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9219B1 - 다기능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9219B1
KR101269219B1 KR1020110018792A KR20110018792A KR101269219B1 KR 101269219 B1 KR101269219 B1 KR 101269219B1 KR 1020110018792 A KR1020110018792 A KR 1020110018792A KR 20110018792 A KR20110018792 A KR 20110018792A KR 101269219 B1 KR101269219 B1 KR 101269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main body
discharge hole
dividing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8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0120A (ko
Inventor
오재탁
Original Assignee
오재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재탁 filed Critical 오재탁
Priority to KR1020110018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9219B1/ko
Publication of KR20120100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0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9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9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2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inserts for cooking different foods separately at the same time; Inser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20Perforated bases or perforated containers to be placed inside a cooking utensil ; Draining baskets, inserts with separation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냄비의 본체에 내장되어 본체의 내부공간을 분할하며 유입홀과 배출홀을 가져 샤브샤브, 데우기 찜 등의 요리가 가능하고, 요리시에 본체에서 조리되고 있는 조리수나 요리 대상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고, 본체에서 유입되는 증기 등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기능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조리용기는 하부로 가면서 내경이 점차로 작아지는 안치부와, 상기 안치부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형성되어 있는 유입홀과 배출홀을 포함하고, 냄비 본체의 개구부를 덮으며 본체에 내장되어 본체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분할용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샤브샤브 요리시에 요리 대상물들을 상기 본체와 상기 분할용기에 분리하여 조리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본체에서 끓는 조리수가 상기 분할용기에 막혀 넘치거나 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조리용기{Cookpot equipped with multi function}
본 발명은 냄비의 본체에 내장되어 본체의 내부공간을 분할하며 유입홀과 배출홀을 가져 샤브샤브, 데우기 찜 등의 요리가 가능하고, 요리시에 본체에서 조리되고 있는 조리수나 요리 대상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고, 본체에서 유입되는 증기 등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기능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을 요리하는 냄비는 그 용도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음식물 요리 종류에 따라 맞는 냄비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
예를 들어, 찌개나 조림 등과 같이 조리 대상물을 물에 끓여 익힘과 동시에 끓는 물의 일부는 증기로 증발시켜 간을 맞추는 음식물의 경우에는 조리 대상물이 담길 수 있는 충분한 깊이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냄비를 사용하고, 밥을 취사하고자 할 때는 증기가 새어나가 밥이 설거나 뜸이 덜 들지 않도록 압력솥을 사용하고, 증기를 이용하여 찌는 고구마, 감자, 만두, 생선 등의 찜 요리에는 찜통 등을 사용한다.
위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냄비는 그 용도가 정해져 있어, 다른 용도로 요리를 하는데 사용할 수 없고, 그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냄비를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일반적인 냄비가 그 사용 용도가 제한되어 있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일반적인 냄비 본체에 간편하게 내장되어 결합되고, 냄비 본체의 내부공간을 분할하여 음식물 데우기, 찜 요리, 샤브샤브 요리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요리시에 본체에서 끓는 조리수나 요리 대상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고, 본체에서 유입되는 증기나 물방울 등이 튀는 것을 방지하는 다기능 조리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냄비 본체에 내장되는 분할용기는 급격부와 완만부가 교대로 연결된 다단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일정 범위 내에서 내경을 달리하는 다양한 종류의 냄비 본체들에 결합하여 사용 가능한 다기능 조리용기를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샤브샤브 요리시에는 채소와 육류가 각각 본체와 분할용기에서 분리 조리되어 서로 섞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조리된 육류를 채소 속에서 찾아야 하는 불편이 없고, 육류가 채소와 섞여 과도하게 익어 조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다기능 조리용기를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증기를 이용한 데우기나 찜 요리시에는 분할용기로 유입된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긴밀히 밀폐하여 단시간에 찜 요리가 가능하고, 찜 요리시에 증기압을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개폐부재를 통해 사용자가 증기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용도의 찜 요리가 가능한 다기능 조리용기를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조리용기는
하부로 가면서 내경이 점차로 작아지는 안치부와,
상기 안치부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유입홀과 배출홀을 포함하고,
냄비 본체의 개구부를 덮으며 본체에 내장되어 본체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분할용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요리 대상물들을 상기 본체와 상기 분할용기에 분리하여 조리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본체에서 끓는 조리수가 상기 분할용기에 막혀 넘치거나 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분할용기의 안치부는 급격히 경사져 하부로 가면서 내경이 서서히 줄어드는 급격부와, 완만히 경사져 하부로 가면서 내경이 급격히 줄어드는 완만부가 교대로 연결된 다단 구조로 이루어져,
일정 범위 내에서 내경을 달리하는 냄비 본체들에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분할용기의 개구부를 밀폐하여 덮는 뚜껑;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본체에서 발생하여 상기 유입홀을 통해 상기 분할용기로 유입된 증기의 외부 유출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분할용기에 안치된 요리 대상물의 찜 요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뚜껑에는 상기 분할용기 내부로 유입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분할용기의 배출홀 또는 상기 뚜껑의 배출공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배출홀 또는 배출공을 개폐하는 밸브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조리용기는 분할용기가 냄비 본체에 내장되어 본체 내부공간을 분할하며 유입홀 및 배출홀을 가져 분할용기에서 음식물의 데우기나 찜 요리가 가능하고, 채소와 육류를 분리하여 조리하는 샤브샤브 요리 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의 요리에 사용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그리고 분할용기는 안치부가 급격부와 완만부가 교대로 연결되는 다단 구조로 이루어져, 내경을 달리하는 다양한 종류의 냄비 본체에도 결합되어 사용 가능하다.
또한, 분할용기는 본체에서 조리되는 조리수나 음식물 등이 끓어 넘치지 않도록 차단하여 냄비 본체와 그 주변이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하고, 분할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증기나 물방울 등의 유입물은 분할용기의 안치부 경사면을 타고 흘러내려 내부에서 튀는 것이 방지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조리용기의 일례에 따른 사시도.
도 2 는 도1에 도시된 다기능 조리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도1에 도시된 다기능 조리용기의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따른 분할용기가 내경을 달리하는 다양한 냄비 본체에 사용 가능함과, 유입홀의 방향이 하부를 향하도록 하는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 의 a,b,c 는 각각 본 발명의 따른 다기능 조리용기가 결합된 냄비를 이용하여 샤브샤브 요리, 찜 요리, 빨래 삶기 하는 사용상태 단면도.
이하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조리용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기능 조리용기는 분할용기(20)와 뚜껑(30)의 대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상기 분할용기(20)는 냄비 본체(10)의 개구부를 덮으며, 본체에 내장되어, 내장된 본체의 내부공간을 분할한다.
상기 분할용기(20)는 요리 대상물이 안치될 수 있도록 하부를 향하여 함몰된 안치부(21)가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안치부(21)에는 본체(10)에서 발생되는 증기나 본체(10)에 담긴 조리수가 안치부(21)로 유입되고 다시 본체(10)로 배출되도록 유입홀(23)과 배출홀(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할용기(20)의 안치부(21)는 하부로 가면서 내경이 점차로 작아지는, 즉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치부(21)의 경사진 구조는 유입홀(23)을 통해 유입된 증기나 물방울 등이 튀지 않고, 안치부(21) 표면을 타고 자연스럽게 흘러내리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안치부(21)의 경사진 구조는 급격하게 경사져 하부로 가면서 내경이 서서치 줄어드는 급격부(211)와, 완만하게 경사져 하부로 가면서 내경이 급격하게 줄어드는 완만부(213)로 구성되며, 상기 급격부(211)와 완만부(213)는 교대로 다수가 연결되는 다단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직경이 충분히 길도록 하여, 도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치부(21)의 직경 범위 내에서의 내경을 갖는 다양한 종류의 냄비 본체들, 즉, 내경 길이가 짧은 냄비 본체와 내경 길이가 긴 냄비 본체 모두에 대하여 본체 개구부를 덮도록 결합되고, 안치부(21)는 본체 내부에 내장되어 본체 내부공간을 분할할 수 있는 다단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치부(21)를 형성하는 바닥면의 중앙에는 안치부(21)에서 증기가 액화된 물방울들이 모이도록 하여, 찜 요리시에 안치부(21)에 안치된 찜 대상물과 액화된 물방울들의 접촉을 최소화하는 오목부(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할용기(20)의 안치부(21)에는 상기 냄비 본체(10)에서 생성된 증기가 안치부(21)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홀(23)이 다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입홀(23)의 하부 안치부(21)에는 유입된 증기가 액화된 물방울이 본체(10)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홀(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홀(24)은 샤브샤브 요리시에는 각종 채소와 육류(고기, 생선, 조개 등)를 익히는 조리수가 본체(10)와 분할용기(20)로 순환 유통되도록 하는 유통홀의 역할을 겸한다.
상기 유입홀(23)은 상기 배출홀(24) 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배출홀(24)은 상기 안치부(21)의 최하부인 바닥면 중앙(즉, 수평방향으로 편편한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편평한 바닥면 중앙에 형성되는 때에는 본체(10)에서 조리되는 조리 대상물이 바닥면에 붙어 배출홀(24)을 막을 수 있으므로 바닥면 중앙에서 벗어나 경사져 있는 부위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바닥면 중앙과 그 옆의 경사진 부위 모두에 배출홀(24)을 형성할 수도 있다. 바닥면 중앙을 벗어난 경사진 위치로는 상기 오목부(25)를 형성하는 측면이 일례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홀(24)은 도2에서 우측에 별도로 도시한 분할용기(20)를 하부에서 바라본 두 사시도 중 아래에 도시한 것처럼, 안치부(21) 바닥면 중앙에 직경이 보다 크게 형성하고, 직경이 긴 이 배출홀(24)은 개폐판(29)에 의해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개폐판(29)은 상기 배출홀(24)을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분할용기(20) 저면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상기 개폐판(29)은 힌지결합 부위의 자체 탄성 복원력에다 본체에서 발생되는 증기에 의한 증기압이 더 해져 배출홀(24) 주변에 밀착되어 배출홀(24)을 폐쇄함으로써, 배출홀(24)을 통해 증기가 분할용기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분할용기(20)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홀(24)을 통해 증기가 유입되는 경우에는 보다 많은 양의 유입된 증기가 직접 안치부(21)에 안치되어 있는 찜 요리 대상물에 충돌하게 되고, 많은 양의 증기가 충돌함에 따라 찜 요리 대상물 표면에는 많은 양의 물이 생성된다. 그리고 이 생성되는 물은 찜 요리의 질을 저하시킨다. 즉, 찜 요리는 고온과 증기에 의해 대상물을 익히는 것인데, 대상물 표면에 많은 양의 물이 생기면 찜이라기 보다는 삶는 요리가 되어 질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개폐판(29)을 통해 배출홀(24)을 폐쇄시키면 이러한 것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판(29)은 유입홀을 통해 유입되어 액화된 증기의 양이 늘어나면, 그 하중에 의해 배출홀(24)을 개방시켜 분할용기(20)에 저장되어 있는 액화된 증기를 본체(10)로 배출시키고, 즉시 다시 복원되어 배출홀(24)을 폐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입홀(23)은 상기 안치부(21)가 다단 구조일 때에는 각각의 급격부(211) 또는 완만부(213) 또는 급격부(211)와 완만부(213) 모두에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홀(23)은 본체(10)에서 유입되는 증기나 물방울 등이 분할용기(20) 내부로 유입되어 비산되거나 튀는 것을 줄일 수 있도록, 하부를 향하여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입홀이 분할용기 하부를 향하도록 하는 방법으로는,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용기(20)에 유입홀(23)을 갖는 돌출부(231) 형성하되, 이 돌출부(231)가 하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유입홀(23)이 하부를 향하도록 하거나, 분할용기(20) 측면(즉, 안치부)에 내측 또는 외측으로 볼록한 볼록부(233)를 형성하고, 볼록부(233)의 하부 또는 상부에 유입홀(23)을 형성하여 유입홀(23)이 자연적으로 하부를 향하도록 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고, 도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할용기(20)의 안치부(21) 형상을 중앙부의 내경이 크고 상하부로 가면서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항아리형으로 하고, 상부에 유입홀(21)을 형성하여 유입홀이 자연스럽게 하부를 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4b에 도시된 항아리형 안치부(21)는 안치부의 내부공간을 확장시키게 된다. 이처럼 안치부(21)의 내부공간을 확장하는 것은 유입홀(21)을 통해 본체로부터 거품이 유입되는 경우에, 유입된 거품이 액화되어 배출홀(24)을 통해 본체(10)로 배출되는 것보다 거품의 유입량이 보다 많을 때에는 안치부에 계속해서 거품이 쌓이다 종국에는 넘치게 될 것인데, 내부공간을 확장함으로써 거품이 안치부(21)에서 넘치는 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상기 분할용기(20)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냄비 본체(10) 내부의 조리 상황을 사용자가 수시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강화유리와 같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분할용기(20)의 가장자리에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2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27)는 샤브샤브 요리시에 분할용기(20) 아래의 본체(10)에서 조리되어 익은 채소를 꺼내고자 할 때 사용자가 분할용기(20)를 들어 본체(10)에서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손잡이(27)는 상기 분할용기(20)에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접촉되는 상기 분할용기(20)의 하부면과 상기 본체(10)의 개구부 테두리 또는 도5a 처럼 본체(10) 내부 중간이 단턱이 져있고 분할용기(20)가 본체(10)에 완전히 내장되어 하부면이 이 단턱부(11)에 접촉되는 때에는 단턱부(11)의 접촉 부위에는 분할용기와 냄비 본체 간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패킹(13)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킹(13)은 상기 분할용기(20)와 냄비 본체(10) 간의 접촉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하여 본체(10)에서 끓는 조리수가 틈새로 흘러 넘치지 않도록 하고, 본체(10)에서 생성되는 증기가 틈새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분할용기(20)로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뚜껑(30)은 상기 분할용기(20)의 개구부, 즉 상기 안치부(21)를 덮어 안치부(21)에 유입된 증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안치부(21)에서 데우기나 찜 요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뚜껑(30)도 사용자가 상기 분할용기(20)의 안치부(21) 또는 상기 냄비 본체(10)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강화유리와 같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뚜껑(30)의 테두리는 상기 분할용기(20)의 안치부(21) 상부 측벽에 긴밀히 면접촉하여 밀폐하도록 하는 접합부(36)가 구비된다.
상기 접합부(36)는
상기 뚜껑(30)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분할용기(20)의 안치부(21) 상단과 접촉하게 되는 프레임부(361)와, 상기 프레임부(361)의 일면에서 연결형성되어 분할용기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패킹부(362)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프레임부(361)는 강화유리로 구성되는 뚜껑(30)의 외력에 의하여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질 성격을 띠는 스텐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패킹부(362)는 분할용기(20)의 내주면과 긴밀한 면접촉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연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패킹부(362)의 경우 실리콘 재질이 바람직하다 할 것인데,
단순히 실리콘으로 패킹부(362)를 형성하게 되는 경우 분할용기(20)의 안치부(21) 내면과의 긴밀한 접촉이 요구되는 형상으로의 유지가 어려운 측면이 있어 상기 실리콘 내부에는 심부재(363)를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심부재(363)는 안정된 형상 유지를 위하여 철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위와 같이 분할용기(20)와 뚜껑(30)을 밀폐시키는 상기 접합부(36)는 상기 분할용기(20)에 대한 전용 냄비 본체(10)가 구비되는 때에는 분할용기(20) 가장자리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30)에는 상기 안치부(21)에 유입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배출공(34)이 형성된다.
상기 밸브부재(40)는 상기 분할용기(20)의 배출홀(24)과 뚜껑(30)의 배출공(34)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증기 또는 액화된 증기의 배출량을 조절한다.
상기 밸브부재(40)는 상기 배출홀용과 배출공용을 각각 구분하여 구비할 수도 있지만, 어느 곳이라도 결합될 수 있도록 배출홀(24)과 배출공(34)의 내경과 깊이는 서로 동일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밸브부재(40)는 배출홀(24) 또는 배출공(34)에 삽입되어, 분할용기(20) 또는 뚜겅(30)의 상부면에 접촉되는 상부접촉부(41)와, 하부면에 접촉되는 하부접촉부(43)와, 상기 상부접촉부(41)와 하부접촉부(43)를 연결하며 상기 배출홀(24) 또는 배출공(34)에 삽입되는 삽입부(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밸브부재(40) 특히 하부접촉부(43)는 하부면에 긴밀히 밀착되도록 실리콘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밸브부재(40)는 하부접촉부(43), 삽입부(42) 그리고 상부접촉부(41)를 관통하여 배기공(44)이 형성된 것과, 배기공(44)이 없는 것이 있다.
배기공(44)이 없는 밸브부재(40)는 배출홀(24) 또는 배출공(34)을 폐쇄하여 증기의 외부유출을 완전 차단함으로써 냄비 본체(10)를 압력 취사용으로 사용하는데 활용될 수 있고,
배기공(44)이 구비된 밸브부재(40)는 배출홀(24) 또는 배출공(34)을 일부 폐쇄하여 증기의 외부 유출을 일부 차단함으로써 분할용기(20)를 찜용으로 사용하는데 활용될 수 있고,
밸브부재(40)를 배출홀(24) 또는 배출공(34)에서 분리시키면 배출홀(24) 또는 배출공(34)을 완전 개방하여 분할용기(20)를 데우기용으로 사용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배기공(44)이 구비된 밸브부재(40)의 경우에, 배기공(44)의 직경이 다르거나, 상부접촉부(41)에 형성되는 배기공(44)의 수를 달리하는 밸브부재(40)들을 다수 구비함으로써, 배기공의 직경이나 배기공의 개수를 이용하여 요리 용도에 맞게 증기의 배출량을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배기공(44)이 구비된 밸브부재(40)의 경우에, 상부접촉부(41)에 배기공(44)을 덮어 폐쇄하는 덮개부(411)를 구비하되, 상기 덮개부(411)에는 내부 증기압에 따라 열리는 양이 조절되는 절개부(412)를 두어, 냄비 내부의 증기압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체크밸브형 밸브부재(40)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체크밸브형 밸브부재(40) 역시 요리 용도에 맞게 내부 증기압을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여러 종류의 것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냄비 본체(10) 또는 분할용기(20) 내부의 증기압에 의해 분할용기(20)가 본체(10)에서, 또는 뚜껑(30)이 분할용기(20)에서 들리거나 분리되지 않도록 홀딩수단(미도시)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5의 a,b,c는 본 발명에 다기능 조리용기를 활용한 다양한 사용상태에 대한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
우선, 도5a에서는 본 발명의 조리용기를 이용하여 샤브샤브 요리를 하는 사용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샤브샤브 요리시에는 냄비 본체(10)에 물(즉, 조리수)을 층분히 부어 배출홀(24)을 통해 분할용기(20)에 육류를 익히기에 충분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샤브샤브 요리 대상물들 중에서 각종 채소는 본체(10)에 투입하고, 육류는 분할용기(20)에 투입하여 익힌다.
뜨거운 물에서 단시간에 익는 육류는 분할용기(20)에 투입되어 채소와 분리되어 조리되므로, 취식자는 각종 채소 속에 섞여 육류를 찾아야 하는 불편 없이 바로바로 육류를 취식할 수 있고, 채소를 취식하고자 할 때는 손잡이(27)를 잡고 분할용기(20)를 살짝 들고 본체(10)에서 꺼내 취식하면 되므로 채소를 취식하는데도 큰 불편이 없으므로 샤브샤브 요리에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가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조리시에 본체(10)에서 조리수가 끓어 튀더라도 분할용기(20)가 이를 차단하므로 조리수나 대상물(즉, 각종 채소)이 본체(10) 외부로 넘칠 염려도 없고, 본체(10)에서 조리수가 끓어 증기압력이 높아지더라도 생성되는 증기는 분할용기(20)의 유입홀(23)을 통해 본체에서 분할용기(20)로 배출되므로 높은 증기압에 의해 분할용기(20)가 본체(10)에서 들썩일 염려도 없고, 유입홀(23)을 통해 본체(10)에서 분할용기(20)로 배출되는 증기나 물방울 등은 분할용기(20) 내부 표면을 타고 흐르게 되므로 유입홀(23)을 통해 배출되는 증기나 물방울 등이 튀어 비산할 염려도 적어, 안전하고 깔끔한 환경에서 샤브샤브 요리를 편안하게 취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5b는 본 발명의 조리용기를 이용하여 찜 요리를 하는 사용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찜 요리시에는 분할용기(20)의 개구부를 뚜껑(30)으로 덮어 분할용기(20) 내부로 유입된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신속한 찜 요리가 가능 하도록 한다.
찜 요리시에는 냄비 본체(10)에 물을 분할용기(20) 아래에 위치하도록 부어, 본체(10)에서 발생하는 증기가 유입홀(23)을 통해 분할용기(20) 내부에 유입되도록 하고, 유입되어 응결된 증기의 물방울은 분할용기(20) 표면을 타고 흘러 배출홀(24)을 통해 본체(10)로 배출되도록 한다.
찜 요리시에도 본체(10)에서 끓는 물이 외부로 넘칠 염려가 없고, 유입홀(23)을 통해 분할용기(20)로 유입되는 물방울과 액화된 증기 등은 분할용기(20) 표면을 타고 흘러 배출홀(24)을 통해 본체(10)로 배출되므로 찜 대상물에 증기가 아닌 액체가 접촉할 가능성이 적어지므로, 고품질의 찜 요리가 가능해 진다.
다음으로, 도5c는 본 발명의 조리용기를 이용하여 빨래를 삶는 사용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빨래를 삶을 때에는 본체(10) 바닥에 안전망(15)을 깔아 본체(10)에 투입된 빨래가 직접 본체(10) 바닥면에 접촉되어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빨래를 삶을 때에는 분할용기(20) 하부에 배출홀(24)을 크게 형성하여 유입홀(23)을 통해 분할용기(20)로 유입된 증기와 물방울 등이 신속하게 본체(10)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빨래를 삶을 때에는 일반적으로 물에 세제를 풀어 끓이게 되므로, 거품이 많이 발생되고, 발생되는 거품의 양이 많아 본체(10) 외부로 넘치는 일이 많은데,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를 이용하면, 분할용기(20)가 발생되는 거품이 더 이상 위로 올라가지 않도록 차단하므로 넘칠 염려가 없고, 유입홀(23)을 통해 유입되는 증기, 물방울, 거품 등도 분할용기(20) 내면을 타고 흐르게 되어 이들의 튐이 최소화되므로, 주변을 더럽히지 아니하고 빨래를 삶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다기능 조리용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본체 11 : 단턱
20 : 분할용기 21 : 안치부
211 : 급격부 213 : 완만부
23 : 유입홀 24 : 배출홀
30 : 뚜껑 34 : 배출공
40 : 밸브부재 41 : 상부접촉부
42 : 삽입부 43 : 하부접촉부
44 : 배기공 412 : 절개부

Claims (4)

  1. 하부로 가면서 내경이 점차로 작아지는 안치부(21)와,
    상기 안치부(21)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유입홀(23)과 배출홀(24)을 포함하고,
    냄비 본체의 개구부를 덮으며 본체에 내장되어 본체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분할용기(2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요리 대상물들을 상기 본체와 상기 분할용기에 분리하여 조리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본체에서 끓는 조리수가 상기 분할용기에 막혀 넘치거나 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리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용기(20)의 안치부(21)는 급격히 경사져 하부로 가면서 내경이 서서히 줄어드는 급격부(211)와, 완만히 경사져 하부로 가면서 내경이 급격히 줄어드는 완만부(213)가 교대로 연결된 다단 구조로 이루어져,
    일정 범위 내에서 내경을 달리하는 냄비 본체들에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리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용기(20)의 개구부를 밀폐하여 덮는 뚜껑(3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리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30)에는 상기 분할용기(20) 내부로 유입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공(3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분할용기(20)의 배출홀(24) 또는 상기 뚜껑(30)의 배출공(34)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배출홀(24) 또는 배출공(34)을 개폐하는 밸브부재(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리용기.
KR1020110018792A 2011-03-03 2011-03-03 다기능 조리용기 KR101269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792A KR101269219B1 (ko) 2011-03-03 2011-03-03 다기능 조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792A KR101269219B1 (ko) 2011-03-03 2011-03-03 다기능 조리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120A KR20120100120A (ko) 2012-09-12
KR101269219B1 true KR101269219B1 (ko) 2013-05-30

Family

ID=47109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8792A KR101269219B1 (ko) 2011-03-03 2011-03-03 다기능 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921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742B1 (ko) 2013-07-03 2014-10-01 김승래 실리콘 찜기
KR102178997B1 (ko) 2019-06-28 2020-11-16 김미영 가열식 조리기기
KR102204408B1 (ko) 2019-07-31 2021-01-18 김미영 위치조절이 가능한 조리판을 구비한 가열식 조리기기
KR20230062912A (ko) 2021-11-01 2023-05-09 주식회사 제이슨코리아 다용도 조리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540Y1 (ko) * 2011-09-01 2013-08-19 주식회사 놀부 음식 보관 용기
KR101435178B1 (ko) * 2012-09-25 2014-09-01 오재탁 다용도 조리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및 이를 갖는 조리 기구
CN107440511B (zh) * 2016-05-31 2020-08-04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蒸汽阀及烹饪器具
KR101865780B1 (ko) * 2017-01-31 2018-06-08 이창희 대용량 스팀 찜기
CN112869534B (zh) * 2017-04-21 2023-04-25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厨具盖体、烹饪厨具盖体组件和烹饪厨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1263A (ja) 2000-05-15 2001-11-20 Shoichi Kumakura 多用途鍋セット
KR101006178B1 (ko) 2010-04-14 2011-01-07 임철한 간이형 떡 찜 세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1263A (ja) 2000-05-15 2001-11-20 Shoichi Kumakura 多用途鍋セット
KR101006178B1 (ko) 2010-04-14 2011-01-07 임철한 간이형 떡 찜 세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742B1 (ko) 2013-07-03 2014-10-01 김승래 실리콘 찜기
KR102178997B1 (ko) 2019-06-28 2020-11-16 김미영 가열식 조리기기
KR102204408B1 (ko) 2019-07-31 2021-01-18 김미영 위치조절이 가능한 조리판을 구비한 가열식 조리기기
KR20230062912A (ko) 2021-11-01 2023-05-09 주식회사 제이슨코리아 다용도 조리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120A (ko)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9219B1 (ko) 다기능 조리용기
RU2638865C2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посуда
KR101616815B1 (ko) 월남쌈 용기
KR101252443B1 (ko) 다기능 냄비
KR101136091B1 (ko) 넘침방지 조리기구용 뚜껑
US6536603B1 (en) Pot having a lid
KR200323694Y1 (ko) 넘침 방지 냄비뚜껑 손잡이
KR20090005536A (ko) 다용도 주방용기
KR200442826Y1 (ko) 다목적 조리용기
KR102171633B1 (ko) 기름유출 방지 양면팬
KR101096063B1 (ko) 다기능 조리용 뚜껑
JP3046000U (ja)
KR200380651Y1 (ko) 조리용기 뚜껑
KR101138925B1 (ko) 다기능 조리용 뚜껑
KR200318987Y1 (ko) 조리용기
KR200346292Y1 (ko) 다기능 주전자
KR200354712Y1 (ko) 넘침 방지냄비
KR20160052272A (ko) 배수부가 구비된 냄비뚜껑
KR200318988Y1 (ko) 찜기 겸용 주전자
KR20230000889U (ko) 타공 분리 용기
KR20130032996A (ko) 국자
KR200455726Y1 (ko) 냄비
KR200291026Y1 (ko) 냄비뚜껑 받침대
KR200457983Y1 (ko) 음식물용 수용부가 구비된 냄비뚜껑
KR20240010912A (ko) 멀티 냄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