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2663A - 진공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용기 - Google Patents

진공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2663A
KR20120012663A KR1020100074759A KR20100074759A KR20120012663A KR 20120012663 A KR20120012663 A KR 20120012663A KR 1020100074759 A KR1020100074759 A KR 1020100074759A KR 20100074759 A KR20100074759 A KR 20100074759A KR 20120012663 A KR20120012663 A KR 20120012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valve
coupled
container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4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1732B1 (ko
Inventor
구정오
Original Assignee
구정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정오 filed Critical 구정오
Priority to KR1020100074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1732B1/ko
Publication of KR20120012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2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1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1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및 하부 캠 구조를 이용하여 용기 내부의 진공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진공발생장치를 용기캡에 일체로 구비한 진공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용 공간을 갖는 용기 본체의 상부를 커버하며, 중앙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용기캡; 상측으로 개방된 관형상으로 원형 내주면을 갖는 원통부를 구비하고 외주부가 용기캡의 내주부에 결합 고정되며, 중앙부에 용기 본체와 연통하는 흡기구와 하부밸브홈을 형성하는 원형 돌기부가 형성된 실린더; 하향 개방된 관형상이고, 상부면의 중앙에 배기구와 상부밸브홈이 형성되고, 상부면의 하측으로부터 배기구를 둘러싸면서 연장되어 하단부에 상부캠을 구비하는 피스톤; 상부밸브홈을 둘러싸는 결합돌기를 통하여 피스톤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캡; 상부밸브홈에 결합되어 피스톤의 하강 및 상승에 따라 배기구를 개폐하는 상부 밸브; 하부밸브홈에 피스톤의 상승 및 하강에 따라 흡기구를 개폐하는 하부 밸브; 원형 돌기부에 하단 외주부가 결합 고정되는 제1원통부와 제2원통부를 구비하는 가압밸브커버; 피스톤에 대한 상승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하부 밸브의 최상부에 하단부가 가압되고 가압밸브커버의 제2원통부에 외주부가 결합되며 상단부에 하부캠을 구비하는 가압캡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공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용기{Vacuum Generating Apparatus and Vacuum Contain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진공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부 및 하부 캠 구조를 이용하여 용기 내부의 진공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진공발생장치를 용기캡에 일체로 구비한 진공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야채와 생선 등의 식품류는 외기와의 접촉 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생물이나 산소 등과 같은 기타 유해 물질들과의 접촉으로 인해 쉽게 산화되면서 부패가 된다.
또한, 발효식품의 경우에는 미생물의 번식이 더욱 활성화되면서 식품의 발효 및 숙성 속도가 지나치게 빨리 진행되어 보존성이 좋지 못한 폐단이 있다.
한편 식품의 발효 및 부패를 지연시키기 위해서는 외부 공기와의 차단이 관건이며, 이를 위해 제안된 것이 밀폐 용기, 즉 진공 용기이다.
이러한 진공 용기로서,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80847호(명칭: 용기의 진공밀폐장치)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997호(명칭: 진공 음식물 보관 용기)와 같은 구성이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이들 구성에서는 내부의 진공 형성이 미약하거나 진공형성수단이 항시 별도로 구비되어야만 하므로 분실의 위험이 많은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 일본 특개평11-49243호(명칭: 식품보존용 용기)에서는 캡의 상하 슬라이드 작용에 의해 제1밸브와 제2밸브는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하여 진공을 발생시키는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즉, 캡을 상승시키면 펌프실이 진공압 상태가 되면서 제2밸브는 닫혀지는 반면 제1밸브는 개방되면서 덮개의 내부로부터 공기가 펌프실로 유도되고, 다시 캡을 하강시키면 상기와 반대로 제1밸브가 닫혀지면서 제2밸브는 개방되어 펌프실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이처럼 캡의 승강 작용을 수회 반복하면 덮개의 내부로부터 점차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에 의해 덮개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덮개를 용기에 결합하게 되면 용기의 내부를 진공의 상태로서 형성할 수가 있어 그 내부에 식품을 보관하면서 식품의 변질이나 부패를 지연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구성에서는 진공 형성을 위한 캡의 상하 슬라이드 작용을 일일이 수동으로 수행해야 할 뿐만 아니라 덮개 내부의 진공력이 커지게 되면 특히 캡을 상향 이동시키기 위한 힘이 더욱 가중되므로 조작이 난해한 단점이 있다.
또한, 캡의 승강 조작 시 제2밸브가 캡의 상부면에 노출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제2밸브를 개방시키게 되는 캡의 하강 조작 시 가압하게 되는 부위가 적절치 못하여 불편함이 따르거나 제2밸브의 작용에 간섭을 주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429069호(명칭: 식품 보존용 진공 용기)에는 스프링 력을 이용한 피스톤 작용에 의해서 용기의 내부를 신속하게 진공의 상태가 되도록 하는 동시에 진공 형성을 위한 조작력을 반감시켜 조작이 용이하고 보다 안전한 식품 보관이 가능한 식품 보존용 용기를 제안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429069호에는 식품을 수용하는 용기부재의 상부를 커버하며, 중앙에 슬라이딩홈과 슬라이딩 홈의 내부에 제1밸브 홈을 형성하고, 제1밸브 홈의 중앙에 흡기구를 형성하고, 슬라이딩 홈의 상단부에는 이탈방지 홈을 형성한 뚜껑부재와; 판면의 외주연부에 다수의 통기공을 형성하고, 제1밸브 홈에 설치되어 중앙의 흡기구를 단속하는 제1밸브 부재와; 하부는 제1밸브부재의 승강 유동이 가능한 관형상이고, 상부는 제1밸브부재의 통기공 위치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관형상으로 상향 연장되어 가이드부를 이루며, 상부면에는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되는 밸브 가이드부재와; 밸브 가이드부재의 가이드부 외측으로 하단부가 얹혀지면서 수직 방향으로 신축되는 스프링부재와; 관형상의 내부에 스프링부재가 수용되고, 상부면의 중앙에 직경으로 하향 요입 형성된 제2밸브 홈의 중앙에 배기구를 형성하며, 회전 방지면의 상단부 일측에 걸림홈이 형성되며, 하단부의 외주연부에 걸림턱을 형성하면서 걸림턱에 실링수단이 구비되는 피스톤부재와; 걸림돌기가 슬라이딩 홈의 이탈방지 홈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피스톤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와: 피스톤부재의 상부면에 형성한 제2밸브 홈에 설치되어 중앙의 배기구를 단속하는 제2밸브 부재와; 내주면에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어 피스톤부재의 걸림돌기가 결합되는 캡부재;로 이루어지는 식품 보존용 진공 용기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429069호는 피스톤의 펌핑시에 흡기구를 단속하는 제1밸브 부재가 설정된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하지 못하고 측방향으로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어 빠른 진공상태에 도달하지 못할 뿐 아니라, 피스톤이 정지된 상태일 때 제1밸브 부재 및 제2밸브 부재가 각각 흡기구 및 배기구를 차단한 상태를 유지하는 구조를 갖고 있지 못하고 피스톤 내부공간 또한 외부와 완전한 실링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진공설정 후에 피스톤 내부공간이 일정한 압력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누설이 이루어지는 경우 용기 내부의 진공상태도 서서히 해제되는 문제가 있다. 그 결과, 진공 용기 내부에 보관된 식품 등의 보존기간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진공 용기는 흡기구가 용기 내부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있는 구조이므로 용기 내부에 분말 형태의 내용물을 보관하는 경우 피스톤의 펌핑 동작 시에 분말이 흡기구로 유입되어 제1밸브 부재가 밀착되어야 할 제1밸브 홈이 평탄한 상태를 갖지 못하여 누설이 발생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더욱이, 상기 종래의 진공 용기는 실린더 내부를 따라 상승 및 하강 운동이 이루어지는 피스톤의 측방향 유동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지 않아 피스톤의 상승 및 하강 운동시에 이탈방지부재의 내주부와 마찰이 발생하면서 부드러운 상하 슬라이딩 동작이 이루어지지 못하며, 그 결과 빠른 진공 상태에 도달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피스톤의 하부에 형성된 상부 캠과 가압캠로드의 하부 캠 사이에 선택적인 캠 위치결합에 의해 하부 밸브의 흡기구에 대한 차단상태를 더욱 보강함에 의해 완전한 실링상태를 구현하여 용기 내부의 진공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진공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부 밸브가 흡기구의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갖는 우산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피스톤의 상승 및 하강 운동시에 설정된 위치를 유지함과 동시에 효과적으로 흡기구를 실링상태로 설정할 수 있는 진공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린더의 하부에 흡기구를 커버하는 하부커버를 구비하여 분말형태의 내용물이 흡기구로 쉽게 흡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밸브의 오동작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진공발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린더 내측에 피스톤 가이드를 구비함에 의해 피스톤의 안정된 상승 및 하강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어 보다 빠른 진공 상태에 도달할 수 있게 유도하는 진공발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기 내부의 진공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한 식품 보관이 가능한 진공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수용 공간을 갖는 용기 본체의 상부를 커버하며, 중앙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용기캡; 상측으로 개방된 관형상으로 원형 내주면을 갖는 원통부를 구비하고 외주부가 상기 용기캡의 내주부에 결합 고정되며, 중앙부에 용기 본체와 연통하는 흡기구를 구비하며 흡기부 주위에 하부밸브홈을 형성하는 원형 돌기부가 형성된 실린더; 하향 개방되는 관형상이고, 상부면의 중앙에 배기구를 구비하며 배기구 주위에 상부밸브홈을 형성하며, 상부면의 하측으로부터 배기구를 둘러싸면서 연장되어 하단부에 적어도 2개의 상부캠을 구비하는 피스톤; 상기 상부밸브홈을 둘러싸는 다수의 결합돌기를 통하여 피스톤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캡; 상기 상부밸브홈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피스톤의 하강 및 상승에 따라 배기구를 개폐하는 상부 밸브; 상기 하부밸브홈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피스톤의 상승 및 하강에 따라 흡기구를 개폐하는 하부 밸브; 상기 흡기부 주위의 원형 돌기부에 하단 외주부가 결합 고정되는 제1원통부와 상기 제1원통부 보다 작은 직경의 제2원통부를 구비하는 가압밸브커버; 상기 피스톤이 하강한 경우 상승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하부 밸브의 최상부에 하단부가 가압되고 가압밸브커버의 제2원통부에 외주부가 결합되며 상단부에 상기 피스톤의 하강시에 선택적으로 상부캠과 결합이 이루어지는 적어도 2개의 하부캠을 구비하는 가압캡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용기용 진공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수용 공간을 갖는 용기 본체의 상부를 커버하며, 중앙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용기캡; 상측으로 개방된 관형상으로 원형 내주면을 갖는 원통부를 구비하고 외주부가 상기 용기캡의 내주부에 결합 고정되며, 중앙부에 용기 본체와 연통하는 흡기구를 구비하며 흡기부 주위에 하부밸브홈을 형성하는 원형 돌기부가 형성된 실린더; 외주부 하단이 상기 실린더의 내주부 하단에 결합 고정되며 외주면에 적어도 한쌍의 수직결합 요홈이 형성된 피스톤 가이드; 하향 개방되는 관형상으로 하단부 내주에 상기 적어도 한쌍의 수직결합 요홈에 결합되는 적어도 한쌍의 결합돌기를 구비하고, 상부면의 중앙에 배기구와 배기구 주위에 상부밸브홈을 형성하며, 상부면의 하측으로부터 배기구를 둘러싸면서 연장되어 하단부에 적어도 2개의 상부캠을 구비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이 하강한 경우 상승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상부밸브홈을 둘러싸는 다수의 결합돌기를 통하여 피스톤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캡; 상기 상부밸브홈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피스톤의 하강 및 상승에 따라 배기구를 개폐하는 상부 밸브; 상기 하부밸브홈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피스톤의 상승 및 하강에 따라 흡기구를 개폐하는 하부 밸브; 상기 흡기부 주위의 원형 돌기부에 하단 외주부가 결합 고정되는 제1원통부와 상기 제1원통부 보다 작은 직경의 제2원통부를 구비하는 가압밸브커버; 및 상기 하부 밸브의 최상부에 하단부가 가압되고 가압밸브커버의 제2원통부에 외주부가 결합되며 상단부에 상기 피스톤의 하강시에 선택적으로 상부캠과 결합이 이루어지는 적어도 2개의 하부캠을 구비하는 가압캡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용기용 진공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피스톤 가이드를 축으로 피스톤을 회전시킴에 의해 피스톤의 록킹이 이루어지며, 상기 피스톤의 록킹은 피스톤을 피스톤 가이드의 수직결합 요홈을 따라 하단까지 하강시킨 상태에서 피스톤 가이드의 수평결합 요홈을 따라 피스톤의 결합돌기가 결합된 경우에 이루어지고, 상기 피스톤의 록킹시에 하부캠과 상부캠은 결합길이를 최대화하도록 상부캠의 돌출부가 하부캠의 돌출부와 결합이 이루어져서 하부 밸브를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밸브 및 하부 밸브는 각각 배기구 및 흡기구에 삽입되는 지지부에 원추형 경사부가 연결된 우산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피스톤 가이드는 외주부 하단이 상기 실린더의 내주부 하단에 결합 고정되며 외주면에 적어도 한쌍의 수직결합 요홈이 형성된 외측 원통부와, 상기 외측 원통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가압밸브커버의 제2원통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내측 원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의 하단은 내측 원통부의 외주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탄성부재는 역 원추대형으로 이루어지며, 하단부가 피스톤 가이드 내측원통부의 외주에 결합되고 상단은 피스톤의 상부면 하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캡로드의 상측은 외주부에 다수의 결합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결합돌기는 가압밸브커버의 제2원통부의 내주부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요홈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의 하측을 둘러싸는 하부 커버를 더 포함하여, 실린더의 흡기부가 용기 본체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수용 공간을 갖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를 커버하며, 중앙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용기캡; 상측으로 개방된 관형상으로 원형 내주면을 갖는 원통부를 구비하고 외주부가 상기 용기캡의 내주부에 결합 고정되며, 중앙부에 용기 본체와 연통하는 흡기구를 구비하며 흡기부 주위에 하부밸브홈을 형성하는 원형 돌기부가 형성된 실린더; 외주부 하단이 상기 실린더의 내주부 하단에 결합 고정되며 외주면에 대응하여 형성된 적어도 한쌍의 수직결합 요홈과 상기 적어도 한쌍의 수직결합 요홈의 하단으로부터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한쌍의 수평결합 요홈을 구비한 피스톤 가이드; 하향 개방되는 관형상으로 하단부 내주에 상기 적어도 한쌍의 수직결합 요홈에 결합되는 적어도 한쌍의 결합돌기를 구비하고, 상부면의 중앙에 배기구와 배기구 주위에 상부밸브홈을 형성하며, 상부면의 하측으로부터 배기구를 둘러싸면서 연장되어 하단부에 적어도 2개의 상부캠을 구비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이 하강한 경우 상승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상부밸브홈을 둘러싸는 다수의 결합돌기를 통하여 피스톤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캡; 상기 상부밸브홈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피스톤의 하강 및 상승에 따라 배기구를 개폐하는 상부 밸브; 상기 하부밸브홈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피스톤의 상승 및 하강에 따라 흡기구를 개폐하는 하부 밸브; 상기 흡기부 주위의 원형 돌기부에 하단 외주부가 결합 고정되는 제1원통부와 상기 제1원통부 보다 작은 직경의 제2원통부를 구비하는 가압밸브커버; 및 상기 하부 밸브의 최상부에 하단부가 가압되고 가압밸브커버의 제2원통부에 외주부가 결합되며 상단부에 상기 피스톤의 하강시에 선택적으로 상부캠과 결합이 이루어지는 적어도 2개의 하부캠을 구비하는 가압캡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은 내주부에 형성된 적어도 한쌍의 결합돌기가 적어도 한쌍의 수직결합 요홈에 결합되어 적어도 한쌍의 수직결합 요홈을 따라 상승 및 하강시에 슬라이딩이 이루어지고, 록킹시에 상기 적어도 한쌍의 결합돌기가 적어도 한쌍의 수평결합 요홈을 따라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용기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상부 밸브 및 하부 밸브는 각각 배기구 및 흡기구에 삽입되는 지지부에 원추형 경사부가 경사연결면을 통하여 연결된 우산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스톤이 록킹상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경사연결면이 흡기구를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밸브 및 하부 밸브의 지지부와 경사연결면 사이의 형성각은 100 내지 130도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피스톤의 하부에 형성된 상부 캠과 가압캠로드의 하부 캠 사이에 선택적인 캠 위치결합에 의해 하부 밸브의 흡기구에 대한 차단상태를 더욱 보강함에 의해 완전한 실링상태를 구현하여 용기 내부의 진공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용기 내부의 진공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한 식품 보관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부 밸브가 흡기구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갖는 우산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피스톤의 상승 및 하강 운동시에 설정된 위치를 유지함과 동시에 효과적으로 흡기구를 실링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실린더의 하부에 흡기구를 커버하는 하부커버를 구비하여 의해 분말형태의 내용물이 흡기구로 쉽게 흡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밸브의 오동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실린더 내측에 피스톤 가이드를 구비함에 의해 피스톤의 안정된 상승 및 하강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어 보다 빠른 진공 상태에 도달할 수 있게 유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발생장치를 구비한 용기캡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선 단면도로 진공 용기에 적용된 응용예로서, 진공발생장치에서 펌핑이 완료된 후 록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발생장치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진공발생장치에서 피스톤이 가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진공발생장치에 대한 분해도,
도 6 및 도 7은 각각 도 5의 실린더에 대한 평면도 및 저면도,
도 8, 도 9 및 도 10은 각각 도 5의 피스톤 가이드에 대한 평면도, 저면도 및 우측면도,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도 5의 피스톤에 대한 평면도 및 저면도,
도 13 및 도 14는 각각 도 5의 가압캠로드에 대한 평면도 및 저면도,
도 15 및 도 16은 각각 도 5의 가압밸브커버에 대한 평면도 및 저면도,
도 17 및 도 18은 각각 도 5의 가압캠로드와 가압밸브커버의 조립 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9는 하부 밸브(상부 밸브)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용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은 각종 야채와 생선 등의 식품류, 각종 씨앗 등을 외부와의 공기 흐름을 차단하여 진공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진공 용기에 모두 적용 가능하며, 용기의 형상과 크기에 무관하게 모두 적용 가능하다.
하기의 도면을 참고한 실시예 설명에서는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사각박스 형태의 용기에 결합되는 용기캡에 진공발생장치가 적용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발생장치를 구비한 용기캡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선 단면도로 진공 용기에 적용된 응용예로서, 진공발생장치에서 펌핑이 완료된 후 록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발생장치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진공발생장치에서 피스톤이 가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진공발생장치에 대한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용기(1)는 크게 내부에 식품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갖는 용기 본체(3)와, 하단부가 상기 용기 본체(3)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용기캡(10)을 포함한다.
상기 용기 본체(3)는 내부에 식품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갖는 것이면 원통, 사각통 등의 어떤 것이라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용기캡(10)은 중앙부에 원형의 관통구멍(11)을 구비하고, 상부면의 하부에는 원형 돌기(12)가 연장 형성되어 후술하는 실린더(50)의 상단부가 결합되고, 측면 내주부에는 실린더(50)의 상단 외주부가 결합되는 요홈(13)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발생장치(5)는 상기 용기캡(10)에 결합되어 용기 본체(3)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형성하며, 크게 상부캡(20), 피스톤(30), 피스톤 가이드(40), 실린더(50), 가압캠로드(60), 가압밸브커버(70), 하부커버(80), 상부 밸브(91), 하부 밸브(93) 및 스프링(19)을 포함한다.
우선, 실린더(5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부에 피스톤(30)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원통 구조를 갖는 원통부(51)와, 원통부(51)로부터 다수의 방사형 보강 프레임(58)을 통하여 상호 연결되며, 대략 4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플랜지(52)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50)의 플랜지(52)는 상기 용기캡(10)의 요홈(13)에 스냅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짐에 의해 진공발생장치(5)가 용기캡(10)에 장착된다. 그러나, 상기 실린더(50)의 플랜지(52)와 상기 용기캡(10) 사이의 결합은 상기한 스냅 방식 이외에 슬라이딩 회전에 의해 압착 결합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상기 원통부(51)의 하단면(53)에는 중앙에 원형 돌기부(55)가 돌출되어 하부 밸브(91)를 수용하는 하부밸브홈(56)이 형성되고, 하부밸브홈(56)의 중앙에는 흡기구(57)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통부(51)의 내주에는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한쌍의 결합돌기(54a,54b)가 형성되어 있고, 원형 돌기부(55)의 내주에도 한쌍의 결합돌기(54a,54b)와 동일 선상의 위치에 각각 한쌍의 결합돌기(55a,55b)가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한쌍의 결합돌기(54a,54b)와 한쌍의 결합돌기(55a,55b)는 이에 결합되는 피스톤 가이드(40)의 결합요홈(45a,45b)과 가압밸브커버(70)의 결합요홈(76a,76b)의 크기에 따른 방향성을 고려하여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스톤 가이드(40)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의 플랜지(48)에 형성된 결합요홈(45a,45b)이 상기 실린더(50)의 한쌍의 결합돌기(54a,54b)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또한, 피스톤 가이드(40)는 외주면에 상하방향으로 한쌍의 수직결합 요홈(46a,46b)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피스톤(30)의 한쌍의 결합돌기(39a,39b)가 결합되는 외측 원통부(41)와, 상기 외측 원통부(41)의 내주부 중간에 중심방향으로 연장부(42)가 연장된 후 내측단부에 소정의 관통구멍(44)을 형성하도록 축방향을 따라 연장된 내측 원통부(4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내측 원통부(43)에는 가압밸브커버(70)의 상측이 삽입됨에 따라 가압밸브커버(70)의 유동이 억제된다.
또한, 피스톤 가이드(40)의 외측 원통부(41)에는 한쌍의 수직결합 요홈(46a,46b)의 하단으로부터 각각 외주부를 따라 일측방향으로 한쌍의 수평결합 요홈(47a,47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수평결합 요홈(47a,47b)은 피스톤(30)을 하강한 후, 피스톤 가이드(40)에 대하여 회전시킬 때 피스톤(30)의 한쌍의 결합 돌기(39a,39b)가 결합되어 피스톤(30)을 록킹 상태로 설정할 때 사용된다.
피스톤(30)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반전된 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단의 내주부에는 상기 피스톤 가이드(40)의 한쌍의 수평결합 요홈(47a,47b)에 결합되는 한쌍의 결합돌기(39a,39b)가 돌출되어 있고, 하단의 외주부에는 한쌍의 환형 돌기(32,33)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한쌍의 환형 돌기(32,33) 사이에 형성된 요홈에 실링용 O-링(17)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30)의 상단에는 중심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상부면 중앙에 배기구(36)가 관통 형성되어 있고, 배기구(36)의 주변에는 이를 둘러싸는 내측 원통부(31)가 돌출되어 그의 내측에 상부 밸브(91)가 안착되는 상부밸브홈(35)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 원통부(31)의 외측에는 다수, 예를 들어, 8개의 결합요홈(3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30)의 상부면의 하측에는 배기구(36)의 주변을 따라 일정길이 만큼 원통 형태로 연장된 후, 연장부의 하단에 각각 돌출부(37a), 경사부(37b) 및 요홈부(37c)가 원주를 따라 연결되어 반복되는 다수의 상부캠(37)이 돌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3개의 상부캠(37)이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예를 들어 2개 또는 4개의 캠 구조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피스톤(30)의 상부면에는 원반 형상의 상부캡(20)이 결합되며, 상부캡(20)은 하측면에 다수, 예를 들어, 8개의 결합돌기(21)가 형성되어 피스톤(30)의 상부면에 형성된 다수, 예를 들어, 8개의 결합요홈(38)과 결합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피스톤(30)의 상부밸브홈(35)에는 상부 밸브(91)가 안착되어 있으며, 피스톤(30)의 상승 및 하강 운동에 따라 배기구(36)를 개폐하도록 상/하방향의 유동이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밸브(91)는 하부밸브홈(56)에 안착되는 하부 밸브(93)와 동일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상부 및 하부 밸브(91,93)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도 19를 참고하여 하부 밸브(93)를 설명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밸브(93)는 우산형 형상을 이루도록 원추형 경사부(93b)의 하측 중앙에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지지부(93a)가 연결되어 있으며, 원추형 경사부(93b)와 지지부(93a) 사이에는 평면 형태의 경사연결면(93c)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경사연결면(93c)은 원추형 경사부(93b)와 지지부(93a) 사이를 곡면 형상으로 연결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지지부(93a)에는 중앙부에 하향 개방된 원형 요홈(93d)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원추형 경사부(93b)와 지지부(93a) 사이에는 경사연결면(93c)이 연결되어 있는 구조가 예시되어 있으나,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경사연결면(93c) 없이 원추형 경사부(93b)의 하측 중앙에 지지부(93a)가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하부 밸브(93)의 지지부(93a)는 실린더(50)의 흡기구(57)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원추형 경사부(93b)는 외주부만 하부밸브홈(56)에 안착되어 있다. 이 경우, 경사연결면(93c)은 하부 밸브(93)가 피스톤(30) 내부의 압력 또는 가압캠로드(60)의 가압에 의해 하강될 때 흡기구(57)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밸브(91,93)는 원추형 경사부(93b)의 외주부는 물론 전체적으로 가요성을 갖도록 연질의 재료, 예를 들어, 실리콘과 같은 합성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밸브(93)의 지지부(93a)와 경사연결면(93c) 사이에 형성되는 형성각(α)은 100 내지 130도 범위에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형성각(α)이 100도 미만인 경우는 흡기구(57)에 대한 실링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며, 130도를 초과하는 경우 배기시에 흡기구(57)에 끼워져서 흡기시에 빠져나오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가압밸브커버(70)는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원통부(71)와, 내경이 제1원통부(71) 보다 작은 제2원통부(72)가 연결되어 있다. 제1원통부(71)의 하단에는 상기 실린더(50)의 한쌍의 결합돌기(55a,55b)에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결합 요홈(76a,76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원통부(72)의 내주부(75)에는 다수, 예를 들어, 4개의 길이방향 요홈, 즉 채널(74a-74d)이 형성되어 가압캠로드(60)의 외주부에 형성된 수직방향 돌기(64a-64d)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채널(74a-74d)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의 폭과 이에 결합되는 수직방향 돌기의 폭은 결합 방향성을 고려하여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밸브커버(70)는 제1 및 제2 원통부(71,72) 사이의 단차부에 다수의 공기 유통 구멍(73a-73d)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가압밸브커버(70)의 제2원통부(72)의 내주부(75)에 결합되는 가압캠로드(60)는 외주부에 수직방향 돌기(64a-64d)가 형성되고, 상측단부에 각각 돌출부(63a), 경사부(63b) 및 요홈부(63c)가 상호 원주를 따라 연결되어 반복되는 다수, 예를 들어 3개의 하부캠(63)이 돌출되어 있는 제1원통부(62)와, 내경이 제1원통부(62) 보다 작은 제2원통부(61)가 하측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가압캠로드(60)의 3개의 하부캠(63)은 상부캠(37)과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상호 간에는 피스톤(30)의 펌핑 동작이 이루어질 때 하부캠(63)의 돌출부(63a)는 상부캠(37)의 요홈부(37c)와 대응하고, 하부캠(63)의 경사부(63b)는 상부캠(37)의 경사부(37b)와 대응하며, 하부캠(63)의 요홈부(63c)는 상부캠(37)의 돌출부(37a)와 대응하여 접촉이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캠로드(60)의 제2원통부(61)의 하단은 하부 밸브(93)의 원추형 최상부가 최대한으로 수용되도록 내향 경사가 이루어져 있다.
상기 피스톤 가이드(40)의 내측 원통부(43)의 외주부와 상기 피스톤(30)의 하향 돌출부 사이에는 피스톤(30)에 대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역 원추대형 스프링(19)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미설명 부재번호 7은 용기 본체(3) 내부의 진공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진공해제밸브를 나타낸다.
이하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발생장치(5)는 도 5에 도시된 구성부품들을 상호 조립하는 경우 도 3과 같이 이루어지며, 이를 용기 본체(3)의 상부에 조립하면 도 2와 같이 진공 용기(1)가 얻어진다. 도 2는 부분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핑 완료후에 록킹에 의해 가압캠로드(60)가 하부 밸브(93)를 가압하여 하부 밸브(93)가 흡기구(57)에 압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피스톤(30)을 상하 방향으로 가압하여 펌핑하면 용기 내부의 공기가 용기 외부로 배출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용기 본체(3)의 내부에 일정량의 식품을 수용한 뒤, 도 3의 조립체를 결합하고 피스톤(30)을 손바닥으로 누르게 되면 도 4와 같이 피스톤(30)이 스프링(19)을 압축하면서 하강이 이루어진다.
이때, 피스톤(30)의 하부면에 위치한 상부캠(37)은 가압캠로드(60)의 하부캠(63)과 접촉되면서 하부 밸브(93)를 가압하여, 먼저 하부 밸브(93)의 원추형 경사부(93b)는 외주부만 하부밸브홈(56)에 밀착되면서 약한 정도의 흡기구(57) 차단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피스톤(30)의 추가적인 하강에 따라 하부 밸브(93)의 경사연결면(93c)이 흡기구(57)를 차단하면서 강한 흡기구(57)의 차단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부캠(37)과 하부캠(63)의 접촉은 하부캠(63)의 돌출부(63a)가 상부캠(37)의 요홈부(37c)와 대응하고, 하부캠(63)의 경사부(63b)가 상부캠(37)의 경사부(37b)와 대응하며, 하부캠(63)의 요홈부(63c)가 상부캠(37)의 돌출부(37a)와 대응하여 접촉이 이루어지는 상태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피스톤(30)이 하강할 때, 피스톤(30)의 한쌍의 결합돌기(39a,39b)가 피스톤 가이드(40)의 외측 원통부(41)에 형성된 상하방향의 한쌍의 수직결합 요홈(46a,46b)을 따라 안내가 이루어지면서 좌/우 유동없이 하강이 이루어지고, 더욱이 피스톤(30)의 상단부는 용기캡(10)의 내주부에 가이드되면서 하강이 이루어지게 되어 안정된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피스톤(30)의 외측면에는 한쌍의 환형 돌기(32,33) 사이에 실링용 O-링(17)이 삽입되어 있어 피스톤(30)의 하강시에 피스톤(30)과 실린더(50)의 원통부(51) 사이는 실링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가압밸브커버(70)의 상측이 피스톤 가이드(40)의 내측 원통부(43)에 삽입되어 있고, 내측 원통부(43)의 외주에는 역 원추대형 스프링(19)의 하단이 배치되어 내측 원통부(43)의 측방향 유동을 억제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으므로, 가압밸브커버(70)의 유동이 억제된다. 그 결과, 가압밸브커버(70)에 결합된 가압캠로드(60)의 하부캠(63)에 상부캠(37)이 가압될지라도 하부캠(63)의 유동이 억제되면서 상부캠(37)으로부터 하부캠(63)에 대한 가압력의 전달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하부 밸브(93) 또한 안정된 흡기구(57)의 차단이 이루어진다.
한편, 하부 밸브(93)가 흡기구(57)를 차단하면, 피스톤(30)의 하강에 따라 피스톤(30) 내부가 가압이 이루어지면서 이 압력에 의해 상부 밸브(91)는 배기구(36)로부터 최대한 상승하게 되고, 또한 상부 밸브(91)의 원추형 경사부는 외주부가 가요성을 가짐에 따라 쉽게 가압된 공기의 누설이 이루어지면서 피스톤(30) 내부에 있던 공기는 배기구(36)를 통하여 외부로 강제 배출된다.
이어서, 피스톤(30)을 누르고 있던 압력을 제거하게 되면 피스톤(30)은 스프링(19)의 탄성반발력에 의해서 자동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피스톤(30)이 상승하면서 하부 밸브(93)와 상부 밸브(91)는 하강될 때와 반대로 작용을 하게 된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스프링(19)의 탄발력에 의해 피스톤(30)을 상승시키게 되면 피스톤(30)의 내측 공간의 체적이 늘어나면서 피스톤(30) 내부에 순간적인 부압이 발생하여, 상부 밸브(91)는 배기구(36)를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로 피스톤(30)이 상승하면 피스톤(30) 내부는 더 큰 부압 상태가 설정되면서 이 부압에 의해 하부 밸브(93)를 상승시켜 흡기구(57)를 통해 용기 본체(3)의 내부 공기를 흡인하게 된다.
피스톤(30)의 상승에 따라 용기 본체(3)의 내부 공기는 흡기구(57)를 통과한 후, 가압밸브커버(70)의 다수의 공기 유통 구멍(73a-73d)을 통과하여 피스톤(30) 내부로 유입된다. 피스톤(30)의 상승은 피스톤(30)의 외측면에 있는 환형 돌기(32)가 용기캡(10)의 하부에 도달하여 저지될 때 까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피스톤(30)을 누르거나 누르는 압력을 제거함에 의해 피스톤(30)이 승강 및 하강하도록 함으로써 용기 본체(3)의 내부로부터 공기를 피스톤(30)의 내부로 빨아내고, 다시 이를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동작의 반복에 의해 용기 본체(3)의 내부를 진공 상태가 되게 한다.
즉, 용기 본체(3)의 내부로부터 강제적으로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켜 저압의 상태가 되게 하여 그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식품이 좀 더 장시간 본래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함에 의해 식품의 보존 기한을 더욱 연장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용기 본체(3)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형성시킨 후, 피스톤(30)을 최대한 하강시킨 상태에서, 실린더(50)의 한쌍의 결합돌기(54a,54b)에 결합요홈(45a,45b)이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된 피스톤 가이드(40)를 선회축으로 피스톤(30)을 오른나사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피스톤 가이드(40)의 한쌍의 수직결합 요홈(46a,46b)에 결합된 피스톤(30)의 한쌍의 결합돌기(39a,39b)가 피스톤 가이드(40)의 한쌍의 수평결합 요홈(47a,47b)을 따라 끝까지 이동하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록킹 상태(피스톤의 상승억제 상태)로 설정된다.
이 경우, 피스톤 가이드(40)를 선회축으로 피스톤(30)을 오른나사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피스톤(30)의 하부에 형성된 상부캠(37)과 가압캠로드(60)의 하부캠(63) 사이에 캠 결합 위치의 변경이 발생된다. 즉, 하부캠(63)의 요홈부(63c)와 결합되었던 상부캠(37)의 돌출부(37a)는 하부캠(63)의 경사부(63b)를 지나서 하부캠(63)의 돌출부(63a)와 결합이 이루어지는 상태로 도달한다.
즉, 도 2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캠(37)의 돌출부(37a)가 하부캠(63)의 돌출부(63a)와 결합이 이루어지는 상태가 되면 상부캠(37)과 하부캠(63) 사이의 길이가 돌출부(37a,63a)와 요홈부(37c,63c) 사이의 깊이(h) 만큼 더 길어지는 상태가 되면서 하부캠(63)을 구비하는 가압캠로드(60)의 제2원통부(61)는 하부 밸브(93)를 더욱 가압하여 하부 밸브(93)의 압착이 이루어지면서 경사연결면(93c)이 흡기구(57)의 상단을 차단하게 된다.
그 결과, 본 발명에서는 하부 밸브(93)의 흡기구(57)에 대한 차단상태를 더욱 보강함에 의해 용기 내부에 대한 완전한 실링상태를 구현하여 용기 내부의 진공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 후, 용기 본체(3)의 내부에 일정 기간 동안 보관된 식품을 꺼내려고 할 때에는 진공해제밸브(7)를 작동시킴에 의해 용기 본체(3)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켜 진공을 해제시키고, 용기 본체(3)로부터 용기캡(10)을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실린더(50)의 하부에 배치된 흡기구(57)를 커버하도록 실린더(50)의 하측 돌출부를 전체적으로 커버링하는 컵 형상의 하부커버(80)가 결합되어 있다. 그 결과, 흡기구(57)로 흡인되는 내부 공기는 하부커버(80)와 실린더(50) 사이의 2단 절곡된 유로를 통하여 흡입되므로 분말형태의 내용물이 흡기구(57)로 쉽게 흡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하부 밸브(93)의 오동작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설명에서는 용기캡(10)과 실린더(50)가 금형설계의 용이성을 위하여 분리 제작한 후 이를 조립하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진공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신선 식품, 과일, 수산물 등을 보존기간을 길게 유지할 수 있는 진공 용기에 적용이 가능하다.
1: 진공 용기 3: 용기 본체
5: 진공발생장치 7: 진공해제밸브
10: 용기캡 11: 관통구멍
12: 원형 돌기 13: 요홈
17: O-링 19: 스프링
20: 상부캡 30: 피스톤
31: 내측 원통부 32,33: 환형돌기
35: 상부 밸브홈 36: 배기구
37: 상부캠 37a,63a: 돌기부
37b,63b: 경사부 37c,63c: 요홈부
40: 피스톤 가이드 41: 외측 원통부
42: 연장부 43: 내측 원통부
46a,46b: 수직결합 요홈 50: 실린더
51: 원통부 52: 플랜지
53: 하단면 56: 하부밸브홈
57: 흡기구 58: 보강프레임
60: 가압캠로드 61,71: 제1원통부
62,72: 제2원통부 63: 하부캠
64a-64d,74a-74d: 수직방향돌기 70: 가압밸브커버
73a-73d: 구멍 75: 내주부
80: 하부 커버 91: 상부 밸브
93: 하부 밸브 93a: 지지부
93b: 원추형 경사부 93c: 경사연결면
21, 39a,39b,54a,54b,55a,55b: 결합돌기
38,45a,45b,76a,76b: 결합요홈

Claims (12)

  1. 수용 공간을 갖는 용기 본체의 상부를 커버하며, 중앙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용기캡;
    상측으로 개방된 관형상으로 원형 내주면을 갖는 원통부를 구비하고 외주부가 상기 용기캡의 내주부에 결합 고정되며, 중앙부에 용기 본체와 연통하는 흡기구를 구비하며 흡기부 주위에 하부밸브홈을 형성하는 원형 돌기부가 형성된 실린더;
    하향 개방되는 관형상이고, 상부면의 중앙에 배기구를 구비하며 배기구 주위에 상부밸브홈을 형성하며, 상부면의 하측으로부터 배기구를 둘러싸면서 연장되어 하단부에 적어도 2개의 상부캠을 구비하는 피스톤;
    상기 상부밸브홈을 둘러싸는 다수의 결합돌기를 통하여 피스톤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캡;
    상기 상부밸브홈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피스톤의 하강 및 상승에 따라 배기구를 개폐하는 상부 밸브;
    상기 하부밸브홈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피스톤의 상승 및 하강에 따라 흡기구를 개폐하는 하부 밸브;
    상기 흡기부 주위의 원형 돌기부에 하단 외주부가 결합 고정되는 제1원통부와 상기 제1원통부 보다 작은 직경의 제2원통부를 구비하는 가압밸브커버;
    상기 피스톤이 하강한 경우 상승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하부 밸브의 최상부에 하단부가 가압되고 가압밸브커버의 제2원통부에 외주부가 결합되며 상단부에 상기 피스톤의 하강시에 선택적으로 상부캠과 결합이 이루어지는 적어도 2개의 하부캠을 구비하는 가압캡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용기용 진공발생장치.
  2. 수용 공간을 갖는 용기 본체의 상부를 커버하며, 중앙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용기캡;
    상측으로 개방된 관형상으로 원형 내주면을 갖는 원통부를 구비하고 외주부가 상기 용기캡의 내주부에 결합 고정되며, 중앙부에 용기 본체와 연통하는 흡기구를 구비하며 흡기부 주위에 하부밸브홈을 형성하는 원형 돌기부가 형성된 실린더;
    외주부 하단이 상기 실린더의 내주부 하단에 결합 고정되며 외주면에 적어도 한쌍의 수직결합 요홈이 형성된 피스톤 가이드;
    하향 개방되는 관형상으로 하단부 내주에 상기 적어도 한쌍의 수직결합 요홈에 결합되는 적어도 한쌍의 결합돌기를 구비하고, 상부면의 중앙에 배기구와 배기구 주위에 상부밸브홈을 형성하며, 상부면의 하측으로부터 배기구를 둘러싸면서 연장되어 하단부에 적어도 2개의 상부캠을 구비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이 하강한 경우 상승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상부밸브홈을 둘러싸는 다수의 결합돌기를 통하여 피스톤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캡;
    상기 상부밸브홈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피스톤의 하강 및 상승에 따라 배기구를 개폐하는 상부 밸브;
    상기 하부밸브홈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피스톤의 상승 및 하강에 따라 흡기구를 개폐하는 하부 밸브;
    상기 흡기부 주위의 원형 돌기부에 하단 외주부가 결합 고정되는 제1원통부와 상기 제1원통부 보다 작은 직경의 제2원통부를 구비하는 가압밸브커버; 및
    상기 하부 밸브의 최상부에 하단부가 가압되고 가압밸브커버의 제2원통부에 외주부가 결합되며 상단부에 상기 피스톤의 하강시에 선택적으로 상부캠과 결합이 이루어지는 적어도 2개의 하부캠을 구비하는 가압캡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용기용 진공발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가이드를 축으로 피스톤을 회전시킴에 의해 피스톤의 록킹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용기용 진공발생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록킹은 피스톤을 피스톤 가이드의 수직결합 요홈을 따라 하단까지 하강시킨 상태에서 피스톤 가이드의 수평결합 요홈을 따라 피스톤의 결합돌기가 결합된 경우에 이루어지고,
    상기 피스톤의 록킹시에 하부캠과 상부캠은 결합길이를 최대화하도록 상부캠의 돌출부가 하부캠의 돌출부와 결합이 이루어져서 하부 밸브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용기용 진공발생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밸브 및 하부 밸브는 각각 배기구 및 흡기구에 삽입되는 지지부에 원추형 경사부가 연결된 우산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용기용 진공발생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가이드는
    외주부 하단이 상기 실린더의 내주부 하단에 결합 고정되며 외주면에 적어도 한쌍의 수직결합 요홈이 형성된 외측 원통부와,
    상기 외측 원통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가압밸브커버의 제2원통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내측 원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의 하단은 내측 원통부의 외주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용기용 진공발생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역 원추대형으로 이루어지며, 하단부가 피스톤 가이드 내측원통부의 외주에 결합되고 상단은 피스톤의 상부면 하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용기용 진공발생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캡로드의 상측은 외주부에 다수의 결합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결합돌기는 가압밸브커버의 제2원통부의 내주부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요홈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용기용 진공발생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하측을 둘러싸는 하부 커버를 더 포함하여, 실린더의 흡기부가 용기 본체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용기용 진공발생장치.
  10. 수용 공간을 갖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를 커버하며, 중앙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용기캡;
    상측으로 개방된 관형상으로 원형 내주면을 갖는 원통부를 구비하고 외주부가 상기 용기캡의 내주부에 결합 고정되며, 중앙부에 용기 본체와 연통하는 흡기구를 구비하며 흡기부 주위에 하부밸브홈을 형성하는 원형 돌기부가 형성된 실린더;
    외주부 하단이 상기 실린더의 내주부 하단에 결합 고정되며 외주면에 대응하여 형성된 적어도 한쌍의 수직결합 요홈과 상기 적어도 한쌍의 수직결합 요홈의 하단으로부터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한쌍의 수평결합 요홈을 구비한 피스톤 가이드;
    하향 개방되는 관형상으로 하단부 내주에 상기 적어도 한쌍의 수직결합 요홈에 결합되는 적어도 한쌍의 결합돌기를 구비하고, 상부면의 중앙에 배기구와 배기구 주위에 상부밸브홈을 형성하며, 상부면의 하측으로부터 배기구를 둘러싸면서 연장되어 하단부에 적어도 2개의 상부캠을 구비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이 하강한 경우 상승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상부밸브홈을 둘러싸는 다수의 결합돌기를 통하여 피스톤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캡;
    상기 상부밸브홈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피스톤의 하강 및 상승에 따라 배기구를 개폐하는 상부 밸브;
    상기 하부밸브홈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피스톤의 상승 및 하강에 따라 흡기구를 개폐하는 하부 밸브;
    상기 흡기부 주위의 원형 돌기부에 하단 외주부가 결합 고정되는 제1원통부와 상기 제1원통부 보다 작은 직경의 제2원통부를 구비하는 가압밸브커버; 및
    상기 하부 밸브의 최상부에 하단부가 가압되고 가압밸브커버의 제2원통부에 외주부가 결합되며 상단부에 상기 피스톤의 하강시에 선택적으로 상부캠과 결합이 이루어지는 적어도 2개의 하부캠을 구비하는 가압캡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은 내주부에 형성된 적어도 한쌍의 결합돌기가 적어도 한쌍의 수직결합 요홈에 결합되어 적어도 한쌍의 수직결합 요홈을 따라 상승 및 하강시에 슬라이딩이 이루어지고, 록킹시에 상기 적어도 한쌍의 결합돌기가 적어도 한쌍의 수평결합 요홈을 따라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밸브 및 하부 밸브는 각각 배기구 및 흡기구에 삽입되는 지지부에 원추형 경사부가 경사연결면을 통하여 연결된 우산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스톤이 록킹상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경사연결면이 흡기구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밸브 및 하부 밸브의 지지부와 경사연결면 사이의 형성각은 100 내지 130도 범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용기.
KR1020100074759A 2010-08-02 2010-08-02 진공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용기 KR101161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759A KR101161732B1 (ko) 2010-08-02 2010-08-02 진공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759A KR101161732B1 (ko) 2010-08-02 2010-08-02 진공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663A true KR20120012663A (ko) 2012-02-10
KR101161732B1 KR101161732B1 (ko) 2012-07-11

Family

ID=45836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4759A KR101161732B1 (ko) 2010-08-02 2010-08-02 진공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173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5309A1 (ko) * 2014-11-28 2016-06-02 김현진 진공펌프
KR20170139292A (ko) * 2016-06-09 2017-12-19 김현진 가루제품 보관을 위한 진공 밀폐형 뚜껑 모듈 및 이를 갖는 진공 밀폐 용기
CN108341167A (zh) * 2018-04-26 2018-07-31 安徽晶丽玻璃器皿有限公司 一种真空密封玻璃存储罐
CN109051296A (zh) * 2018-07-02 2018-12-21 苍南名禾科技有限公司 一种密封奶粉盖
CN110236338A (zh) * 2019-06-06 2019-09-17 珠海先河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杯盖及真空杯
WO2021091075A1 (ko) * 2019-11-07 2021-05-14 정병찬 진공 용기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용기
US20220144526A1 (en) * 2021-03-11 2022-05-12 Ningbo Lockedin Intelligent Technology Co.,Ltd Vacuum storage tan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2492B1 (ko) * 2016-08-16 2018-12-26 박수민 밀폐용기용 진공펌프 및 이를 구비한 밀폐용기
KR101923313B1 (ko) * 2017-06-20 2018-11-28 서병우 진공 밀폐용 캡
KR101957649B1 (ko) * 2018-11-21 2019-07-04 서병우 진공 밀폐용 캡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177Y1 (ko) 2008-06-04 2009-07-07 풍강산업 주식회사 용기 마개용 진공 펌프
KR100969703B1 (ko) 2010-03-22 2010-07-14 김용국 진공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용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5309A1 (ko) * 2014-11-28 2016-06-02 김현진 진공펌프
KR20170139292A (ko) * 2016-06-09 2017-12-19 김현진 가루제품 보관을 위한 진공 밀폐형 뚜껑 모듈 및 이를 갖는 진공 밀폐 용기
CN108341167A (zh) * 2018-04-26 2018-07-31 安徽晶丽玻璃器皿有限公司 一种真空密封玻璃存储罐
CN109051296A (zh) * 2018-07-02 2018-12-21 苍南名禾科技有限公司 一种密封奶粉盖
CN110236338A (zh) * 2019-06-06 2019-09-17 珠海先河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杯盖及真空杯
WO2021091075A1 (ko) * 2019-11-07 2021-05-14 정병찬 진공 용기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용기
US20220144526A1 (en) * 2021-03-11 2022-05-12 Ningbo Lockedin Intelligent Technology Co.,Ltd Vacuum storage tank
US11873131B2 (en) * 2021-03-11 2024-01-16 Ningbo Lockedin Intelligent Technology Co., Ltd Vacuum storage ta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1732B1 (ko) 201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1732B1 (ko) 진공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용기
AU2003230991B2 (en) Hose direct canister lid
CN107713697B (zh) 带泄气功能的抽真空开盖装置及破壁料理机
KR100969703B1 (ko) 진공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용기
KR101126772B1 (ko) 진공 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용기
KR200424953Y1 (ko) 식품 보존용 진공 용기
ES2931073T3 (es) Tapa de recipiente que facilita la creación de presión negativa y un sellado de larga duración
KR20130079817A (ko) 진공펌프
WO2010027229A2 (ko) 음식물 진공 압축팩의 진공전환장치.
US6877629B2 (en) Food storage device
KR100991304B1 (ko) 진공용기용 진공펌프
KR101409575B1 (ko) 식품보관용기용 가압식 밀폐뚜껑
KR20120113347A (ko) 연질의 내용기가 구비된 진공 화장품용기
KR102176512B1 (ko)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100455105B1 (ko) 진공화 장치 및 그를 위한 진공상태해제 겸용진공상태표시기구
MXPA03007612A (es) Tapa de vacio reutilizable.
CN201816940U (zh) 真空容器用真空泵
CN109843736B (zh) 盖子自动开闭式容器
KR100920184B1 (ko) 용기 밀폐용 진공펌프
KR20120032245A (ko) 용기용 진공펌프
KR20170076176A (ko) 부압 형성이 가능한 식품보관용기
KR200200997Y1 (ko) 진공 음식물 보관 용기
CN207242505U (zh) 可抽真空的随身杯
KR101780222B1 (ko) 뚜껑 자동 개폐 방식의 용기
KR20110098885A (ko) 진공 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