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092U - 조리용 용기 뚜껑 - Google Patents

조리용 용기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092U
KR20150004092U KR2020140003476U KR20140003476U KR20150004092U KR 20150004092 U KR20150004092 U KR 20150004092U KR 2020140003476 U KR2020140003476 U KR 2020140003476U KR 20140003476 U KR20140003476 U KR 20140003476U KR 20150004092 U KR20150004092 U KR 2015000409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cooking
convex portion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4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 근 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영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영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영하이텍
Priority to KR20201400034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4092U/ko
Publication of KR201500040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09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12Devices for holding lids in open position on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의 상부를 덮는 뚜껑을 별도의 거치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조리시 용기의 테두리에 편리하게 직접 걸쳐놓을 수 있도록 한 조리용 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손잡이(11)를 구비하여 용기(20)의 상부를 덮는 뚜껑(10)에 있어서, 상기 뚜껑(10)의 저면 중앙부에 볼록부(12)를 형성하여 뚜껑(10)의 볼록부(12)가 용기(20)의 테두리 내측에 걸쳐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리용 용기 뚜껑{A lid of vessel for cooking}
본 고안은 조리용 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용기의 상부를 덮는 뚜껑을 별도의 거치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조리시 용기의 테두리에 편리하게 직접 걸쳐놓을 수 있도록 한 조리용 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이나 찌개 등을 끊이거나 또는 냉면, 국수와 같은 면류 등을 삶기 위해서는 냄비 또는 코펠 등과 같은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부를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한 뚜껑으로 이루어진 조리용 용기를 사용하여 왔던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와 같은 뚜껑의 상면 중앙부에는 조리시 음식물의 맛을 보거나 내용물을 추가할 경우 또는 국물이 넘치는 경우 뚜껑을 안전하게 열 수 있도록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조리용 용기 뚜껑은 단순히 용기의 상부를 완전히 커버할 뿐 음식물의 맛을 보거나 내용물을 추가할 경우 또는 국물이 넘치는 경우 뚜껑을 용기에서 이탈시키게 되는데, 이 경우 뚜껑을 보관시킬 수 있는 수단이 없어 뚜껑을 용기의 주위에 내려놓게 되므로 장소를 많이 차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주변을 지저분하게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고, 특히 야외에서는 음식물 조리시 뚜껑을 맨땅에 놓게 되므로 뚜껑에 이물질이 묻게 되는 매우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50556호와 등록실용신안 제20-0417460호에는 용기의 손잡이에 뚜껑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부설하여 조리시 뚜껑을 수직상태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한 뚜껑 거치대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용기의 손잡이에 뚜껑 거치대를 별도로 설치하였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여 비경제적으로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이로 인해 상품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등록실용신안 제20-0350556호(2004.05.04) 특허문헌 2 : 등록실용신안 제20-0417460호(2006.05.22)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음식물의 맛을 보거나 내용물을 추가할 경우 또는 국물이 넘치는 경우 용기의 상부를 덮는 뚜껑을 용기의 테두리에 편리하게 직접 걸쳐놓을 수 있도록 한 조리용 용기 뚜껑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실내 및 실외에서 음식물 조리시 뚜껑을 바닥에 내려놓지 않고 용기에 편리하게 거치시켜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조리용 용기 뚜껑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거치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뚜껑을 용기에 용이하게 거치하여 경제적으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조리용 용기 뚜껑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음식물 조리도중 뚜껑을 보다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취급 및 관리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상품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조리용 용기 뚜껑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손잡이를 구비하여 용기의 상부를 덮는 뚜껑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저면 중앙부에 볼록부를 형성하되, 상기 뚜껑의 볼록부를 용기의 테두리 내측에 걸쳐놓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볼록부의 외측에는 수평부를 형성하여 볼록부와 수평부 사이에 걸림부가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수평부의 외측에는 하부로 돌출되는 요입부를 형성하며, 상기 요입부의 상부 외측에는 플랜지을 형성하고, 상기 요입부에는 다수의 통공을 천공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볼록부의 지름과 수평부의 반지름은 서로 동일하게 같도록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뚜껑은 중심부에 손잡이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 외주면의 볼록부와 수평부가 만나는 위치에 걸림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평부와 요입부 사이에 요입부측으로 절곡된 경사면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뚜껑의 플랜지는 수평부보다 낮고 경사면의 하단선과 동일한 선상의 높이로 형성한 것이다.
본 고안의 조리용 용기 뚜껑에 따르면, 용기의 상부를 덮는 뚜껑의 저면 중앙부에 볼록부를 형성하여 음식물의 맛을 보거나 내용물을 추가할 경우 또는 국물이 넘치는 경우 뚜껑의 볼록부를 용기의 테두리 내측에 편리하게 걸쳐놓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조리용 용기 뚜껑에 따르면, 실내 및 실외에서 음식물 조리시 뚜껑을 바닥에 내려놓지 않고 용기에 편리하게 거치시켜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조리용 용기 뚜껑에 따르면, 종래와 달리 별도의 거치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뚜껑을 용기에 용이하게 거치하여 경제적으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음식물 조리도중 뚜껑을 보다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취급 및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뚜껑을 용기에 걸쳐 놓은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조리용 용기 뚜껑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면 중앙 손잡이(11)를 구비하여 용기(20)의 상부를 덮는 뚜껑(10)에 있어서, 상기 뚜껑(10)의 저면 중앙부에 볼록부(12)를 형성하여 뚜껑(10)의 볼록부(12)가 용기(20)의 테두리 내측에 걸쳐지도록 구성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고안의 뚜껑(10)은 별도의 거치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용기(20)에 편리하게 걸쳐놓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러한 뚜껑(10)은 용기(2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뚜껑(10)의 상부 중앙에는 뚜껑(10)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11)가 볼트(11a)체결로 고정되며, 뚜껑(10)의 저면 중앙부에는 용기(20)의 테두리 내측에 걸쳐지는 볼록부(1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뚜껑(10)은 인체에 무해한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11)는 인체에 해가 없고 열전달이 작은 실리콘이나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볼록부(12)는 뚜껑(10)의 저면 중앙부에 동심원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볼록부(11)는 하부로 볼록하게 요입되는 형상으로 돌출되고, 이와 같이 돌출된 볼록부(12)는 그 일측이 도 4,5에서와 같이 용기(20)의 테두리 내측에 걸쳐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볼록부(12)의 일측을 도 4,5에서와 같이 용기(20)의 테두리 내측에 걸쳐놓으면, 뚜껑(10)의 무게 중심에 의해 볼록부(12)는 일측으로 약간 기울어지면서 걸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뚜껑(10)은 용기(20)의 외측으로 넘어가지 않고 용기(20)에 걸쳐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볼록부(12)의 외측에는 수평부(13)가 구비되어 볼록부(12)와 수평부(13) 사이에는 걸림부(14)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13)의 외측에는 하부로 돌출되는 요입부(15)가 형성되며, 상기 요입부(15)의 상부 외측에는 플랜지(16)가 형성되고, 상기 요입부(15)에는 다수의 통공(15a)이 천공된다.
상기 수평부(13)는 볼록부(12)의 외측에 동심원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수평부(13)와 볼록부(12) 사이에는 동심원상으로 걸림부(1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볼록부(12)는 걸림부(14)에 의해 용기(20)의 테두리 내측으로 걸쳐지게 된다.
상기 요입부(15)는 수평부(13)의 외측에 동심원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요입부(15)는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일측에는 조리시 용기(20)의 내부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다수의 통공(15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요입부(15)는 용기(20)에 뚜껑(10)을 덮을 때 용기(20)의 테두리 내측으로 끼워진다.
상기 플랜지(16)는 요입부(15)의 상부 외측에 동심원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플랜지(16)는 용기(20)에 뚜껑(10)을 덮을 때 용기(20)의 테두리에 얹혀진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르면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볼록부(12)의 지름(A)은 수평부(13)의 반지름(B)과 같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볼록부(12)의 지름(A)을 수평부(13)의 반지름(B)과 같게 형성하면 뚜껑(10)의 거치시 무게 중심에 따른 안정감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뚜껑(10)은 중심부에 손잡이(11)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11) 외주면의 볼록부(12)와 수평부(13)가 만나는 위치에 걸림부(14)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13)와 요입부(15) 사이에 요입부(15)측으로 절곡된 경사면(13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경사면(13a)을 형성하면 뚜껑(10)의 거치시 무게 중심에 따른 안정감을 유지하도록 뚜껑(10)이 손잡이(11)를 중심으로 기울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뚜껑(10)의 플랜지(16)는 수평부(13)보다 낮고 경사면(13a)의 하단선(13a')과 동일한 선상의 높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뚜껑(10)을 도 4와 도 5에서와 같이 용기(20)의 테두리에 걸쳐놓으면, 도 5에서와 같이 볼록부(12)의 "C"부위가 용기(20)의 테두리 내측에 걸리게 되고,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요입부(15)의 "D"부위와 "E"부위가 용기(20)의 테두리 상부에 각각 얹혀지게 되며, 이에 의해 뚜껑(10)의 무게 중심이 삼각을 이루는 "C"부위와 "D"부위 및 "E"부위에 작용하기 때문에, 즉 뚜껑(10)의 무게 중심이 중심선(F)에서 용기(20)측으로 편심된 "D"부위와 "E"부위에 작용하기 때문에, 뚜껑(10)은 용기(20)의 외측으로 떨어지지 않고 용기(20)에 걸쳐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용기(20)의 상부를 덮는 뚜껑(10)의 저면 중앙부에 볼록부(12)를 형성하여 음식물의 맛을 보거나 내용물을 추가할 경우 또는 국물이 넘치는 경우 뚜껑(10)의 볼록부(12)를 용기(20)의 테두리 내측에 편리하게 걸쳐놓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고안은 실내 및 실외에서 음식물 조리시 뚜껑(10)을 바닥에 내려놓지 않고 용기(20)의 테두리에 편리하게 거치시켜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본 고안은 종래와 달리 별도의 거치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뚜껑(10)에 볼록부(12)를 형성하여 용기(20)에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여 경제적으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러한 본 고안은 음식물 조리도중 뚜껑(20)을 보다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취급 및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 뚜껑 11 : 손잡이
12 : 볼록부 13 : 수평부
13a : 경사면 13a' : 하단선
14 : 걸림부 15 : 요입부
15a : 통공 16 : 플랜지
20 : 용기

Claims (5)

  1. 손잡이(11)를 구비하여 용기(20)의 상부를 덮는 뚜껑(10)에 있어서, 상기 뚜껑(10)의 저면 중앙부에 볼록부(12)를 형성하여 뚜껑(10)의 볼록부(12)가 용기(20)의 테두리 내측에 걸쳐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용기 뚜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10)의 볼록부(12) 외측에는 수평부(13)가 구비되어 볼록부(12)와 수평부(13) 사이에는 걸림부(14)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13)의 외측에는 하부로 돌출되는 요입부(15)가 형성되며, 상기 요입부(15)의 상부 외측에는 플랜지(16)가 형성되고, 상기 요입부(15)에는 다수의 통공(15a)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용기 뚜껑.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12)의 지름(A)은 수평부(13)의 반지름(B)과 같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용기 뚜껑.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10)은 중심부에 손잡이(11)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11) 외주면의 볼록부(12)와 수평부(13)가 만나는 위치에 걸림부(14)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13)와 요입부(15) 사이에 요입부(15)측으로 절곡된 경사면(13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용기 뚜껑.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10)의 플랜지(16)는 수평부(13)보다 낮고 경사면(13a)의 하단선(13a')과 동일한 선상의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용기 뚜껑.
KR2020140003476U 2014-04-30 2014-04-30 조리용 용기 뚜껑 KR2015000409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476U KR20150004092U (ko) 2014-04-30 2014-04-30 조리용 용기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476U KR20150004092U (ko) 2014-04-30 2014-04-30 조리용 용기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092U true KR20150004092U (ko) 2015-11-09

Family

ID=54704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476U KR20150004092U (ko) 2014-04-30 2014-04-30 조리용 용기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409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2642A (ko) 2018-01-02 2019-07-10 오병규 조리용기 뚜껑 거치대
KR200491879Y1 (ko) * 2018-12-20 2020-06-24 양원준 조리용기 뚜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2642A (ko) 2018-01-02 2019-07-10 오병규 조리용기 뚜껑 거치대
KR200491879Y1 (ko) * 2018-12-20 2020-06-24 양원준 조리용기 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100774A4 (en) Multifunctional Cookware
KR102011190B1 (ko) 주방기구 배치부를 갖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조리기구
KR101404429B1 (ko) 포개질 수 있는 조리기구 집합
US20100193523A1 (en) Lid holder for a slow cooker appliance
CA2776091C (en) Pan with handles
US20120273384A1 (en) Food and beverage tray
US20140224810A1 (en) Multi-Functional Flat Lid
US20090095754A1 (en) Stackable cover for container
JP2017515625A5 (ko)
KR20220034228A (ko) 조리기구 어셈블리
US8695844B1 (en) Lid holding handle
JP3194420U (ja) 多機能調理器
KR20150004092U (ko) 조리용 용기 뚜껑
HUT72176A (en) Stapel-topfset
US2294657A (en) Serving dish
USD1011882S1 (en) Beverage cup lid having a condiment container receptacle set
KR101458281B1 (ko) 건지개가 부설된 냄비
US20180055273A1 (en) Teapot
JP3173069U (ja) 調理用容器
KR200452997Y1 (ko) 오목부가 구비된 프라이팬
KR200488900Y1 (ko) 전자레인지용 용기
KR200383579Y1 (ko) 스테인레스 주방용 그릇
CN203693264U (zh) 一种多功能迷你电饭锅
CN204105617U (zh) 一种餐杯及其餐饮杯
KR200457983Y1 (ko) 음식물용 수용부가 구비된 냄비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