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1807B1 - 전방향 착탈식 손잡이 및 용기 구조 - Google Patents

전방향 착탈식 손잡이 및 용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1807B1
KR100791807B1 KR1020070061335A KR20070061335A KR100791807B1 KR 100791807 B1 KR100791807 B1 KR 100791807B1 KR 1020070061335 A KR1020070061335 A KR 1020070061335A KR 20070061335 A KR20070061335 A KR 20070061335A KR 100791807 B1 KR100791807 B1 KR 100791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handle
support
plat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1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영
Original Assignee
김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영 filed Critical 김대영
Priority to KR1020070061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18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1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1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2Bowl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1Saucepan, frying-pan han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의 성질을 이용하여 용기의 어느 방향에서나 간단하게 손잡이를 용기로부터 착탈할 수 있는 전방향 착탈식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용기는 몸체(1) 상부 전체를 외부로 돌출 되게 하여 돌출된 부분이 윗지지판(2)과 밖지지대(3)를 이루도록 성형하여 몸체(1)의 상부와 윗지지판(2)그리고 밖지지대(3)가 안지지대집(4)을 이루게하고, 착탈식 손잡이는 안지지대(5)와 아랫지지판(6)그리고 보호판(7)이 밖지지대집(8)을 이루게 하여 몸체(1)의 안지지대집(4)에 착탈식 손잡이의 밖지지대집(8)을 결합, 분리함으로써 용기로부터 손잡이를 착탈할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은 원의 성질을 이용하여 어느 방향에서나 용기로부터 손잡이를 손쉽게 착탈할 수가 있어 사용하기에 편리하고 냄비 뿐만 아니라 후라이팬 등 원형을 가진 용기에도 이용할 수 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윗지지판, 밖지지대, 안지지대집, 안지지대, 아랫지지판, 밖지지대집

Description

전방향 착탈식 손잡이 및 용기 구조{Joinable and detachable handles in all directions and structure of the vessels}
도1은 냄비 몸체 평면도
도2는 냄비 몸체 정면도
도3은 냄비 몸체 단면도
도4는 착탈식 손잡이 평면도
도5는 착탈식 손잡이 정면도
도6은 착탈식 손잡이 측면도
도7은 냄비 실시 단면도
도8은 후라이팬 실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윗지지판, 3밖지지대, 4안지지대집, 5안지지대
6아랫지지판, 8밖지지대집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손잡이를 용기 몸체에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착 탈식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의 성질을 이용하여 용기의 어느 방향에서나 간단하게 착탈할 수 있는 전방향 착탈식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용기라함은 주로 냄비와 후라이팬을 의미하고 본 발명은 어느 방향에서나 용기로부터 손잡이를 착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냄비와 후라이팬에 있어서도 같이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주로 냄비를 위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에도 냄비를 이동 시킬 때 손잡이의 뜨거움과 수납할 때 공간 확보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착탈식 손잡이가 개발 되었는데 종래 착탈식 손잡이의 공통점은 냄비 몸체의 특정 부분에 착탈식 손잡이를 결합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하여 그 부분에서만 손잡이를 착탈할 수 있게하여 조리 후 냄비를 이동시키기 위해 손잡이를 결합시킬 때 냄비 몸체에 설치된 결합 장치에만 손잡이를 결합해야 하는 위치 선정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지름이 같은 두 원을 겹쳤을 때, 두 원은 어느 부분에서나 서로 맞게 겹치는 원의 성질을 이용하였다. 일반적으로 냄비 몸체와 뚜껑은 둥근 원으로 되어 있는데 이것도 원의 성질을 이용한 것으로 뚜껑을 어느 방향에서나 덮으나 냄비 몸체를 덮게 되어 있다.
본 발명도 이러한 원의 성질을 이용하여 어느 방향에서나 손잡이를 냄비 몸체로부터 착탈할 수 있게 하였다. 즉 지름이 같은 두 원 A와 A'가 있고 원A'에서 일부 떼어 낸 곡선을 B라 하면 곡선 B는 원 A의 어느 부분에 포개어도 일치하게 되 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 원 A는 냄비 몸체상부에 해당하며 곡선 B는 전방향 착탈식 손잡이에 해당하게 된다.
이러한 원을 성질을 이용하여 본 발명은 냄비 몸체 상부전체를 외부로 돌출되게 성형하여 테두리를 형성하게 하고 이 테두리 어느 부분에서나 손잡이를 결합할 수 있게 전방향 착탈식 손잡이를 구성하여 냄비의 어느 방향에서나 손잡이를 착탈할 수 있게 하였다. 이를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착탈식 냄비 손잡이는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냄비 몸체의 일정한 부분에서만 손잡이를 착탈할 수 있게 한 것에 반해 본 발명은 냄비 몸체의 어느 방향에서나 손잡이를 착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냄비 몸체 상부 전체를 외부로 돌출시켜 테두리를 형성 시켰다.
이 테두리는 도1과 같이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돌출된 부분이 도2,3과 같이 윗지지판(2)과 밖지지대(3)로 성형되어 있으며 도3과 같이 냄비 몸체(1) 상부와 윗지지판(2)그리고 밖지지대(3)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공간이 본 발명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안지지대집(4)이다.
본 발명의 착탈식 손잡이는 도6과 같이 손잡이(11)의 아랫부분에 단면이 몸체(1)의 안지지대집(4)과 반대가 되는 모양의 밖지지대집(8)을 두어 안지지대집(4)에 밖지지대집(8)을 결합, 분리하여 착탈할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착탈식 손잡이의 구조는 도6과 같이 안지지대(5)와 아랫지지판(6)그리고 보호판(7)이 이루는 공간이 밖지지대집(8)을 이루고 있으며 안지지 대(5)와 아랫지지판(6) 그리고 보호판(7) 밑에는 도5,6과 같이 몸체지지판(9)이 몸체(1)와 같은 곡선을 이루고 있고 보호판(7)위에는 연결대(10)가 있으며 연결대(10)에는 손잡이(11)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각 부분은 연결대(10)와 손잡이(11)를 제외하고는 도4와 같이 몸체(1)의 안지지대집(4)과 밖지지대(3)와 같은 곡선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착탈은 몸체(1)의 안지지대집(4)에 착탈식 손잡이의 밖지지대집(8)을 결합, 분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 결합은 아주 간단하여 냄비의 어느 방향에서나 도7과 같이 몸체(1)의 안지지대집(4)에 착탈식 손잡이의 안지지대(5)를 밑에서 위로 끼워 넣으면 되는데 그러면 몸체(1)의 밖지지대(3)는 착탈식 손잡이의 밖지지대집(8)에 들어가게 되어 안지지대집(4)과 밖지지대집(8)이 결합하게 된다.
이렇게 냄비 몸체(1)에 착탈식 손잡이를 결합시키면 냄비를 이동시킬 수가 있는데 이때 각 부분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손잡이(11)을 들면 안지지대(5)의 상부는 몸체(1)의 윗지지판(2)에 의해 지지되고 밖지지대(3)의 하부는 착탈식 손잡이의 아랫지지판(6)에 의해 지지되며 몸체지지판(9)은 몸체(1)를 지지해주게 된다. 그리고 안지지대집(4)은 안지지대(5)의 이탈을 방지하고 밖지지대집(8)은 밖지지대(3)의 이탈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냄비를 이동시킬 수가 있다. 이때 보호판(7)은 손이 뜨거운 몸체(1)에 닿는 것을 막아주는 동시에 몸체(1)의 밖지지대(3)가 바깥쪽으로 휘어지는 것을 보호해 준다.
냄비를 이동시킨 후 손잡이(11)를 아래로 내리면 안지지대(5)는 안지지대집 (4)으로부터 이탈하고 밖지지대(3)는 밖지지대집(8)으로부터 이탈하여 본 발명의 착탈식 손잡이는 몸체(1)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몸체(1)의 상부 외부 전체에 안지지대집(4)이 성형되어 있고 착탈식 손잡이의 안지지대(5)가 몸체(1)의 안지지대집(4)에 들어갈 수 있도록 곡선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냄비의 어느 방향에서나 착탈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1개의 착탈식 손잡이를 이용하여 후라이팬에도 이용이 가능하다.
도8과 같이 후라이팬 몸체(1)의 상부 외부 전체에도 윗지지판(2)과 밖지지대(3)를 성형하여 몸체(1) 상부와 윗지지판(2) 그리고 밖지지대(3)가 안지지대집(4)을 형성하게 하여 앞에서 설명한 냄비와 같은 구조를 가지게 하면된다.
그리고 착탈식 손잡이도 마찬가지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다만 들기에 편하도록 도8과 같이 연결대(10)를 몸체(1) 상부와 수평에 가깝게 굽히고 손잡이(11)를 좀 더 길게 한다.
이렇게 하면 한 손으로도 후라이팬을 이동시킬 수가 있는데 착탈은 앞서 설명한 냄비의 경우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은 후라이팬과 같이 1개의 착탈식 손잡이를 이용하여 작은 냄비에도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원의 성질을 이용하여 어느 방향에서나 용기로부터 손잡이를 손쉽게 착탈할 수가 있어 사용하기에 편리하고 냄비 뿐만 아니라 후라이팬등 원형으로 된 용기에도 이용할 수가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Claims (1)

  1. 용기로부터 손잡이를 착탈할 수 있는 전방향 착탈식 손잡이 및 용기 구조에 있어서 용기 구조는 원형인 몸체(1)의 상부 전체가 외부로 돌출되어 돌출된 부분이 윗지지판(2)과 밖지지대(3)로 성형되어 있어 몸체(1) 상부와 윗지지판(2) 그리고 밖지지대(3)가 만드는 공간이 안지지대집(4)을 이루고 있고, 전방향 착탈식 손잡이는 일정한 곡선을 이루고 있는 안지지대(5)와 보호판(7) 사이의 공간으로 이루어진 밖지지대집(8)이 형성되어 있고 밖지지대집(8) 바닥은 아랫지지판(6)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안지지대(5)와 아랫지지판(6) 그리고 보호판(7) 밑에는 몸체지지판(9)이 몸체(1)와 같은 곡선을 이루고 있으며 보호판(7) 위로는 연결대(10)가 있으며 연결대(10)에는 손잡이(11)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착탈식 손잡이 및 용기 구조
KR1020070061335A 2007-06-20 2007-06-20 전방향 착탈식 손잡이 및 용기 구조 KR100791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335A KR100791807B1 (ko) 2007-06-20 2007-06-20 전방향 착탈식 손잡이 및 용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335A KR100791807B1 (ko) 2007-06-20 2007-06-20 전방향 착탈식 손잡이 및 용기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1687U Division KR20070000036U (ko) 2006-12-12 2006-12-12 전방향 착탈식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1807B1 true KR100791807B1 (ko) 2008-01-07

Family

ID=39216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1335A KR100791807B1 (ko) 2007-06-20 2007-06-20 전방향 착탈식 손잡이 및 용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180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391B1 (ko) 2010-08-18 2013-03-19 김대영 용기와 착탈식 손잡이의 결합구조
KR20190002205U (ko) * 2018-02-23 2019-09-02 임성우 착탈형 손잡이가 구비된 냄비
KR20210002126U (ko) * 2020-03-17 2021-09-27 김장현 사용이 편리한 구이용 불판
KR20230143368A (ko) 2022-04-05 2023-10-12 박선정 조립식 용기손잡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8232U (ko) * 1995-02-10 1996-09-17 안부홍 주방용 조리용기의 손잡이구조
KR970000324U (ko) * 1995-06-30 1997-01-21 우병도 조리용기의 손잡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8232U (ko) * 1995-02-10 1996-09-17 안부홍 주방용 조리용기의 손잡이구조
KR970000324U (ko) * 1995-06-30 1997-01-21 우병도 조리용기의 손잡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391B1 (ko) 2010-08-18 2013-03-19 김대영 용기와 착탈식 손잡이의 결합구조
KR20190002205U (ko) * 2018-02-23 2019-09-02 임성우 착탈형 손잡이가 구비된 냄비
KR200491673Y1 (ko) * 2018-02-23 2020-05-18 임성우 착탈형 손잡이가 구비된 냄비
KR20210002126U (ko) * 2020-03-17 2021-09-27 김장현 사용이 편리한 구이용 불판
KR200495179Y1 (ko) * 2020-03-17 2022-03-23 김장현 사용이 편리한 구이용 불판
KR20230143368A (ko) 2022-04-05 2023-10-12 박선정 조립식 용기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79827B (zh) 烹饪容器的盖的支撑装置和烹饪容器的关闭组件
EP2976976B1 (en) Cookware including lid having handle with utensil rest
US10351299B2 (en) Nestable pot set
KR20130045201A (ko) 포개질 수 있는 조리기구 집합
KR100791807B1 (ko) 전방향 착탈식 손잡이 및 용기 구조
USD667258S1 (en) Cooking pot
US20120235003A1 (en) Lid Holder
USD621652S1 (en) Saucepan and lid
US9675197B2 (en) Steam cooker
CN209047928U (zh) 具有带有用于倒出烹饪液的集成开口的盖的烹饪器具
US20090158940A1 (en) Kitchen appliance for heating foodstuff
EP2750559B1 (en) Kettle
KR20070000036U (ko) 전방향 착탈식 손잡이
EP3213663B1 (en) Outdoor cookware lid comprising suction handle
JP6407424B2 (ja) 着脱式取っ手を備えた調理容器
KR101215046B1 (ko) 주방용 조리기구
KR101181512B1 (ko) 조리용기 뚜껑
KR101244391B1 (ko) 용기와 착탈식 손잡이의 결합구조
KR101181510B1 (ko) 조리용기 뚜껑
KR20150004092U (ko) 조리용 용기 뚜껑
CN209421679U (zh) 一种具有盖中盖结构的养生壶
CN205513809U (zh) 一种杯壶组合茶具
CN206525920U (zh) 煎烤盘与火锅一体多功能机
AU2008100963A4 (en) An Improved Drink and Plate Holder
CN203088708U (zh) 锅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