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6091B1 - 넘침방지 조리기구용 뚜껑 - Google Patents

넘침방지 조리기구용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6091B1
KR101136091B1 KR1020090129960A KR20090129960A KR101136091B1 KR 101136091 B1 KR101136091 B1 KR 101136091B1 KR 1020090129960 A KR1020090129960 A KR 1020090129960A KR 20090129960 A KR20090129960 A KR 20090129960A KR 101136091 B1 KR101136091 B1 KR 101136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hole
steam
handle
steam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9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2862A (ko
Inventor
장재봉
Original Assignee
(주)네오플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플램 filed Critical (주)네오플램
Priority to KR1020090129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6091B1/ko
Publication of KR20110072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2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3Knobs, e.g. f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증기배출량을 조절하는 조리기구용 뚜껑에 관한 것으로,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뚜껑; 상기 관통홀에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뚜껑 아랫면에서 관통홀에 걸리고 제 1증기 배출홀이 형성된 하부플랜지; 중심부가 상기 하부플랜지의 윗면에 안착되도록 끼워지고 중심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멤브레인 형태의 개폐부가 상기 제 1증기배출홀을 덮도록 형성되되, 조리기구 내부 증기압에 따라 상기 개폐부가 부재탄성력으로 승하강하여 상기 제 1증기배출홀을 통한 증기개방영역을 가변시키는 실리콘 부재; 상기 뚜껑 윗면에서 관통홀을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갖고, 상기 뚜껑의 윗면과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캡형상을 갖고, 상기 제 1증기배출홀과 연통하는 제 2증기배출홀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플랜지; 상기 상부플랜지의 윗면에 위치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연장되어 그립부가 형성되되, 상기 그립부 끝단 단면의 가상연장면에 상기 뚜껑의 테두리의 일지점이 위치하도록 형성된 손잡이;및 상기 하부플랜지,상부플랜지 및 손잡이의 바디를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방지 조리기구용 뚜껑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넘침방지 조리기구 뚜껑은 조리기구 내부의 증기압에 따라 움직이는 얇은 멤브레인 형태의 실리콘 소재에 의하여 증기배출구의 개방면적이 조절되기 때문에 과도한 증기발생으로 국물이 넘쳐 가열기구나 식탁, 그리고 조리자의 옷을 더럽히거나 조리자에 화상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조리기구내의 적정량 의 증기밀도를 유지시켜 음식이 짜지거나 이른 시간에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증기배출구를 뚜껑에 만들지 않고 손잡이 결합을 위한 뚜껑의 홀을 이용하여 증기배출을 제어함으로써 제조공정을 단순화하는 이점도 있다. 한편, 뚜껑을 세울수 있는 지지구조를 갖는 손잡이가 마련됨으로써 조리대나 식탁에 용이하게 뚜겅을 세워 둘 수 있기 때문에 조리기구 본체와 맞닿는 뚜껑의 테두리부분에 오염물질이 묻는 것을 예방할 수 있어 위생상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조리기구, 뚜껑, 넘침방지

Description

넘침방지 조리기구용 뚜껑{Boil-over preventing lid for cooking receptacle}
본 발명은 조리기구용 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국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증기배출량을 조절하는 조리기구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보통 국물이 많은 음식을 조리하는데 유용하게 쓰이는 일반적인 냄비와 같은 조리기구의 구성은 음식물을 담는 본체와 본체를 덮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는데, 뚜껑은 조리과정에서 본체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조리기구내의 증기와 열손실을 억제하여 음식물을 고르게 조리하며, 조리시간을 단축하는 역할을 한다.
다만, 뚜껑을 닫고 조리 할 경우, 가열조리중 쉽게 국물이 넘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보통 종래의 조리기구용 뚜껑에는 작은 증기배출구가 마련된다.
증기배출구는 조리중 발생하는 증기를 배출하여 국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지만, 종래의 증기배출구를 갖는 뚜껑은 사용하다보면 증기배출구가 음식찌꺼기로 막혀있기 쉽고 막혀 있지 않더라도 증기배출구의 직경이 너무 작아 가열조리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면 증기배출이 원할하지 못하기 때문에 국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때문에 조리시간이 경과할수록 조리기구내의 증기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증기발생량에 따라 뚜껑을 본체로부터 벗겨 본체와 뚜껑의 개방넓이를 크게 해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이는 조리자가 조리과정전체를 조리기구 옆에 지키면서 계속 살펴봐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본체와 벗겨진 뚜껑은 중심을 잃고 떨어질 확률이 크기 때문에 위험하다.
그렇다고 증기배출구를 너무 크게하거나 뚜껑을 완전히 개방하고 조리를 할 경우, 열효율이 떨어지고 액층과 기층의 온도구배로 인하여 불균일한 조리결과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조리중 발생하는 증기발생량에 따라 적절하게 증기배출량을 조절하여 국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조리기구 뚜껑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뚜껑; 상기 관통홀에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뚜껑 아랫면에서 관통홀에 걸리고 제 1증기 배출홀이 형성된 하부플랜지; 중심부가 상기 하부플랜지의 윗면에 안착되도록 끼워지고 중심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멤브레인 형태의 개폐부가 상기 제 1증기배출홀을 덮도록 형성되되, 조리기구 내부 증기압에 따라 상기 개폐부가 부재탄성력으로 승하강하여 상기 제 1증기배출홀을 통한 증기개방영역을 가변시키는 실리콘 부재; 상기 뚜껑 윗면에서 관통홀을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갖고, 상기 뚜껑의 윗면과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캡형상을 갖고, 상기 제 1증기배출홀과 연통하는 제 2증기배출홀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플랜지; 상기 상부플랜지의 윗면에 위치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연장되어 그립부가 형성되되, 상기 그립부 끝단 단면의 가상연장면에 상기 뚜껑의 테두리의 일지점이 위치하도록 형성된 손잡이;및 상기 하부플랜지,상부플랜지 및 손잡이의 바디를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방지 조리기구용 뚜껑에 의해 실현된다.
뚜껑이 잘 세워질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의 그립부는 상기 그립부 끝단 지지 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바디에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지지면 방향으로 단면적이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플랜지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바디에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플랜지에는 끼움홀이 형성되고 상기 실리콘 부재의 중심부에는 상기 끼움홀에 끼워지는 끼움턱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뚜껑의 관통홀 아랫면과 하부플랜지의 사이에는 상기 뚜껑의 관통홀 아랫면과 하부플랜지가 밀착될 수 있도록 실링부재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하부플랜지는 상기 관통홀의 직경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플랜지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를 둘러싸는 오링과 같은 실링부재가 설치되는 형태가 제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증기배출홀은 캡형상을 갖는 상기 상부플랜지의 측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넘침방지 조리기구 뚜껑은 조리기구 내부의 증기압에 따라 움직이는 얇은 멤브레인 형태의 실리콘 소재에 의하여 증기배출구의 개방면적이 조절되기 때문에 과도한 증기발생으로 국물이 넘쳐 가열기구나 식탁, 그리고 조리자의 옷을 더럽히거나 조리자에 화상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조리기구내의 적정량의 증기밀도를 유지시켜 음식이 짜지거나 이른 시간에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증기배출구를 뚜껑에 만들지 않고 손잡이 결합을 위한 뚜껑의 홀을 이용하여 증기배출을 제어함으로써 제조공정을 단순화하는 이점도 있다.
한편, 뚜껑을 세울수 있는 지지구조를 갖는 손잡이가 마련됨으로써 조리대나 식탁에 용이하게 뚜겅을 세워 둘 수 있기 때문에 조리기구 본체와 맞닿는 뚜껑의 테두리부분에 오염물질이 묻는 것을 예방할 수 있어 위생상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넘침방지 조리기구 뚜껑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구성요소들이 결합된 관통홀 주변의 모습을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도 1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는 뚜껑(100)의 관통홀(110) 아래에 위치한 하부플랜지(200)와 상기 뚜껑(100)의 관통홀(110) 위에 위치한 상부플랜지(400)및 상기 상부플랜지(400) 윗면에 위치하는 손잡이(700)가 체결볼트(600)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1및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볼트(600)와 상기 하부플랜지(200)사이와 상부플랜지(400)와 손잡이(700)사이에는 상기 체결볼트(60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와셔(W)가 삽입된다.
상기 뚜껑(100)은 일반적으로 볼록한 반구형상을 갖는 것이 보통이며 중심부에 손잡이 결합 및 증기배출을 위한 관통홀(110)이 천공되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110)의 크기는 조리기구 본체의 크기 및 이에 대응한 뚜껑의 크기나 조리기구의 용도에 따라 달리 할 수 있다.
상기 하부플랜지(200)는 상기 뚜껑(100) 아랫면에서 관통홀(110)에 걸리는데 원형의 얇은 알루미늄 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관통홀(110)의 직경보다 그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볼트(B)결합시 상기 관통홀(110)에 걸리도록 한다.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하부플랜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하부플랜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플랜지(200)에는 상기 상부플랜지(400)방향으로 돌출부(21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돌출부(210)는 상기 관통홀(1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210)의 직경(D1)은 상기 관통홀(110)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부(210)의 높이(H1)도 상기 관통홀(110) 주변의 뚜껑 두께에 맞추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210)를 형성시키는 이유는 상기 관통홀(110)이 갖는 두께로 인하여 증기배출이 방해받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고 증기배출을 방해받지 않는 범위내에서 상기 상부플랜지(300)와 체결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도 5는 도4에서 도시한 하부플랜지에 실링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 도이다.
또한, 상기 뚜껑(100)의 관통홀(110) 아랫면과 상기 하부플랜지(200)의 사이에는 상기 뚜껑(100)의 관통홀(110) 아랫면과 상기 하부플랜지(200)가 밀착될 수 있도록 실링부재(50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돌출부(210)가 형성된 경우,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210)를 둘러싸는 실리콘 오링과 같은 실링부재(500)가 설치되어 상기 뚜껑(100)의 관통홀(110)을 보다 확실하게 밀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플랜지(200)의 돌출부(210)에는 제 1증기배출홀(220)이 형성되는데 상기 돌출부(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하여 타원형태의 한쌍의 제 1증기배출홀(2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증기배출홀(220)을 통해 조리기구 내부에서 발생한 증기가 1차적으로 배출된다.
상기 돌출부(210)의 중심에는 이하 살펴볼 실리콘 부재(300)가 끼워지는 끼움홀(230)이 형성된다. 상기 끼움홀(230)은 결합을 위한 체결볼트(600)가 지나가는 곳이다.
따라서, 상기 끼움홀(230)은 상기 체결볼트(600)가 통과해야하기 때문에 상기 체결볼트(600)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되어야 하고 상기 실리콘 부재(300)의 중심부(도6및 도7의31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적정한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는 도 3에서 도시한 하부플랜지에 실리콘 부재가 끼워진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서 도시한 하부플랜지에 실리콘 부재가 끼워진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1,도 6및 도 7에서 도시한 실리콘 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1, 도 6및 도 7에서 도시한 실리콘 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및 도 7에세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플랜지(200)의 윗면에는 상기 제 1증기배출홀(220)을 통한 증기배출량을 조절하는 실리콘 부재(300)가 안착되어 끼워진다.
도 8및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리콘 부재(300)는 중심부(310)와 상기 중심부(310)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개폐부(320)로 구성된다.
상기 중심부(310)는 상기 하부플랜지(200)에 형성된 상기 끼움홀(230)에 안착되어 끼워지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중심부(310)에는 끼움턱(311)이 형성된다.
상기 끼움턱(311)의 상단(311a)은 상기 끼움홀(230)에 크기에 맞게 형성되고, 하단(311b)은 상기 끼움홀(230)보다 크게 형성하여 상기 하부플랜지(200)로부터 빠지지 않고 고정되어 안착되도록 한다. 상기 끼움턱(311)은 유연한 실리콘 소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끼움턱(311)의 탄력성을 이용하여 하단(311b)을 상기 끼움홀(230)에 끼우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중심부(310)는 상기 개폐부(320)의 승하강하는 움직임에도 상기 하부플랜지(200)로부터 쉽게 빠지지 못하도록 어느정도의 두께(도 9의 t1)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상기 중심부(310)의 양끝단에 연장되어 형성된 상기 개폐부(320)는 증기압에 승하강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상기 중심부(310)의 두께(도 9의 t1)보다 상대적으로 그 두께(도 9의 t2)가 매우 얇은 멤브레인 형태를 갖는다.
상기 중심부(310)의 중심에는 결합을 위한 체결볼트(B)가 지나가도록 볼트홀(330)이 형성된다.
도 10은 도 1에서 도시한 상부플랜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에서 도시한 상부플랜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상기 상부플랜지(400)는 상기 관통홀(110)의 윗면에 위치하는데,
도 10및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의 얇은 알루미늄 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플랜지(200)와 결합시 상기 뚜껑(100)의 윗면과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부플랜지(400)의 테두리에 측면부(410)가 마련된 캡형상을 갖는다.
상기 상부플랜지(400) 직경은 상기 관통홀(110)의 직경보다 훨씬 크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플랜지(200)와 결합시 상기 관통홀(110)에 걸림과 동시에, 상기 제 1증기배출홀(220)로부터 배출된 증기를 안내하기 위한 어느정도의 공간을 확보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하부플랜지(200)와 결합시 상기 상부플랜지(400)는 상기 관통홀(110)을 돔형태로 덮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상기 상부플랜지(400)의 측면부(410)에는 다수개의 제 2증기배출홀(420)이 형성된다. 상기 제 1증기배출홀(220)로부터 배출된 증기를 최종적으로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상부플랜지(400)의 강도를 고려하여 상기 제 1증기배출홀(220)보다 작게 다수개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증기배출홀(420)은 상기 상부플랜지(400)의 측면부(410)에 형성되어 상기 제 1증기배출홀(220)의 증기배출방향과 상이하게 때문에 증기가 급격하게 빠져나오는 것을 완충시켜주는 역할을 하여 보다 정밀하게 증기배출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상부플랜지(400)의 중앙에는 이후 설명할 손잡이(700)의 바디(710)가 용이하게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안착부(43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안착부(430)안에 상기 손잡이(700)의 바디(710)의 걸림돌기(도1의730)가 삽입되는 걸림홈(440)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플랜지(400)의 중심에는 체결볼트(600)가 지나가는 볼트홀(450)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700)의 바디(710)의 걸림돌기(도 1의730)는 상기 바디(710)가 상기 안착부(430)에서 결합이 느슨해지고 헛돌아 상기 손잡이(70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손잡이(700)의 바디(710)에는 체결볼트(600)가 삽입되는 나사홀(도1 의740)이 형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일 실시예의 사용상태 및 이에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일 실시예의 뚜껑이 적용되는 조리기구(예를들어, 냄비)에 음식물을 넣고 뚜 껑을 덮으면 자중 및 실리콘 부재의 중심부에 일체로 형성된 개폐부의 본위치상 제 1증기배출홀(220)을 폐쇄한 상태로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가열기구를 통해 조리기구를 가열하기 시작하면 조리기구 내부의 증기발생량이 증가하기 시작한다. 가열이 계속되면 조리기구 내부의 증기발생량이 더욱 증가하고 증기압이 증가한다.
하지만, 증기압이 상기 개폐부의 자중 및 부재탄성력을 극복할 정도까지 이르지 못하면 상기 개폐부(320)에 의해 제 1증기배출홀(220)이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고 조리기구 내부는 음식물을 익히기 위한 온도와 증기압에 향해 빠르게 도달할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넘침방지 조리기구 뚜껑의 증기배출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후, 가열이 계속되어 음식물이 끓는등 증기발생량이 더욱 증가하여 발생된 증기가 제 1증기배출홀(220)을 덮고 있는 상기 개폐부(320)에 압력을 가하기 시작하고 상기 개폐부(320)의 자중 및 부재탄성력을 극복할 정도의 증기압이 가해지면,
도 12의(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연하고 탄성력을 갖는 실리콘 소재로 구성되는 상기 개폐부(320)는 상기 중심부(310)를 중심으로 승강하여 어느정도의 증기개방영역를 확보하면서 증기배출이 시작된다.
여기서, 증기개방영역이란, 상기 제 1증기배출홀(220)의 넓이중 상기 개폐부(320)가 승강하여 상기 제 1증기배출홀(220)과 상기 개폐부(320)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상기 제 1증기배출홀(220)의 부분개방되는 영역을 말한다.
증기배출이후에도 증기배출량이 크게 증가한 경우,
도 12의(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증기압에 의해 상기 개폐부(320)는 상기 중심부(310)를 중심으로 승강하는 범위가 커지고 자연스럽게 더욱 큰 증기개방영역를 확보하면서 더 많은 양의 증기를 배출하게 되고,
도 12의(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최대로 제 1증기배출홀(220)이 전면개방되는 상태와 같은 상태까지 이를 수 있다.
증기 배출이 진행되어 조리기구내의 온도와 증기압이 감소하면,
도 12의 (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320)는 자중 및 부재탄성력으로 인하여 하강하면서 증기개방영역을 줄여 증기배출량을 줄이고 어느 정도 이르면, 상기 제 1증기배출홀(220)을 폐쇄한 상태로 유지할 것이다.
이러한 작동과정을 통해서 조리기구내 음식물의 국물이 넘치지 않도록 조리과정의 가열정도에 대응하여 증기배출량을 조절한다. 때문에 조리기구 내부는 국물이 넘치지 않으면서도 음식물이 알맞게 조리될 수 있는 온도와 증기밀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실제로 본 발명을 사용한 조리기구에서 음식물 조리중 조리기구내의 기층의 온도가 일반 뚜껑을 사용한 조리기구보다 훨씬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국물이 넘치는 현상도 없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사용한 조리기구에서는 조리중 음식물의 온도와 조리기구내 기층의 온도차이를 최소화하여 조리시간 단축뿐만아니라 균일한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적절한 제 1증기배출홀의 부분개방은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리시간을 단 축할 수 있기 때문에 열에너지 효율면에서도 유리한 이점이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넘침방지 조리기구 뚜껑이 세워진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한편, 일 실시예의 손잡이는 상기 상부플랜지에 결합되는 바디(710)와 상기 바디(710)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그립부(720)로 구성된다.
그런데 손잡이를 통해 용이하게 뚜겅을 열고 닫을 수 있지만 보통은 조리중에 조리자는 양념을 넣거나 간을 맞추기 위해 뚜껑을 열어 놓을 때 뜨거운 뚜껑을 놓을 곳이 마땅하지 않아 많이 불편하다.
그리고 뚜껑을 바닥에 엎어놓기에는 바닥의 오염물이 뚜껑에 묻어 위생상 좋지 않다. 뚜껑을 뒤집어 놓는다고 하여도 놓는 과정에서 뜨거운 뚜껑이 손에 닿을 수 있어 위험하다.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그립부(720)는 뚜껑(100)을 바닥에 안정되게 세워놓을 수 있도록 상기 그립부 끝단(도 13의 C) 단면의 가상연장면(L)에 상기 뚜껑의(100) 테두리의 일지점(P)이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보다 안정감있게 뚜껑이 세워지기 위해서는 상기 그립부(720)는 상기 그립부 끝단 지지면(S)과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바디(710)에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지지면(S)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단면적이 넓어지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예 및 수정 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넘침방지 조리기구 뚜껑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구성요소들이 결합된 관통홀 주변의 모습을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하부플랜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하부플랜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4에서 도시한 하부플랜지에 실링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서 도시한 하부플랜지에 실리콘 부재가 끼워진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서 도시한 하부플랜지에 실리콘 부재가 끼워진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1,도 6및 도 7에서 도시한 실리콘 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1,도 6및 도 7에서 도시한 실리콘 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서 도시한 상부플랜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에서 도시한 상부플랜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넘침방지 조리기구 뚜껑의 증기배출과 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넘침방지 조리기구 뚜껑이 세워진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뚜껑 110 : 관통홀
200 : 하부플랜지 220 : 제 1증기배출홀
300 : 실리콘 부재 400 : 상부플랜지
420 : 제 2증기배출홀 500 : 실링부재
600 : 체결볼트 700 : 손잡이

Claims (7)

  1.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뚜껑;
    상기 관통홀에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뚜껑 아랫면에서 관통홀에 걸리고 제 1증기 배출홀이 형성된 하부플랜지;
    중심부가 상기 하부플랜지의 윗면에 안착되도록 끼워지고 중심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멤브레인 형태의 개폐부가 상기 제 1증기배출홀을 덮도록 형성되되, 조리기구 내부 증기압에 따라 상기 개폐부가 부재탄성력으로 승하강하여 상기 제 1증기배출홀을 통한 증기개방영역을 가변시키는 실리콘 부재;
    상기 뚜껑 윗면에서 관통홀을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갖고, 상기 뚜껑의 윗면과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캡형상을 갖고, 상기 제 1증기배출홀과 연통하는 제 2증기배출홀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플랜지;
    상기 상부플랜지의 윗면에 위치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연장되어 그립부가 형성되되, 상기 그립부 끝단 단면의 가상연장면에 상기 뚜껑의 테두리의 일지점이 위치하도록 형성된 손잡이;및
    상기 하부플랜지,상부플랜지 및 손잡이의 바디를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의 관통홀 아랫면과 하부플랜지의 사이에는 상기 뚜껑의 관통홀 아랫면과 하부플랜지가 밀착될 수 있도록 실링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플랜지는 상기 관통홀의 직경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플랜지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를 둘러싸는 실링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방지 조리기구용 뚜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그립부는 상기 그립부 끝단 지지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바디에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지지면 방향으로 단면적이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방지 조리기구용 뚜껑.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랜지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바디에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방지 조리기구용 뚜껑.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플랜지에는 끼움홀이 형성되고
    상기 실리콘 부재의 중심부에는 상기 끼움홀에 끼워지는 끼움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방지 조리기구용 뚜껑.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증기배출홀은 캡형상을 갖는 상기 상부플랜지의 측면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방지 조리기구용 뚜껑.
KR1020090129960A 2009-12-23 2009-12-23 넘침방지 조리기구용 뚜껑 KR101136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960A KR101136091B1 (ko) 2009-12-23 2009-12-23 넘침방지 조리기구용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960A KR101136091B1 (ko) 2009-12-23 2009-12-23 넘침방지 조리기구용 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862A KR20110072862A (ko) 2011-06-29
KR101136091B1 true KR101136091B1 (ko) 2012-04-17

Family

ID=44403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9960A KR101136091B1 (ko) 2009-12-23 2009-12-23 넘침방지 조리기구용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60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13312A (zh) * 2018-06-20 2019-12-27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智能烹饪方法、烹饪设备及存储介质
US11547239B2 (en) * 2018-01-31 2023-01-10 Advanced Digital Broadcast S.A. System for detecting a possibility of boiling over and preventing said boiling ov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257B1 (ko) * 2011-11-03 2012-05-10 서정덕 냄비뚜껑 조립체
KR101415804B1 (ko) * 2012-11-22 2014-07-08 주식회사 해피콜 진공냄비뚜껑용 체크밸브
JP5855263B2 (ja) * 2012-04-05 2016-02-09 ハッピーコー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真空可能な鍋用蓋及びこれを用いた鍋
KR101358244B1 (ko) * 2012-04-05 2014-02-05 주식회사 해피콜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499Y1 (ko) * 2004-06-01 2004-08-18 여운관 넘침 방지 냄비뚜껑
KR200368226Y1 (ko) * 2004-08-23 2004-11-17 김성곤 넘침 방지용 용기뚜껑
KR20050094730A (ko) * 2004-05-20 2005-09-28 여운관 넘침 방지 냄비뚜껑 손잡이
KR100686320B1 (ko) * 2005-11-03 2007-02-22 주식회사 셰펠 조리용기용 넘침방지뚜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4730A (ko) * 2004-05-20 2005-09-28 여운관 넘침 방지 냄비뚜껑 손잡이
KR200359499Y1 (ko) * 2004-06-01 2004-08-18 여운관 넘침 방지 냄비뚜껑
KR200368226Y1 (ko) * 2004-08-23 2004-11-17 김성곤 넘침 방지용 용기뚜껑
KR100686320B1 (ko) * 2005-11-03 2007-02-22 주식회사 셰펠 조리용기용 넘침방지뚜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47239B2 (en) * 2018-01-31 2023-01-10 Advanced Digital Broadcast S.A. System for detecting a possibility of boiling over and preventing said boiling over
CN110613312A (zh) * 2018-06-20 2019-12-27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智能烹饪方法、烹饪设备及存储介质
CN110613312B (zh) * 2018-06-20 2021-05-25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智能烹饪方法、烹饪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862A (ko)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6091B1 (ko) 넘침방지 조리기구용 뚜껑
KR200440495Y1 (ko) 넘침방지 기능을 갖춘 조리기구용 뚜껑
KR101678966B1 (ko) 스팀배출구가 없는 에너지 절약형 안전 냄비
JP2013503704A (ja) 組合わせ複数容器調理用具
JP3177082U (ja) 殻のない卵の調理器具
KR20090068085A (ko) 남비 뚜껑 손잡이
JP3182845U (ja) ウォーターシール鍋
EP1152679B1 (en) Pot having a lid
KR101409033B1 (ko) 넘침방지 기능을 갖춘 조리 용기 뚜껑
US20170354293A1 (en) Silicone liner for slow cooker
KR200391165Y1 (ko) 가열용기의 음식물 넘침 방지용 자동 압력조절 구조
KR20110001116U (ko) 직화형 다기능 요리기기
US20080072768A1 (en) Food steamer
KR200323694Y1 (ko) 넘침 방지 냄비뚜껑 손잡이
KR20120057475A (ko) 넘침 방지기능을 갖는 이중뚜껑 조리용기
KR20050094730A (ko) 넘침 방지 냄비뚜껑 손잡이
KR100650985B1 (ko) 항아리 가마솥
KR200472073Y1 (ko)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
KR20110000512U (ko) 직화형 후라이팬
KR102648107B1 (ko) 넘침 방지 기능을 가진 진공 조리기
KR101141739B1 (ko) 조리용기의 넘침 방지장치
KR200275732Y1 (ko) 음식물 넘침방지용 조리용기
KR102348861B1 (ko) 누름판을 구비하는 양면팬
KR200385028Y1 (ko) 항아리 가마솥
KR200279277Y1 (ko) 개량된 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