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3213B1 - 착탈수단이 구비되는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착탈수단이 구비되는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3213B1
KR102163213B1 KR1020140149089A KR20140149089A KR102163213B1 KR 102163213 B1 KR102163213 B1 KR 102163213B1 KR 1020140149089 A KR1020140149089 A KR 1020140149089A KR 20140149089 A KR20140149089 A KR 20140149089A KR 102163213 B1 KR102163213 B1 KR 102163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holder
stopper
adsorption
adsorption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9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0590A (ko
Inventor
오윤상
Original Assignee
오윤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윤상 filed Critical 오윤상
Priority to KR1020140149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213B1/ko
Publication of KR20160050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06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using vacuum suction c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음료용기의 용기몸체가 터치 또는 충격 등으로 인해 전도되거나 또는 전도되어 테이블 등으로부터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탈수단이 구비되는 음료용기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몸체;
상기 용기몸체의 개구부에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는 뚜껑;
피고정면에 착탈되는 흡착패드가 바닥면에 장착되고, 상기 흡착패드에 흡착력을 부여하기 위해 공기가 출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는 홀더;
상기 관통공을 개폐시키도록 상기 용기몸체의 바닥면에 장착되는 덮개, 상기 덮개는 상기 피고정면에 안착되는 홀더의 관통공을 상기 용기몸체의 자중에 의해 상기 관통공을 차단시킬 경우 상기 흡착패드에 흡착력을 부여하여 피고정면에 흡착패드를 고정시키는 로킹상태, 또는 상기 홀더로부터 상기 용기몸체를 임의높이만큼 들어올릴 경우 흡착패드의 흡착력을 해제시켜 상기 피고정면으로부터 흡착패드를 이탈시킬 수 있는 언로킹상태로 전환시킴;
상기 흡착패드의 흡착력을 해제시키기 위해 상기 홀더로부터 용기몸체를 상방향으로 임의높이만큼 들어올릴 경우 상기 홀더로부터 상기 용기몸체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수단이 구비되는 음료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착탈수단이 구비되는 음료용기{a beverage container}
본 발명은 음료용기(소위 "텀블러" 등을 말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몸체가 터치 또는 충격 등으로 인해 전도되거나 또는 전도되어 테이블 등으로부터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착탈수단이 구비되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텀블러(tumbler)는 등산, 낚시하는 경우에 휴대가 용이하여 야외에서 커피, 음료수 등을 수시로 간편하게 음용하기 위해 최근 사용량이 급속하게 증가되고 있다. 또한 텀블러는 사무실 등에서도 커피, 건강음료수 등을 음용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때 상기 텀블러는 내용물을 저장하는 용기몸체와, 상기 용기몸체의 개구부를 개폐시키기 위해 착탈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데, 사무실 등에서는 유저가 내용물을 수시로 반복하여 음용하기 위해 상기 용기몸체로부터 뚜껑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사용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뚜껑이 개방된 상태의 용기몸체를 부주의로 인해 터치하거나 작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용기몸체는 쉽게 전도되어진다. 이경우 용기몸체에 저장된 커피 등의 내용물이 유출되어 낭비되는 문제점과, 내용물이 고온의 커피일 경우 화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몸체의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용기몸체을 테이블상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착탈수단이 구비되는 텀블러의 개발 및 사용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출원 제10-2010-56184호에 음료 온도 표시형 텀블러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바닥면에 형성된 착탈수단의 로킹에 의해 용기몸체가 전도되거나 또는 테이블 등으로부터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용기몸체의 내용물(커피 등)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착탈수단이 구비되는 음료용기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용기몸체의 착탈수단을 로킹 상태 또는 언로킹 상태로 전환 조작이 용이하여 남여노소 누구라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착탈수단이 구비되는 음료용기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용기몸체의 전도시 쏟아지는 고온의 온수 등으로 인해 화상 입는 것을 방지하고, 용기몸체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착탈수단이 구비되는 음료용기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탈수단이 구비되는 음료용기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몸체;
상기 용기몸체의 개구부에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는 뚜껑;
피고정면에 착탈되는 흡착패드가 바닥면에 장착되고, 상기 흡착패드에 흡착력을 부여하기 위해 공기가 출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는 홀더;
상기 관통공을 개폐시키도록 상기 용기몸체의 바닥면에 장착되는 덮개, 상기 덮개는 상기 피고정면에 안착되는 홀더의 관통공을 상기 용기몸체의 자중에 의해 상기 관통공을 차단시킬 경우 상기 흡착패드에 흡착력을 부여하여 피고정면에 흡착패드를 고정시키는 로킹상태, 또는 상기 홀더로부터 상기 용기몸체를 임의높이만큼 들어올릴 경우 흡착패드의 흡착력을 해제시켜 상기 피고정면으로부터 흡착패드를 이탈시킬 수 있는 언로킹상태로 전환시킴;
상기 흡착패드의 흡착력을 해제시키기 위해 상기 홀더로부터 용기몸체를 상방향으로 임의높이만큼 들어올릴 경우 상기 홀더로부터 상기 용기몸체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수단이 구비되는 음료용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홀더의 내측면 임의위치에 형성되는 스토퍼;
상기 스토퍼에 대응되게 상기 용기몸체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후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크부가 90도 방향전환하여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는 십자 방향으로 4개소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더에 상기 용기몸체를 결합시킬 경우 상기 스토퍼에 대한 상기 후크부의 결합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후크부와 동일 중심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용기몸체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응되게 상기 스토퍼와 동일 중심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홀더에 형성되는 가이드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더에 상기 용기몸체를 결합시킬 경우 상기 스토퍼에 대한 상기 후크부의 결합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홀더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1웨이브와, 상기 제1웨이브에 대응되게 상기 용기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홀더에 상기 용기몸체를 결합시 상기 제1웨이브와 이맞물림형상으로 끼워맞춤되는 제2웨이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에 의해 상기 관통공을 개폐시켜 상기 흡착패드를 로킹상태 또는 언로킹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상기 홀더에 대해 상기 용기몸체를 임의높이만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후크부가 상기 스토퍼 하방에서 승강할 수 있는 임의의 스트로크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스토퍼와 대향되는 위치의 홀더 바닥면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바닥면에 형성된 착탈수단의 로킹됨에 의해 용기몸체의 전도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용기몸체의 내용물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품성 및 실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용기몸체의 착탈수단을 로킹 상태 또는 언로킹 상태로 전환 조작이 용이하여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용기몸체의 전도시 쏟아지는 고온의 온수 등으로 인해 화상을 입게 되거나 용기몸체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신뢰성을 확보하고,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탈수단이 구비되는 음료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탈수단이 구비되는 음료용기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탈수단이 구비되는 음료용기의 분리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탈수단이 구비되는 음료용기의 요부발췌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탈수단이 구비되는 음료용기에서, 테이블 등으로부터 흡착해제됨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탈수단이 구비되는 음료용기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탈수단이 구비되는 음료용기는,
커피, 음료수 등의 내용물이 저장되고, 플라스틱재, 투명 또는 불투명한 유리재 등으로 형성되는 용기몸체(10);
상기 용기몸체(10)의 개구부에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는 뚜껑(일 예로서 용기본체(10)에 뚜껑(11)이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됨)(11);
피고정면(일 예로서 테이블 등의 상면을 말함)에 착탈되는 흡착패드(일 예로서 탄성력이 우수한 고무재 등으로 형성되고, 단면 형상이 갓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음)(12)가 바닥면에 장착되고, 상기 흡착패드(12)에 흡착력을 부여하기 위해 공기가 출입될 수 있도록 개폐되는 관통공(13)이 형성되고, 플라스틱재, 투명 또는 불투명한 유리재로 형성되는 홀더(14);
상기 관통공(13)을 개폐시키도록 상기 용기몸체(10)의 바닥면에 장착되는 덮개(15)(일 예로서 탄성력이 우수한 고무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음), 상기 덮개(15)는 상기 피고정면에 안착되는 홀더(14)의 관통공(13)을 상기 용기몸체(10)의 자중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관통공(13)을 차단시킬 경우 상기 흡착패드(12)에 흡착력을 부여하여 피고정면에 흡착패드(12)를 고정시키는 로킹상태, 또는 상기 홀더(14)로부터 상기 용기몸체(10)를 임의높이만큼 들어올릴 경우 상기 관통공(13)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흡착패드(12)의 흡착력을 해제시킴에 따라 상기 피고정면으로부터 흡착패드(12)를 이탈시킬 수 있는 언로킹상태로 전환시킴;
상기 흡착패드(12)의 흡착력을 해제시키기 위해 상기 홀더(14)로부터 용기몸체(10)를 상방향으로 임의높이만큼 들어올릴 경우 상기 홀더(14)로부터 상기 용기몸체(10)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홀더(14)의 내측면 임의위치에 형성되는 스토퍼(16);
상기 스토퍼(16)에 대응되게 상기 용기몸체(10)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후크부(1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17)가 90도 방향전환하여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16)는 십자 방향으로 4개소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14)에 상기 용기몸체(10)를 결합시킬 경우 상기 스토퍼(16)에 대한 상기 후크부(17)의 결합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후크부(17)와 동일 중심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용기몸체(10)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18)과, 상기 가이드레일(18)에 대응되게 상기 스토퍼(16)와 동일 중심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홀더(15)에 형성되는 가이드턱(19)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14)에 상기 용기몸체(10)를 결합시킬 경우 상기 스토퍼(16)에 대한 상기 후크부(17)의 결합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홀더(14)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1웨이브(20)와, 상기 제1웨이브(20)에 대응되게 상기 용기몸체(10)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홀더(14)에 상기 용기몸체(10)를 결합시 상기 제1웨이브(20)와 이맞물림형상으로 끼워맞춤되는 제2웨이브(2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덮개(15)에 의해 상기 관통공(13)을 개폐시켜 상기 흡착패드(12)를 로킹상태 또는 언로킹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상기 홀더(14)에 대해 상기 용기몸체(10)를 임의높이만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후크부(17)가 상기 스토퍼(16) 하방에서 승강할 수 있는 임의의 스트로크(stroke)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스토퍼(16)의 바닥면과 대향되는 위치의 홀더(14) 바닥면에 형성되는 관통공(2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홀더(14), 용기몸체(10) 및 뚜껑(11)의 제작은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내용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탈수단이 구비되는 음료용기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커피, 또는 음료수 등의 내용물이 저장되는 상기 용기몸체(10)에 뚜껑(11)을 닫은 후, 상기 용기몸체(10)를 상기 홀더(14)에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용기몸체(10)의 외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턱(19)을 이와 대응되게 상기 홀더(14)의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8)에 결합시킬 경우, 상기 용기몸체(10)는 가이드레일(18)을 따라 하강되어 홀더(14)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몸체(10)를 상기 홀더(14)에 결합시킬 경우, 상기 용기몸체(10)의 바닥면에 대향되게 돌출형성된 후크부(17)가 이와 대응되게 상기 홀더(14)의 내주연에 형성된 스토퍼(16) 밑으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상기 후크부(17)가 상기 스토퍼(16)에 의해 로킹되므로, 상기 용기몸체(10)를 홀더(14)로부터 들어올릴 경우에도 홀더(14)로부터 용기몸체(10)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용기몸체(10)의 승강 가능한 높이는 상기 스토퍼(16) 밑으로 확보되는 후크부(17)의 스트로크 범위내로 제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홀더(14)에 용기몸체(10)를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가이드레일(18)과 가이드턱(19)을 상호 끼워맞출 경우, 상기 홀더(14) 내부에 형성되는 스토퍼(16)에 대한 후크부(17)의 조립위치를 작업자가 육안하여 확인하는 작업과정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음료용기를 조립하는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홀더(14)에 상기 용기몸체(10)를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홀더(14)의 상단면에 형성된 제1웨이브(20)와, 상기 제1웨이브(20)와 대응되게 상기 용기몸체(10)의 외주연에 형성된 제2웨이브(21)의 형상을 일치시킬 경우, 상기 홀더(14)와 용기몸체(10)는 이맞물림형상으로 끼워맞춤된다.
따라서, 상기 홀더(14)에 용기몸체(10)를 조립하는 경우, 상기 홀더(14) 내부에 위치하는 스토퍼(16)에 대한 후크부(17)의 조립위치를 작업자가 육안하여 확인하는 작업과정이 불필요하게 된다.
한편, 사무실 등에 배치되는 테이블 상면의 가장자리에 상기 음료용기를 올려 놓을 경우 상기 흡착패드(12)의 흡착력에 의해 홀더(14)를 테이블 위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용기몸체(10) 내부에 저장되는 내용물의 중량에 따라 흡착패드(12)의 흡착력은 증대된다.
이로 인해 상기 흡착패드(12)에 의해 홀더(14)가 테이블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음료용기에 수평방향으로 외력을 가하거나, 또는 음료용기를 파지하여 수평방향으로 흔드는 경우에도 상기 음료용기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홀더(14)에 용기몸체(10)를 결합시킬 경우 상기 용기몸체(10)의 바닥면에 장착된 상기 덮개(15)가 상기 홀더(14)의 바닥면에 형성된 관통공(13)을 차단하게 된다. 이로 인해 흡착패드(12) 내부에 외부공기의 유입이 차단된 상태이므로 흡착패드(12)는 흡착력을 발휘하게 되어 홀더(14)를 테이블 상면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음료용기에 저장된 커피 등의 내용물을 음용하기 위해 음료용기의 용기몸체(10)를 파지하여 상방향으로 들어올릴 경우에 흡착패드(12)의 흡착력은 해제된다. 반면에 상기 홀더(14)를 파지하여 상방향으로 들어올릴 경우에는 상기 흡착패드(12)의 흡착력은 계속적으로 유지되므로, 음료용기는 테이블 상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용기몸체(10)를 파지하여 임의높이만큼 들어올릴 경우 상기 용기몸체(10)의 바닥면에 장착된 덮개(15)가 상기 홀더(14)의 관통공(13)으로부터 이탈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13)을 통하여 외부공기가 상기 흡착패드(12) 내부에 유입됨에 따라 상기 흡착패드(12)의 흡착력이 해제되므로, 음료용기를 테이블 상면으로부터 들어올려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을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탈수단이 구비되는 음료용기에 의하면, 상기 홀더(14)에 결합되는 용기몸체(10)에 커피 등의 내용물을 저장하여 뚜껑(11)을 닫아 밀폐시킨 후, 상기 홀더(14)를 테이블 등의 상면에 안착시킬 경우, 상기 용기몸체(10)의 덮개(15)에 의해 상기 홀더(14)의 관통공(13)을 차단시키므로 흡착력이 생성되는 상기 흡착패드(12)에 의해 음료용기를 고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수평방향으로 외력이 상기 음료용기에 가해지는 경우에도 음료용기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착패드(12)에 의해 상기 홀더(14)를 테이블 상면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용기몸체(10)를 파지하여 상방향으로 들어올릴 경우에, 상기 덮개(15)가 상기 관통공(13)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흡착패드(10)의 흡착력은 해제된다. 이로 인해 테이블로부터 음료용기를 들어올려 내부에 저장된 음료수 등을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흡착패드(12)에 가해지는 용기몸체(10)의 중량에 의해 흡착력이 생성되는 상기 흡착패드(12)에 의해 음료용기를 고정하고, 상기 용기몸체(10)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릴 경우 흡착패드(12)에 가해지는 용기몸체(10)의 중량이 언로딩(unloading)되어 흡착패드(12)의 흡착력을 해제시키므로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10; 용기몸체
11; 뚜껑
12; 흡착패드
13; 관통공
14; 홀더
15; 덮개
16; 스토퍼
17; 후크부
18; 가이드레일
19; 가이드턱
20; 제1웨이브
21; 제2웨이브
22; 관통공

Claims (6)

  1.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몸체;
    상기 용기몸체의 개구부에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는 뚜껑;
    피고정면에 착탈되는 흡착패드가 바닥면에 장착되고, 상기 흡착패드에 흡착력을 부여하기 위해 공기가 출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는 홀더;
    상기 관통공을 개폐시키도록 상기 용기몸체의 바닥면에 장착되는 덮개, 상기 덮개는 상기 피고정면에 안착되는 홀더의 관통공을 상기 용기몸체의 자중에 의해 상기 관통공을 차단시킬 경우 상기 흡착패드에 흡착력을 부여하여 피고정면에 흡착패드를 고정시키는 로킹상태, 또는 상기 홀더로부터 상기 용기몸체를 임의높이만큼 들어올릴 경우 흡착패드의 흡착력을 해제시켜 상기 피고정면으로부터 흡착패드를 이탈시킬 수 있는 언로킹상태로 전환시킴;
    상기 흡착패드의 흡착력을 해제시키기 위해 상기 홀더로부터 용기몸체를 상방향으로 임의높이만큼 들어올릴 경우 상기 홀더로부터 상기 용기몸체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수단이 구비되는 음료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홀더의 내측면 임의위치에 형성되는 스토퍼;
    상기 스토퍼에 대응되게 상기 용기몸체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후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수단이 구비되는 음료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가 90도 방향전환하여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는 십자 방향으로 4개소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수단이 구비되는 음료용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 상기 용기몸체를 결합시킬 경우 상기 스토퍼에 대한 상기 후크부의 결합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후크부와 동일 중심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용기몸체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응되게 상기 스토퍼와 동일 중심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홀더에 형성되는 가이드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수단이 구비되는 음료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 상기 용기몸체를 결합시킬 경우 상기 스토퍼에 대한 상기 후크부의 결합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홀더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1웨이브와, 상기 제1웨이브에 대응되게 상기 용기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홀더에 상기 용기몸체를 결합시 상기 제1웨이브와 이맞물림형상으로 끼워맞춤되는 제2웨이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수단이 구비되는 음료용기.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에 의해 상기 관통공을 개폐시켜 상기 흡착패드를 로킹상태 또는 언로킹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상기 홀더에 대해 상기 용기몸체를 임의높이만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후크부가 상기 스토퍼 하방에서 승강할 수 있는 임의의 스트로크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스토퍼와 대향되는 위치의 홀더 바닥면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수단이 구비되는 음료용기.
KR1020140149089A 2014-10-30 2014-10-30 착탈수단이 구비되는 음료용기 KR102163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089A KR102163213B1 (ko) 2014-10-30 2014-10-30 착탈수단이 구비되는 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089A KR102163213B1 (ko) 2014-10-30 2014-10-30 착탈수단이 구비되는 음료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590A KR20160050590A (ko) 2016-05-11
KR102163213B1 true KR102163213B1 (ko) 2020-10-08

Family

ID=56025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9089A KR102163213B1 (ko) 2014-10-30 2014-10-30 착탈수단이 구비되는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32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779B1 (ko) * 2016-07-18 2016-10-12 박명혜 진공흡착수단을 갖춘 용기
KR101780222B1 (ko) * 2016-11-02 2017-09-20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뚜껑 자동 개폐 방식의 용기
KR101880215B1 (ko) * 2017-06-07 2018-07-19 (주)주성생활건강 기능성 위생 액체 용기
KR101952888B1 (ko) 2017-07-05 2019-02-27 박규섭 넘어지지 않는 텀블러 홀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753Y1 (ko) 2000-03-09 2000-10-02 박용희 흡착식 쓰러짐 방지컵
JP2000318740A (ja) 1999-05-07 2000-11-21 Koji Nakamura 吸盤付容器
US20090193661A1 (en) 2008-02-01 2009-08-06 Kwok Kuen So Kitchen Utensil with a Suction Base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57426B1 (en) * 2012-11-05 2014-06-24 German J. Serrano Beverage container with integrated anchoring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8740A (ja) 1999-05-07 2000-11-21 Koji Nakamura 吸盤付容器
KR200198753Y1 (ko) 2000-03-09 2000-10-02 박용희 흡착식 쓰러짐 방지컵
US20090193661A1 (en) 2008-02-01 2009-08-06 Kwok Kuen So Kitchen Utensil with a Suction Base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590A (ko)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3213B1 (ko) 착탈수단이 구비되는 음료용기
USD655603S1 (en) Container
USD719780S1 (en) Beverage container cap
US20150014322A1 (en) Cup lid and portable protection case therefor
USD628472S1 (en) Container with complementary sawtooth features on lid and basket to facilitate opening
US20150201777A1 (en) Cup lid and portable protection case therefor
USD687713S1 (en) Container with dispensing closure
MX2009006188A (es) Empaque que comprende un contenedor asociado con una tapa equipada con medios de cierre reversibles y reutilizables.
RU2012148134A (ru)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переворачиваемого контейнера
USD641246S1 (en) Container and closure
CN104223941A (zh) 配备有过滤器和可拆卸的防尘阀门组件的烧水壶
USD613124S1 (en) Serving container with utensil pocket
USD567087S1 (en) Closing cap for a container closure, as installed, with retaining ring
USD613170S1 (en) Container
WO2011057405A4 (en) Lip protector for use on canned beverages
USD518265S1 (en) Liquid container with lid
KR101181512B1 (ko) 조리용기 뚜껑
KR101181510B1 (ko) 조리용기 뚜껑
KR20070000036U (ko) 전방향 착탈식 손잡이
KR20100012828U (ko) 용기 커버
CA2857793A1 (en) Retaining collar for liner-containing vessel
CN205030958U (zh) 一种多功能翻盖水杯
CN210611758U (zh) 一种可拆卸的滑盖水杯
CN203801943U (zh) 一种杯子
KR200414973Y1 (ko) 음료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