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758Y1 - 두 가지 취사가 이루어지는 전기밥솥용 내솥 - Google Patents

두 가지 취사가 이루어지는 전기밥솥용 내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758Y1
KR200473758Y1 KR2020130010580U KR20130010580U KR200473758Y1 KR 200473758 Y1 KR200473758 Y1 KR 200473758Y1 KR 2020130010580 U KR2020130010580 U KR 2020130010580U KR 20130010580 U KR20130010580 U KR 20130010580U KR 200473758 Y1 KR200473758 Y1 KR 2004737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inner pot
partition wall
cooking
coo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105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영애
Original Assignee
차영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영애 filed Critical 차영애
Priority to KR20201300105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7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7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7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2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inserts for cooking different foods separately at the same time; Inser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47J27/12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with adaptation of shape to that of adjacent vessels for forming a unit, e.g. sector-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두 가지 취사가 이루어지는 전기밥솥용 내솥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가 개구되고 측면(11)과 바닥(12)형성으로 체적을 갖고, 개구된 내솥본체(10-1)의 중간에 칸막이 벽(13)이 형성되어 양쪽으로 각기 다른 밥을 짓기 위한 취사공간이 구획된 전기밥솥용 내솥(10)에 있어서, 상기 내솥본체(10-1)의 내측면에 상호 대응되는 돌출부(10a)가 측면(11)과 바닥(12)에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칸막이 벽(13)은 양측에 돌출부(10a)를 수용하는 결합부(13a)가 마련되고, 상기 결합부(13a)에는 돌출부와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내열성 소재의 패킹(14)이 구비되며, 상기 칸막이 벽(13)의 상단 높이는 내솥(10)의 바닥으로부터 시작하여 내솥본체(10-1)의 상부에서 20~30mm의 여유간격을 두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두 가지의 밥을 각각 동시에 취사할 수 있는 칸막이 벽이 내솥본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혹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각각 취사하는 번거로움을 줄이고, 선호하는 밥을 나누어 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전기밥솥을 통한 보온, 보관시 두 가지 취사공간 중 어느 하나의 취사공간에는 소정의 물을 부어 둠으로써, 보온시 밥이 쉽게 마르지 않고, 냄새가 나지 않도록 하여 보존시간 대비하여 밥의 보존상태를 최적화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두 가지 취사가 이루어지는 전기밥솥용 내솥{Inner pot for electric rice cooler capable of two choices}
본 고안은 전기밥솥용 내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밥솥용으로 탈착되는 내솥을 개선하여 두 가지 취사가 각각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취사된 밥이 건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두 가지 취사가 이루어지는 전기밥솥용 내솥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쌀은 인간 생활에 있어서 오래된 주식 중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일상생활에서 편리함을 추구하고자 요구하는 시간대에 취사예약이 가능한 전기밥솥을 이용하여 취사하도록 하고 있다.
취사는 쌀 또는 쌀 외에 추가로 들어가는 곡물의 종류를 혼합하여 밥을 짓도록 하고 있다.
전기밥솥을 이용한 밥짓기는 대부분 덮개가 구비된 밥솥본체로부터 내솥을 안착시키고 내솥에는 불린 쌀과 물을 적정량 부어 취사하게 되는바, 취식하기 좋게 지어진 밥은 각 취향에 따라 다르다.
가령, 고두밥을 좋아한다든지, 잡곡을 혼합한 잡곡밥을 선호하는 사람들의 각자 입맛에 맞는 밥을 지어먹게 된다.
하지만 하나의 솥을 통해 밥을 짓는데 있어, 두 가지를 모두 한 솥에 짓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한 가족 혹은 여러 사람이 함께 밥을 지어먹는 과정에서도 선호하지 않는 밥을 먹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통상적으로 밥을 짓는데 있어 잡곡이 혼합된 부분에 대해서는 물을 더 넣어주어야 하기 때문에 물의 양을 맞추기 어렵고 한 솥을 통해 두 가지의 밥을 짓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전기밥솥의 경우 대부분 밥을 지어 놓은 상태에서 따뜻하게 보온하는 과정에서 수분이 부족하여 지어놓은 밥이 쉽게 마르는 현상으로 처음 지어놓은 밥의 맛과는 질감이 덜어지고 냄새가 나기 때문에 소량으로 밥을 지어 취식할 수 있었다.
소량 취사를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보온 걱정과 보온으로 인해 밥이 마르거나 탄수화물 특유의 냄새로 기피하는 사례를 방지할 수 있지만 끼니 마다 밥을 지어야 하는 수고스러움은 당연히 동반되기 마련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전기밥솥용으로 탈착되는 내솥을 개선하여 두 가지 취사가 각각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취사된 밥이 건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두 가지 취사가 이루어지는 전기밥솥용 내솥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상부가 개구되고 측면과 바닥형성으로 체적을 갖고, 개구된 내솥본체의 중간에 칸막이 벽이 형성되어 양쪽으로 각기 다른 밥을 짓기 위한 취사공간이 구획된 전기밥솥용 내솥에 있어서,
상기 내솥본체의 내측면에 상호 대응되는 돌출부가 측면과 바닥에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칸막이 벽은 양측에 돌출부를 수용하는 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돌출부와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내열성 소재의 패킹이 구비되며, 상기 칸막이 벽의 상단 높이는 내솥의 바닥으로부터 시작하여 내솥본체의 상부에서 20~30mm의 여유간격을 두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나아가, 상기 내솥본체의 내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반원형의 체적을 갖는 취사용기가 탈착 가능하게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밥솥용 내솥은 두 가지의 밥을 각각 동시에 취사할 수 있는 칸막이 벽이 내솥본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혹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각각 취사하는 번거로움을 줄이고, 선호하는 밥을 나누어 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전기밥솥을 통한 보온, 보관시 두 가지 취사공간 중 어느 하나의 취사공간에는 소정의 물을 부어 둠으로써, 보온시 밥이 쉽게 마르지 않고, 냄새가 나지 않도록 하여 보존시간 대비하여 밥의 보존상태를 최적화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전기밥솥용 내솥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밥솥용 내솥을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칸막이 벽이 일 실시예로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칸막이 벽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내솥본체에 칸막이 벽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내솥본체에 취사용기가 더 적용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용 내솥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부가 개구되고 측면(11)과 바닥(12)형성으로 체적을 갖는 전기밥솥용 내솥(10)은, 개구된 내솥본체(10-1)의 중간에 칸막이 벽(13)이 형성되어 양쪽으로 각기 다른 밥을 짓기 위한 취사공간이 구획 형성된다.
삭제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칸막이 벽(13)은 일자형 또는 라운드형이 중심에서 대칭되는 태극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솥본체(10-1)의 내측면에 상호 대응되는 돌출부(10a)가 측면(11)과 바닥(12)에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칸막이 벽(13)은 양측에 돌출부(10a)를 수용하는 결합부(13a)가 마련되고, 상기 결합부(13a)에는 돌출부와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내열성 소재의 패킹(14)이 구비된다.
첨부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솥본체(10-1)의 내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반원형의 체적을 갖는 취사용기(20)가 탈착 가능하게 더 구비되는 구조로도 두가지의 취사를 동시에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취사용기(20)는 내솥본체(10-1)에 안치되는 관계로 열전도가 높은 동(銅)소재로 제작되고, 상부에는 별도의 손잡이(도면에서 생략하기로 함)를 더 구비하여 내솥본체로부터 탈착시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 상기 칸막이 벽(13)의 상단 높이는 내솥(10)의 바닥으로부터 시작하여 내솥본체(10-1)의 상부에서 20~30mm의 여유간격을 두고 형성되거나, 탈착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취사중에 발생하는 스팀이 상기 칸막이 벽(13)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전기밥솥용 내솥의 사용상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준비된 내솥본체(10-1)에는 칸막이 벽(13)을 기준으로 불린 쌀과 적정량의 물을 부어 각각 나누어 준 상태에서 전기밥솥 본체에 내솥본체(10-1)를 안치시킨 다음, 밥솥의 덮개를 닫고 취사를 실시하거나 전기밥솥 기능선택 모드에 따라 취사버튼을 눌러 예약취사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취사는 칸막이 벽을 기준으로 각각 밥이 지어진 상태로서, 가령 일반 쌀만으로 지은 밥 혹은 일반 쌀과 여러 잡곡을 혼합하여 지은 밥을 각각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는 동일하되, 상기 칸막이 벽(13)을 기준으로 한쪽에는 물의 양을 적게 또 다른 한쪽에는 여유있게 넣어 고두밥 또는 진밥을 각각 지어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칸막이 벽(13)은 도 1과 같이 일자형이거나, 도 3에서와 같이 태극문양과 같은 형태로 형성하여 내솥본체를 구획한 것으로, 밥을 지어 놓은 상태에서 각각 공기에 퍼담고, 남은 밥은 한쪽에 밥을 옮겨준다.
이후 상기와 같이 내솥본체의 진 취사공간에는 음용할 수 있는 물을 소정량 담아 둠으로써, 따듯한 숭늉을 먹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한쪽에 물을 담아 준 상태에서 보온, 보관시 전기밥솥의 덮개를 닿은 상태에서 수증기가 칸막이 벽을 넘어 밥이 모아진 공간까지 유지됨으로써, 밥이 쉽게 마르는 것을 방지하여 보온시간 동안 밥맛이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제공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칸막이 벽(13)은 첨부된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내솥본체(10-1)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동일하게 칸막이 벽(13)을 기준하여 양쪽으로 각각 밥을 지울 수 있거나, 혹은 칸막이 벽을 분리하여 제거한 상태에서는 한가지의 밥을 취사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타입에서의 칸막이 벽(13)은 양측 결합부(13a)에 마련된 패킹(14)으로 하여금 내솥본체(10-1)에 형성된 돌출부(10a)에 밀착 결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양측으로 물이 이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 두가지 밥의 취사가 모두 가능하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 6은 상기 내솥본체(10-1)에 대해 그 내부에 또 하나의 취사용기(20)를 안착시켜 두 가지의 밥을 지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 또한 상기 취사용기(20)를 내솥본체(10-1)로부터 제거시에는 한가지의 밥을 취사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취사용기(20)가 내솥본체(10-1) 내에 안치된 상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물을 한쪽에 담아 취사한 밥의 보온, 보관시 밥이 마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용도로도 모두 활용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내솥 10-1: 내솥본체
10a: 돌출부 11: 측면
12: 바닥 13: 칸막이 벽
14: 패킹 20: 취사용기

Claims (4)

  1. 상부가 개구되고 측면(11)과 바닥(12)형성으로 체적을 갖고, 개구된 내솥본체(10-1)의 중간에 칸막이 벽(13)이 형성되어 양쪽으로 각기 다른 밥을 짓기 위한 취사공간이 구획된 전기밥솥용 내솥(10)에 있어서,
    상기 내솥본체(10-1)의 내측면에 상호 대응되는 돌출부(10a)가 측면(11)과 바닥(12)에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칸막이 벽(13)은 양측에 돌출부(10a)를 수용하는 결합부(13a)가 마련되고, 상기 결합부(13a)에는 돌출부와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내열성 소재의 패킹(14)이 구비되며, 상기 칸막이 벽(13)의 상단 높이는 내솥(10)의 바닥으로부터 시작하여 내솥본체(10-1)의 상부에서 20~30mm의 여유간격을 두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가지 취사가 이루어지는 전기밥솥용 내솥.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본체(10-1)의 내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반원형의 체적을 갖는 취사용기(20)가 탈착 가능하게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가지 취사가 이루어지는 전기밥솥용 내솥.
KR2020130010580U 2013-12-19 2013-12-19 두 가지 취사가 이루어지는 전기밥솥용 내솥 KR2004737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580U KR200473758Y1 (ko) 2013-12-19 2013-12-19 두 가지 취사가 이루어지는 전기밥솥용 내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580U KR200473758Y1 (ko) 2013-12-19 2013-12-19 두 가지 취사가 이루어지는 전기밥솥용 내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758Y1 true KR200473758Y1 (ko) 2014-07-24

Family

ID=51989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10580U KR200473758Y1 (ko) 2013-12-19 2013-12-19 두 가지 취사가 이루어지는 전기밥솥용 내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75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8865A (ko) * 2017-11-22 2019-05-30 유한회사 붕신 이동식 어묵 조리기
KR200496036Y1 (ko) * 2022-05-10 2022-10-19 말랑하니 주식회사 복수의 수용 공간을 갖는 내솥 및 이를 포함하는 다중 조리 가능형 전기압력밥솥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596Y1 (ko) * 1999-11-18 2000-04-15 대웅전기산업주식회사 전기압력 보온밥솥용 내솥구조
KR200323743Y1 (ko) * 2003-05-30 2003-08-19 신동수 복수의 조리공간을 갖는 조리용기
KR200394849Y1 (ko) * 2005-06-17 2005-09-07 유병철 구획벽을 구비한 냄비
KR101015788B1 (ko) 2008-05-21 2011-02-22 최윤진 전기밥솥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596Y1 (ko) * 1999-11-18 2000-04-15 대웅전기산업주식회사 전기압력 보온밥솥용 내솥구조
KR200323743Y1 (ko) * 2003-05-30 2003-08-19 신동수 복수의 조리공간을 갖는 조리용기
KR200394849Y1 (ko) * 2005-06-17 2005-09-07 유병철 구획벽을 구비한 냄비
KR101015788B1 (ko) 2008-05-21 2011-02-22 최윤진 전기밥솥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8865A (ko) * 2017-11-22 2019-05-30 유한회사 붕신 이동식 어묵 조리기
KR102096020B1 (ko) * 2017-11-22 2020-04-02 유한회사 붕신 이동식 어묵 조리기
KR200496036Y1 (ko) * 2022-05-10 2022-10-19 말랑하니 주식회사 복수의 수용 공간을 갖는 내솥 및 이를 포함하는 다중 조리 가능형 전기압력밥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3758Y1 (ko) 두 가지 취사가 이루어지는 전기밥솥용 내솥
US6964224B2 (en) Cooking double boiler
KR20130002374A (ko) 중탕냄비
KR200394849Y1 (ko) 구획벽을 구비한 냄비
KR101015788B1 (ko) 전기밥솥
KR20100112279A (ko) 계란찜기
KR100753622B1 (ko) 이중 항아리 가마솥
CN2810450Y (zh) 一种多功能铁板烧
JP3149809U (ja) 電気炊飯器用内蓋
CN205568571U (zh) 家用热菜保温盒
CN106974527A (zh) 家用热菜保温盒
CN208524625U (zh) 电烤盘
KR20110000512U (ko) 직화형 후라이팬
JP5285869B2 (ja) マイクロ波加熱調理容器
KR200259355Y1 (ko) 전자레인지용 1회용 편의 식품용기
KR200367883Y1 (ko) 전기밥솥이나 보온겸용 전기밥솥용 칸막이와 보조용기
US20120017777A1 (en) Multifunctional Bread Maker
KR200473141Y1 (ko) 가스 오븐 찜기
CN107713735A (zh) 一种自主烹制食物的食用器具
JP3869427B2 (ja) 多目的調理容器
JP2011064368A (ja) ビルトイン電子レンジ
KR200402546Y1 (ko) 전기오븐용 팬 및 이를 갖는 전기오븐
KR20120076804A (ko) 용도변경이 가능한 조리기구
KR200257721Y1 (ko) 조리공간이 분할된 조리용기
KR101844027B1 (ko) 숯수용부를 구비한 기능성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