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8179A - 진공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용기 - Google Patents

진공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8179A
KR20140008179A KR1020120075589A KR20120075589A KR20140008179A KR 20140008179 A KR20140008179 A KR 20140008179A KR 1020120075589 A KR1020120075589 A KR 1020120075589A KR 20120075589 A KR20120075589 A KR 20120075589A KR 20140008179 A KR20140008179 A KR 20140008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ase
outlet
opening
clo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5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정오
Original Assignee
구정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정오 filed Critical 구정오
Priority to KR1020120075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8179A/ko
Publication of KR20140008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81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7/00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 F04B37/10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for special use
    • F04B37/14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for special use to obtain high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2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3/00Pumps actuated by muscle power, e.g. for infl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1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60Fluid transf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진공용기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진공용기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 수 있는 진공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는 하부막에 제1배출구가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막에 제2배출구가 구비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배출구를 개폐하는 제1개폐부재; 상기 피스톤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배출구를 개폐하는 제2개폐부재; 상기 케이스와 상기 피스톤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이탈방지부재;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개폐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이탈방지부재; 상기 피스톤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개폐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3이탈방지부재;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패킹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용기{Vaccum pump and vaccum contai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진공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진공용기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진공용기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 수 있는 진공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야채와 생선 등의 식품류는 외부와의 접촉 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생물이나 산소 등과 같은 기타 유해 물질들과의 접촉으로 인해 쉽게 산화되면서 부패가 된다.
또한, 발효식품의 경우에는 미생물의 번식이 더욱 활성화되면서 식품의 발효 및 숙성 속도가 지나치게 빨리 진행되어 보존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식품의 변질 및 부패를 방지하거나, 발효 속도를 지연시키기 위해서는 식품류가 외부 공기와 접촉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것이 관건이고,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진공용기이다.
도 1은 종래의 진공용기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진공용기(1)는 본체(2), 덮개(3), 덮개(3)에 형성된 홀에 구비되어 본체(2) 내부를 밀폐시키는 밀폐부재(4)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진공용기(1)는 본체(2)에 덮개(3)를 덮은 상태에서 밀폐부재(4)를 누르면, 상기 밀폐부재(4)가 덮개(3)에 구비된 홀에 밀착되면서 본체(2) 내부를 밀폐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덮개(3)를 열 때에는 밀폐부재(4)를 잡아당겨 밀폐부재(4)와 덮개(3)에 구비된 홀의 밀착을 해제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진공용기(1)는 밀폐부재(4)를 눌러 홀에 밀착시켜 본체(2) 내부를 밀폐시킨다고 하더라도, 본체(2)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에 의해 본체(2)에 수용된 음식물이 부패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진공용기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진공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는 하부막에 제1배출구가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막에 제2배출구가 구비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배출구를 개폐하는 제1개폐부재; 상기 피스톤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배출구를 개폐하는 제2개폐부재; 상기 케이스와 상기 피스톤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이탈방지부재;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개폐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이탈방지부재; 상기 피스톤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개폐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3이탈방지부재;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패킹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진공용기는 본체; 상기 본체를 개폐하며, 제3배출구가 형성된 수용부가 구비되는 덮개; 상기 제3배출구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 내부를 밀폐시키는 밀폐부재; 및 상기 수용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본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진공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펌프는, 하부막에 제1배출구가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막에 제2배출구가 구비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배출구를 개폐하는 제1개폐부재; 상기 피스톤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배출구를 개폐하는 제2개폐부재; 상기 케이스와 상기 피스톤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이탈방지부재;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개폐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이탈방지부재; 상기 피스톤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개폐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3이탈방지부재;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에 결합되는 제1패킹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 및 진공용기에 의하면, 진공용기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진공용기 내부의 진공의 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진공용기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펌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따른 진공펌프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펌프가 진공용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제1개폐부재 가압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펌프가 구비된 진공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한 밀폐부재의 확대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펌프가 병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도,
도 10은 제2패킹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펌프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펌프(10)는 케이스(20), 피스톤(30), 제1개폐부재(12), 제2개폐부재(14), 실링부재(16), 탄성부재(17), 제1이탈방지부재(40), 제2이탈방지부재(50), 제3이탈방지부재(60), 제1패킹부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의 하부에는 제1배출구(21)가 구비되며, 상기 피스톤(30)의 상부에는 제2배출구(31)가 구비된다.
상기 피스톤(30)은 상하이동 가능하게 케이스(20)에 결합되며, 상기 탄성부재(17)는 케이스(20)와 피스톤(3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3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1개폐부재(12)는 피스톤(30)의 상하이동에 따라 제1배출구(21)를 개폐하며, 상기 제2개폐부재(14)는 피스톤(30)의 상하이동에 따라 제2배출구(31)를 개폐한다.
상기 실링부재(16)는 피스톤(3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30)의 상하이동시 피스톤(30)의 내부 공간 즉, 펌프실을 밀봉시킨다. 그러나 실링부재(16)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1이탈방지부재(40)는 케이스(20)의 상부에 결합되어 피스톤(30)이 케이스(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2이탈방지부재(12)는 케이스(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제1개폐부재(12)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3이탈방지부재(60)는 피스톤(30)의 상부에 결합되어 제2개폐부재(14)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패킹부재(70)는 케이스(20)의 하부에 결합되어, 진공펌프(10)가 진공용기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진공용기에 장착되는 경우에 장착부위를 밀폐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펌프(10)의 작동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따른 진공펌프의 결합단면도로서, 도 3은 피스톤이 하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피스톤이 상승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피스톤(30)을 눌러주어 피스톤(30)이 하강하는 경우에는 피스톤(30)과 케이스(20)가 이루는 펌프실(11)의 공간이 줄어들게 된다.
이때, 펌프실(11) 내에 존재하는 공기는 제1배출구(21) 또는 제2배출구(3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야 하는데,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이 경우 제1배출구(21)는 제1개폐부재(12)에 의해 막히게 되므로, 펌프실(11) 내에 존재하는 공기는 제2배출구(3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피스톤(30)을 눌러주지 않으면, 피스톤(30)은 탄성부재(17)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상승하게 되면서 펌프실(11)의 공간이 다시 늘어나게 된다.
이때, 상기 펌프실(11)에는 공기가 존재하지 않는 진공상태이므로 상기 펌프실(11)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야 하는데,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이 경우 제2배출구(31)는 제2개폐부재(14)에 의해 막히게 되므로, 외부 공기가 제1배출구(21)를 통해 펌프실(11) 내로 유입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10)가 진공용기에 장착되어 진공펌프(10)와 진공용기의 장착부위가 제1패킹부재(70)에 의해 밀폐된다면,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피스톤(30)이 상승하는 경우에 제1배출구(21)를 통해 펌프실(11)로 유입되는 공기는 진공용기 내부의 공기가 되므로, 진공용기 내부의 공기가 펌프실(11)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다시 피스톤(30)을 눌러주면, 제1배출구(21)를 통해 펌프실(11)로 유입된 진공용기 내부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피스톤(30)을 반복해서 눌러주면, 진공용기 내부의 모든 공기는 펌프실(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그에 따라 진공용기 내부는 고진공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펌프가 진공용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10)는 제1패킹부재(70)가 진공용기(100)의 덮개(120)에 구비된 수용부(124, 도7참조)에 결합됨으로써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장착된 상태에서 피스톤(30)을 반복적으로 눌러줌으로써 진공용기(100)의 본체(110)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본체(110)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펌프의 구성에 대하여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케이스(20)는 상측이 개구된 형태를 가지며, 피스톤(30)은 하측이 개구된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30)의 개구된 하측이 상기 케이스(20)의 개구된 상측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펌프실(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피스톤(30)은 케이스(20)에 삽입된 상태로 상하이동이 가능해진다.
케이스(20)의 하부에는 하부막(22) 형성되며, 상기 하부막(22)에 제1배출구(21)가 구비되며, 피스톤(30)의 상부에는 상부막(32)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막(32)에 제2배출구(31)가 구비될 수 있다.
케이스(20)의 하부막(22) 하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된 케이스돌출부(24)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케이스(20)는 케이스돌출부(24)의 길이에 대응하여 소정길이 더 연장되는 연장부(2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피스톤(30)의 개구된 하측 외주면에는 케이스(20)의 개구된 상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이탈방지부재(40)가 케이스(20)의 상부에 결합되면 상기 제1이탈방지부재(40)에 걸리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출부(36)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출부(36)에는 실링부재(16)가 결합되는 결합홈(37)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개폐부재(12)는 제1배출구(21)에 삽입되는 길이부(121)와, 상기 길이부(121)가 제1배출구(21)에 삽입된 경우에 제1배출구(21)를 덮는 날개부(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길이부(121)는 제1개폐부재(12)가 제1배출구(21)를 개폐하는 위치에 정렬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길이부(121)의 단면의 크기는 제1배출구(21)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는 제1배출구(21)를 통해 펌프실(11)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길이부(121)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날개부(122)의 면적은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개폐부재(14)는 제2배출구(31)에 삽입되는 길이부(141)와, 상기 길이부(141)가 제2배출구(31)에 삽입된 경우에 제2배출구(31)를 덮는 날개부(1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길이부(141)는 제2개폐부재(14)가 제2배출구(31)를 개폐하는 위치에 정렬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길이부(141)의 단면의 크기는 제2배출구(31)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2배출구(3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길이부(141)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날개부(122,142)는 외측으로 갈수록 하방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2개폐부재(12,14)가 각각 피스톤(30)의 상하이동에 따라 제1,2배출구(21,31)를 원활하게 개폐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배출구(21)는 케이스(20)의 하부에 구비되고, 제2배출구(31)는 피스톤(30)의 상부에 구비되기 때문에, 피스톤(30)이 하강하는 경우에 펌프실(11)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해서는 위에서 아래로 제1배출구(21)를 향하게 되고, 아래에서 위로 제2배출구(31)를 향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공기의 흐름에 의해 제1배출구(21)는 제1개폐부재(12)의 날개부(122)에 의해 막히게 되고, 제2배출구(31)는 제2개폐부재(14)의 날개부(142)에 의해 막히지 않게 된다. 따라서, 피스톤(30)이 하강하는 경우에 펌프실(11) 내의 공기는 제2배출구(31)를 통해서만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반대로, 피스톤(30)이 상승하는 경우에 펌프실(11) 내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기 위해서는 아래에서 위로 제1배출구(21)를 향하게 되고, 위에서 아래로 제2배출구(31)를 향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공기의 흐름에 의해 제1배출구(21)는 제1개폐부재(12)의 날개부(122)에 의해 막히지 않게 되고, 제2배출구(31)는 제2개폐부재(14)의 날개부(142)에 의해 막히게 된다. 따라서, 피스톤(30)이 상승하는 경우에 외부의 공기는 제1배출구(21)를 통해서만 펌프실(11) 내로 유입되는 것이다.
따라서, 날개부(122,142)가 외측으로 갈수록 하방 경사를 가지면 상술한 바와 같은 날개부(122,142)의 작용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2이탈방지부재(50)는 제1개폐부재(12)의 상부에 구비되어 제1개폐부재(12)가 제1배출구(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케이스(20)의 내부에는 제2이탈방지부재(50)를 지지하는 지지부(23)가 구비되는데, 상기 지지부(23)는 제1배출구(21)를 둘러싸는 형태로 하부막(22)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제2이탈방지부재(50)의 외주면에는 상기 지지부(23)에 걸리는 걸림턱(51)이 외측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턱(51)의 상면에는 탄성부재(17)의 끝단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이탈방지부재(50)는 걸림턱(51)의 하면이 지지부(23)에 지지되고, 상면이 탄성부재(17)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받기 때문에 제1개폐부재(12)의 상부에서 견고하게 위치할 수 있는 것이다.
제2이탈방지부재(50)는 중심부에 중공홀(52)을 가지며, 걸림턱(51)의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연장부(53)와, 걸림턱(51)의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돌출부(5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공홀(52, 도 2참조)은 제1배출구(2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펌프실(11)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돌출부(54)는 탄성부재(17)가 삽입되어 걸림턱(51)에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돌출부(54)에는 공기유로홈(5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52)의 끝단에는 제1개폐부재(12)가 중공홀(52)을 통해 펌프실(11) 내로 이탈되지 않도록 제2이탈방지부(5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52)의 길이는 걸림턱(51)이 지지부(23)에 지지된 경우에 연장부(52)의 끝단과 제1개폐부재(12)와의 간격이 소정거리 유지되도록 지지부(23)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연장부(52)가 제1개폐부재(12)를 압착하게 되면, 제1개폐부재(12)가 제1배출구(21)를 원활하게 개폐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제3이탈방지부재(60)는 피스톤(30)의 상부에 결합되어 제2개폐부재(14)가 제2배출구(3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3이탈방지부재(60)의 소정위치에는 결합돌기(63)가 형성되고, 피스톤(30)의 상부막(32)에는 상기 결합돌기(63)에 대응하는 결합돌기홈(34)이 형성될 수 있다.
피스톤(30)의 상부막(32)에는 저면에 구비된 제2배출구(31)에 길이부(141)가 삽입되어 제2개폐부재(14)가 안착되는 안착홈(33)이 형성되며, 제3이탈방지부재(60)에는 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안착홈(33)에 삽입되는 제3이탈방지부(6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개폐부재(14)는 길이부(141)가 제2배출구(31)에 삽입되어 안착홈(33)에 안착된 후 제3이탈방지부재(60)가 피스톤(30) 상부에 결합되면, 제3이탈방지부(61)에 의해 제2배출구(31)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 제3이탈방지부(61)의 길이는 제3이탈방지부재(60)가 피스톤(30)의 상부에 결합된 경우에 제3이탈방지부(61)의 끝단과 제2개폐부재(14)와의 간격이 소정거리 유지되도록 안착홈(33)의 깊이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3이탈방지부(61)가 제2개폐부재(14)를 압착하게 되면, 제2개폐부재(14)가 제2배출구(31)를 원활하게 개폐할 수 없기 때문이다.
피스톤(30)의 상부에는 공기유로홈(35)이 형성되고, 제3이탈방지부(61)에는 공기유로홈(6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제2배출구(31)를 통해 안착홈(33)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공기유로홈(35,62)을 통해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펌프(10)는 피스톤(30)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소정각도 회전시키면 제1이탈방지부재(40)에 걸림되어 피스톤(30)이 하강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고정부는 피스톤(30)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돌기(38)와, 상기 가이드돌기(38)에 대응하도록 제1이탈방지부재(4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41)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돌기(38)의 길이는 피스톤(30)의 길이보다 짧게 즉, 피스톤(30)의 하단부로부터 상단부 소정부위까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피스톤(30)이 하강하는 경우에는 가이드돌기(38)가 가이드홈(41)을 따라 슬라이딩 되다가, 피스톤(30)이 끝까지 하강하게 되면 가이드돌기(38)의 상단부가 가이드홈(41) 아래에 위치하게 되므로, 그 상태에서 피스톤(30)을 회전시키면 가이드돌기(38)가 제1이탈방지부(40)에 걸림됨으로써, 피스톤(30)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펌프(10)는 피스톤(30)이 하강하는 경우에 제1개폐부재(12)를 가압하여 제1배출구(21)에 압착시키는 제1개폐부재 가압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개폐부재 가압부는 피스톤(30)의 상부막(32)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중심부에 제2배출구(31)가 구비되는 가압돌출부(39)와, 피스톤(30)이 하강하는 경우에 상기 가압돌출부(39)에 의해 가압되어 제1개폐부재(12)를 압착하는 압착부재(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배출구(21)는 피스톤(30)이 하강하는 경우에 제1개폐부재(12)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막힐 수 있다.
상기 제1개폐부재 가압부는 피스톤(30)이 하강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을 때까지 하강한 경우에 제1개폐부재(12)를 가압하여 제1배출구(21)를 압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가압돌출부(39)와 압착부재(80)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제1개폐부재 가압부는 피스톤(30)을 하강시키는 중에도 제1개폐부재(12)를 가압하여 제1배출구(21)를 압착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압착부재(80)가 빈번하게 제1개폐부재(12)를 압착하게 되므로 제1개폐부재(12)가 손상될 염려가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압착부재(80)는 제2이탈방지부재(50)의 중공홀(52)에 삽입되어 상하이동가능하게 케이스(20)에 장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중심부에는 중공홀(81)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압착부재 공기유로부(8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투입구(21)로 유입된 공기가 펌프실(11)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압착부재(80)의 끝단에는 제1개폐부재(12)의 날개부(122)에 대응하도록 내측으로 갈수록 상방 경사를 가지는 경사부(8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압착부재(80)가 제1개폐부재(12)의 날개부(122)를 압착하는 경우에 상기 날개부(12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효과적으로 날개부(122)를 압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개폐부재 가압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개폐부재 가압부는 상기 실시예와 비교하여 피스톤(30)을 하강시킨 후 제1이탈방지부재(40)에 걸림되도록 회전시키면 압착부재(80)를 소정거리 하향 이동시키는 캠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캠부는 가압돌출부(39)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1캠부(391)와, 상기 제1캠부(391)에 대응하도록 압착부재(8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2캠부(8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피스톤(30)을 하강시킨 후 소정각도 회전시켜 제1이탈방지부(40)에 걸림되도록하여 고정시키는 경우에, 가압돌출부(30)가 압착부재(80)를 더욱 가압하게 되어, 제1개폐부재(12)는 압착부재(80)에 의해 더욱 압착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1배출구(21)는 더욱 밀폐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제1개폐부재 가압부는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가압돌출부(39)와 압착부재(80)로 이루어지지 않고, 케이스(20)의 하부막(22)과 제2이탈방지부재(50) 사이에 구비되어 피스톤(30)이 하강하는 경우에 제1개폐부재(12)를 압착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한 밀폐부재(130)의 확대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용기(100)는 본체(110), 덮개(120), 상기 덮개(120)에 형성된 제3배출구(122)를 밀폐하는 밀폐부재(130), 상기 덮개(120)에 구비된 수용부(124)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상기 본체(1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진공펌프(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진공펌프(100)의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은 진공펌프(1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수용부(124)의 테두리부에는 진공펌프(10)의 제1패킹부재(70)가 장착되는 결합홈(126)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수용부(124) 내부는 밀폐될 수 있어서, 진공펌프(10)에 의한 펌핑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밀폐부재(130)는 제3배출구(122)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부(132)와, 상방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136)와, 상기 손잡이부(136)와 걸림부(132) 사이에 구비되어 제3배출구(122)를 덮는 날개부(1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부(136)를 누르면 날개부(134)가 수용부(124)의 저면에 밀착되어 제3배출구(122)를 밀폐시키게 되며, 사용자가 손잡이부(136)를 당기면 날개부(134)와 수용부(124)의 밀착이 해제되어 제3배출구(122)가 개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진공펌프(10)에 의한 진공용기(1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작용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손잡이부(136)를 눌러 날개부(134)를 수용부(124)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그러면 진공용기(100) 내부는 외부와 밀폐된다. 그런 다음 진공펌프(10)의 제1패킹부재(70)를 결합홈(126)에 장착시키고 펌핑을 한다.
*피스톤(30)을 반복적으로 눌러줄 때 케이스돌출부(24)가 밀폐부재(130)의 중앙부를 눌러주도록 하여, 밀폐부재(130)의 날개부(134)를 효과적으로 펄럭이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케이스돌출부(24)가 밀폐부재(130)의 중앙부를 누르지 않을 수도 있다.
피스톤(30)을 반복적으로 눌러주면, 압력차이에 의해 날개부(134)가 펄럭거리며 진공용기(100)의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가 수용부(124), 제1배출구(21) 및 제2배출구(31)를 거쳐 외부로 빠져나간다. 즉 피스톤(30)이 상승하는 경우에 펌프실(11)의 압력이 낮아져 수용부(124) 내의 공기가 제1배출구(21)를 통해 펌프실(11)로 유입된다. 그러면 수용부(124)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어 진공용기(100) 내부의 공기가 날개부(134)를 밀고 나가 수용부(124)에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날개부(134)의 두께(t)는 1.3mm 내지 1.8mm일 수 있다. 날개부(134)의 두께(t)가 1.3mm보다 작을 경우에는 밀폐부재(130)가 수용부(124)의 저면을 누르는 힘이 약해 진공용기(100) 내부의 진공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없으며, 두께(t)가 1.8mm보다 클 경우에는 진공펌프(10)의 펌핑에 의해 날개부(134)가 효과적으로 펄럭거릴 수 없다.
즉 진공펌프(10)의 펌핑시 날개부(134)와 수용부(124)의 밀착이 해제되어야 보다 원활하게 본체(110) 내의 공기가 수용부(124)로 유입될 수 있는데, 본 발명자의 실험에 의하면, 날개부(134)의 두께(t)가 1.3mm 내지 1.8mm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진공펌프(10)의 펌핑에 의해 날개부(134)가 보다 효과적으로 펄럭거리게 되어 본체(110) 내의 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수용부(124)로 유입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날개부(134)의 두께(t)가 1.3mm 이상이 되어야 밀폐부재(130)가 수용부(124)의 저면을 충분히 눌러 진공용기(100) 내부의 진공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진공용기(100)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를 모두 빼내면 진공용기(100) 내부는 높은 진공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결국 음식물의 부패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부(134)와 걸림부(132) 사이에는 본체(110) 내의 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수용부(124)로 유입되도록 공기유로홈(138)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유로홈(138)의 크기는 밀폐부재(130)의 크기나 날개부(134)부의 두께(t)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10)는 진공용기(100)에 장착되어 진공용기(100)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기 위한 것으로, 피스톤(30)을 반복적으로 눌러주어 진공용기(100) 내부를 고진공상태로 만든 후에, 피스톤(30)을 하강한 상태로 고정시켜 부피를 줄인 상태로 보관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10)는 진공용기(100)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지만, 병(200)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 진공용기뿐만 아니라 병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진공펌프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본적으로 상기 실시예에서의 진공펌프 구성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과 도면부호는 상기 실시예에서의 설명과 도면부호를 원용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펌프가 병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도, 도 10은 제2패킹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 내지 도4, 도9 및 도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펌프(10)는 케이스(20)의 하부막(22) 하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된 케이스돌출부(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돌출부(24)의 중심부에는 상기 제1배출구(21)가 연장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돌출부(24)에 결합되며, 제1배출구(21)에 연결되는 제3배출구(91)가 구비는 제2패킹부재(9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패킹부재(70)는 생략된 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0)는 상기 케이스돌출부(24)의 길이에 대응하여 소정길이 더 연장되는 연장부(2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10)는 케이스(20)의 길이는 하부막(22)까지만 형성되더라도 상관없지만, 케이스돌출부(24)의 길이에 대응하여 연장부(2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연장부(25)는 케이스돌출부(24)의 길이만큼 연장될 수도 있으며, 그보다 짧거나 길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2패킹부재(90)는 병(200) 주둥이에 삽입되어 병(200) 내부를 밀폐시키며, 중심부에 제3배출구(91)가 구비되는 밀폐부(92)와, 케이스돌출부(24)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결합홈(9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10)를 병(200)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2패킹부재(90)의 결합홈(93)을 케이스돌출부(24)에 억지끼움으로 결합시키면 된다. 그러면, 병(200) 내부는 밀폐부(92)에 의해 밀폐됨과 동시에 제3배출구(91)를 통해 제1배출구(21)와 연통될 수 있어서, 피스톤(30)의 반복적인 눌러짐에 의해 병(20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돌출부(24)의 하단에는 병(200) 내부의 공기가 제3배출구(91)를 통해 제1배출구(21)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유로홈(26)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펌프(10)는 와인병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와인이 남은 와인병을 패킹과 같은 병마개로 막아 내부를 밀폐시킨 상태로 보관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도 와인병 내부에는 공기가 존재하게 되므로 와인의 맛과 향기가 변질될 염려가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펌프(10)를 사용하여 와인병에 존재하는 공기를 모두 외부로 배출하여 진공상태로 만든 후에 와인병 내부를 밀폐시킨다면 그만큼 와인의 맛과 향기가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10)는 피스톤(30)이 하강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펌프(10)는 병마개로서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펌프(10)의 제2패킹부재(90)를 병(200)에 결합하고 피스톤(30)을 반복적으로 눌러주어 병(200)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모두 배출시켜 병(200)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든 후, 피스톤(30)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제1이탈방지부재(40)에 걸림되도록 회전시켜 고정시킴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펌프(10)를 병마개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10)는 피스톤(30)이 하강한 상태에서 고정된 경우에 제1개폐부재(12)를 가압하여 제1배출구(21)를 압착하는 제1개폐부재 가압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병(200) 내부는 더욱 밀폐될 수 있어서 오랜 시간 동안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10 : 진공펌프 12 : 제1개폐부재
14 : 제2개폐부재 16 : 실링부재
17 : 탄성부재 20 : 케이스
30 : 피스톤 40 : 제1이탈방지부재
50 : 제2이탈방지부재 60 : 제3이탈방지부재
70 : 제1패킹부재 80 : 압착부재
90 : 제2패킹부재 100 : 진공용기
200 : 병

Claims (16)

  1. 하부막에 제1배출구가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막에 제2배출구가 구비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배출구를 개폐하는 제1개폐부재;
    상기 피스톤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배출구를 개폐하는 제2개폐부재;
    상기 케이스와 상기 피스톤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이탈방지부재;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개폐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이탈방지부재;
    상기 피스톤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개폐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3이탈방지부재;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패킹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진공펌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부재와 제2개폐부재는 각각 상기 제1배출구와 제2배출구에 삽입되는 길이부와, 상기 길이부가 상기 제1배출구와 제2배출구에 삽입된 경우에 상기 제1배출구와 제2배출구를 덮는 날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외측으로 갈수록 하방 경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상기 하부막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이탈방지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이탈방지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지지부에 걸리는 걸림턱이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상부막에는 상기 제2개폐부재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구비되며, 상기 제3이탈방지부재에는 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제3이탈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소정각도 회전시키면 상기 제1이탈방지부재에 걸림되어 상기 피스톤이 하강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이 하강한 상태로 고정된 경우에 상기 제1개폐부재를 가압하여 제1배출구에 압착시키는 제1개폐부재 가압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부재 가압부는,
    상기 피스톤의 상부막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중심부에 상기 제2배출구가 구비되는 가압돌출부와,
    상기 피스톤이 하강한 상태로 고정된 경우에 상기 가압돌출부에 의해 가압되어 제1개폐부재를 압착하는 압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출부의 하단부와 상기 압착부재의 상단부에는 각각 서로 대응하는 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하부막과 상기 제2이탈방지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이 하강하는 경우에 상기 제2개폐부재를 압착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하부막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며, 중심부에 상기 제1배출구가 구비되는 케이스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패킹부재는 상기 케이스돌출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배출구에 연결되는 제3배출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12. 본체;
    상기 본체를 개폐하며, 제3배출구가 형성된 수용부가 구비되는 덮개;
    상기 제3배출구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 내부를 밀폐시키는 밀폐부재; 및
    상기 수용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본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진공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펌프는,
    하부막에 제1배출구가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막에 제2배출구가 구비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배출구를 개폐하는 제1개폐부재;
    상기 피스톤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배출구를 개폐하는 제2개폐부재;
    상기 케이스와 상기 피스톤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이탈방지부재;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개폐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이탈방지부재;
    상기 피스톤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개폐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3이탈방지부재;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에 결합되는 제1패킹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제1패킹부재가 장착되는 결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상방으로 돌출된 손잡이부와, 상기 제3배출구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부와,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걸림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3배출구를 덮는 날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날개부의 두께는 1.3mm 내지 1.8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와 걸림부 사이에는 공기유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하부막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있으며 중심부에 상기 제1배출구가 연장 형성되는 케이스돌출부와,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돌출부의 길이에 대응하여 소정길이 더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KR1020120075589A 2012-07-11 2012-07-11 진공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용기 KR201400081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589A KR20140008179A (ko) 2012-07-11 2012-07-11 진공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589A KR20140008179A (ko) 2012-07-11 2012-07-11 진공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179A true KR20140008179A (ko) 2014-01-21

Family

ID=50142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5589A KR20140008179A (ko) 2012-07-11 2012-07-11 진공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81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1766A (ko) 2020-02-11 2021-08-19 홍춘강 진공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1766A (ko) 2020-02-11 2021-08-19 홍춘강 진공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9703B1 (ko) 진공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용기
KR200448655Y1 (ko)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
JP4216899B2 (ja) ノズルヘッド下降型真空密閉ポンプディスペンサー容器
DK2263501T3 (en) Means for opening a capsule-based device for preparing a beverage
KR20190019690A (ko) 역류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 믹서기용 저장 용기
KR101200186B1 (ko) 내용물이 정량 토출되는 노즐헤드 하강형 진공밀폐 펌프디스펜서 용기
KR100986313B1 (ko) 진공펌프가 구비된 병마개
KR20120012663A (ko) 진공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용기
KR20210041771A (ko) 내부 가스 배출이 용이한 컵뚜껑
US20200087041A1 (en) Compressed gas supply device
KR20040007284A (ko) 식품 보존용 진공 용기
KR20140008179A (ko) 진공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용기
KR101524412B1 (ko) 진공과 밀폐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체크밸브가 구비된 밀폐용기
KR101409575B1 (ko) 식품보관용기용 가압식 밀폐뚜껑
KR100991304B1 (ko) 진공용기용 진공펌프
KR20040074663A (ko) 배출대형 내용물 배출장치
KR101880461B1 (ko) 탈기장치
KR200472346Y1 (ko) 화장품 용기의 토출장치
KR20130007474U (ko) 화장품 용기용 토출장치
KR101395317B1 (ko) 진공용기용 고무밀봉재 및 이를 이용한 진공용기 뚜껑
KR20160140110A (ko) 진공용기용 체크밸브
KR20120032245A (ko) 용기용 진공펌프
KR20110037611A (ko)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
KR100920184B1 (ko) 용기 밀폐용 진공펌프
KR200480440Y1 (ko) 배출링을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10 Patent application of lawful right holder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