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673Y1 - 착탈형 손잡이가 구비된 냄비 - Google Patents

착탈형 손잡이가 구비된 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673Y1
KR200491673Y1 KR2020180000836U KR20180000836U KR200491673Y1 KR 200491673 Y1 KR200491673 Y1 KR 200491673Y1 KR 2020180000836 U KR2020180000836 U KR 2020180000836U KR 20180000836 U KR20180000836 U KR 20180000836U KR 200491673 Y1 KR200491673 Y1 KR 2004916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handle
pot body
detachable handle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8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205U (ko
Inventor
임성우
Original Assignee
임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우 filed Critical 임성우
Priority to KR20201800008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673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2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2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6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6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47J27/58Cooking utensils with channels or covers collecting overflow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5Vessels with non-stick features, e.g. coat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착탈형 손잡이가 구비된 냄비에 관한 것으로서, 손잡이를 평상시에는 뚜껑에 부착. 거치시켜 보관함으로서 냄비본체의 가열과정에서의 열전도가 방지되고, 필요에 따라서 착탈손잡이를 냄비본체에 걸어서 사용이 이루어짐으로서 보다 안전하고 용이한 사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냄비는, 음식물 조리가 가능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상을 이루는 냄비본체(10)와; 상기 냄비본체(10)의 상부에 안착 가능한 뚜껑(20)과; 상기 냄비본체(10)의 테두리부(11)에 걸림작용이 가능하도록 일단부에 고리부(31)가 형성된 착탈손잡이(30)와; 상기 뚜껑(20)에 고정 설치되되, 착탈손잡이(30)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거치돌부(41)가 양측에 돌출 구비된 고정브라켓(40);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착탈형 손잡이가 구비된 냄비{POT STRUCTURE HAVING ATTACHABLE HANDLE}
본 고안은 냄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의 가열조리를 위해 사용되는 냄비의 손잡이를 착탈식으로 개선하여 이용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착탈형 손잡이가 구비된 냄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냄비는 주방용 조리기구의 하나로서,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수용부를 가지는 냄비본체와, 상기 냄비본체를 덮을 수 있는 뚜껑으로 크게 이루어져 있으며, 냄비본체의 외측면에는 통상적으로 손잡이가 설치되어 조리과정이나 혹은 조리 후에 냄비를 이동시켜야 할 때 유용하게 사용되어 진다.
즉,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종래 냄비는 언급한 바와 같이 음식물을 조리하기에 더 없이 유용한 고안임에는 분명하나, 냄비에 돌출되어 있는 손잡이로 인한 부피증가로 보관의 어려움을 야기시켰으며, 또한 조리를 위해 2개이상의 냄비를 동시에 사용할 경우에는 손잡이 상호간에 간섭이 발생함으로서 조리과정에도 많은 번거로움을 야기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0138062 호(명칭: 냄비용 손잡이의 절첩 구조)(이하 '선행기술'이라 함)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냄비본체에 부착되어 있는 브라켓에 손잡이의 지지대가 힌지 체결되게 구성하여 접철시, 상기 손잡이가 힌지를 중심으로 위로 회동하며 접철될 수 있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하지만 상기한 선행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예상된다.
우선, 접철시에는 손잡이가 위로 회동하여 냄비본체의 상면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손잡이의 간섭으로 뚜껑을 닫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단점은 냄비본체내의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어 음식물을 오염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져왔다.
또한, 상기와 같이 손잡이가 접철시 냄비본체의 상면에 위치하게 되면 조리과정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손잡이에 직접 전해지게 됨으로서 차후, 냄비의 운반과정에서 데워진 손잡이로 인한 화상의 위험성까지 내포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손잡이의 착탈 사용이 가능한 구조를 제안함으로서 사용 과정에서 화상의 위험을 방지함과 함께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냄비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의 냄비는, 음식물 조리가 가능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상을 이루는 냄비본체와; 상기 냄비본체의 상부에 안착 가능한 뚜껑과; 상기 냄비본체의 테두리부에 걸림작용이 가능하도록 일단부에 고리부가 형성된 착탈손잡이와; 상기 뚜껑에 고정 설치되되, 착탈손잡이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거치돌부가 양측에 돌출 구비된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냄비는, 착탈이 가능한 착탈손잡이를 평상시에는 뚜껑에 부착. 거치시켜 보관함으로서 냄비본체의 가열과정에서의 열전도가 방지되고, 이동시에는 착탈손잡이를 냄비본체에 걸어서 사용이 이루어짐으로서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사용 과정에서는 착탈손잡이를 수직방향으로 세워서 사용이 이루어짐으로서 보다 용이하게 냄비를 들어올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냄비본체의 내벽면에는 가이드엠보싱이 상부측을 따라 돌출 구비됨으로서 가열 조리과정에서 음식물 및 거품이 넘치는 현상이 방지되는 이점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냄비의 분리상태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서의 냄비본체 단면 구조도.
도 3은 본 고안 냄비본체의 저면 구조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냄비뚜껑 평면 구조도.
도 5는 도 4의 A-A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서 착탈 손잡이 평면도 및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에서 냄비뚜껑에 착탈손잡이가 결합된 상태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 냄비본체에서 음식물 가열시 상태도.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 냄비본체에 착탈손잡이가 결합된 상태도.
도 11은 본 고안 냄비에 착탈손잡이가 거치된 상태도.
도 12는 본 고안 냄비를 착탈손잡이를 이용하여 이동시키는 상태도.
도 1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브라켓의 요부 확대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착탈형 손잡이가 구비된 냄비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7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서의 냄비는, 음식물 조리가 가능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상을 이루는 냄비본체(10)와, 냄비본체(10)의 상부 개폐를 위해 안착이 가능한 뚜껑(20)으로 구성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냄비본체(10)의 테두리부(11)에 걸림작용이 가능하도록 일단부에 고리부(31)가 형성된 착탈손잡이(30)와, 상기 뚜껑(20)에 고정 설치되되, 착탈손잡이(30)가 중간에 끼워져 거치가 가능하도록 착탈손잡이(30)의 양측과 접촉하는 고무 또는 우레탄 등과 같은 탄성재질의 거치돌부(41)가 양측에 돌출 구비된 고정브라켓(40)이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착탈손잡이(30)에는 냄비의 이동시 뚜껑(20)이 냄비본체(10)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돌부(32)가 중단부에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착탈손잡이(3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7에서와 같이 뚜껑(20)의 상면 양측고정브라켓(40)에 착탈손잡이(30)를 거치시키게 되면, 거치돌부(41)에 의해 착탈손잡이(30)가 지지되어짐으로서 이탈이 방지되고 안정적인 거치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냄비본체(10)의 내벽면에는 음식물의 넘침 방지를 위한 가이드엠보싱(12)이 상부측에 돌출 형성되고, 테두리부(11)에는 착탈손잡이(3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 돌기(11a)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고안 냄비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에서는 냄비본체(10)의 상단측 내주면에 가이드 엠보싱(12)이 돌출 형성되어져 있기 때문에 도 8에서와 같이 가장자리에서 끓어 오르는 거품 및 음식물을 안쪽으로 가이드해주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서, 가열 조리과정에서 음식물 또는 거품이 냄비 외측으로 흘러넘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음식물의 가열 조리가 이루어진 고온상태의 냄비본체(10)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착탈손잡이(30)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착탈손잡이(30)의 고리부(31)를 냄비본체(10)의 테두리부(11)에 걸어주게 되면 착탈손잡이(30)를 수직방향으로 세운 상태에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이때 테두리부(11)에는 착탈손잡이(3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 돌기(11a)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 구비됨으로서, 착탈손잡이(30)의 안정적인 걸림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가열 조리과정에서 착탈손잡이(30)는 분리된 상태를 이룸으로서 열전달이 방지되어 이동과정에서 화상의 위험이 방지되며, 위에서 들어올리는 형태를 이룸으로서 무게중심이 아래에 있어 음식물이 담겨진 냄비본체(10)를 쉽게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또한, 뚜껑(20)과 함께 냄비본체(10)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착탈손잡이(30)를 고정브라켓(40)을 경유하여 수직방향으로 세우게 되면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끝단 고리부(31)가 냄비본체(10)의 테두리부(11)에 걸려짐과 함께 착탈손잡이(30)의 중단부는 고정브라켓(40)에 지지되어짐으로서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이루게 된다.
특히, 이때에는 착탈손잡이(30)에 형성된 가이드 돌부(32)가 뚜껑(20)이 일정 높이 이상 유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냄비본체(10)에 담겨진 음식물이 쏟아지거나 외부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냄비는 착탈이 가능한 착탈손잡이(30)를 평상시에는 뚜껑(20)에 부착. 거치시켜 보관함으로서 냄비본체(10)의 가열과정에서의 열전도가 방지되고, 이동시에는 착탈손잡이(30)를 냄비본체(10)에 걸어서 사용이 이루어짐으로서 보다 안전하고 용이한 사용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거치돌부(41)에는 탄성력 증대를 위해 내부가 빈 중공체(41a)가 다수개 구비되되, 상기 중공체(41a)는 젤라틴, 실리콘수지의 혼합 조성을 이루며, 상기 거치돌부(41) 표면에는 유리섬유층(42) 및 윤활 재질의 테프론층(43)이 적층 형태로 코팅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탄력성이 우수한 젤라틴 및 실리콘수지 재질로 성형 제작된 중공체(41a)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거치돌부(41)의 탄성이 강화되어 착탈손잡이(30)가 더욱 안정적인 거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거치돌부(41)에는 내구성 강화를 위한 유리섬유층(42) 및 착탈손잡이(30)와의 마찰력 감소를 위한 윤활재질의 테프론층(43)이 각각 적층 코팅이 이루어짐으로서, 착탈손잡이(30)의 착탈과정에서 마찰에 따른 거치돌부(41)의 파손 내지는 변형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냄비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냄비본체 11 : 테두리부
11a: 미끄럼방지돌기 12 : 가이드 엠보싱
20 : 뚜껑 30 : 착탈손잡이
31 : 고리부 32 : 가이드 돌부
40 : 고정브라켓 41 : 거치돌부

Claims (4)

  1. 음식물 조리가 가능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상을 이루는 냄비본체(10)와; 상기 냄비본체(10)의 상부에 안착 가능한 뚜껑(20)과; 상기 냄비본체(10)의 테두리부(11)에 걸림작용이 가능하도록 일단부에 고리부(31)가 형성된 착탈손잡이(30)를 포함한 착탈형 손잡이가 구비된 냄비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에 고정 설치되되, 착탈손잡이(30)가 중간에 끼워져 거치가 가능하도록 상기 착탈손잡이 양측과 접촉되는 탄성재질의 거치돌부(41)가 양측에 돌출 구비된 고정브라켓(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착탈손잡이(30)에는 냄비의 이동시 뚜껑(20)이 냄비본체(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돌부(32)가 중단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거치돌부(41)에는 탄성력 증대를 위해 내부가 빈 다수의 중공체(41a)가 구비되되, 상기 중공체(41a)는 젤라틴, 실리콘수지의 혼합 조성을 이루며, 상기 거치돌부(41) 표면에는 유리섬유층(42) 및 윤활 재질의 테프론층(43)이 적층 형태로 코팅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손잡이가 구비된 냄비.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80000836U 2018-02-23 2018-02-23 착탈형 손잡이가 구비된 냄비 KR2004916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836U KR200491673Y1 (ko) 2018-02-23 2018-02-23 착탈형 손잡이가 구비된 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836U KR200491673Y1 (ko) 2018-02-23 2018-02-23 착탈형 손잡이가 구비된 냄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205U KR20190002205U (ko) 2019-09-02
KR200491673Y1 true KR200491673Y1 (ko) 2020-05-18

Family

ID=67903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836U KR200491673Y1 (ko) 2018-02-23 2018-02-23 착탈형 손잡이가 구비된 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673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161Y1 (ko) * 2004-03-05 2004-06-04 최진수 넘침 방지용 냄비
KR100791807B1 (ko) * 2007-06-20 2008-01-07 김대영 전방향 착탈식 손잡이 및 용기 구조
KR101090515B1 (ko) * 2009-12-07 2011-12-08 이기정 압력밥솥
JP2017051530A (ja) * 2015-09-11 2017-03-16 三菱電機株式会社 蓋、及びその蓋が用いられる内釜を有する炊飯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161Y1 (ko) * 2004-03-05 2004-06-04 최진수 넘침 방지용 냄비
KR100791807B1 (ko) * 2007-06-20 2008-01-07 김대영 전방향 착탈식 손잡이 및 용기 구조
KR101090515B1 (ko) * 2009-12-07 2011-12-08 이기정 압력밥솥
JP2017051530A (ja) * 2015-09-11 2017-03-16 三菱電機株式会社 蓋、及びその蓋が用いられる内釜を有する炊飯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205U (ko) 201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5945B1 (en) Food serving and pan system
US11026527B2 (en) Collapsible cup
US6557720B2 (en) Food pan configured for nested stacking
US6568534B2 (en) Covered pan system
RU2608275C1 (ru) Кухонная посуда, включающая в себя крышку, имеющую ручку с опорой для кухонной принадлежности
US7173225B2 (en) Induction heating pan
US6807899B2 (en) Electric cooking appliance having a tank associated with a pouring device
JP3184147U (ja) ふた下敷手段を具備した料理用鍋
KR102247687B1 (ko) 음식 수용부의 뚜껑의 지지 장치 및 폐쇄 조립체
US20090158940A1 (en) Kitchen appliance for heating foodstuff
KR200491673Y1 (ko) 착탈형 손잡이가 구비된 냄비
US8353423B2 (en) Cookware system for increased safety
US2536246A (en) Meat frying cover and removable handle
US1622850A (en) Combined sink stopple and soap dish
KR200472073Y1 (ko)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
CA3109293A1 (en) Cookware set with lid support
US2822747A (en) Skillet
JPH0423451Y2 (ko)
KR200478961Y1 (ko) 다중구조냄비
CA2822667A1 (en) Retaining collar for liner-containing vessel
KR20150004092U (ko) 조리용 용기 뚜껑
US11534025B2 (en) Convertible multipurpose cooking mat
CN218500523U (zh) 烹饪器具的上盖组件及烹饪器具
JP3242685U (ja) 調理容器の蓋
KR200491879Y1 (ko) 조리용기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4968;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496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1210

Effective date: 2020031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