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983Y1 - 음식물용 수용부가 구비된 냄비뚜껑 - Google Patents

음식물용 수용부가 구비된 냄비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983Y1
KR200457983Y1 KR2020080017211U KR20080017211U KR200457983Y1 KR 200457983 Y1 KR200457983 Y1 KR 200457983Y1 KR 2020080017211 U KR2020080017211 U KR 2020080017211U KR 20080017211 U KR20080017211 U KR 20080017211U KR 200457983 Y1 KR200457983 Y1 KR 2004579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lid
food
pot lid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72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6795U (ko
Inventor
이영희
Original Assignee
이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희 filed Critical 이영희
Priority to KR20200800172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983Y1/ko
Publication of KR201000067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7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9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9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3Knobs, e.g. f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냄비에 음식을 조리시 냄비본체의 상측부를 덮어주어 냄비의 기능을 다할 수 있도록 하는 냄비뚜껑에 관한 것으로,
야외활동이나 등산등 집에서 라면이나 찌개등의 음식을 끊여먹을 때 냄비본체의 상측부에 덮개로 구성되는 냄비뚜껑을 조리후에는 음식을 덜어서 먹을 수 있도록 그릇 대용으로 사용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냄비뚜껑(100)의 중앙으로 수용부(15)를 형성하여 외측으로 하나 또는 다수의 홈부(17)를 구성하고, 돌출된 수용부(15)로 평면의 손잡이(12)를 구성하여 수용부(15)로 라면과 같이 국물을 덜어 먹을 수 있도록 하며, 돌출된 수용부(15)로 형성된 손잡이(12)는 냄비를 가열 후 뚜껑을 열 때 수증기의 발생으로 화상의 위험이 없도록 고안된 음식물용 수용부가 구비된 냄비뚜껑에 관한 것이다.
냄비뚜껑, 수용부, 홈부

Description

음식물용 수용부가 구비된 냄비뚜껑{Food and accommodating addition the pot lid which is had}
본 고안은 냄비에 음식을 조리시 냄비본체의 상측부를 덮어주어 냄비의 기능을 다할 수 있도록 하는 냄비뚜껑에 있어서,
야외활동이나 등산시 라면이나 국과 같은 음식을 끊여 먹을 때 따로 그릇이 필요없이 냄비뚜껑에 국물과 같이 담아서 먹을 수 있도록 하고, 음식물을 마시거나 붓거나 할 때 사방으로 국물이 흩어지지 않고 일정한 공간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가열된 냄비를 열 때 냄비의 내부로 형성된 수증기와 열에 의한 화상의 위험을 방지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음식물용 수용부가 구비된 냄비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뚜껑이라 하면 그릇이나 상자 따위의 아가리를 덮는 물건을 뜻하는 것으로 음식물을 조리할 때 냄비내부의 수증기나 열이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냄비의 상측부를 덮어주어 음식물이 보다 빠르게 조리 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으로 요리가 끝난 후에는 내용물을 보관하거나 유지하기 위한 덮개로 사용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냄비뚜껑은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주방용기로만 구성된 것으로 야외활동이나 등산시 라면과 같은 음식을 끊여먹을 때 냄비뚜껑에 라면을 덜 어서 먹기도 하는데 이러한 경우는 그릇의 기능을 갖도록 생산된 것이 아니라 필요에 의하여 임의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돌출된 부분이 없이 평평한 면을 가지므로 불편한 점이 많아 종래에서는 이를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접시 및 그릇의 기능을 가지는 냄비뚜껑을 고안하였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서는 선등록번호 제20-0260698호는 접시기능을 갖는 냄비뚜껑으로 상기 냄비본체(2)에 환턱(14)과 재치부(13)로 구비된 냄비뚜껑(1)을 덮고 조리를 시작하면 냄비뚜껑(10)이 유리로 되어 있어 투명하므로 사용자는 조리과정을 지켜볼 수 있음으로 인해 갑작스레 음식물이 끊어오르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상기 돌기부(15)틈으로 증기가 빠져나갈 수 있게 하여 안전하게 조리를 할 수 있다.
음식물 조리가 완성되면, 사용자는 상기 냄비뚜껑(1)의 손잡이(12)를 잡고 냄비뚜껑(1)을 냄비본체(2)로부터 이탈시켜 뒤집어 놓은 뒤 상기 조리한 음식물을 냄비뚜껑(10)의 뒤집힌 평평한 부분에 올려놓음으로 해서 상기 냄비뚜껑(10)은 접시 기능을 갖게 하는 것이고,
선등록번호 제20-0353795호는 그릇기능을 갖는 라면냄비뚜껑으로 용기의 형태로 구성되는 본체(2)와 손잡이(3), 볼록부위(4)를 가지는 뚜껑(1)으로 구성되는 냄비에 있어서 기존냄비의 뚜껑중앙부위의 손잡이를 한쪽 혹은 양쪽으로 이동시키고 볼록부위(4)를두어 뚜껑을 뒤집으면 바로 그릇으로 사용할 수 있다.
라면을 조리한 후 사용자는 상기 냄비뚜껑의 손잡이를 잡고 냄비뚜껑을 냄비본체로부터 이탈시켜 뒤집어 놓으면 그릇이 되어 조리된 라면을 국물과 함께 덜어 먹을 수 있는 그릇 및 접시의 기능을 갖게 되는 냄비뚜껑에 관한 것이다.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뚜껑중앙부위의 손잡이를 뚜껑 가장자리 측벽에 소정의 크기로 돌출되도록 하거나, 한쪽 혹은 양쪽으로 이동시키고 볼록 부위를 두어 뚜껑을 뒤집어서 접시나 그릇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냄비뚜껑은 손잡이가 뚜껑의 가장자리 측벽이나 볼록 부위의 양쪽으로 두 개의 손잡이가 형성됨에 따라 냄비를 가열 후 뚜껑을 열 때 내부나 외부에서 올라오는 열로 인하여 손잡이가 가열될 수 있고 양손을 이용하여야 하며, 뚜껑의 중앙부분과 같이 전체가 볼록하거나 뚜껑의 중앙부분만 평평한 모양으로 라면 등을 끊여서 밥과 같이 덜어 먹을 때 많은 양을 담을 수는 있지만 뚜껑의 넓이만큼 음식물이 사방으로 흩어져서 냄비뚜껑을 한쪽으로 기울어서 먹어야 하며, 옆으로만 넓은 형태를 가지므로 음식물이 빨리 식어버리기 쉽고 음식물을 마시거나 따를 때 일정한 공간을 가지지 못하고 따르는 부분의 면적만큼 음식물이 흩어지므로 갑자기 많은 음식물이 쏟아 질 수 있어 옷을 버릴 수 있는 것으로 단순히 접시의 기능만을 가진다 할 것입니다.
또한 선등록번호 제20-0353795호는 손잡이를 냄비뚜껑의 양옆으로 이동시켜 평형을 이루도록 하였으나 뚜껑의 상층부와 가장자리의 측면사이 전체를 볼록하게 하여 양옆의 손잡이만으로는 평형을 유지하지 못하고 뚜껑이 옆으로 기우는 등 사용에 있어서 용이하고 편리하게 사용되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냄비뚜껑과 같은 하나의 손잡이를 구성하되, 냄비본체(110)의 상측부에 형성되는 냄비뚜껑(100)의 중앙으로 수용부(15)를 구성하고, 냄비뚜껑(100)의 외측으로 홈부(17)를 구성하며, 냄비뚜껑(100)의 중앙으로 돌출된 수용부(15)로 평면의 손잡이(12)를 구성하여 바닥에 고정되어 안전하게 음식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음식을 조리시 손잡이(12)가 하나로 되어 한손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음식물을 마시거나 따를 때 일정한 공간을 가지므로 음식물이 옷에 튀거나 흘릴 염려가 없고, 수용부(15)로 구성된 평면의 손잡이(12)로 인하여 냄비뚜껑(100)을 뒤집어 바닥에 고정시킬 수 있고, 냄비뚜껑(100)을 열 때 내부로 형성되는 수증기나 열에 의하여 생길 수 있는 화상등의 위험을 방지하여 사용하기에 불편함이 없도록 고안된 것이다.
본 고안은 야외활동이나 등산시 또는 집에서 간단하게 라면이나 찌개를 끊여 먹을 때 냄비뚜껑(100)의 중앙으로 돌출된 수용부(15)로 라면과 같이 국물을 덜어 먹을 수 있는 것으로 설거지의 양을 줄일 수 있어 인력소비와 세제의 사용을 줄일 수 있고, 냄비뚜껑(100)의 중앙으로 돌출된 수용부(15)로 평면의 손잡이(12)를 구성하여 뚜껑을 뒤집어 고정됨과 동시에 음식을 조리시 뚜껑을 열 때 발생되는 수증기나 열로 인한 화상의 위험을 방지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냄비뚜껑(100)의 외측으로 사용에 따라 하나 또는 다수의 홈부(17)를 구성하여 음식물을 마시거나 따를 때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음식물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큰 고안이라 하겠다.
본 고안은 냄비로 음식물을 조리할 때 뚜껑으로만 사용되는 것을 음식을 덜어 먹을 수 있는 기능을 가지도록 냄비뚜껑(100)의 중앙으로 수용부(15)를 구성하고, 중앙의 수용부(15)로 평면의 손잡이와 뚜껑의 외측으로 홈부(17)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후술하는 실시례와 첨부된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여러형태로 돌출되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사용상태에 따른 단면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냄비뚜껑은 음식을 조리하거나 보관 유지하기 위하여 냄비본체의 상측부에 덮개로 조리용기로만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에 본 고안은 음식을 조리시 냄비본체(110)의 상측부에 덮개로서의 기능을 가지며, 음식을 조리후에는 음식물을 덜어 먹을 수 있도록 기존의 냄비뚜껑과 같이 하나의 손잡이로 구성하되,
냄비뚜껑(100)의 중앙으로 오목형의 공간이 이루어지는 수용부(15)를 구성하고, 돌출된 수용부(15)로 상기의 평면의 손잡이(12)를 구성하여 음식을 조리 후 냄비뚜껑(100)을 뒤집었을 때 바닥에 고정되고, 뒤집힌 뚜껑의 외측으로 홈부(17)를 구성하여 음식물을 편리하고 쉽게 마실 수 있도록 그릇 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음식물을 조리 후 냄비뚜껑(100)을 뒤집었을 때 중앙의 손잡이(12)가 평면을 가지므로 바닥에 고정되어 안전하게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냄비뚜껑의 중앙으로 돌출된 부분으로 라면과 국물을 덜어서 먹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음식이 조리가 끝난 후 냄비뚜껑(100)을 뒤집어 국물과 같이 밥을 비벼먹을 때 냄비뚜껑(100)의 중앙으로만 돌출되어 수용부(15)를 가지므로 음식물이 사방으로 흩어지지 않고 일정한 공간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도 5에서는 냄비뚜껑(100)을 뒤집었을 때 외측으로 하나 또는 다수개의 홈부(17)를 가지므로 음식물(22)을 마시거나 다른 용기에 따를 때 옷에 튀거나 묻지 않도록 일정한 공간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도 6에서는 음식물을 가열시 냄비의 내부 로 형성되는 수증기와 열로 인하여 냄비뚜껑(100)을 열 때 돌출된 수용부(15)로 손잡이(12)가 구성됨으로서 수증기로 인한 화상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음식을 조리 후 따로 그릇이 필요 없이 냄비뚜껑(100)에 덜어먹을 수 있어 냄비본체(110)와 같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어 음식이 빨리 식지 않으며, 냄비뚜껑(100)의 중앙으로만 수용부(15)를 가지므로 음식을 덜었을 때 사방으로 흩어지지 않고 한 곳으로 모아주어 수용부(15)로 구성되는 평면의 손잡이(12)로 고정되고, 뚜껑의 외측으로 하나 또는 다수의 홈부(17)로 일정한 공간을 가지므로 음식물을 용이하게 따를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여러형태로 돌출되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사용상태에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 냄비뚜껑 110 : 냄비본체
12 : 손잡이 15 : 수용부
17 : 홈부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는 냄비본체(110)의 상측부로 구성되는 냄비 뚜껑(100)에 있어서,
    상기 냄비뚜껑(100)의 외측 중앙으로 돌출되어 내부로 오목형의 공간이 이루어지는 수용부(15)가 구비되며,
    상기 수용부(15)의 끝부에 손잡이(12)가 구성되고,
    상기 냄비뚜껑(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지는 하나 이상의 홈부(17)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용 수용부가 구비된 냄비뚜껑
KR2020080017211U 2008-12-24 2008-12-24 음식물용 수용부가 구비된 냄비뚜껑 KR2004579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211U KR200457983Y1 (ko) 2008-12-24 2008-12-24 음식물용 수용부가 구비된 냄비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211U KR200457983Y1 (ko) 2008-12-24 2008-12-24 음식물용 수용부가 구비된 냄비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795U KR20100006795U (ko) 2010-07-02
KR200457983Y1 true KR200457983Y1 (ko) 2012-01-16

Family

ID=44452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7211U KR200457983Y1 (ko) 2008-12-24 2008-12-24 음식물용 수용부가 구비된 냄비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983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698Y1 (ko) 2001-10-29 2002-01-18 전영수 접시기능을 갖는 냄비뚜껑
KR20020060698A (ko) * 1999-09-13 2002-07-18 폭스보로 엔엠알 리미티드 Nmr 분광계용 통과-흐름 프로브
KR20030053795A (ko) * 2001-12-24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고자속밀도 방향성전기강판의 자장열처리방법
KR200353795Y1 (ko) * 2004-03-30 2004-06-22 최영춘 그릇기능을 갖는 라면냄비뚜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0698A (ko) * 1999-09-13 2002-07-18 폭스보로 엔엠알 리미티드 Nmr 분광계용 통과-흐름 프로브
KR200260698Y1 (ko) 2001-10-29 2002-01-18 전영수 접시기능을 갖는 냄비뚜껑
KR20030053795A (ko) * 2001-12-24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고자속밀도 방향성전기강판의 자장열처리방법
KR200353795Y1 (ko) * 2004-03-30 2004-06-22 최영춘 그릇기능을 갖는 라면냄비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795U (ko) 201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M488276U (zh) 多功能鍋具
KR101269219B1 (ko) 다기능 조리용기
JP4980771B2 (ja) 飲食用カップ
JP3194420U (ja) 多機能調理器
KR200457983Y1 (ko) 음식물용 수용부가 구비된 냄비뚜껑
KR200442826Y1 (ko) 다목적 조리용기
KR200473758Y1 (ko) 두 가지 취사가 이루어지는 전기밥솥용 내솥
JP3046000U (ja)
KR200472073Y1 (ko)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
KR200380651Y1 (ko) 조리용기 뚜껑
KR20150004092U (ko) 조리용 용기 뚜껑
KR200353795Y1 (ko) 그릇기능을 갖는 라면냄비뚜껑
KR101096063B1 (ko) 다기능 조리용 뚜껑
KR101908860B1 (ko) 착탈 손잡이가 구비된 그릇
KR20110005325U (ko) 즉석면 용기의 접이식 뚜껑
KR101138925B1 (ko) 다기능 조리용 뚜껑
KR101146362B1 (ko) 조리용기
KR200414773Y1 (ko) 휴대용 즉석 용기
KR200260698Y1 (ko) 접시기능을 갖는 냄비뚜껑
JP2011183105A (ja) 電子レンジ調理容器
KR20180070040A (ko) 물배출 구조를 가지는 일회용 용기
KR200390009Y1 (ko) 냄비뚜껑
JP3205664U (ja) 電子レンジ用内箱
KR101831836B1 (ko) 각을 가지는 조리기구
KR100689265B1 (ko) 조리용기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