 안착홈 122 : 밸브 장착공
124 : 공기 연락공 130 : 테두리
132, 133 : 패킹 장착홈 134 : 상면
136 : 측면 138 : 걸림턱
200 : 체크 밸브 300, 301 : 패킹
310,311 : 상부 밀착부 310a : 제 1 공기 배출공
311a : 상부 공기 배출홈 314 : 연결부
316, 317 : 중간 밀착부 316a : 제2 공기 배출공
317a : 중간 공기 배출홈 318, 319 : 하부 밀착부
319a : 하부 공기 배출홈
-

Claims (12)

  1. 내용물이 담기는 공간이 마련된 용기 본체의 입구부를 개폐하며, 일부에 밸브 장착공과 상기 밸브 장착공에 인접하여 공기 연락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테두리의 내측으로 하방을 향해 개구된 'ㄷ'자 형상의 패킹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뚜껑 몸체,
    상기 공기 연락공을 포위하는 몸체부의 저면에 결합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장착공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공기 연락공을 포위하여 개폐함에 의해 상기 공기 연락공을 통해 상기 용기 본체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한편 외부로부터의 공기 유입을 차단하는 체크 밸브, 그리고
    상기 패킹 장착홈에 수용 장착되며, 상기 패킹 장착홈의 상면에 밀착되는 상부 밀착부와 상기 상부 밀착부와 일측이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하부로 연장되어 있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상부 밀착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공기 배출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밀착부 및 상기 연결부의 타측과 상기 상부 밀착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밀착되어 상기 용기 내부를 진공화시키는 하부 밀착부를 갖는 패킹
    을 포함하는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
  2. 제1항에서,
    상기 하부 밀착부는
    상기 상부 밀착부보다 단면적이 작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를 상기 하부 밀착부에 밀착시켜 상기 용기 내부를 진공화시키는 경우,
    상기 공기 배출공 및 상기 하부 밀착부의 측면을 통해 상기 패킹 장착홈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
  3. 제1항에서,
    상기 공기 배출공은 직경이 1 내지 2 mm 인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
  4. 제1항에서,
    상기 상부 밀착부는 상기 공기 배출공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공기 배출공이 더 형성되어 있는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
  5. 제1항에서,
    상기 패킹 장착홈은
    측면에 상기 상부 밀착부를 수용하여 결합하는 걸림턱이 더 형성되어 있는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
  6. 내용물이 담기는 공간이 마련된 용기 본체의 입구부를 개폐하며, 일부에 밸브 장착공과 상기 밸브 장착공에 인접하여 공기 연락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테두리의 내측으로 하방을 향해 개구된 'ㄷ'자 형상의 패킹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뚜껑 몸체,
    상기 공기 연락공을 포위하는 몸체부의 저면에 결합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장착공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공기 연락공을 포위하여 개폐함에 의해 상기 공기 연락공을 통해 상기 용기 본체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한편 외부로부터의 공기 유입을 차단하는 체크 밸브, 그리고
    상기 패킹 장착홈에 수용 장착되며, 상기 패킹 장착홈의 상면에 밀착되는 상부 밀착부와 상기 상부 밀착부와 일측이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하부로 연장되어 있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상부 밀착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적어도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중간 공기 배출홈이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밀착부 및 상기 연결부의 타측과 상기 상부 밀착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밀착되어 상기 용기 내부를 진공화시키는 하부 밀착부를 갖는 패킹
    을 포함하는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
  7. 제6항에서,
    상기 하부 밀착부는
    측면에 상기 중간 공기 배출홈에 대응하는 하부 공기 배출홈이 더 형성되어 있는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
  8. 제7항에서,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를 상기 하부 밀착부에 밀착시켜 상기 용기 내부를 진공화시키는 경우,
    상기 중간 공기 배출홈 및 상기 하부 공기 배출홈을 통해 상기 패킹 장착홈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
  9. 제6항에서,
    상기 패킹은 전체 높이가 15 내지 20 mm 이며,
    각 밀착부의 높이는 1 내지 2 mm 이며,
    상기 패킹은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를 상기 하부 밀착부에 밀착시켜 진공 밀폐시키는 경우 높이에 대한 최대 수축률이 40 내지 60 퍼센트인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
  10. 제6항에서,
    상기 중간 공기 배출홈은 가로가 2 내지 4 mm 이며, 세로가 5 내지 7 mm인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
  11. 제6항에서,
    상기 상부 밀착부는 측면에 상기 중간 공기 배출홈에 대응하는 상부 공기 배출홈이 더 형성되어 있는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
  12. 제6항에서,
    상기 패킹 장착홈은
    측면에 상기 상부 밀착부를 수용하여 결합하는 걸림턱이 더 형성되어 있는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
KR1020090095120A 2009-10-07 2009-10-07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 KR101063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120A KR101063241B1 (ko) 2009-10-07 2009-10-07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120A KR101063241B1 (ko) 2009-10-07 2009-10-07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611A KR20110037611A (ko) 2011-04-13
KR101063241B1 true KR101063241B1 (ko) 2011-09-07

Family

ID=44045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5120A KR101063241B1 (ko) 2009-10-07 2009-10-07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32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903B1 (ko) * 2014-10-01 2016-02-25 김성수 밀폐용기 누름판
KR102046541B1 (ko) * 2018-07-24 2019-11-19 (주)대일고무 밀폐 패킹을 구비한 보관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99856A (zh) * 2016-12-22 2019-08-06 Cng株式会社 压缩气体供应装置
KR102213166B1 (ko) * 2019-12-26 2021-02-05 (주)쿠첸 조리기기용 패킹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2761U (ko) 1986-11-18 1988-05-31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2761U (ko) 1986-11-18 1988-05-31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903B1 (ko) * 2014-10-01 2016-02-25 김성수 밀폐용기 누름판
KR102046541B1 (ko) * 2018-07-24 2019-11-19 (주)대일고무 밀폐 패킹을 구비한 보관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611A (ko) 201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8655Y1 (ko)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
JP4286153B2 (ja) 真空ホース用容器蓋
KR100774248B1 (ko) 진공밸브 작동식의 밀폐용기
EP1350737A1 (en) Container assembly having a cover cap provided with a pump member to pump out air from the container
KR101542589B1 (ko) 병 진공밀폐장치
KR100969703B1 (ko) 진공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용기
KR101388092B1 (ko) 진공용기용 체크밸브와 이를 이용한 진공용기 뚜껑
KR101063241B1 (ko)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
KR20100078576A (ko) 진공용기 뚜껑과 이를 위한 체크밸브 및 패킹
KR101616828B1 (ko) 음식물 보관용 원터치 방식 진공용기
KR100986313B1 (ko) 진공펌프가 구비된 병마개
KR20130025932A (ko) 내부압력 자동배출 기능을 갖춘 식품용기용 밀폐뚜껑
KR100896459B1 (ko) 음식물 진공 압축팩의 진공전환장치
CN102180311A (zh) 用于真空容器的气阀
KR101114434B1 (ko) 진공 패킹이 설치된 진공 용기
KR200441528Y1 (ko) 밀폐 용기 뚜껑
KR101395317B1 (ko) 진공용기용 고무밀봉재 및 이를 이용한 진공용기 뚜껑
KR101108079B1 (ko) 진공 유지 및 해지 장치를 구비한 마개
KR20150004669U (ko) 식품 저장용 진공 용기
KR20130012860A (ko) 식품보존용 진공용기
KR200255232Y1 (ko) 진공보존용기의 공기유출입밸브
KR200255229Y1 (ko) 저장공간의 가변이 가능한 진공보존용기
KR200146603Y1 (ko) 용기를 진공으로 밀폐할 수 있는 용기캡
KR20110106220A (ko) 진공펌프가 구비된 병마개
KR101037356B1 (ko) 밀폐용기용 공기조절 및 가스자동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