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6220A - 진공펌프가 구비된 병마개 - Google Patents

진공펌프가 구비된 병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6220A
KR20110106220A KR1020100067240A KR20100067240A KR20110106220A KR 20110106220 A KR20110106220 A KR 20110106220A KR 1020100067240 A KR1020100067240 A KR 1020100067240A KR 20100067240 A KR20100067240 A KR 20100067240A KR 20110106220 A KR20110106220 A KR 20110106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outlet
opening
case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국
Original Assignee
김용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국 filed Critical 김용국
Priority to KR1020100067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6220A/ko
Publication of KR20110106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62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39/0005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made in one piece
    • B65D39/0029Plastic closure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s B65D39/0011 - B65D39/002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펌프가 구비된 병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병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오부로 배출시켜 병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 수 있는 진공펌프가 구비된 병마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가 구비된 병마개는 하부막에 제1배출구가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막에 제2배출구가 구비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배출구를 개폐하는 제1개폐부재; 상기 피스톤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배출구를 개폐하는 제2개폐부재; 상기 케이스와 상기 피스톤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이탈방지부재;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개폐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이탈방지부재; 상기 피스톤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개폐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3이탈방지부재;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며, 병 내부에 삽입되어 병 내부를 밀폐시킴과 동시에 병 내부를 상기 제1배출구에 연통시키는 패킹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펌프가 구비된 병마개{Stopper having vaccum pump}
본 발명은 진공펌프가 구비된 병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병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병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 수 있는 진공펌프가 구비된 병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에는 음료수, 술 등이 담기게 되는데, 병에 음료수, 술 등이 남게되면, 소정의 마개를 이용하여 병 내부를 밀폐시켜 보관하게 된다.
특히, 와인의 경우에는 와인병에 남겨진 와인이 외부 공기와 접촉하게 되면 그 맛과 향기가 변질될 우려가 있어서, 와인이 남은 와인병을 패킹과 같은 병마개로 막아 내부를 밀폐시킨 상태로 보관하게 된다.
그러나, 병 내부를 패킹 등과 같은 것으로 밀폐시킨다고 하더라도 병 내부에는 공기가 존재하게 되므로 어느 정도의 맛과 향기의 변질을 방지할 수 없다. 특히, 와인의 경우에는 특히 그러하다.
또한, 병 내부를 패킹 등과 같은 것으로 밀폐시킨다고 하더라도 완전하게 밀폐시키는 것은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병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병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든 후 병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는 병마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병 내부를 외부와 완전하게 밀폐시킬 수 있는 병마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가 구비된 병마개는 하부막에 제1배출구가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막에 제2배출구가 구비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배출구를 개폐하는 제1개폐부재; 상기 피스톤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배출구를 개폐하는 제2개폐부재; 상기 케이스와 상기 피스톤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이탈방지부재;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개폐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이탈방지부재; 상기 피스톤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개폐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3이탈방지부재;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며, 병 내부에 삽입되어 병 내부를 밀폐시킴과 동시에 병 내부를 상기 제1배출구에 연통시키는 패킹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진공펌프가 구비된 병마개는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에 의하면, 병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병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든 후 병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에 의하면, 병 내부를 외부와 완전하게 밀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마개가 병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병마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따른 병마개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5는 제1개폐부재 가압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병마개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마개가 병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마개(10)는 케이스(20), 피스톤(30), 패킹부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피스톤(30)은 케이스(20)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패킹부재(70)는 케이스(20) 하부에 결합되며, 병마개(10)를 병(1)에 장착시 병에 삽입되어 병 내부를 밀폐시킨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10)는 패킹부재(70)를 병(1)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피스톤(30)을 반복적으로 눌러주면 병(1)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병(1) 내부가 진공상태로 만들 수 있으며, 그 상태로 병(1)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펌프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병마개의 분해 사시도이고, 3 및 도 4는 도 1에 따른 병마개의 결합단면도로서, 도 3은 피스톤이 하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피스톤이 상승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마개(10)는 케이스(20), 피스톤(30), 제1개폐부재(12), 제2개폐부재(14), 실링부재(16), 탄성부재(17), 제1이탈방지부재(40), 제2이탈방지부재(50), 제3이탈방지부재(60), 제1패킹부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의 하부에는 제1배출구(21)가 구비되며, 상기 피스톤(30)의 상부에는 제2배출구(31)가 구비된다.
상기 피스톤(30)은 상하이동 가능하게 케이스(20)에 결합되며, 상기 탄성부재(17)는 케이스(20)와 피스톤(3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3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1개폐부재(12)는 피스톤(30)의 상하이동에 따라 제1배출구(21)를 개폐하며, 상기 제2개폐부재(14)는 피스톤(30)의 상하이동에 따라 제2배출구(31)를 개폐한다.
상기 실링부재(14)는 피스톤(3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30)의 상하이동시 피스톤(30)의 내부 공간 즉, 펌프실(11)을 밀봉시킨다. 실링부재(14)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1이탈방지부재(40)는 케이스(20)의 상부에 결합되어 피스톤(30)이 케이스(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2이탈방지부재(12)는 케이스(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제1개폐부재(12)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3이탈방지부재(60)는 피스톤(30)의 상부에 결합되어 제2개폐부재(14)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패킹부재(70)는 케이스(20)의 하부에 결합되며, 병마개(10)를 병(1)에 장착시 병(1)에 삽입되어 병(1) 내부를 밀폐시킴과 동시에 병(1) 내부를 상기 제1배출구에 연통시킨다.
상세히, 케이스(20)는 상측이 개구된 형태를 가지며, 피스톤(30)은 하측이 개구된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30)의 개구된 하측이 상기 케이스(20)의 개구된 상측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펌프실(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피스톤(30)은 케이스(20)에 삽입된 상태로 상하이동이 가능해진다.
케이스(20)의 하부에는 하부막(22) 형성되며, 상기 하부막(22)에 제1배출구(21)가 구비되며, 피스톤(30)의 상부에는 상부막(32)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막(32)에 제2배출구(31)가 구비될 수 있다.
피스톤(30)의 개구된 하측 외주면에는 케이스(20)의 개구된 상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이탈방지부재(40)가 케이스(20)의 상부에 결합되면 상기 제1이탈방지부재(40)에 걸리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출부(36)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출부(36)에는 실링부재(16)가 결합되는 결합홈(37)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개폐부재(12)는 제1배출구(21)에 삽입되는 길이부(121)와, 상기 길이부(121)가 제1배출구(21)에 삽입된 경우에 제1배출구(21)를 덮는 날개부(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길이부(121)는 제1개폐부재(12)가 제1배출구(21)를 개폐하는 위치에 정렬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길이부(121)의 단면의 크기는 제1배출구(21)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배출구(21)를 통해 펌프실(11)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길이부(121)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2개폐부재(14)는 제2배출구(31)에 삽입되는 길이부(141)와, 상기 길이부(141)가 제2배출구(31)에 삽입된 경우에 제2배출구(31)를 덮는 날개부(1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길이부(141)는 제2개폐부재(14)가 제2배출구(31)를 개폐하는 위치에 정렬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길이부(141)의 단면의 크기는 제2배출구(31)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2배출구(3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길이부(141)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날개부(122,142)는 외측으로 갈수록 하방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2개폐부재(12,14)가 각각 피스톤(30)의 상하이동에 따라 제1,2배출구(21,31)를 원활하게 개폐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배출구(21)는 케이스(20)의 하부에 구비되고, 제2배출구(31)는 피스톤(30)의 상부에 구비되기 때문에, 피스톤(30)이 하강하는 경우에 펌프실(11)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해서는 위에서 아래로 제1배출구(21)를 향하게 되고, 아래에서 위로 제2배출구(31)를 향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공기의 흐름에 의해 제1배출구(21)는 제1개폐부재(12)의 날개부(122)에 의해 막히게 되고, 제2배출구(31)는 제2개폐부재(14)의 날개부(142)에 의해 막히지 않게 된다. 따라서, 피스톤(30)이 하강하는 경우에 펌프실(11) 내의 공기는 제2배출구(31)를 통해서만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반대로, 피스톤(30)이 상승하는 경우에 펌프실(11) 내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기 위해서는 아래에서 위로 제1배출구(21)를 향하게 되고, 위에서 아래로 제2배출구(31)를 향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공기의 흐름에 의해 제1배출구(21)는 제1개폐부재(12)의 날개부(122)에 의해 막히지 않게 되고, 제2배출구(31)는 제2개폐부재(14)의 날개부(142)에 의해 막히게 된다. 따라서, 피스톤(30)이 상승하는 경우에 외부의 공기는 제1배출구(21)를 통해서만 펌프실(11) 내로 유입되는 것이다.
따라서, 날개부(122,142)가 외측으로 갈수록 하방 경사를 가지면 상술한 바와 같은 날개부(122,142)의 작용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2이탈방지부재(50)는 제1개폐부재(12)의 상부에 구비되어 제1개폐부재(12)가 제1배출구(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케이스(20)의 내부에는 제2이탈방지부재(50)를 지지하는 지지부(23)가 구비되는데, 상기 지지부(23)는 제1배출구(21)를 둘러싸는 형태로 하부막(22)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제2이탈방지부재(50)의 외주면에는 상기 지지부(23)에 걸리는 걸림턱(51)이 외측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턱(51)의 상면에는 탄성부재(17)의 끝단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이탈방지부재(50)는 걸림턱(51)의 하면이 지지부(23)에 지지되고, 상면이 탄성부재(17)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받기 때문에 제1개폐부재(12)의 상부에서 견고하게 위치할 수 있는 것이다.
제2이탈방지부재(50)는 중심부에 중공홀(52)을 가지며, 걸림턱(51)의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연장부(53)와, 걸림턱(51)의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돌출부(5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공홀(52)은 제1배출구(2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펌프실(11)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돌출부(54)는 탄성부재(17)가 삽입되어 걸림턱(51)에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돌출부(54)에는 공기유로홈(5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52)의 끝단에는 제1개폐부재(12)가 중공홀(52)을 통해 펌프실(11) 내로 이탈되지 않도록 제2이탈방지부(5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52)의 길이는 걸림턱(51)이 지지부(23)에 지지된 경우에 연장부(52)의 끝단과 제1개폐부재(12)와의 간격이 소정거리 유지되도록 지지부(23)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52)가 제1개폐부재(12)를 압착하게 되면, 제1개폐부재(12)가 제1배출구(21)를 원활하게 개폐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제3이탈방지부재(60)는 피스톤(30)의 상부에 결합되어 제2개폐부재(14)가 제2배출구(3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3이탈방지부재(60)의 소정위치에는 결합돌기(63)가 형성되고, 피스톤(30)의 상부막(32)에는 상기 결합돌기(63)에 대응하는 결합돌기홈(34)이 형성될 수 있다.
피스톤(30)의 상부막(32)에는 저면에 구비된 제2배출구(31)에 길이부(141)가 삽입되어 제2개폐부재(14)가 안착되는 안착홈(33)이 형성되며, 제3이탈방지부재(60)에는 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안착홈(33)에 삽입되는 제3이탈방지부(6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개폐부재(14)는 길이부(141)가 제2배출구(31)에 삽입되어 안착홈(33)에 안착된 후 제3이탈방지부재(60)가 피스톤(30) 상부에 결합되면, 제3이탈방지부(61)에 의해 제2배출구(31)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 제3이탈방지부(61)의 길이는 제3이탈방지부재(60)가 피스톤(30)의 상부에 결합된 경우에 제3이탈방지부(61)의 끝단과 제2개폐부재(14)와의 간격이 소정거리 유지되도록 안착홈(33)의 깊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3이탈방지부(61)가 제2개폐부재(14)를 압착하게 되면, 제2개폐부재(14)가 제2배출구(31)를 원활하게 개폐할 수 없기 때문이다.
피스톤(30)의 상부에는 공기유로홈(35)이 형성되고, 제3이탈방지부(61)에는 공기유로홈(6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제2배출구(31)를 통해 안착홈(33)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공기유로홈(35,62)을 통해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20)에는 하부막(22)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며, 중심부에 제1배출구(21)가 구비되는 케이스돌출부(24)가 구비되며, 상기 패킹부재(70)는 상기 케이스돌출부(24)에 결합되며, 상기 제1배출구(21)에 연결되는 제3배출구(7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0)는 그 바깥 둘레면에서 연장되는 연장부(25, 도 6참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25)는 케이스돌출부(24)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연장부(25)는 케이스돌출부(24)의 길이보다 짧거나 길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연장부(25)는 패킹부재(70)를 외부 이물질 등으로부터 보호한다.
패킹부재(70)는 병마개(10)가 병(1)에 장착시 병(1)에 삽입되어 병(1) 내부를 밀폐시키며, 중심부에 상기 제3배출구(71)가 구비되는 밀폐부(72)와, 상기 케이스돌출부(24)에 결합되는 결합홈(7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홈(70)으니 케이스돌출부(24)에 억지끼움 따위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10)를 병(1)에 장착하면, 병(1) 내부는 밀폐부(72)에 의해 밀폐됨과 동시에 제3배출구(71)를 통해 제1배출구(21)와 연통될 수 있어서, 피스톤(30)의 반복적인 눌러짐에 의해 병(1) 내부의 공기가 펌프실(11)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돌출부(24)의 하단에는 병(1) 내부의 공기가 제3배출구(71)를 통해 제1배출구(21)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유로홈(26)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마개(10)는 피스톤(30)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소정각도 회전시키면 제1이탈방지부재(40)에 걸림되어 피스톤(30)이 하강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고정부는 피스톤(30)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돌기(38)와, 상기 가이드돌기(38)에 대응하도록 제1이탈방지부재(4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41)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돌기(38)의 길이는 피스톤(30)의 길이보다 짧게 즉, 피스톤(30)의 하단부로부터 상단부 소정부위까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피스톤(30)이 하강하는 경우에는 가이드돌기(38)가 가이드홈(41)을 따라 슬라이딩 되다가, 피스톤(30)이 끝까지 하강하게 되면 가이드돌기(38)의 상단부가 가이드홈(41) 아래에 위치하게 되므로, 그 상태에서 피스톤(30)을 회전시키면 가이드돌기(38)가 제1이탈방지부(40)에 걸림됨으로써, 피스톤(30)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마개(10)는 피스톤(30)이 하강하는 경우에 제1개폐부재(12)를 가압하여 제1배출구(21)에 압착시키는 제1개폐부재 가압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개폐부재 가압부는 피스톤(30)의 상부막(32)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중심부에 제2배출구(31)가 구비되는 가압돌출부(39)와, 피스톤(30)이 하강하는 경우에 상기 가압돌출부(39)에 의해 가압되어 제1개폐부재(12)를 압착하는 압착부재(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배출구(21)는 피스톤(30)이 하강하는 경우에 제1개폐부재(12)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막힐 수 있다.
상기 제1개폐부재 가압부는 피스톤(30)이 하강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을 때까지 하강한 경우에 제1개폐부재(12)를 가압하여 제1배출구(21)를 압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가압돌출부(39)와 압착부재(80)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제1개폐부재 가압부는 피스톤(30)을 하강시키는 중에도 제1개폐부재(12)를 가압하여 제1배출구(21)를 압착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압착부재(80)가 빈번하게 제1개폐부재(12)를 압착하게 되므로 제1개폐부재(12)가 손상될 염려가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10)는 병(1)에 장착되어 병(1)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든 후 병(1) 내부를 밀폐시키기 위한 것인데, 상술한 바와 같이 피스톤(30)을 하강시켜 고정시킨 경우에 제1개폐부재(12)가 제1배출구(21)를 압착한 상태가 된다면, 병(1)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는 제1배출구(21)이기 때문에, 병(1) 내부는 더욱 밀폐되어 오랜 시간동안 진공상태로 유지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압착부재(80)는 제2이탈방지부재(50)의 중공홀(52)에 삽입되어 상하이동가능하게 케이스(20)에 장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중심부에는 중공홀(81)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압착부재 공기유로부(8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투입구(21)로 유입된 공기가 펌프실(11)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압착부재(80)의 끝단에는 제1개폐부재(12)의 날개부(122)에 대응하도록 내측으로 갈수록 상방 경사를 가지는 경사부(8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압착부재(80)가 제1개폐부재(12)의 날개부(122)를 압착하는 경우에 상기 날개부(12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효과적으로 날개부(122)를 압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개폐부재 가압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개폐부재 가압부는 상기 실시예와 비교하여 피스톤(30)을 하강시킨 후 제1이탈방지부재(40)에 걸림되도록 회전시키면 압착부재(80)를 소정거리 하향 이동시키는 캠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캠부는 가압돌출부(39)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1캠부(391)와, 상기 제1캠부(391)에 대응하도록 압착부재(8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2캠부(8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피스톤(30)을 하강시킨 후 소정각도 회전시켜 제1이탈방지부(40)에 걸림되도록하여 고정시키는 경우에, 가압돌출부(30)가 압착부재(80)를 더욱 가압하게 되어, 제1개폐부재(12)는 압착부재(80)에 의해 더욱 압착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1배출구(21)는 더욱 밀폐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제1개폐부재 가압부는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가압돌출부(39)와 압착부재(80)로 이루어지지 않고, 케이스(20)의 하부막(22)과 제2이탈방지부재(50) 사이에 구비되어 피스톤(30)이 하강하는 경우에 제1개폐부재(12)를 압착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마개(10)의 작동을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피스톤(30)을 눌러주어 피스톤(30)이 하강하는 경우에는 피스톤(30)과 케이스(20)가 이루는 펌프실(11)의 공간이 줄어들게 된다.
이때, 펌프실(11) 내에 존재하는 공기는 제1배출구(21) 또는 제2배출구(3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야 하는데,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이 경우 제1배출구(21)는 제1개폐부재(12)에 의해 막히게 되므로, 펌프실(11) 내에 존재하는 공기는 제2배출구(3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피스톤(30)을 눌러주지 않으면, 피스톤(30)은 탄성부재(17)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상승하게 되면서 펌프실(11)의 공간이 다시 늘어나게 된다.
이때, 상기 펌프실(11)에는 공기가 존재하지 않는 진공상태이므로 상기 펌프실(11)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야 하는데,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이 경우 제2배출구(31)는 제2개폐부재(14)에 의해 막히게 되므로, 병(1) 내부의 공기가 제3배출구(71)와 제1배출구(21)를 통해 펌프실(11) 내로 유입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다시 피스톤(30)을 눌러주면, 제1배출구(21)를 통해 펌프실(11)로 유입된 병(1) 내부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피스톤(30)을 반복해서 눌러주면, 병(1) 내부의 모든 공기는 펌프실(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그에 따라 병(1) 내부는 진공상태가 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피스톤(30)을 하강시켜 소정각도 회전시킴으로써 제1이탈방지부재(40)에 걸림되도록 하여 고정시킨다. 이 경우, 제1배출구(21)는 제1개폐부재(12)에 의해 압착된 상태가 되므로 병(1) 내부는 완전히 밀폐될 수 있다. 나아가 압착부재(80)는 날개부(122)를 압착하고 있으므로, 날개부(122)와 접촉하는 면에 스크래치가 있더라도 병(1) 내부로 최대한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병마개(10)는 와인병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와인이 남은 와인병을 패킹과 같은 병마개로 막아 내부를 밀폐시킨 상태로 보관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도 와인병 내부에는 공기가 존재하게 되므로 와인의 맛과 향기가 변질될 염려가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병마개(10)를 사용하여 와인병에 존재하는 공기를 모두 외부로 배출하여 진공상태로 만든 후에 와인병 내부를 완전히 밀폐시킨다면 그만큼 와인의 맛과 향기가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10 : 병마개 12 : 제1개폐부재
14 : 제2개폐부재 16 : 실링부재
17 : 탄성부재 20 : 케이스
30 : 피스톤 40 : 제1이탈방지부재
50 : 제2이탈방지부재 60 : 제3이탈방지부재
70 : 패킹부재 80 : 압착부재

Claims (12)

  1. 하부막에 제1배출구가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막에 제2배출구가 구비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배출구를 개폐하는 제1개폐부재;
    상기 피스톤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배출구를 개폐하는 제2개폐부재;
    상기 케이스와 상기 피스톤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이탈방지부재;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개폐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이탈방지부재;
    상기 피스톤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개폐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3이탈방지부재;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며, 병 내부에 삽입되어 병 내부를 밀폐시킴과 동시에 병 내부를 상기 제1배출구에 연통시키는 패킹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진공펌프가 구비된 병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하부막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며, 중심부에 상기 제1배출구가 구비되는 케이스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패킹부재에는 상기 케이스돌출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배출구에 연결되는 제3배출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가 구비된 병마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는 병에 삽입되어 병 내부를 밀폐시키며, 중심부에 상기 제3배출구가 구비되는 밀폐부와, 상기 밀폐부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돌출부에 결합되는 결합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가 구비된 병마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부재와 제2개폐부재는 각각 상기 제1배출구와 제2배출구에 삽입되는 길이부와, 상기 길이부가 상기 제1배출구와 제2배출구에 삽입된 경우에 상기 제1배출구와 제2배출구를 덮는 날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가 구비된 병마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외측으로 갈수록 하방 경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가 구비된 병마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상기 하부막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이탈방지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이탈방지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지지부에 걸리는 걸림턱이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가 구비된 병마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상부막에는 상기 제2개폐부재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구비되며, 상기 제3이탈방지부재에는 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제3이탈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가 구비된 병마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소정각도 회전시키면 상기 제1이탈방지부재에 걸림되어 상기 피스톤이 하강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가 구비된 병마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이 하강한 상태로 고정된 경우에 상기 제1개폐부재를 가압하여 제1배출구에 압착시키는 제1개폐부재 가압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가 구비된 병마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부재 가압부는,
    상기 피스톤의 상부막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중심부에 상기 제2배출구가 구비되는 가압돌출부와,
    상기 피스톤이 하강한 상태로 고정된 경우에 상기 가압돌출부에 의해 가압되어 제1개폐부재를 압착하는 압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가 구비된 병마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출부의 하단부와 상기 압착부재의 상단부에는 각각 서로 대응하는 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가 구비된 병마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하부막과 상기 제2이탈방지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이 하강하는 경우에 상기 제2개폐부재를 압착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가 구비된 병마개.

KR1020100067240A 2010-07-13 2010-07-13 진공펌프가 구비된 병마개 KR201101062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240A KR20110106220A (ko) 2010-07-13 2010-07-13 진공펌프가 구비된 병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240A KR20110106220A (ko) 2010-07-13 2010-07-13 진공펌프가 구비된 병마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5346A Division KR100986313B1 (ko) 2010-03-22 2010-03-22 진공펌프가 구비된 병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220A true KR20110106220A (ko) 2011-09-28

Family

ID=44956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7240A KR20110106220A (ko) 2010-07-13 2010-07-13 진공펌프가 구비된 병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62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505B1 (ko) * 2014-10-02 2015-05-04 문제구 밀폐 용기용 누름 펌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505B1 (ko) * 2014-10-02 2015-05-04 문제구 밀폐 용기용 누름 펌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6313B1 (ko) 진공펌프가 구비된 병마개
KR100969703B1 (ko) 진공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용기
KR101487191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200457521Y1 (ko) 밀폐식 화장품용기
KR102454402B1 (ko) 진공 컨테이너, 시스템 및 방법
CN105829213A (zh) 真空瓶密封装置
KR20150110035A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101661581B1 (ko) 펌프 타입 콤팩트 용기
KR20150110037A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JP6882636B2 (ja) 空気遮断が可能な内容物排出ポンプ容器
KR101063241B1 (ko)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
KR20110106220A (ko) 진공펌프가 구비된 병마개
KR20140042335A (ko) 진공펌프가 구비된 병마개
JP2004230316A (ja) 液体噴出ポンプ
JP3836312B2 (ja) 液体噴出ポンプ
KR101395317B1 (ko) 진공용기용 고무밀봉재 및 이를 이용한 진공용기 뚜껑
JP4790077B1 (ja) プッシュタイプディスペンサー
KR20120032245A (ko) 용기용 진공펌프
KR101957649B1 (ko) 진공 밀폐용 캡
KR200447921Y1 (ko) 비닐봉투용 흡입장치
CN109661276B (zh) 防水型泵分配器
KR101042646B1 (ko) 토출유닛 및 이를 구비한 디스펜서
KR100956438B1 (ko) 비닐봉투가 일체로 결합된 흡입장치
KR20140008179A (ko) 진공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용기
JP4447349B2 (ja) 液吐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