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5531A - 자동 개폐되는 액체용기 뚜껑 - Google Patents

자동 개폐되는 액체용기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5531A
KR20060035531A KR1020040085536A KR20040085536A KR20060035531A KR 20060035531 A KR20060035531 A KR 20060035531A KR 1020040085536 A KR1020040085536 A KR 1020040085536A KR 20040085536 A KR20040085536 A KR 20040085536A KR 20060035531 A KR20060035531 A KR 20060035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hole
exhaust hole
spac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5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연수
Original Assignee
박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연수 filed Critical 박연수
Priority to KR1020040085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5531A/ko
Publication of KR20060035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55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9/00Arrangements or device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ainers
    • B65D49/02One-way valves
    • B65D49/04Weighted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9/00Arrangements or device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ainers
    • B65D49/02One-way valves
    • B65D49/10Arrangements of severa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401/00Tamper-indicating means
    • B65D2401/15Tearable part of the 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인 물, 음료수, 우유, 과일즙, 물약, 조미료, 화장품 등의 액체를 압축공기에 의하여 생기는 유압(流壓)에 의해 필요한 곳에 투여하거나 중력(重方)에 의하여 배출구가 자동으로 개폐되면서 이들 액체를 따르는 생활용품을 개발함으로써 사용이 간편하며 이물질의 침투나 냄새의 발산 및 증발을 최소화할 목적으로 발명한 『자동 개폐되는 액체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그 주요 구성은 『후핸지(34)가 형성되고 그 밑에 오링(33)이 끼워진 무독성 속 뚜껑(32)의 안쪽 바닥에 구멍(11)이 천공된 내관(5)의 공간(8)에 볼(7)을 내장시키고 오링(20)이 끼워진 V자형 공간과 구멍(22)이 관통하는 연질 관(6)을 공간(8)에 장착하며, 구멍(11)과 공간(8) 사이에 구멍이 있는 칸막이(36)를 만들고, 흡기공(23)이 천공된 내관(13)의 하단에 오링(24)이 끼워진 연질 흡기관(25)을 장착하되 U자형 공간(26)의 상단 배기공(30) 위에 형성된 배기공(27)에 볼(28)을 내장시키며, 배기공(27) 측면에 배기공(29)이 천공된 흡기관(25)의 배기공(27) 상단에 끼운 오링(31)이 내관(13)의 천장에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폐되는 액체용기 뚜껑』액체를 기압이나 중력에 의하여 투여하거나 따르며 이물질의 침투와 발산을 막는 작용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 개폐되는 액체용기 뚜껑{omitted}
[도 1a]는 본 발명 전체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 전체 사시도
[도 1c]는 본 발명 속 뚜껑 사시도
[도 1d]는 본 발명 속 뚜껑의 흡기관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 유압을 이용한 뚜껑 종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도 2b]는 중력에 의해 개폐되는 뚜껑 종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도 2c]는 중력으로 개폐되는 뚜껑 확대 종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도 2d]는 중력으로 개폐되는 뚜껑 확대 종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도 2e]는 중력과 기압으로 개폐되는 흡기관 종단면도 및 작용원도
[도 2f]는 중력으로 개폐되는 내외 뚜껑의 종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도 2g]는 [도 2d]의 선분 AB의 횡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본 발명은 액채상태의 물, 음료수, 우유, 과일즙, 물약, 조미료, 화장품 등의 액체를 압축공기에 의하여 생기는 유압(流壓)에 의해 필요한 곳에 투여하거나 중력(重方)에 의하여 배출구가 자동으로 개폐되면서 이들 액체를 따르는 생활용품을 개발함으로써 사용이 간편하며 이물질의 침투나 냄새의 발산 및 증발을 최소화할 목적으로 발명한 『자동 개폐되는 액체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액채상태의 물, 음료수, 우유, 과일즙, 물약, 조미료, 화장품 등의 액체를 압축공기에 의하여 생기는 유압(流壓)에 의해 필요한 곳에 투여하거나 중력(重力)에 의하여 배출구가 자동으로 개폐되면서 이들 액체를 따르는 생활용품을 개발함으로써 사용이 간편하며 이물질의 침투나 냄새의 발산 및 증발을 최소화할 목적으로 발명한 『자동 개폐되는 액체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액체상태의 물, 음료수, 우유, 과일즙, 물약, 조미료, 화장품 등의 액체를 담은 용기에서 따를 때 일일이 그 뚜껑은 여닫는 불편이 있었고, 뚜껑을 여닫을 때마다 손에서 오염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많은 문제를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유압을 이용하여 어린 환자에게 물약을 먹일 때나 액체상태의 각종 물과 음료수나 조미료 및 화장품을 사용하는 용기의 뚜껑을 여닫지 않고 용기에 압력을 가하여 그안에 고인 액체의 유압에 의해 액체상태의 물약이나 조미료 및 화장품, 물, 음료수, 우유, 과일즙 등의 액체를 필요한 곳에 투여하거나 따를 목적으로 발명한 것인데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및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독성이 없는 재질로 만든 연질 병 (2)이나 용기의 외벽에 눈금(1)을 표시하고, 이 병(2)이나 용기의 상단 주둥이(35)에 패킹(3)과 오링(33)이 끼워진 속 뚜껑(32)의 상단에 형성된 후핸지(34) 밑면이 패킹(3)에 밀착되도록 하고, 병(2)의 상단 주둥이(35) 안에 속 뚜껑(32)을 삽입하여 오링(33)과 패킹(3)에 의해 물이나 공기가 세지 않도록 하되 속뚜껑(32)의 상세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이 속 뚜껑(32)의 안쪽 바닥에 형성된 내관(5)(13) 중에서 구멍(11)이 천공된 내관(5)의 공간(8)에 오링(20)이 끼워진 V자형 공간과 구멍(22)이 있는 연결관 (6)을 장착하되 공간(8)에 내장시킨 볼(7)이 공간(8)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병(2)을 수직으로 세울 때는 중력(重方)에 의하여 볼(7)이 연질 관(6)의 구멍(22)을 밀폐시키며, 병(2)를 기울일 때는 중력에 의하여 볼(7)이 공간(8)으로 굴려가면서 연질 관(6)의 구멍(22)이 열리면 병(2) 안에 있는 엑체가 구멍(22)과 공간(8)을 지나 구멍(11)으로 배출되도록 구성한다.
구멍(11)과 공간(8) 사이에 볼(7)의 이탈을 막을 수 있는 많은 구멍이 천공된 칸막이(36)가 형성되어 있으며, 구멍(11)에는 공지의 젖꼭지(37)를 장착시킨 호스(38)를 빠지지 않도록 장착한다.
흡기공(23)이 천공된 내관(13)의 하단에 오링(24)이 끼워진 연질 흡기관(25)을 장착하되 U자형 공간(26)의 상단 배기공(30) 위에 형성된 상광하협(上廣下峽)의 배기공(27)에 볼(28)을 내장시켜서 병(2)을 수직으로 세우면 중력에 의하여 볼(28)이 배기공(30)을 밀폐시키고, 병(2)을 기울이면 중력에 의하여 볼(28)이 배기공(27)으로 굴러가면서 배기공(30)이 열리도록 구성한다.
[도 2a] [도 2e]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기공(27)의 측면에는 배기공(29)이 천공되어 있기 때문에 흡기공(23)으로 흡입한 공기가 공간(26)과 배기공(30) 및 배기공(27)을 경유하여 배기공(29)을 통해 병(2) 안으로 들어가도록 구성한다.
흡기관(25)의 배기공(27) 상단에 끼워진 오링(31)이 내관(13)의 천장에 밀착되어 공기가 새지 않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속 뚜껑(32)의 외주 요홈에 오링(33)을 끼우고, 구멍(22)에는 관(39)을 끼운 다음 이 속 뚜껑(32)의 상단에 형성된 후핸지(34) 밑면에 끼운 패킹(3)이 병(2)의 주둥이(35) 상단에 밀착되도륵 속 뚜껑(32)을 병(2)의 주둥이 (35) 안에 삽입하여 이 부분으로 액체나 기체가 새지 않도록 구성하되 관(39)의 하단이 병(2)의 바닥에 접하더라도 액체가 흐를 수 있는 공간이 생기도록 관(39)의 하단을 비스듬히 잘라서 타원형의 빗면을 만든다.
그 다음에 이 병(2) 주둥이(35)의 수나사에 암나사가 있는 뚜껑(4)을 결합하되 이 뚜껑(4)의 하단에 형성된 잠금 관(40)이 뚜껑(4)을 열면 뚜껑(4)의 하단에서 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뚜껑(4)의 하단과 잠금 관(40)의 상단 사이에 작은 구명을 일렬로 천공하며 약하게 남은 부분이 잘라지도록 하는데 그 상세한 구성은 [도2c]에서 보는 바와 같다.
즉 [도 2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뚜껑(4) 하단에 형성된 잠금 관(40)의 안쪽 위에 걸림 돌기(41)가 형성되어 있고, 이 걸림 돌기(41)의 상단과 뚜껑(4)의 하단 사이에 작은 구멍이 일렬로 천공되어 있기 때문에 뚜껑(4)을 닫을 때는 걸림돌기(41)가 주둥이(35)의 외벽에 형성된 톱니돌기(42)를 지나가면서 구부러졌 다가 이 걸림 돌기(41)가 톱니돌기(42)를 지나간 다음에 다시 펴지도록 구성한다.
그렇기 때문에 뚜껑(4)을 열 때는 걸림 돌기(41)가 톱니돌기(42)에 걸리면서 걸림 돌기(41)와 잠금관(40)이 뚜껑(4)과 걸림 돌기(41)사이에 일렬로 천공된 작은 구멍이 천공된 약한 부분이 끊어지면서 뚜껑(4)만 열리고, 걸림 돌기(41)와 잠금관 (40)은 톱니돌기(42) 밑에 걸린 채 그대로 남아있도록 구성한다.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병(2)의 측면에 손잡이(43)가 형성되어 있고, 주둥이(35)의 하단 외벽에 형성된 톱니돌기(44)와 뚜껑(4)의 하단에 형성된 잠금관(45)만이 [도 2a]와 상이할 뿐 여타의 모든 구성은 [도 2a]의 구성과 동일하며, 양자간의 상이한 구성인 톱니돌기(44)와 잠금관(45)은 [도 2d]에서 상세히 설명하겠으므로 여기에서는 [도 2b]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의 구성은 [도 2a]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도 2c]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d]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구성의 대부분은 [도 2a] [도 2c]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도 2a] [도 2c]에서 설명되지 못한 톱니돌기(44)와 잠금관(45)에 대한 설명은 [도 2g]에서 하고, 여기에서는 [도 2d]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f]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는 [도 2c] [도 2d]와 동일한 구성에서 뚜껑(4)의 안쪽 바닥과 속 뚜껑(32)의 상단이 완전히 밀착되어 뚜껑(4)과 속뚜껑 (32)이 단일 체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미 그 구성에 대한 설명을 위에서 하였으므로 [도 2f]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뚜껑(4)의 측면에 형성시킨 핸들(도시하지 못하였음)을 이용하며 병(2)을 들 수 있도록 하면 병(2)의 측면에 핸들이 없더라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2g]에서 보는 바와 같이 뚜껑(4)의 하단에 형성된 잠금관(45)의 얇은 벽의 안쪽에는 다수의 톱니(46)가 균일한 간격으로 드문드문 형성되어 있고, 병(2)의 주둥이(35) 하단 외벽 양쪽에 톱니(47)가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뚜껑(4)을 시계방향으로 돌리면서 닫게 되면 각 톱니(46)가 병(2)의 주둥이(35) 하단 외벽에 형성된 톱니(47)의 비탈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톱니(46)가 톱니(47)를 타고 넘어가도록 구성한다.
그렇기 때문에 뚜껑(4)을 시계방향으로 돌리면서 닫을 때 톱니(47)가 톱니 (46)를 타고 넘어가는데 이 때 잠금관(45)의 얇은 벽이 톱니(47)가 없는 주둥이 (35)의 외벽에 근접하는 까닭에 톱니(47)가 톱니(46)를 타고 넘어가면서 뚜껑(4)이 완전히 닫히게 한다.
그러나 뚜껑(4)을 반 시계방향으로 돌리면서 열 때는 톱니(46)가 톱니(47)에 걸리면서 잠금관(45)이 돌라갈 수 없기 때문에 뚜껑(4)만 돌아가면서 열리면서 잠금관(45)은 그대로 있고 뚜껑(4)만 돌아가기 때문에 잠금관(45)에서 뚜껑(4)이 분리되도록 구성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작용원리는 [도 1a] 및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뚜껑(4)을 열면 잠금관(40)과 걸림 돌기(41)가 뚜껑(4)의 하단에서 분리되면서 뚜껑(4)만 열리고 잠금관(40)과 걸림 돌기(41)는 톱니돌기(42) 밑에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뚜껑(4)과 잠금관(40)이 분리되지 않았다면 뚜껑(4)을 열어본 사실이 없음이 입증되며, 뚜껑(4)과 잠금관(40)이 분리되었다면 뚜껑(4)을 열어 보았다는 사실이 입증된다.
이와 같이 뚜껑(4)이 열린 상태에서 병(2)의 외벽에 압력을 가하면 병(2)이 수축되면서 병(2) 안에 있는 공기가 압축되면서 병(2)에 고인 액체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갈곳이 없는 액체가 관(39)을 통에 밀려 올라가며 볼(7)을 밀어내고 공간(8)과 구멍(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병(2)의 외벽에 가했던 압력이 제거되면 수축되었던 병(2)이 원상복귀 되면서 외부에 있는 공기가 흡기공(23)과 공간(26), 배기공(30), 배기공(27), 배기공(29)을 통해 병(2) 안에 흡입된다.
이와 같은 작용의 반복으로 병(2) 안에 있는 액체를 쉽게 배출시킬 수 있으며, 액체가 배출되지 않거나 공기가 흡입되지 않을 때는 중력에 의하여 볼(7)과 볼(28)이 자동으로 닫히기 때문에 이물질이나 세균의 수직으로 세운 병(2) 안에 침투되는 것을 막고, 액체가 증발되거나 냄새가 발산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젖꼭지(37)가 장착된 호스(38)의 하단을 구멍(11)에 빠지지 않도록 삽입한 다음 유아의 입에 이 젖꼭지(37)를 물리고 병(2)의 측면에 압력을 가하면 병(2)이 수축되면서 그 안에서 압력을 받는 공기는 볼(28)에 의하여 밀폐된 배기공(30)으로 배출되지 못하기 때문에 압력을 받는 공기가 액체에 압력을 가한다.
그렇기 때문에 압력을 받는 액체가 관(39)과 구멍(22) 및 공간(8)을 통해 구멍(11)에 삽입한 호스(38)와 젖꼭지(37)를 경유하면서 유아의 입에 공급된다.
병(2)의 측면에 가하는 압력을 제거하면 수축되었던 병(2)이 원상복귀 되면서 외부에서 공기가 흡입되는데 구멍(22)은 중력에 의하여 볼(7)이 밀폐시켰으므로 외부에 있던 공기가 흡기공(23)과 공간(26), 배기공(30), 배기공(27), 배기공(29)을 통해 병(2)으로 흡입된다.
이와 같은 작용의 반복으로 병(2)안에 있는 액체가 관(39)과 구멍(22) 및 공관(8)을 통해 구멍(11)에 삽입한 호스(38)와 젖꼭지(37)를 경유하면서 입에 공급되기 때문에 입으로 빨지 못한다 하더라도 액체로 된 음식물이나 약을 먹일 수 있다.
병(2)의 측면에 압력을 가하지 않고 위와 같은 젖꼭지(37)를 입에 물고 빨면 병(2)안에 있는 액체가 관(39)과 구멍(22) 및 공간(8)을 통해 구멍(11)에 꽂힌 호스(38)의 젖꼭지(37)를 경유하면서 입으로 들어가며, 액체가 있던 자리에는 외부에 있는 공기가 흡기공(23), 공간(26), 배기공(30), 배기공(27), 배기공(29)를 통해 공급되기 때문에 일반 젖병과 같은 역할을 한다.
젖꼭지(37)를 물고 빨다가 잠깐 쉴 때는 볼(7)이 구멍(22)을 밀폐시기 때문에 액체가 관(39)으로 역류됨을 막을 수 있다.
관(39)과 젖꼭지(37)가 결합된 호스(38)를 구멍(11)에 제거한 다음 구멍(11)이 밑으로 가도록 병(2)을 기울이리면 볼(7)과 볼(28)이 속 뚜껑(32)의 상단 쪽으로 굴러가면서 구멍(22)과 배기공(30)이 열리기 때문에 병(2)이 있는 액체가 구멍(22)과 공간(8)을 통해 구멍(11)으로 흘러나오며, 액체가 있던 자리에는 공기가 들어가는데 그 경로는 흡기공(23), 공간(26), 배기공(30), 배기공(27), 배기공 (29)이 된다.
이와 같이 하면서 필요한 양의 액체를 다른 용기에 따른 다음에 병(2)을 수직으로 세우면 중력에 의하여 볼(7)과 볼(28)이 원상복귀 되면서 각각 구멍(22)과 배기공(30)을 밀폐시키기 때문에 병(2)이 있는 액체의 냄새나 증발을 막으며, 이물질과 세균이 병(2)으로 침투되는 것을 막는다.
위와 같은 사용이 끝난 다음에 뚜껑(4)을 닫으면 병(2)이 넘어지더라도 그 안에 있는 액체가 쏟아지지 않는다.
오링(33)(24)(20)은 액체나 기체가 세지 않는 역할을 한다.
[도 1b] 및 [도 2b]의 작용원리는 손잡이(43)가 있기 때문이 들기 편리하며, 그 밖에 모든 작용원리는 [도 1a] 및 [도 2a]의 작용원리와 완전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c]의 작용원리는 [도 2a]의 작용원리와 완전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d]의 작용원리는 [도 2a]의 작용원리와 대부분 동일하며 다만 상이한 것은 뚜껑(4)을 열 때 잠금관(45)이 뚜껑(4)의 하단에서 분리되는 작용원리가 [도 2g]의 작용원리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이할 뿐이며, 그 밖의 모든 작용원리는 [도 2a]의 작용원리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c] [도 1d] [도 2e]의 작용원리는 [도 2a]의 작용원리에서 이미 설명되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f]에서 보는 바와 같이 뚜껑(4)을 돌리면서 열거나 닫을 때 속 뚜껑 (32)도 함께 열리거나 닫히며, 뚜껑(4)의 측면에 형성된 핸들을 사용하면 뚜껑(4) 에 결합된 병(2)에 핸들이 없더라도 편리하게 병(2)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모든 작용원리는 [도 2a] [도 2b]의 작용원리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g]에서 보는 바와 같이 뚜껑(4)을 시계방향으로 돌리면서 닫게 되면 각 톱니(46)가 병(2)의 주둥이(35) 하단 외벽의 양쪽에 형성된 톱니(47)의 비탈면을 따라 이동할 때 톱니(46)가 톱니(47)의 비탈면을 타고 넘어가면서 톱니(46)가 톱니(47)에 걸린다.
이와 같이 뚜껑(4)을 시계방향으로 돌리면서 닫을 때 톱니(47)가 톱니(46)의 비탈면을 타고 넘어가는 요인은 잠금관(45)의 얇은 벽이 톱니(47)가 없는 주둥이(35)의 외벽에 근접하므로 톱니(47)가 톱니(46)를 타고 넘어갈 정도로 간격이 생기는 때문이다.
그러나 완전히 닫힌 뚜껑(4)을 반 시계방향으로 돌리면서 열 때는 톱니(46)가 톱니(47)에 걸리면서 잠금관(45)이 돌라갈 수 없기 때문에 뚜껑(4)만 돌아가면서 열리므로 잠금관(45)은 그대로 있고 뚜껑(4)은 잠금관(45)에서 분리되며 열리게 된다.
따라서 잠금관(45)과 뚜껑(4)이 분리되지 않았을 때는 뚜껑(4)을 열지 않았다는 사실이 입증되며, 잠금관(45)과 뚜껑(4)이 분리되었을 때는 뚜껑(4)을 열었다는 사실이 입증된다.
본 발명의 작용효과는 뚜껑과 잠금관이 분리된 상태로서 뚜껑을 열어 보았음 을 확인하며, 병의 외벽에 압력을 가하면 그 안에 있는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병을 수직으로 세우면 중력에 의하여 볼(7)과 볼(28)이 자동으로 닫히기 때문에 이물질이나 세균의 침투를 막으며, 액체가 증발되거나 냄새가 발산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젖꼭지가 장착된 호스로 유아에게 액체나 물약을 먹이며, 관과 젖꼭지가 결합된 호스를 제거한 상태에서 구멍(11)이 밑으로 가도록 병을 기울이리면서 액체를 따르는 등의 유용한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3)

  1. 후핸지(34)가 형성되고 그 밑에 오링(33)이 끼워진 무독성 속뚜껑(2)의 안쪽 바닥에 구멍(11)이 천공된 내관(5)의 공간(8)에 볼(7)을 내장시키고 오링(20)이 끼워진 V자형 공간과 구멍(22)이 관통하는 연결 관(6)을 공간(8)에 장착하며, 구멍(11)과 공간(8) 사이에 구멍이 있는 칸막이(36)를 만들고, 흡기공(23)이 천공된 내관(13)의 하단에 오링(24)이 끼워진 연질 흡기관(25)을 장착하되 U자형 공간 (26)의 상단 배기공(30) 위에 형성된 배기공(27)에 볼(28)을 내장시키며, 배기공 (27) 측면에 배기공(29)이 천공된 흡기관(25)의 배기공(27) 상단에 끼운 오링(31)이 내관(13)의 천장에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폐되는 액체용기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눈금(1)을 표시된 무독성이 연질 병(2)의 주둥이(35) 내부에 후핸지(34) 밑에 패킹(3)이 끼워진 속 뚜껑(32)을 삽입하고, 뚜껑(4) 하단과 잠금 관(40)의 안쪽 위에 형성된 걸림 돌기(41) 사이에 작은 구멍이 일렬로 천공된 뚜껑(4)을 톱니돌기(42)가 형성된 주둥이(35)의 수나사에 결합하거나, 뚜껑(4) 하단과 잠금 관(45) 사이에 작은 구멍이 일렬로 천공된 뚜껑(4)을 톱니돌기(44)가 형성된 주둥이(35)의 수나사에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폐되는 액체용기 뚜껑』.
  3. 제1항에 있어서 속 뚜껑(32)의 상단과 뚜껑(4)의 안쪽 바닥이 밀착된 단일 체로 구성하거나, 속 뚜껑(32)의 상단과 측면에 핸들이 형성된 뚜껑(4)의 안쪽 바닥이 밀착된 단일 체로 구성되던가, 상기 뚜껑(4) 하단과 잠금 관(40)의 안쪽 위에 형성된 걸림 돌기(41) 사이에 작은 구멍이 일렬로 천공된 뚜껑(4)을 톱니돌기(42)가 형성된 병(2)의 주둥이(35) 수나사에 결합하거나 뚜껑(4) 하단과 잠금 관(45) 사이에 작은 구멍이 일렬로 천공된 뚜껑(4)을 톱니돌기(44)가 형성된 벽(2)의 주둥이(35) 수나사에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폐되는 액체용기 뚜껑』
KR1020040085536A 2004-10-21 2004-10-21 자동 개폐되는 액체용기 뚜껑 KR200600355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536A KR20060035531A (ko) 2004-10-21 2004-10-21 자동 개폐되는 액체용기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536A KR20060035531A (ko) 2004-10-21 2004-10-21 자동 개폐되는 액체용기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531A true KR20060035531A (ko) 2006-04-26

Family

ID=37144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5536A KR20060035531A (ko) 2004-10-21 2004-10-21 자동 개폐되는 액체용기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553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786B1 (ko) * 2007-11-06 2009-12-07 김양수 분할된 수용부를 갖는 용기
WO2018084349A1 (ko) 2016-11-02 2018-05-11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뚜껑 자동 개폐 방식의 용기
WO2018084348A1 (ko) 2016-11-02 2018-05-11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뚜껑 자동 개폐 방식의 용기
CN108033097A (zh) * 2018-01-11 2018-05-15 江苏康宝医疗器械有限公司 自动浸润碘伏棉签瓶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786B1 (ko) * 2007-11-06 2009-12-07 김양수 분할된 수용부를 갖는 용기
WO2018084349A1 (ko) 2016-11-02 2018-05-11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뚜껑 자동 개폐 방식의 용기
WO2018084348A1 (ko) 2016-11-02 2018-05-11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뚜껑 자동 개폐 방식의 용기
CN108033097A (zh) * 2018-01-11 2018-05-15 江苏康宝医疗器械有限公司 自动浸润碘伏棉签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4201B2 (en) Drinking container, vent system and method
US5044953A (en) Dental evacuator disinfectant and flush system
US20030111428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the clogging of a drainage system
CA2568138A1 (fr) Poche de perfusion avec rincage integre
EP2434064A1 (fr) Dispositif distributeur automatique pompe doseur à volume réglable
EP0287481B1 (fr) Dispositif de nettoyage et de désinfection d'instruments médicaux et chirurgicaux
HUE028838T2 (en) Water Separator
KR20060035531A (ko) 자동 개폐되는 액체용기 뚜껑
FR2625681A1 (fr) Chambre collectrice separable pour dispositif de drainage de poitrine
FR2480110A1 (fr) Instrument pour la mesure d'emissions d'urine
CN210276883U (zh) 一种方便快捷的冲茶装置
KR100899485B1 (ko) 젖병 조립체
SI9200215A (en) Device for cleaning dental prostheses
US246881A (en) Commode
EP0766551B1 (fr) Urinal de securite perfectionne
US20050204459A1 (en) Dispenser for toilet cleaner solids of liquids
JP2020078395A (ja) 薬剤経口投与器具およびそれに適用される筒部材
EP0538159B1 (fr) Distributeur polyvalent de produits de désinfection placés à l'intérieur des contenants de forme variée
EP0332791B1 (fr) Dispositif sanitaire pour le lavage et/ou le nettoyage
US1156605A (en) Cuspidor.
US1284789A (en) Sanitary chemical-closet.
KR100623902B1 (ko) 약 먹이는 젖병
KR200190170Y1 (ko) 위생팩을 내장한 생수통
FR2546067A1 (fr) Diffuseur permanent pour desinfection et deodorisation des colonnes de vide-ordures et locaux
DE19534134A1 (de) Trinkflasche mit Unterdruckvent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