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0222B1 - 뚜껑 자동 개폐 방식의 용기 - Google Patents

뚜껑 자동 개폐 방식의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0222B1
KR101780222B1 KR1020160145197A KR20160145197A KR101780222B1 KR 101780222 B1 KR101780222 B1 KR 101780222B1 KR 1020160145197 A KR1020160145197 A KR 1020160145197A KR 20160145197 A KR20160145197 A KR 20160145197A KR 101780222 B1 KR101780222 B1 KR 101780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opening
closing
outer container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5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Priority to KR1020160145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0222B1/ko
Priority to CN201680090313.8A priority patent/CN109890719A/zh
Priority to US16/344,729 priority patent/US20190270549A1/en
Priority to JP2019521144A priority patent/JP6810798B2/ja
Priority to EP16920686.9A priority patent/EP3536630A4/en
Priority to PCT/KR2016/012825 priority patent/WO201808434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46Closures with swivelling disp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 B65D47/2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a rotational or helicoidal movement
    • B65D47/26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a rotational or helicoidal movement the valve member pivo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container mouth axi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06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using vacuum suction c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내용물을 담아 사용하는 뚜껑 자동 개폐 방식의 용기가 개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외부 용기(10)와; 상기 외부 용기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어 텐션 부재(70)에 의해 상하로 탄발 이동 가능한 내부 용기(20)와; 상기 내부 용기(20) 내부에 삽입 설치하되, 외부 용기(10)와 고정 결합되는 내용물 용기(30)와; 상기 외부 용기 상부에 결합되는 몸체(41) 상부 중앙에 내용물 공급공(42)을 관통 형성하고 상기 내용물 공급공 상부에 설치되는 개폐구(43)를 내부 용기(20)의 승,하강에 연동하여 상하로 축 회전시켜 내용물 공급공을 개폐 작동하는 상부 뚜껑(40) 및; 상기 외부 용기 하부에 고정 결합되는 상부 고정부재(51) 하부에 내부 용기(20)와 함께 상하 이동하는 하부 작동부재(55)를 결합한 하부 받침대(50)로 구성하여, 상기 외부 용기(10)를 바닥에서 들어올릴 때 내부 용기(20)가 텐션 부재(70)에 의해 하부로 하강 이동하고 바닥에 내려놓을 때 텐션 부재(70)를 압축하며 상승 복귀하면서 상부 뚜껑의 개폐구(43)가 내용물 공급공(42)을 자동으로 개폐 작동하므로 별도의 뚜껑 개폐 작동 없이 사용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 위생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뚜껑 자동 개폐 방식의 용기{Container having an automatically openable lid}
본 발명은 각종 내용물을 담아 사용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용기를 바닥에서 들어올리면 상부 뚜껑이 자동 개방되고 사용 후 용기를 바닥에 다시 내려놓으면 상부 뚜껑이 자동 폐쇄되면서 별도의 뚜껑 개폐 작동 없이 사용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 위생성이 우수한 뚜껑 자동 개폐 방식의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 겔상, 분말 상의 각종 내용물을 포장하는 경우에 주로 용기에 담아 포장하고 있다.
이와 같은 용기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 상부에 결합되어 개폐 사용하는 상부 뚜껑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 용기는 내용물을 인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용기 본체 상부의 상부 뚜껑을 개방하거나 상부 뚜껑에 마련되는 별도의 개폐구를 개방하여 내용물을 인출 사용하는 것이다.
즉, 종래에는 사용자가 용기의 상부 뚜껑 또는 상부 뚜껑의 개폐구를 별도 개방하여 내용물을 인출 사용하고, 사용 후 상부 뚜껑 또는 상부 뚜껑의 개폐구를 다시 폐쇄하는 작동이 요구되기 때문에 내용물 인출 사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화장품과 같은 내용물을 담아 사용하는 경우에 내용물 사용 후 상부 뚜껑 또는 개폐구를 다시 폐쇄할 때 손에 바른 화장품으로 인해 용기의 취급시 미끄러워 상부 뚜껑 또는 개폐구를 다시 폐쇄하는 작동이 더 불편함은 물론 용기 외부에 화장품이 뭍어 오염되는 비 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용기의 내용물을 자동으로 인출 사용하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는데, 예를 들면 용기 뚜껑의 유출구 내부 측에 인장 코일스프링과 압축 코일스프링에 의하여 상호 반대로 작동되는 한 쌍의 볼 밸브를 설치하여 사용시 용기를 들고 가압하면 가압력에 의하여 밸브가 자동 개방되어 내용물이 유출되고, 용기의 가압력을 해제하면 밸브가 폐쇄됨은 물론 세워 유출구 내부에 잔류된 내용물이 용기 내부로 다시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리성이 개선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용기는 용기를 들어 가압할 때 그 가압력에 의해 밸브가 개방되어 내용물을 인출 사용하고 용기의 가압력을 해제하면 다시 세워 놓으면 밸브가 폐쇄되기 때문에 용기를 들어주는 동작과 별도로 용기를 가압하는 작동에 의해 밸브를 개방 사용하는 반자동으로 개폐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 편리성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용기는 바닥에 세워 사용 중 또는 가방 등에 수납하여 보관, 운반할 때 용기가 쉽게 넘어지는 문제와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용기에 외력이 가해지면서 밸브 개방에 의해 내용물이 불필요하게 유출될 우려가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별도 기술을 갖고 있지는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등록실용신안 제20-0018478호 특허문헌 2: 등록실용신안 제20-0067812호 특허문헌 3: 공개특허 제10-2006-0035531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용기를 바닥에서 들어올리면 상부 뚜껑이 자동 개방되고 사용 후 용기를 바닥에 다시 내려놓으면 상부 뚜껑이 자동 폐쇄되면서 별도의 뚜껑 개폐 작동 없이 사용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 위생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록 기능에 의해 상부 뚜껑의 자동 개방 작동을 제한하여 용기의 휴대, 보관시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용기 바닥에 흡착판을 부가 설치하되, 용기를 바닥에서 들어올리면 흡착이 자동 해제되고 바닥에 다시 내려놓으면 흡착이 자동 작동하면서 사용이 편리함은 물론 용기가 눕거나 넘어져 내용물이 유출되는 우려를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중공 형태의 외부 용기와; 상기 외부 용기의 내부로 삽입 설치하되, 외부 용기와의 사이로 텐션 부재를 삽입 설치하여 상하로 탄발 이동 가능한 내부 용기와; 상기 내부 용기 내부에 삽입 설치하되, 외부 용기와 고정 결합되고 내부로 내용물이 충진되는 내용물 용기와; 상기 외부 용기 상부에 결합되는 돔형 구조의 몸체 상부 중앙에 내용물 용기의 내용물을 공급하는 내용물 공급공을 관통 형성하고 상기 내용물 공급공 상부에 설치되는 개폐구를 내부 용기의 승,하강에 연동하여 개폐구 작동부에 의해 상하로 축 회전시켜 내용물 공급공을 개폐 작동하는 상부 뚜껑 및; 상기 외부 용기 하부에 고정 결합되는 상부 고정부재 하부에 내부 용기와 함께 상하 이동하는 하부 작동부재를 결합한 하부 받침대로 구성하여, 상기 외부 용기를 바닥에서 들어올릴 때 내부 용기가 텐션 부재에 의해 하부로 하강 이동하고 바닥에 내려놓을 때 텐션 부재를 압축하며 상승 복귀하면서 상부 뚜껑의 개폐구가 내용물 공급공을 자동으로 개폐 작동하도록 하는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내용물 용기는 상부로 토출구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토출구가 외부 용기 상부 중앙의 결합공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개폐구에는 내용물 공급공 위치로 실링 캡을 결합하고, 상기 내용물 공급공과 내용물 용기의 토출구에는 실링 캡과 서로 기밀 작동하도록 링형의 실링 부재가 삽입되어 결합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부 뚜껑의 개폐구 작동부는 개폐구의 회전 중심 위치로 형성된 축공에 축핀을 축 결합하고 상기 축 핀에 일 측은 몸체에 고정되고 타 측은 개폐구에 고정되는 토션 스프링을 삽입 설치하여 개폐구가 하 방향으로 탄발 회전 작동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개폐구는 내부 용기 상단의 스토퍼에 의해 탄발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내부 용기의 상하 이동에 따라 연동하여 축 회전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부 뚜껑의 개폐구는 몸체의 상부에서 일 측 하부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부에 삽입 안내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부 받침대의 하부 작동부재는 상부 중앙에 삽입 관부와 상기 삽입 관부 외측 원주상의 등각 위치로 가이드 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상부 고정부재 중앙의 삽입공과 삽입공 외측 원주상에 형성된 가이드 공에 승하강 안내되도록 결합하되, 상기 가이드 돌기 일 측에 돌출 형성된 스톱 돌기부와 상기 상부 고정부재 내측의 격벽에 수직 형성되어 스톱 돌기부가 수직 안내되는 수직 안내홈부에 의해 승 하강 안내 거리를 제한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직 안내홈부의 상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는 로크홈을 연결 형성하여 스톱 돌기부를 로크홈에 삽입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상부 고정부재와 하부 작동부재의 승 하강 작동을 제한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부 받침대의 하부 작동부재에는 저면에 흡착판을 조립 설치하되, 상기 흡착판의 상부 중앙에 흡착공을 형성하여 외부 용기를 바닥에 내려놓을 때 내용물 용기 하부에 결합되는 로우 캡의 작동 돌기가 흡착공에 삽입 차단하여 흡착 작동하거나 외부 용기를 바닥에서 들어올릴 때 로우 캡의 작동 돌기가 흡착공에서 이탈하여 흡착 해제 작동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로우 캡 하부에는 작동 돌기의 외 측으로 안내 관부를 돌출 형성하여 하부 작동부재의 삽입 관부에 삽입되어 승 하강 안내 작동하되, 상기 안내 관부 외 측에 상하 방향의 절결홈을 등각 형성하여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외부 용기와 외부 용기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내부 용기, 상기 내부 용기 내부에 삽입되되 외부 용기에 고정 연결되는 내용물 용기, 상기 외부 용기 상부에 결합되고 개폐구에 의해 내용물 공급공을 개폐하는 상부 뚜껑 및 상기 외부 용기 하부로 결합되되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받침대로 구성하여 용기를 바닥에서 들어올리면 내부 용기와 하부 받침대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부 뚜껑의 개폐구가 연동하여 내용물 공급공을 자동 개방하고, 사용 후 용기를 바닥에 다시 내려놓으면 내부 용기와 하부 받침대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상부 뚜껑의 개폐구가 연동하여 내용물 공급공을 자동 폐쇄하므로 별도의 뚜껑 개폐 작동 없이 뚜껑을 자동 개폐 사용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은 물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 받침대에 록 기능을 마련하여 외부 용기를 바닥에서 들어 올려도 내부 용기와 하부 받침대의 이동에 따른 상부 뚜껑의 개폐구가 자동 개방 작동하는 것을 제한하여 용기의 휴대, 보관시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 받침대 바닥에 흡착판을 부가 설치하되, 외부 용기를 바닥에서 들어올리면 흡착이 자동 해제되고 바닥에 다시 내려놓으면 흡착이 자동 작동하면서 사용이 편리함은 물론 용기가 눕거나 넘어져 내용물이 유출되는 우려를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용기의 폐쇄 상태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상부 뚜껑의 요부 절결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하부 받침대의 요부 절결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횡 단면 구성도.
도 6은 도 5의 "A" 부분 확대도.
도 7은 도 5의 "B" 부분 확대도.
도 8은 도 1의 일부 절결 조립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용기의 개방 상태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단면 구성도.
도 11은 도 9의 일부 절결 조립 사시도.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뚜껑 자동 개폐 방식의 용기(100)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용기(10), 내부 용기(20), 내용물 용기(30), 상부 뚜껑(40) 및, 하부 받침대(50)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 용기(10)는 중공 형태의 몸체(11)로 형성하고 상기 몸체 상,하로 결합부(11a)(11b)를 형성하여 상부 결합부(11a)에는 상부 뚜껑(30)을 결합하고, 하부 결합부(11b)에는 하부 받침대(50)가 결합 구성된다.
상기 내부 용기(20)는 외부 용기(10) 내부로 삽입 설치하되, 상기 외부 용기(10)와 내부 용기(20) 사이로 텐션 부재(70)를 삽입 설치하여 내부 용기(20)가 상하로 탄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 구성된다.
즉, 상기 외부 용기(10)를 바닥에서 들어올릴 때 내부 용기(20)가 텐션 부재(70)에 의해 하부로 하강 이동하고 바닥에 놓을 때 텐션 부재(70)를 압축하며 상승 복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내용물 용기(30)는 내부로 내용물이 충진된다. 그리고 내부 용기(20) 내부에 삽입 설치하되, 상부로 토출구(32)를 돌출 형성하고, 하부로 로우 캡(35)이 결합 구성된다.
상기 토출구(32)는 외부 용기(10) 상부 중앙의 결합공(12)에 삽입되어 고정되게 결합 구성된다.
상기 상부 뚜껑(40)은 돔형 구조로 형성하고 상부 중앙에 토출구(32) 위치로 내용물 공급공(42)을 관통 형성하는 몸체(41)와, 상기 몸체의 내용물 공급공 상부에서 내용물 공급공에서 벗어나는 일 측 하부로 회전 작동하도록 축 설치되는 개폐구(43) 및, 상기 외부 용기를 바닥에서 들어올릴 때 내부 용기(20)의 하강과 함께 개폐구(43)를 하 방향으로 축 회전시키고 외부 용기를 바닥에 내려놓을 때 내부 용기(20)의 상승 복귀와 함께 개폐구(43)를 상 방향으로 축 회전시켜 내용물 공급공(42)을 개폐 작동시키는 개폐구 작동부(4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구(43)는 돔형 구조를 갖는 몸체(41)와 동일 곡면으로 형성되어 몸체(41)의 상부에서 일 측 하부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부(41c)에 삽입 안내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개폐구 작동부(44)는 개폐구(43)의 회전 중심 위치로 형성된 축공(43a)에 축핀(43b)을 축 결합하고 상기 축 핀에 일 측은 몸체(41)에 고정되고 타 측은 개폐구(43)에 고정되는 토션 스프링(46)을 삽입 설치하여 개폐구(43)가 하 방향으로 탄발 회전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개폐구(43) 하부는 내부 용기(20) 상단의 스토퍼(23)에 의해 탄발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내부 용기(20)의 하강 및 상승 복귀에 따라 하 방향으로 축 회전하거나 상 방향으로 축 회전하면서 내용물 공급공(42)을 자동으로 개폐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개폐구(43)에는 내용물 공급공(42) 위치로 실링 캡(45)을 결합하고, 상기 몸체의 내용물 공급공(42)과 내용물 용기의 토출구(32)에는 실링 캡(45)과 서로 기밀 작동하도록 링형의 실링 부재(33)를 삽입하여 결합 구성된다.
상기 하부 받침대(50)는 외부 용기 하부에 고정 결합되는 상부 고정부재(51)와 상기 상부 고정부재 하부에 내부 용기(20)와 함께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작동부재(55)로 분리 구성된다.
상기 하부 작동부재(55)는 상부 중앙에 삽입 관부(56)와 상기 삽입 관부 외측 원주상의 등각 위치로 가이드 돌기(57)를 형성하여 상기 상부 고정부재(51) 중앙의 삽입공(52)과 삽입공 외측 원주상에 형성된 가이드 공(53)에 승 하강 안내되도록 결합하되, 상기 가이드 돌기 일측에 돌출 형성된 스톱 돌기부(57a)와 상기 상부 고정부재 내측의 격벽(54)에 수직 형성되어 스톱 돌기부가 수직 안내되는 수직 안내홈부(54a)에 의해 승 하강 안내 거리를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직 안내홈부(54a)의 상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는 로크홈(54b)을 연결 형성하여 하부 작동부재(55)의 회전으로 스톱 돌기부(57a)를 로크홈에 삽입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상부 고정부재와 하부 작동부재의 승하강 작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록킹 작동).
즉, 외부 용기(10)를 바닥에서 들어올리거나 하여도 내부 용기(20)와 하부 받침대(50)의 하부 작동부재(55)가 승하강 작동하지 않게 되어 개폐구(43)가 내용물 공급공(42)을 폐쇄 상태로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 받침대(50)의 하부 작동부재(55)에는 저면에 흡착판(61)을 조립 설치하되, 상기 흡착판의 상부 중앙에 흡착공(62)을 형성하여 외부 용기를 바닥에 내려놓을 때 로우 캡 하부의 작동 돌기(36)가 흡착공(62)에 삽입 차단하여 흡착 작동하거나 외부 용기를 바닥에서 들어올릴 때 로우 캡 하부의 작동 돌기(36)가 흡착공(62)에서 이탈하여 흡착 해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로우 캡(35) 하부에는 작동 돌기(36)의 외 측으로 안내 관부(37)를 돌출 형성하여 하부 작동부재의 삽입 관부(56)에 삽입되어 승 하강 안내 작동하되, 상기 안내 관부(37) 외 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절결홈(37a)을 등각 형성하여 조립시 내 외측 탄발 작동하여 조립성 개선 기능과 흡착이나 흡착 해제시 외부 공기 유입 기능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착판(61)은 하부에서 결합되는 결합구(65)의 결합 돌기(66)가 흡착판의 조립공(63)과 하부 작동부재(55)의 삽입 관부(56) 하측 원주상으로 형성된 결합홈(56a)에 이탈방지되게 끼워져 고정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미설명 부호로서, 38a,38b는 안내 관부(37), 삽입 관부(56) 끝단에 이탈 방지하도록 맞물리게 걸림 작동하는 걸림돌기, 41a는 축핀 조립홈을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용기를 바닥에 내려놓으면 외부 용기(10) 하부의 하부 받침대(50)가 바닥에 안착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외부 용기(10) 하부의 받침대(50)는 상부 고정부재(51)가 외부 용기의 자중에 의해 하부 작동부재(55)에서 하강 이동한다.
이때, 상기 상부 고정부재(51) 중앙의 삽입공(52)이 하부 작동부재(55) 중앙의 삽입 관부(56)에서 하강 안내되고, 상기 삽입공의 외측 원주상의 가이드공(53)에 하부 작동부재(55)의 가이드 돌기(57)가 하강 안내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상부 고정부재(51)는 가이드 돌기 일 측에 돌출 형성된 스톱 돌기부(57a)가 상부 고정부재 내측의 격벽(54)에 수직 형성된 수직 안내홈부(54a)에 의해 안내되는 상하 이동 범위에서 하강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외부 용기(10)가 내부 용기(20) 사이로 설치되어 있는 텐션 부재(70)를 압축하면서 하강 이동한다.
이와 같이 상기 외부 용기(10)가 하강 이동하면서 내부 용기 상부의 서포터(23)에 지지되어 있는 상부 덮개의 개폐구(43)를 상 방향으로 밀어올려 상기 개폐구(43)가 축핀(43b)을 중심으로 상 방향으로 축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개폐구(43)는 상부 뚜껑의 몸체(41)에 형성된 가이드 홈부(43a)에 삽입 안내되어 축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개폐구(43)의 상 방향 축 회전으로 상부 덮개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는 내용물 공급공(42)을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개폐구(43)의 실링 캡(45)이 내용물 공급공(42)과 내용물 용기의 토출구(32)에 삽입된 링형의 실링 부재(33)와 밀착되어 내용물 공급공(42)을 기밀되게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외부 용기(10)를 바닥에 내려놓는 것에 의해 상부 뚜껑의 개폐구(43)가 내용물 공급공(42)을 자동으로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외부 용기(10)를 바닥에 내려 놓을 때에 외부 용기(10)와 하부 받침대의 상부 고정부재(51)가 하강 안내되면서 외부 용기 내부의 내용물 용기(30)도 함께 하강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내용물 용기 하부에 결합된 로우캡(35) 하부의 안내 관부(37)가 하부 작동부재의 삽입 관부(56)를 따라 하강 안내 이동하면서 상기 로우 캡의 안내 관부(37) 내부에 돌출 형성된 작동 돌기(36)가 하부 작동부재 저면에 결합된 흡착판(61) 상부 중앙의 흡착공(62)에 삽입되어 흡착판(61)이 흡착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외부 용기(10)를 바닥에 내려놓을 때 하부의 흡착판(61)이 자동으로 흡착 작동하면서 용기가 외력에 의해 넘어질 우려가 방지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외부 용기(10)를 붙잡고 바닥에서 다시 들어주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용기(10)와 내부 용기(20) 사이의 설치된 텐션 부재(60)의 탄발력과 내부 용기(20) 및 하부 받침대의 하부 작동부재(55) 자중에 의해 하부 받침대의 하부 작동부재(55)와 내부 용기(20)가 외부 용기(10)에서 하강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 고정부재(51) 중앙의 삽입공(52)에 하부 작동부재(55) 중앙의 삽입 관부(56)가 안내되고, 상기 삽입공의 외측 원주상에 형성된 가이드공(53)에 하부 작동부재(55)의 가이드 돌기(57)가 하강 안내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 작동부재(55)는 가이드 돌기 일 측에 돌출 형성된 스톱 돌기부(57a)가 상부 고정부재 내측의 격벽(54)에 수직 형성된 수직 안내홈부(54a)에 의해 안내되는 상하 이동 범위로 하강 간격을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내용물 용기 하부에 결합된 로우캡(35) 하부의 안내 관부(37)에서 하부 작동부재의 삽입 관부(56)가 하강 안내 이동하면서 상기 안내 관부(37) 내부에 돌출 형성된 작동 돌기(36)가 흡착판(61) 상부 중앙의 흡착공(62)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되어 흡착판(61)의 흡착 작동이 자동 해제되어 외부 용기를 바닥에서 간단히 들어 올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안내 관부(37) 외측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절결홈(37a)에 의해 삽입 관부(56) 내부로 공기를 유통시켜 작동 돌기(36)가 흡착판 상부 중앙의 흡착공(62)에서 간단히 이탈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외부 용기(10)를 바닥에서 들어올릴 때 하부 흡착판(61)의 흡착 작동이 자동 해제되면서 용기를 간단히 들어올리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외부 용기(10)를 바닥에서 들어올려 내부 용기(20)가 텐션 부재(60)에 의해 하강으로 이동 안내되면, 상기 내부 용기의 상부 스토퍼(23)에 지지되어 있는 상부 뚜껑의 개폐구(43)가 개폐구 작동부(44)에 의해 하 방향으로 축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개폐구(43)가 축공(43a)에 축 결합된 축핀(43b)을 중심으로 축 회전하되, 상기 축핀에 삽입되어 일 측은 상부 뚜껑의 몸체(41)에 고정되고 타 측은 개폐구(43)에 고정되는 토션 스프링(46)의 탄발력에 의해 하 방향으로 축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개폐구(43)는 상부 뚜껑의 몸체(41)에 형성된 가이드 홈부(43a)에 삽입 안내되어 축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개폐구(43)가 하 방향으로 축 회전하면서 상기 개폐구에 의해 차단되어 있던 내용물 공급공(42)을 자동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즉, 사용자는 외부 용기(10)를 바닥에서 들어올리는 것에 의해 내용물 공급공(42)을 자동 개방하여 내용물을 간편하게 인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용기를 휴대, 보관하는 경우에 상부 뚜껑의 개폐구(43)가 자동으로 개폐 작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록 작동하게 된다.
이는 외부 용기(10)를 하부로 눌러 주거나 외부 용기 하부의 하부 받침대(50)에서 하부 작동부재(55)를 상부로 눌러 상기 하부 작동부재(55)가 상부 고정부재(51)에서 상승되게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하부 작동부재(55)의 가이드 돌기 일측에 돌출 형성된 스톱 돌기부(57a)가 상부 고정부재 내측의 격벽(54)에 수직 형성된 수직 안내홈부(54a)를 따라 승강 이동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하부 작동부재(55)를 상부 고정부재(51)에서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스톱 돌기부(57a)가 수직 안내홈부(54a)의 상부에 원주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는 로크홈(54b)에 삽입하면 상기 상부 고정부재와 하부 작동부재의 승하강 작동을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록 작동 상태).
이때, 상기 상부 뚜껑의 개폐구(4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평 이동하여 내용물 공급공(42)을 폐쇄 상태로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록 작동 상태에서는 외부 용기(10)를 바닥에서 들어올리거나 내려 놓는 것에 의해 내부 용기(20)와 하부 받침대(50)의 하부 작동부재(55)가 승 하강 작동하지 않게 되면서 개폐구(43)가 내용물 공급공(42)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용기를 가방 등의 내부에 안전하게 휴대, 보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부 용기와 외부 용기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내부 용기, 상기 내부 용기 내부에 삽입되되 외부 용기에 고정 연결되는 내용물 용기, 상기 외부 용기 상부에 결합되고 개폐구에 의해 내용물 공급공을 개폐하는 상부 뚜껑 및 상기 외부 용기 하부로 결합되되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받침대로 구성하여 용기를 바닥에서 들어올리면 내부 용기와 하부 받침대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부 뚜껑의 개폐구가 연동하여 내용물 공급공을 자동 개방하고, 사용 후 용기를 바닥에 다시 내려놓으면 내부 용기와 하부 받침대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상부 뚜껑의 개폐구가 연동하여 내용물 공급공을 자동 폐쇄하므로 별도의 뚜껑 개폐 작동 없이 뚜껑을 자동 개폐 사용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은 물론 위생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하기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외부 용기 12: 결합공
20: 내부 용기 30: 내용물 용기
32: 토출구 33: 실링 부재
35: 로우 캡 37: 안내 관부
37a: 절결홈 36: 작동 돌기
40: 상부 뚜껑 41: 몸체
43a: 축공 43b: 축 핀
41c: 가이드 홈부 42: 내용물 공급공
43: 개폐구 44: 개폐구 작동부
45: 실링 캡 46: 토션 스프링
50: 하부 받침대 51: 상부 고정부재
52: 삽입공 53: 가이드 공
54: 격벽 54a: 수직 안내홈부
54b: 로크홈 55: 하부 작동부재
56: 삽입 관부 57: 가이드 돌기
57a: 스톱 돌기부 61: 흡착판
62: 흡착공 70: 텐션 부재

Claims (8)

  1. 중공 형태의 외부 용기(10)와;
    상기 외부 용기의 내부로 삽입 설치하되, 외부 용기(10)와의 사이로 텐션 부재(70)를 삽입 설치하여 상하로 탄발 이동 가능한 내부 용기(20)와;
    상기 내부 용기(20) 내부에 삽입 설치하되, 외부 용기(10)와 고정 결합되고 내부로 내용물이 충진되는 내용물 용기(30)와;
    상기 외부 용기 상부에 결합되는 돔형 구조의 몸체(41) 상부 중앙에 내용물 용기의 내용물을 공급하는 내용물 공급공(42)을 관통 형성하고 상기 내용물 공급공 상부에 설치되는 개폐구(43)를 내부 용기(20)의 승,하강에 연동하여 개폐구 작동부(44)에 의해 상하로 축 회전시켜 내용물 공급공을 개폐 작동하는 상부 뚜껑(40) 및;
    상기 외부 용기 하부에 고정 결합되는 상부 고정부재(51) 하부에 내부 용기(20)와 함께 상하 이동하는 하부 작동부재(55)를 결합한 하부 받침대(50)로 구성하여, 상기 외부 용기(10)를 바닥에서 들어올릴 때 내부 용기(20)가 텐션 부재(70)에 의해 하부로 하강 이동하고 바닥에 내려놓을 때 텐션 부재(70)를 압축하며 상승 복귀하면서 상부 뚜껑의 개폐구(43)가 내용물 공급공(42)을 자동으로 개폐 작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자동 개폐 방식의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용기(30)는 상부로 토출구(32)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토출구(32)가 외부 용기(10) 상부 중앙의 결합공(12)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개폐구(43)에는 내용물 공급공(42) 위치로 실링 캡(45)을 결합하고, 상기 내용물 공급공(42)과 내용물 용기의 토출구(32)에는 실링 캡(45)과 서로 기밀 작동하도록 링형의 실링 부재(33)가 삽입되어 결합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자동 개폐 방식의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뚜껑(40)의 개폐구 작동부(44)는 개폐구의 회전 중심 위치로 형성된 축공(43a)에 축핀(43b)을 축 결합하고 상기 축 핀에 일측은 몸체(41)에 고정되고 타측은 개폐구(43)에 고정되는 토션 스프링(46)을 삽입 설치하여 개폐구(43)가 하 방향으로 탄발 회전 작동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개폐구(43)는 내부 용기(20) 상단의 스토퍼(23)에 의해 탄발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내부 용기(2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연동하여 축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자동 개폐 방식의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뚜껑(40)의 개폐구(43)는 몸체(41)의 상부에서 일 측 하부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부(41c)에 삽입 안내되도록 설치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자동 개폐 방식의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받침대(50)의 하부 작동부재(55)는 상부 중앙에 삽입 관부(56)와 상기 삽입 관부 외측 원주상의 등각 위치로 가이드 돌기(57)를 형성하여 상기 상부 고정부재(51) 중앙의 삽입공(52)과 삽입공 외 측 원주상에 형성된 가이드 공(53)에 승하강 안내되도록 결합하되, 상기 가이드 돌기 일 측에 돌출 형성된 스톱 돌기부(57a)와 상기 상부 고정부재 내측의 격벽(54)에 수직 형성되어 스톱 돌기부가 수직 안내되는 수직 안내홈부(54a)에 의해 승 하강 안내 거리를 제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자동 개폐 방식의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안내홈부(54a)의 상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는 로크홈(54b)을 연결 형성하여 스톱 돌기부(57a)를 로크홈에 삽입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상부 고정부재와 하부 작동부재의 승 하강 작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자동 개폐 방식의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받침대(50)의 하부 작동부재(55)에는 저면에 흡착판(61)을 조립 설치하되, 상기 흡착판의 상부 중앙에 흡착공(62)을 형성하여 외부 용기를 바닥에 내려놓을 때 내용물 용기 하부에 결합되는 로우 캡의 작동 돌기(36)가 흡착공(62)에 삽입 차단하여 흡착 작동하거나 외부 용기를 바닥에서 들어올릴 때 로우 캡의 작동 돌기(36)가 흡착공(62)에서 이탈하여 흡착 해제 작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자동 개폐 방식의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 캡(35) 하부에는 작동 돌기(36)의 외 측으로 안내 관부(37)를 돌출 형성하여 하부 작동부재의 삽입 관부(56)에 삽입되어 승 하강 안내 작동하되, 상기 안내 관부(37) 외 측에 상하 방향의 절결홈(37a)을 등각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자동 개폐 방식의 용기.
KR1020160145197A 2016-11-02 2016-11-02 뚜껑 자동 개폐 방식의 용기 KR101780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197A KR101780222B1 (ko) 2016-11-02 2016-11-02 뚜껑 자동 개폐 방식의 용기
CN201680090313.8A CN109890719A (zh) 2016-11-02 2016-11-08 盖子自动开闭式容器
US16/344,729 US20190270549A1 (en) 2016-11-02 2016-11-08 Container Having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Lid
JP2019521144A JP6810798B2 (ja) 2016-11-02 2016-11-08 蓋自動開閉方式の容器
EP16920686.9A EP3536630A4 (en) 2016-11-02 2016-11-08 CONTAINER HAVING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COVER
PCT/KR2016/012825 WO2018084349A1 (ko) 2016-11-02 2016-11-08 뚜껑 자동 개폐 방식의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197A KR101780222B1 (ko) 2016-11-02 2016-11-02 뚜껑 자동 개폐 방식의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0222B1 true KR101780222B1 (ko) 2017-09-20

Family

ID=60033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5197A KR101780222B1 (ko) 2016-11-02 2016-11-02 뚜껑 자동 개폐 방식의 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90270549A1 (ko)
EP (1) EP3536630A4 (ko)
JP (1) JP6810798B2 (ko)
KR (1) KR101780222B1 (ko)
CN (1) CN109890719A (ko)
WO (1) WO20180843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5941A1 (en) * 2021-09-29 2023-04-06 Lockhart Mia Automatic cosmetic container and method of us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2223A2 (ko) 2011-08-29 2013-03-07 (주)연우 마사지 기능이 구비된 화장품용기
WO2014035067A1 (ko) 2012-08-27 2014-03-06 Lee Young Joo 액체용기용 자동캡의 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602784D0 (en) * 1996-02-12 1996-04-10 Courtaulds Packaging Ltd A self closing closure
CN2739119Y (zh) * 2004-08-06 2005-11-09 芮洪青 可自动闭合的方便瓶盖
KR20060035531A (ko) 2004-10-21 2006-04-26 박연수 자동 개폐되는 액체용기 뚜껑
DE102006009520A1 (de) * 2005-06-14 2006-12-21 Röck, Udo Trinkflasche mit einem Verschluss für eine Einhandbedienung
JP4784986B2 (ja) * 2006-05-31 2011-10-0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自動開蓋する蓋板付きキャップ
KR101285861B1 (ko) * 2012-02-14 2013-07-12 변재삼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용기의 노즐개폐장치
KR101389763B1 (ko) * 2012-08-13 2014-05-14 (주)연우 회전 펌핑식 화장품용기
KR101396118B1 (ko) * 2012-09-27 2014-05-15 (주)아이디플라텍 한 손으로 뚜껑을 개방할 수 있는 식품 보관용 용기
KR101443150B1 (ko) * 2013-05-23 2014-09-26 여태수 자동 캡
KR102163213B1 (ko) * 2014-10-30 2020-10-08 오윤상 착탈수단이 구비되는 음료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2223A2 (ko) 2011-08-29 2013-03-07 (주)연우 마사지 기능이 구비된 화장품용기
WO2014035067A1 (ko) 2012-08-27 2014-03-06 Lee Young Joo 액체용기용 자동캡의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70549A1 (en) 2019-09-05
JP6810798B2 (ja) 2021-01-06
WO2018084349A1 (ko) 2018-05-11
EP3536630A1 (en) 2019-09-11
JP2019535599A (ja) 2019-12-12
CN109890719A (zh) 2019-06-14
EP3536630A4 (en) 2019-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6719B1 (ko) 화장품용기
US20180178232A1 (en) Container for discharging powder
TWI454410B (zh) 封閉件及具有封閉件之容器
JP2001258636A (ja) 気密容器
KR101161732B1 (ko) 진공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용기
KR20140125582A (ko) 기밀 봉상화장품 용기
KR101780222B1 (ko) 뚜껑 자동 개폐 방식의 용기
KR100740345B1 (ko) 압축팩용 체크밸브
JPH0720144U (ja) 携帯用保温瓶の流出通路開閉装置
KR101782803B1 (ko) 뚜껑 자동 개폐 방식의 용기
JP4753232B2 (ja) 定量塗布容器
KR200472089Y1 (ko) 밀폐용기
JP7090489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KR101552899B1 (ko) 화장품용기
KR20160121849A (ko) 립스틱 케이스
JP3620040B2 (ja) 液体容器の栓体
KR101311949B1 (ko) 스트로우를 구비한 음료 용기
JPS5823313Y2 (ja) エア−ポツト
KR101962935B1 (ko) 휴대용 진공 보관용기
KR200253340Y1 (ko) 진공용기
JPS636036Y2 (ko)
JPH0243327Y2 (ko)
JPS6316366Y2 (ko)
KR20110009766A (ko) 음료용기의 뚜껑
CN111280765A (zh) 化妆品包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