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5046B1 - 주방용 조리기구 - Google Patents

주방용 조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5046B1
KR101215046B1 KR1020120083910A KR20120083910A KR101215046B1 KR 101215046 B1 KR101215046 B1 KR 101215046B1 KR 1020120083910 A KR1020120083910 A KR 1020120083910A KR 20120083910 A KR20120083910 A KR 20120083910A KR 101215046 B1 KR101215046 B1 KR 101215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container holder
cooking
cooking vessel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3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기
Original Assignee
이철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기 filed Critical 이철기
Priority to KR1020120083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50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5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5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1Saucepan, frying-pan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용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불판과 보호벽체를 갖는 조리용기와, 상기 조리용기가 장착되도록 직경 크기가 가변되는 분리 구조로 되며 서로 착탈되도록 하는 착탈수단이 마련된 용기홀더와, 상기 용기홀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직경이 가변되는 단일 용기홀더에 대응하여 다양한 크기의 조리용기들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비용절감 및 이에 따른 제품 경쟁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조리용기와 용기홀더 및 손잡이가 모두 착탈 가능한 분리 구조로 구성하여 그 취급 및 보관이 용이하게 되면서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주방용 조리기구{Cooking apparatus for kitchen}
본 발명은 주방용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불판과 이 불판 테두리를 따라 상향 연장되는 보호벽체로 이루어진 조리용기와, 상기 조리용기의 보호벽체 외주면을 감싸 상기 조리용기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직경이 가변되는 용기홀더 및 상기 용기홀더의 걸고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를 마련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직경이 가변되는 단일 용기홀더에 대응하여 다양한 크기의 조리용기들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비용절감 및 이에 따른 제품 경쟁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조리용기와 용기홀더 및 손잡이가 모두 착탈 가능한 분리 구조로 구성하여 그 취급 및 보관이 용이하게 되면서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주방용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용 조리기구 중 후라이팬은 화염에 의해 가열되어 조리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 불판을 포함하는 조리용기가 마련되고 이 조리용기의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후라이팬은 조리용기 및 손잡이가 일체형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조리용기의 불판이 장시간 사용 후 표면의 코팅층이 벗겨지는 등 마모가 발생하게 되면 후라이팬 전체를 폐기시켜야 했기 때문에 비용부담의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비용부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 기술 중 조리용기가 별도로 분리 구성되고 이 조리용기를 지지하기 위한 링 형상의 용기홀더가 마련되는 조리용기 분리형 후라이팬이 제시되었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후라이팬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불판을 갖는 조리용기와, 상기 조리용기가 장착되는 링 형상의 용기홀더 및 상기 용기홀더의 일측면에 일체형으로 연결 고정되어 있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리용기와 용기홀더의 결합구조는 상기 조리용기의 상단 테두리에서 외측 하방으로 2단 절곡된 걸이부가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는 용기홀더의 상단부에 상기 걸이부가 삽입 걸리도록 하는 걸림홈부를 마련하여 상기 걸이부가 상기 걸림홈부에 삽입 걸리도록 하는 결합구조로 되어 있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조리용기의 장시간 사용 후 불판 표면의 코팅층이 벗겨지는 등 노후나 마모가 발생하게 되면 상기 조리용기 만을 별도로 폐기 처분하고 새로운 조리용기를 마련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의 후라이팬은 조리용기가 용기홀더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는 하나, 상기 용기홀더의 직경이 일정 크기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단일 조리용기만을 사용해야 하며 다른 직경 크기의 조리용기에는 그 적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용기홀더와 손잡이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그 보관 및 취급 등이 불편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불판과 이 불판 테두리를 따라 상향 연장되는 보호벽체로 이루어진 조리용기와, 상기 조리용기의 보호벽체 외주면을 감싸 상기 조리용기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직경이 가변되는 용기홀더 및 상기 용기홀더의 걸고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를 마련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직경이 가변되는 단일 용기홀더에 대응하여 다양한 크기의 조리용기들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비용절감 및 이에 따른 제품 경쟁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주방용 조리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조리용기와 용기홀더 및 손잡이가 모두 착탈 가능한 분리 구조로 구성하여 그 취급 및 보관이 용이하게 되면서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주방용 조리기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방용 조리기구는 화염에 의해 가열되는 불판과, 상기 불판 테두리를 따라 상향 연장되며 그 상단부 일측에 배치되어 용기홀더의 외측면과 자력 접착되는 자력접착부가 마련된 보호벽체를 갖는 조리용기;와 상기 조리용기의 보호벽체 외주면을 감싸 상기 조리용기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직경이 가변되도록 그 양단부가 분리 구조로 되며, 상기 각각의 단부에 서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게 되도록 하는 착탈수단이 마련되고, 그 중앙 외측부에 양단부가 상기 용기홀더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그 중앙부가 상기 용기홀더의 외측면에서 정해진 간격 이격되어 상하 관통되는 걸고리가 구비된 용기홀더; 및 상기 용기홀더의 걸고리에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걸쇠가 구비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주방용 조리기구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의 자력접착부는 일단부가 상기 보호벽체에 연결되고 그 중앙부에 절첩 가능한 주름부가 마련되며 그 타단부에 상기 용기홀더의 외측면에 자력 접착되도록 하는 접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보호벽체 상단부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가 마련되며, 상기 용기홀더의 착탈수단은 상기 용기홀더의 어느 일단부 내측면에 후크가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용기홀더의 다른 일단부 외측면에 상기 후크가 걸리도록 하는 복수의 후크걸이가 마련되며, 상기 손잡이의 걸쇠는 일단부가 상기 손잡이에 연결되고 그 타단부가 수평 연장되는 수평대와, 상기 수평대의 타단부에서 상향 절곡 연장되는 수직대 및 상기 수직대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걸고리의 중앙부 내측면을 따라 상승시 탄성적으로 밀려나 있다가 상기 걸고리의 상단부에 다다르면 탄성적으로 원상 복귀되어 상기 걸고리의 상단부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턱이 마련된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 일측부에 상기 걸고리 진입시 이 걸고리의 하단부와 맞닿아 상기 걸고리로 진입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주방용 조리기구는 불판과 이 불판 테두리를 따라 상향 연장되는 보호벽체로 이루어진 조리용기와, 상기 조리용기의 보호벽체 외주면을 감싸 상기 조리용기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직경이 가변되는 용기홀더 및 상기 용기홀더의 걸고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를 마련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직경이 가변되는 단일 용기홀더에 대응하여 다양한 크기의 조리용기들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비용절감 및 이에 따른 제품 경쟁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또한, 조리용기와 용기홀더 및 손잡이가 모두 착탈 가능한 분리 구조로 구성하여 그 취급 및 보관이 용이하게 되면서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조리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조리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조리기구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조리기구 중 용기홀더와 손잡이이 결합 구조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조리기구 중 용기홀더와 손잡이가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조리기구 중 용기홀더와 손잡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조리기구는 불판(11)과 보호벽체(12)를 갖는 조리용기(10)와, 상기 조리용기(10)가 장착되도록 직경 크기가 가변되는 분리 구조로 되며 서로 착탈되도록 하는 착탈수단이 마련된 용기홀더(20)와, 상기 용기홀더(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조리용기(10)는 화염에 의해 가열되는 편평한 원판 형상의 불판(11)과, 상기 불판(11) 테두리를 따라 상향 연장되며 그 상단부 일측에 배치되어 용기홀더(20)의 외측면과 자력 접착되는 자력접착부(13)가 마련된 보호벽체(12)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리용기(10)의 자력접착부(13)는 그 일단부가 상기 보호벽체(12)에 연결되고 그 중앙부에 절첩 가능한 주름부(13a)가 마련되며 그 타단부에 상기 용기홀더(20)의 외측면에 자력 접착되도록 하는 접착부(13b)가 구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자력접착부(13)는 상기 조리용기(10)의 보호벽체(12) 상단부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자력접착부(13)가 서로 마주 보는 직경 상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용기홀더(20)는 상기 조리용기(10)의 보호벽체(12) 외주면을 감싸 상기 조리용기(1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직경이 가변되도록 그 양단부가 분리 구조로 되고, 상기 각각의 단부에 서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게 되도록 하는 착탈수단이 마련되고, 그 중앙 외측부에 걸고리(21)가 구비된 길다란 띠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홀더(20)의 착탈수단은 상기 용기홀더(20)의 어느 일단부 내측면에 후크(22)가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용기홀더(20)의 다른 일단부 외측면에 상기 후크(22)가 걸리도록 하는 복수의 후크걸이(23)가 마련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30)는 상기 용기홀더(20)의 걸고리(21)에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걸쇠(31)가 구비된 길다란 봉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홀더(20)의 걸고리(21)는 그 양단부가 상기 용기홀더(20)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그 중앙부가 상기 용기홀더(20)의 외측면에서 정해진 간격 이격되어 상하 관통되는 구조로 되고, 상기 손잡이(30)의 걸쇠(31)는 그 일단부가 상기 손잡이(30)에 연결되고 그 타단부가 수평 연장되는 수평대(31a)와, 상기 수평대(31a)의 타단부에서 상향 절곡 연장되는 수직대(31b) 및 상기 수직대(31b)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걸고리(21)의 중앙부 내측면을 따라 상승시 탄성적으로 밀려나 있다가 상기 걸고리(21)의 상단부에 다다르면 탄성적으로 원상 복귀되어 상기 걸고리(21)의 상단부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턱(31c1)이 마련된 탄성부(31c)를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걸쇠(31)의 걸고리(21) 진입시 이 걸고리(21)의 하단부와 맞닿는 탄성부(31c)의 일측부에 상기 걸고리(21)로 진입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 경사면(31c2)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주방용 조리기구의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해당 조리용기(10)의 직경 크기에 맞게 용기홀더(20)의 직경 크기를 조절하여 링 형상이 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용기홀더(20)의 직경 크기 조절은 그 일단부 내측면의 후크(22)를 그 타단부 외측면의 해당되는 후크걸이(23)에 걸어 그 직경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러고 나서, 상기 조리용기(10)를 상기 용기홀더(20)의 중앙 관통부로 삽입시킨 후 그 자력접착부(13)를 상기 용기홀더(20)의 외주면에 접착시켜 상기 조리용기(10)가 용기홀더(20)에 자력 접착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자력접착부(13)는 그 중앙의 주름부(13a)를 중심으로 해서 그 단부의 접착부(13b)가 하방으로 꺾이면서 상기 용기홀더(20)의 외주면에 접착되게 된다.
이렇게 용기홀더(20)에 조리용기(10)를 조립하고 난 후, 상기 손잡이(30)를 상기 용기홀더(20)에 조립한다.
이때, 상기 손잡이(30)는 그 탄성부(31c)가 상기 용기홀더(20)의 걸고리(21) 하방에서 상방으로 진입되도록 하여 들어 올리면 상기 탄성부(31c)가 상기 걸고리(21)의 내측면에 의해 후방으로 탄성적으로 밀린 상태에서 상승되다가 상기 걸고리(21)의 상단부에 다다르면 상기 후방으로 밀려 있던 상기 탄성부(31c)가 원상 복귀되면서 그 걸림턱(31c1)이 상기 걸고리(21)의 상단부에 걸리게 되면서 손잡이(30)이 조립이 완성된다.
이렇게 조립이 완성된 본 발명의 조리기구를 이용하여 조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되고, 조리 후 다시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조립 순서와 반대로 하여 손잡이(30)를 상기 용기홀더(20)에서 분리하고, 상기 조리용기(10)를 용기홀더(20)에서 분리하며 최종적으로 용기홀더(20)의 후크(22)를 후크걸이(23)에서 분리하여 본 발명의 조리기구의 해체가 완료된다.
이렇게 해체된 상태로 각각의 조리기구의 구성품들을 분리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주방용 조리기구는 불판과 이 불판 테두리를 따라 상향 연장되는 보호벽체로 이루어진 조리용기와, 상기 조리용기의 보호벽체 외주면을 감싸 상기 조리용기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직경이 가변되는 용기홀더 및 상기 용기홀더의 걸고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를 마련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직경이 가변되는 단일 용기홀더에 대응하여 다양한 크기의 조리용기들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비용절감 및 이에 따른 제품 경쟁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조리용기와 용기홀더 및 손잡이가 모두 착탈 가능한 분리 구조로 구성하여 그 취급 및 보관이 용이하게 되면서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를 종래의 공지 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변형예는 물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0 : 조리용기 11 : 불판
12 : 보호체 13 : 자력접착부
13a : 주름부 13b : 접착부
20 : 용기홀더 21 : 걸고리
22 : 후크 23 : 후크걸이
30 : 손잡이 31 : 걸쇠
31a : 수평대 31b : 수직대
31c : 탄성부 31c1 : 걸림턱
31c2 : 경사면

Claims (1)

  1. 화염에 의해 가열되는 불판(11)과, 상기 불판(11) 테두리를 따라 상향 연장되며 그 상단부 일측에 배치되어 용기홀더(20)의 외측면과 자력 접착되는 자력접착부(13)가 마련된 보호벽체(12)를 갖는 조리용기(10);
    상기 조리용기(10)의 보호벽체(12) 외주면을 감싸 상기 조리용기(1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직경이 가변되도록 그 양단부가 분리 구조로 되며, 상기 각각의 단부에 서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게 되도록 하는 착탈수단이 마련되고, 그 중앙 외측부에 양단부가 상기 용기홀더(20)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그 중앙부가 상기 용기홀더(20)의 외측면에서 정해진 간격 이격되어 상하 관통되는 걸고리(21)가 구비된 용기홀더(20); 및
    상기 용기홀더(20)의 걸고리(21)에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걸쇠(31)가 구비된 손잡이(30);를 포함하는 주방용 조리기구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10)의 자력접착부(13)는
    일단부가 상기 보호벽체(12)에 연결되고 그 중앙부에 절첩 가능한 주름부(13a)가 마련되며 그 타단부에 상기 용기홀더(20)의 외측면에 자력 접착되도록 하는 접착부(13b)가 구비되고, 상기 보호벽체 상단부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가 마련되며,
    상기 용기홀더(20)의 착탈수단은
    상기 용기홀더(20)의 어느 일단부 내측면에 후크(22)가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용기홀더(20)의 다른 일단부 외측면에 상기 후크(22)가 걸리도록 하는 복수의 후크걸이(23)가 마련되며,
    상기 손잡이(30)의 걸쇠(31)는
    일단부가 상기 손잡이(30)에 연결되고 그 타단부가 수평 연장되는 수평대(31a)와, 상기 수평대(31a)의 타단부에서 상향 절곡 연장되는 수직대(31b) 및 상기 수직대(31b)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걸고리(21)의 중앙부 내측면을 따라 상승시 탄성적으로 밀려나 있다가 상기 걸고리(21)의 상단부에 다다르면 탄성적으로 원상 복귀되어 상기 걸고리(21)의 상단부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턱(31c1)이 마련된 탄성부(31c)와, 상기 탄성부 일측부에 상기 걸고리(21) 진입시 이 걸고리(21)의 하단부와 맞닿아 상기 걸고리(21)로 진입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 경사면(31c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조리기구.
KR1020120083910A 2012-07-31 2012-07-31 주방용 조리기구 KR101215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910A KR101215046B1 (ko) 2012-07-31 2012-07-31 주방용 조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910A KR101215046B1 (ko) 2012-07-31 2012-07-31 주방용 조리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5046B1 true KR101215046B1 (ko) 2012-12-24

Family

ID=47908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910A KR101215046B1 (ko) 2012-07-31 2012-07-31 주방용 조리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50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190B1 (ko) 2014-12-19 2016-01-13 주식회사 포켓드림 착탈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KR101600412B1 (ko) * 2014-12-23 2016-03-07 주식회사 해피콜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및 조리용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4328Y1 (ko) 1996-10-23 1999-06-15 김재옥 부착 및 이탈이 되는 솥과 냄비의 손잡이
KR200320441Y1 (ko) 2003-04-07 2003-07-23 정찬홍 착탈식 프라이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4328Y1 (ko) 1996-10-23 1999-06-15 김재옥 부착 및 이탈이 되는 솥과 냄비의 손잡이
KR200320441Y1 (ko) 2003-04-07 2003-07-23 정찬홍 착탈식 프라이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190B1 (ko) 2014-12-19 2016-01-13 주식회사 포켓드림 착탈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WO2016099054A1 (ko) * 2014-12-19 2016-06-23 주식회사 포켓드림 착탈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KR101600412B1 (ko) * 2014-12-23 2016-03-07 주식회사 해피콜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및 조리용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5046B1 (ko) 주방용 조리기구
CN211299460U (zh) 一种可放置锅铲的平底锅
US20140008315A1 (en) Holder for cookware and cooking utensils
KR101452153B1 (ko) 주방용 조리기구
JP2011161183A (ja) 鍋の蓋置き台
US20140209084A1 (en) Camp Fire Set
KR101276510B1 (ko) 주방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20070000036U (ko) 전방향 착탈식 손잡이
JP2018057777A (ja) 把手用調理小物置き
WO2006081526A3 (en) Utensil support
CN210267385U (zh) 一种应用于光波炉或空气炸锅的机头
KR101583059B1 (ko) 냄비받침대
KR102191555B1 (ko) 착탈식 손잡이를 갖는 조리기구
JP2018130452A (ja) 調理器具用取手カバー
KR101413463B1 (ko) 교체형 조리기구
CN213963090U (zh) 一种炸篮手柄
CN219088945U (zh) 炒菜用的锅具
CN210169723U (zh) 一种可快速拆卸手柄和附耳的锅具
JP3170830U (ja) 鍋蓋支持具を備えた鍋蓋
CN219962696U (zh) 置放架和烹饪套件
CN213248573U (zh) 炸篮和烹饪器具
KR200425597Y1 (ko) 더치오븐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캠핑용 삼각대
KR200407943Y1 (ko) 조리용기 뚜껑용 자석꼭지
KR200481845Y1 (ko) 주방용 수납기구
KR20220075708A (ko) 가정용 튀김기의 보조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