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2245A - 용기용 진공펌프 - Google Patents

용기용 진공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2245A
KR20120032245A KR1020100093793A KR20100093793A KR20120032245A KR 20120032245 A KR20120032245 A KR 20120032245A KR 1020100093793 A KR1020100093793 A KR 1020100093793A KR 20100093793 A KR20100093793 A KR 20100093793A KR 20120032245 A KR20120032245 A KR 20120032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ylinder
lower valve
vacuum pump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3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정오
Original Assignee
구정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정오 filed Critical 구정오
Priority to KR1020100093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2245A/ko
Publication of KR20120032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22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2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in a flexible contai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3/00Pumps actuated by muscle power, e.g. for infl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9/00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 F04B9/14Pumps characterised by muscle-power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용 진공펌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용기내부의 공기를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시켜 용기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 수 있는 용기용 진공펌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는 하단면에 흡기구가 구비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면에 배기구가 구비되는 피스톤과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용기용 진공펌프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흡기구를 개폐하는 하부밸브;
상기 피스톤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배기구를 개폐하는 상부밸브;
상기 실린더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합부재;
상기 실린더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밸브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밸브이탈방지부재;
상기 피스톤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밸브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피스톤캡부재;
상기 실린더의 하부의 실린더관에 결합되는 패킹부재;
상기 실린더의 하부의 연장부에 결합되는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기용 진공펌프 { Vacuum pump for container}
본 발명은 용기용 진공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진공 펌프를 이용하여 용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용기 내부 상태를 진공으로 만들 수 있는 진공펌프에 관한 것이다.
식재료와 식품류는 일반적으로 외부 공기와 접촉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생물이나 산소 등과 접촉하여 부패작용과 산화작용이 일어나 식재료 및 식품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또한, 발효식품의 경우에는 미생물 번식이 더욱 활성화 되어 식품의 발효 및 숙성 속도의 진행이 너무 빠르게 되어 발효식품의 보존성이 좋지 못하게 된다.
한편, 식품의 발효 및 부패, 산화를 지연시키기 위해서는 외부 공기의 차단이 관건이며, 이를 위해 제안된 것이 진공펌프이다.
이러한 용기용 진공펌프로서는 실용신안공고번호 실1993-0007771호(명칭:용기의진공전환장치)와 등록특허공고번호 제896459호(명칭:음식물 진공 압축팩의 진공전환장치)와 같은 구성이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이들 구성에서는 내부의 진공 형성 과정 및 진공상태의 유지가 미약하고 또한 진공형성 수단의 조작상 불편함과 같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진공 펌프를 이용하여 용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내부 상태를 진공으로 만들 수 있는 용기용 진공펌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는 하단면에 흡기구가 구비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면에 배기구가 구비되는 피스톤과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용기용 진공펌프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흡기구를 개폐하는 하부밸브;
상기 피스톤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배기구를 개폐하는 상부밸브;
상기 실린더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합부재;
상기 실린더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밸브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밸브이탈방지부재;
상기 피스톤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밸브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피스톤캡부재;
상기 실린더의 하부의 실린더관에 결합되는 패킹부재;
상기 실린더의 하부의 연장부에 결합되는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진공펌프에 의하면, 용기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용기 내부의 진공의 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용기는 진공펌프에 용도에 따라 다른 패킹부재를 사용하면 용기의 모양이나 재질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은 공기와의 접촉 시 48시간 이내에 산화가 되어 식음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는 와인의 보관에 사용하면 개봉한 와인병 내부의 공기를 진공상태로 유지하게 되어 와인의 맛과 향을 지켜주게 되어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이고,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로 진공펌프에서 피스톤이 가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로 진공펌프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하부밸브 가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발생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단지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 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펌프(10)는 실린더(1), 피스톤(2), 하부밸브(3), 상부밸브(4), 하부밸브이탈방지부재(6), 결합부재(9), 실링부재(81), 패킹부재(82), 밀봉부재(8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린더(1)의 하부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구(11)가 구비되며, 상기 피스톤(2)의 상부에는 배기구(21)가 구비된다.
상기 피스톤(2)은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실린더(1)에 결합되며, 실린더(1)와 피스톤(2) 사이에는 주지된 바와 같이 통상의 스프링(도시안됨)이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2)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펌핑작용이 가능하게 해준다.
상기 하부밸브(3)는 피스톤(2)의 펌핑작용에 따라 흡기구(11)를 개폐하며, 상기 상부밸브(4)는 피스톤(2)의 펌핑작용에 따라 배기구(21)를 개폐한다.
상기 결합부재(9)는 실린더(1)의 상부에 결합되어 피스톤(2)이 실린더(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실링부재(81)는 피스톤(2)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2)의 펌핑작용시 피스톤(2)의 내부공간을 밀폐시킨다.
상기 하부밸브이탈방지부재(6)는 실린더(1) 내부에 구비되어 하부밸브(3)를 고정하여 하부밸브(3)가 이탈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피스톤캡부재(5)는 피스톤(2)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부밸브(4)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패킹부재(82)는 실린더(1) 하부의 실린더관(14)에 결합되고, 밀봉부재(83)는 실린더(1)의 하부의 연장부(15)에 결합되어, 진공펌프(10)가 대상 용기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장착되는 경우에 장착부위를 밀폐시킨다(도 2참조).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펌프(10)의 작동을 도 3 및 4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보이는 바와 같이 피스톤(2)을 사용자가 눌러 피스톤(2)이 하강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피스톤(2)과 실린더(1)가 이루는 공간이 줄어들게 된다.
이때, 내부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는 흡기구(11) 또는 배기구(21)로 배출되기 위해서 움직이는데, 흡기구(11)는 하부밸브(3)에 의해 막히게 되므로, 내부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는 배기구(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피스톤(2)을 누르던 손을 떼면, 피스톤(2)은 통상과 같이 그 주위에 결착되어 있는 스프링(도시안됨)의 탄성력으로 인해 다시 상승하게 되면서 진공펌프(10)의 내부공간은 다시 늘어나게 된다.
상기 스프링(도시안됨)은 공지된 바의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기 내부공간은 진공상태이므로 진공펌프(10)가 장착되는 용기속의 공기가 상기 피스톤(2)과 실린더(1)사이의 공간 내부로 유입되게 되는데,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이 경우 배기구(21)는 상부밸브(4)에 의해 막히게 되므로, 용기내의 공기가 흡기구(11)를 통해 피스톤(2)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10)가 대상 용기에 장착되어 진공펌프(10)와 용기의 장착부위가 패킹부재(82) 및 밀봉부재(83)에 의해 밀폐된다면, 피스톤(2)의 상승 및 하강의 작동으로 용기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펌프(10)의 구성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린더(1)는 상측이 개구된 원통 형태를 가지며, 피스톤(2)은 하측이 개구된 원통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2)의 개구된 하측이 상기 실린더(1)으 개구된 상측과 결합됨으로써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피스톤(2)은 실린더(1)에 삽입된 상태로 사용자의 누르는 힘과 도면에 생략된 통상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 펌핑작용이 가능해진다.
실린더(1) 하부에는 하단면(12)이 형성되며, 상기 하단면(12)에 흡기구(11)가 구비되며, 피스톤(2)의 상부에는 상단면(22)이 형성되며, 상기 상단면(22)에는 배기구(21)가 구비될 수 있다.
실린더(1)의 하단면(12) 아래쪽으로 소정길이 돌출된 상기 흡기구(11)과 연결된 실린더관(14)이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관(14)에는 패킹부재(82)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실린더(1)는 실린더관(14)의 길이에 대응하여 소정길이 더 연장되는 연장부(15)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15)에는 필요에 따라 밀봉부재(8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피스톤(2)의 개구된 하측 외주면에는 실린더(1)의 개구된 상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실린더(1)의 상부에 결합되면 상기 결합부재(9)에 걸리도록 외측으로 걸림돌출부(27)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출부(27)에는 실링부재(81)가 결합되는 결합홈(28)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부밸브(3)는 흡기구(11)에 삽입되는 길이부(32)와, 상기 길이부(32)가 흡기구(11)에 삽입된 경우에 흡기구(11)를 밀폐할 수 있는 원추형경사부(31), 상기 원추형경사부(31)와 길이부(32) 사이에는 평면 형태의 경사연결면(33)으로 이루어져 있다(도 4참조).
도시된 실시예에선 원추형경사부(31)와 길이부(32) 사이에는 경사연결면(33)이 연결되어 있는 구조가 예시되어 있으나,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경사연결면(33) 없이 원추형경사부(31)의 하측 중앙에 길이부(32)가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부밸브(4)는 배기구(21)에 삽입되는 길이부(42)와, 상기 길이부(42)가 배기구(21)에 삽입된 경우에 배기구(21)를 밀폐할 수 있는 원추형경사부(41)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원추형경사부(31,41)는 외측으로 갈수록 하방향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하부밸브(3), 상부밸브(4)가 각각 피스톤(2)의 펌핑작용에 따라 흡기구(11)와 배기구(21)를 원활하게 개폐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흡기구(11)는 실린더(1)의 하부에 구비되고, 배기구(21)는 피스톤(2) 상부에 구비되기 때문에, 피스톤(2)이 하강하는 경우에 상부밸브(4)가 압력에 의해 열리고 피스톤(2)과 실린더(1) 사이의 내부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는 압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기 위해서 움직이는데, 이때 하단면(12)의 흡기구(11)가 하부밸브(3)에 의해 막히기 때문에 상단면(22)의 배기구(21)로 배출되는 것이다.
반대로,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2)이 도면에 생략된 통상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하는 경우에는 공간이 늘어난 만큼 상기 내부공간에 공기가 유입이 되려고 움직이는데 상부밸브(4)는 압력에 의해 배기구(21)를 막고, 하부밸브(3)는 압력에 의해 살짝 들리게 되어 흡기구(11)가 열리게 되므로 하단면(12)의 흡기구(11)로 용기내의 공기는 피스톤 내부공간으로 유입된다.
한편, 하부밸브이탈방지부재(6)는 하부밸브(3)의 상부에 구비되어 하부밸브(3)가 흡기구(11)로부터 이탈 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하부밸브이탈방지부재(6)는 하부밸브압착부재(7)와 탄성부재(8)를 구비하여 하부밸브(3)를 가압하며, 하부밸브(3)가 흡기구(1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실린더(1) 내부에는 하부밸브이탈방지부재(6)를 지지하는 지지부(13)가 구비되는데, 상기 지지부(13)는 흡기구(11)를 둘러싸는 형태로 하단면(12)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밸브이탈방지부재(6)의 외주면에는 상기 지지부(13)에 걸리는 환형걸림턱(64)이 외측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밸브이탈방지부재(6)는 환형걸림턱(64)의 하면이 지지부(13)에 지지되고 상면이 가압돌출부(29)에 지지받기 때문에 하부밸브(3)의 상부에서 견고하게 위치할 수 있는 것이다.
하부밸브이탈방지부재(6)는 중심부에 중공홀(61)을 가지며, 환형걸림턱(64)의 아래쪽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돌출부(63)를 가진다.
상기 중공홀(61)은 흡기구(1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돌출부(63)에는 공기유로홈(6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63)의 길이는 환형걸림턱(64)이 지지부(13)에 지지된 경우에 돌출부(63)의 끝단과 하부밸브(3)와의 간격이 소정거리 유지되도록 돌출부(63)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돌출부(63)가 하부밸브(3)를 압착하게 되면, 하부밸브(3)가 흡기구(11)를 원활하게 개폐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피스톤캡부재(5)는 피스톤(2)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부밸브(4)가 배기구(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피스톤캡부재(5)의 소정위치에는 결합돌기(53)가 형성되고, 피스톤(2)의 상단면(22)에는 상기 결합돌기(53)에 대응하는 결합돌기홈(24)이 형성될 수 있다.
피스톤(2)의 상단면(22)에는 저면에 구비된 배기구(21)에 길이부(42)가 삽입되어 상부밸브(4)가 안착되는 상부밸브홈(23)이 형성되며, 피스톤캡부재(5)에는 아래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밸브홈(23)에 삽입되는 상부밸브가압부(5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밸브(4)는 길이부(42)가 배기구(21)에 삽입되어 상부밸브홈(23)에 안착된 후 피스톤캡부재(5)가 피스톤(2) 상부에 결합되면, 피스톤캡부재(5)에 돌출 형성된 상부밸브가압부(51)에 의해 배기구(21)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피스톤(2)의 상부에는 공기유로홈(25)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밸브가압부(51)에도 역시 공기유로홈(5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배기구(21)를 통해 상부밸브홈(23)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공기유로홈(25,52)을 통해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펌프(10)는 피스톤(2)이 하강한 상태에서 소정각도 회전시키면 결합부재(9)에 걸림이 되어 피스톤(2)이 눌려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고정수단은 피스톤(2)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돌기(26)와, 상기 가이드돌기(26)에 대응하도록 결합부재(9)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요홈(9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돌기(26)의 길이는 피스톤(2)의 길이보다 짧게 즉, 피스톤(2)의 하단부로부터 상단부 소정부위까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피스톤(2)이 하강하는 경우 피스톤(2)의 가이드돌기(26)가 가이드돌기요홈(92)을 따라 슬라이딩 되다가, 피스톤(2)이 끝까지 하강하게 되면 가이드돌기(26)의 상단부가 가이드돌기요홈(92)의 아래에 위치하게 되므로, 그 상태에서 피스톤(2)을 회전시키면 가이드돌기(26)가 결합부재(9)에 걸리게 됨으로써, 피스톤(2)이 압축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펌프(10)는 피스톤(2)이 하강하는 경우에 하부밸브(3)를 가압하여 흡기구(11)에 압착시키는 하부밸브 가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하면, 상기 하부밸브 가압수단은 피스톤(2)의 상부밸브홈(23)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중심부에 배기구(21)가 구비되는 가압돌출부(29)와, 피스톤(2)이 하강하는 경우에 상기 가압돌출부(29)에 의해 가압되어 하부밸브(3)를 압착하는 하부밸브압착부재(7)와, 하부밸브압착부재(7)의 환형걸림턱(74)의 저면에 위치하여 하부밸브(3)를 가압할 수 있는 탄성부재(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흡기구(11)는 피스톤(2)이 하강하는 경우에 하부밸브(3)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밀폐될 수 있다.
상기 하부밸브 가압수단은 피스톤(2)이 하강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을 때까지 하강한 경우에 하부밸브(3)를 가압하여 흡기구(11)를 압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가압돌출부(29)와 하부밸브압착부재(7)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밸브압착부재(7)는 하부밸브이탈방지부재(6)의 중공홀(61)에 삽입되어 상하이동가능하게 실린더(1)에 장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중심부에는 중공홀(71)이 형성되며, 하부의 밸브압착부(73)에는 공기유로부(7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흡기구(11)로 유입된 공기가 진공펌프(10)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하부밸브압착부재(7)의 하단에는 하부밸브(3)의 원추형경사부(31)에 대응하도록 안쪽으로 갈수록 상방향의 경사를 가지는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하부밸브압착부재(7)가 하부밸브(3)의 원추형경사부(31)를 압착하는 경우에 상기 원추형경사부(3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효과적으로 원추형경사부(31)를 압착할 수 있다.
탄성부재(8)는 하부밸브압착부재(7)의 환형걸림턱(74)의 밸브압착부(73)에 삽입 가능하고, 상기 탄성부재(8)에 의해 환형걸림턱(74)의 하면과 하부밸브(3)의 원추형경사부(31) 사이에서 하부밸브(3)를 더 효과적으로 압착할 수 있으나, 상기 탄성부재(8)는 생략이 가능하다.
도 5는 도1 ~ 도4에서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하부밸브압착부재(7)와 가압돌출부(29)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하부밸브압착부재(7)와 가압돌출부(29)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비교하여 피스톤(2)이 하강한 후 결합부재(9)에 걸림되도록 회전시키면 하부밸브압착부재(7)를 소정거리 하향 이동시키는 캠부를 더 포함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언급하면, 상기 캠부는 가압돌출부(29)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상부캠부(241)와, 상기 상부캠부(241)에 대응하도록 하부밸브압착부재(7)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하부캠부(7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피스톤(2)을 누른 후 소정각도 회전시켜 결합부재(9)에 걸림되도록하여 고정시키는 경우에, 가압돌출부(29)의 상부캠부(241)의 돌출부과 하부캠부(75)의 돌출부가 대응하여 길어진 길이만큼 하부밸브압착부재(7)를 더욱 가압하게 되어, 하부밸브(3)는 하부밸브압착부재(7)에 의해 더욱 압착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흡기구(11)는 더욱 밀폐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펌프(10)는 실린더(1)의 하단면(12) 아래쪽으로 소정길이 돌출된 실린더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관(14)의 중심부에는 상기 흡기구(11)가 연장 형성된다. 또한, 실린더관(14)에 결합되며, 흡기구(11)에 연결되는 패킹부재(8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실린더(1)는 상기 실린더관(14)의 길이에 대응하여 소정길이 더 연장되는 연장부(1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10)는 실린더(1)의 길이는 하단면(12)까지만 형성되더라도 상관없지만, 실린더관(14)의 길이에 대응하여 연장부(1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연장부(15)는 실린더관(14)의 길이만큼 연장될 수도 있으며, 그보다 짧거나 길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펌프(10)는 와인 보관에 상당히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와인이 남은 와인병의 경우 병마개로 막아 내부를 밀폐시킨 상태로 보관하게 된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병 내부에는 와인의 맛과 향을 변질 시킬 수 있는 잔존 공기가 존재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펌프(10)를 사용하여 병에 존재하는 공기를 모두 외부로 배출하여 진공상태로 만든 후에 와인병 내부를 밀폐시킨다면 그만큼 와인의 맛과 향기가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펌프(10)는 진공펌프(10)의 패킹부재(82) 및 밀봉부재(83)를 사용하여 진공펌프(10)와 병 사이를 밀폐한 후, 피스톤(2)을 반복적으로 펌핑작용하여 병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모두 배출시켜 병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든 후, 피스톤(2)을 하강한 상태에서 결합부재(9)에 걸림되도록 회전시켜 고정시킴으로써, 진공펌프(10)를 병마개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1: 실린더 2: 피스톤
3: 하부밸브 4: 상부밸브
5: 피스톤캡부재 6: 하부밸브이탈방지부재
7: 하부밸브압착부재 8: 탄성부재
9: 결합부재 10: 진공펌프
11: 흡기구 12: 하단면
13: 지지부 14: 실린더관
15: 연장부 21: 배기구
22: 상단면 23: 상부밸브홈
24: 결합돌기홈 25,52,62,72: 공기유로홈
26: 가이드돌기 27: 걸림돌출부
28: 결합홈 29: 가압돌출부
31,41: 원추형경사부 32,42: 길이부
33: 경사연결면 51: 상부밸브가압부
53: 결합돌기 61,71: 중공홀
63: 돌출부 64,74: 환형걸림턱
73: 밸브압착부 75: 하부캠부
81: 실링부재 82: 패킹부재
83: 밀봉부재 91: 가이드돌기요홈
241: 상부캠부

Claims (9)

  1. 하단면에 흡기구가 구비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면에 배기구가 구비되는 피스톤과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용기용 진공펌프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흡기구를 개폐하는 하부밸브;
    상기 피스톤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배기구를 개폐하는 상부밸브;
    상기 실린더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합부재;
    상기 실린더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밸브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밸브이탈방지부재;
    상기 피스톤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밸브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피스톤캡부재;
    상기 실린더의 하부의 실린더관에 결합되는 패킹부재;
    상기 실린더의 하부의 연장부에 결합되는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밸브와 상부밸브는 각각 상기 흡기구와 배기구에 삽입되는 길이부와, 상기 길이부가 상기 흡기구와 배기구에 삽입된 경우에 상기 흡기구와 배기구를 덮는 원추형경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경사부는 바깥쪽으로 갈수록 하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내부에는 상기 하단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밸브이탈방지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밸브이탈방지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지지부에 걸리는 환형걸림턱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환형걸림턱에 하부밸브를 확실하게 가압하여 밀봉 하기위한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상단면에는 상기 상부밸브가 안착되는 상부밸브홈이 구비되며,
    상기 피스톤캡부재는 아래쪽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상부밸브홈에 삽입되는 상부밸브가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을 누른 상태에서 소정각도를 회전시키면 상기 결합부재에 걸림되어 상기 피스톤이 하강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이 눌러진 상태로 고정된 경우에, 상기 하부밸브를 가압하여 흡기구에 압착시키는 하부밸브 가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밸브 가압수단이 상기 피스톤의 상부밸브홈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소정길이가 연장되며 중심부에 상기 배기구가 구비되는 가압돌출부와, 상기 피스톤이 하강한 상태로 고정된 경우에 상기 가압돌출부에 의해 가압되어 하부밸브를 압착하는 하부밸브압착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출부의 하단부와 상기 압착부재의 상단부에는 각각 서로 대응하는 캠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하단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며, 중심부에 상기 흡기구가 구비되는 실린더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실린더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KR1020100093793A 2010-09-28 2010-09-28 용기용 진공펌프 KR201200322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793A KR20120032245A (ko) 2010-09-28 2010-09-28 용기용 진공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793A KR20120032245A (ko) 2010-09-28 2010-09-28 용기용 진공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245A true KR20120032245A (ko) 2012-04-05

Family

ID=46135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3793A KR20120032245A (ko) 2010-09-28 2010-09-28 용기용 진공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224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6920A (ko) 2014-01-21 2015-07-29 이복규 음식물 진공보관용 진공펌프
CN106185047A (zh) * 2016-08-29 2016-12-07 珠海先河生物技术有限公司 真空保鲜果汁杯
CN107826448A (zh) * 2017-11-29 2018-03-23 珠海先河生物技术有限公司 罐盖和真空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6920A (ko) 2014-01-21 2015-07-29 이복규 음식물 진공보관용 진공펌프
CN106185047A (zh) * 2016-08-29 2016-12-07 珠海先河生物技术有限公司 真空保鲜果汁杯
CN107826448A (zh) * 2017-11-29 2018-03-23 珠海先河生物技术有限公司 罐盖和真空罐
CN107826448B (zh) * 2017-11-29 2024-05-14 珠海先河生物技术有限公司 罐盖和真空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86153B2 (ja) 真空ホース用容器蓋
KR101161732B1 (ko) 진공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용기
KR100969703B1 (ko) 진공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용기
US9096365B2 (en) Vacuum generating apparatus and vacuum container provided with the same
KR200445177Y1 (ko) 용기 마개용 진공 펌프
DK2928814T3 (en) BEVERAGE DRAFT AND CONTAINER FOR USE IN A BEVERAGE DRAFT
KR101542589B1 (ko) 병 진공밀폐장치
US9580225B2 (en) Wine bottle closure apparatus
KR20120032245A (ko) 용기용 진공펌프
US20090001041A1 (en) Wine stop pump
TWM542630U (zh) 便利製造容器負壓以及長時間密封的容器蓋
KR101409575B1 (ko) 식품보관용기용 가압식 밀폐뚜껑
KR100920184B1 (ko) 용기 밀폐용 진공펌프
KR200451620Y1 (ko) 체크 밸브
CN105564827A (zh) 一种葡萄酒真空储藏装置及使用方法
EP3184461B1 (en) Bottle cover and bottle with the bottle cover
KR20110037611A (ko)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
CN212952086U (zh) 一种真空罐
JP6991571B2 (ja) サーバー
CN109843736B (zh) 盖子自动开闭式容器
KR200438978Y1 (ko) 식품 보존용 진공 용기
KR101384032B1 (ko) 탄산가스 누출 방지 장치가 부가된 음료 병의 병마개
KR200269043Y1 (ko) 밀/개폐형 밸브구조를 갖는 식품용기
KR20140008179A (ko) 진공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용기
JP6459534B2 (ja) 飲料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