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861B1 - 누름판을 구비하는 양면팬 - Google Patents

누름판을 구비하는 양면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861B1
KR102348861B1 KR1020210063156A KR20210063156A KR102348861B1 KR 102348861 B1 KR102348861 B1 KR 102348861B1 KR 1020210063156 A KR1020210063156 A KR 1020210063156A KR 20210063156 A KR20210063156 A KR 20210063156A KR 102348861 B1 KR102348861 B1 KR 102348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plate
cooking
double
present
low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경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램프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램프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램프쿡
Priority to KR1020210063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8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11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the food being cooked between two heating plates, e.g. waffle-ir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11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the food being cooked between two heating plates, e.g. waffle-irons
    • A47J2037/0617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the food being cooked between two heating plates, e.g. waffle-irons with means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heating pl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름판을 구비하는 양면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재료를 지그시 누르는 상태로 조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구조를 제공하여 다양한 요리를 신속하게 조리할 수도 있으면서 편리한 조리를 가능하게 하되, 실리콘 소재의 탄성부재와 스프링으로 된 새로운 구조의 탄성체를 통해 탄성력 향상과 더불어 유지관리가 편리한 누름판을 구비하는 양면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식재료에 올려놓는 누름판을 구비함으로써 식재료를 지그시 누르는 상태로 조리를 할 수 있도록 하여 고기, 오징어, 쥐포와 같은 다양한 요리를 신속하게 조리할 수도 있으면서 조리과정에서 고르게 익히기 위해 눌러주는 행위가 불필요함으로써 화상으로부터 안전하면서도 편리한 조리를 가능하게 하되, 실리콘 소재의 탄성부재와 스프링으로 된 새로운 구조의 탄성체를 통해 탄성력 향상과 더불어 유지관리가 편리한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누름판을 구비하는 양면팬{Double-sided fan with pressing plate}
본 발명은 누름판을 구비하는 양면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재료를 지그시 누르는 상태로 조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구조를 제공하여 다양한 요리를 신속하게 조리할 수도 있으면서 편리한 조리를 가능하게 하되, 실리콘 소재의 탄성부재와 스프링으로 된 새로운 구조의 탄성체를 통해 탄성력 향상과 더불어 유지관리가 편리한 누름판을 구비하는 양면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면팬은 두 개의 팬이 하나로 합쳐진 주방기구로서, 상기 양면팬은 상/하부본체로 이루어지고 힌지로 서로 결합되어 개폐 작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양면팬은 생선, 고기 등과 같은 어류나 육류 등을 구울 때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상기 양면팬은 양면을 가열할 수 있기 때문에 음식물을 직접 뒤집어주지 않고 양면팬을 뒤집어줌으로써 가능하여 그 편리함 때문에 널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컨대 대한민국특허등록번호 제10-1322408호(2013.10.28. 공고)의 양면 프라이팬이 제공되고 있는데, 양면을 가열할 수 있는 일반적인 양면팬으로써 상/하부프라이팬을 열 때 액체성분을 수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신속하면서도 다양한 요리를 구현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식재료를 지그시 누르는 상태로 조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구조를 제공하여 다양한 요리를 신속하게 조리할 수도 있으면서 편리한 조리를 가능하게 하되, 실리콘 소재의 탄성부재와 스프링으로 된 새로운 구조의 탄성체를 통해 탄성력 향상과 더불어 유지관리가 편리한 누름판을 구비하는 양면팬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공간이 형성되고, 전측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며, 상기 조리공간을 형성하는 후측벽 상측에는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토록 하는 배출홈이 형성된 하부본체; 상기 하부본체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부본체; 상기 하부본체와 상부본체의 후방측을 상호 접철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재; 및 상기 하부본체의 조리공간 바닥면에 위치되는 식재료의 상부에 위치되어 지그시 눌러주기 위해 구비되며, 상면에는 결합부가 구비되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누르고 있는 식재료의 상부로 열기를 전달할 수 있어 고르고 신속하게 조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누름판;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본체의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누름판이 안치되었을 때 유동을 최소화하기 위한 지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누름판의 상면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부본체를 닫을 때 상부본체 저면에 탄성지지되어 탄성력에 의해 지그시 식재료를 눌러주기 위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실리콘 소재로 형성되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 내부에는 스프링이 구비되어서 탄성력을 향상시키면서 상기 상부본체를 닫을 때 상기 탄성부재와 함께 탄성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누름판의 어느 일측에는 손잡이가 구비되어서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식재료에 올려놓는 누름판을 구비함으로써 식재료를 지그시 누르는 상태로 조리를 할 수 있도록 하여 고기, 오징어, 쥐포와 같은 다양한 요리를 신속하게 조리할 수도 있으면서 조리과정에서 고르게 익히기 위해 눌러주는 행위가 불필요함으로써 화상으로부터 안전하면서도 편리한 조리를 가능하게 하되, 실리콘 소재의 탄성부재와 스프링으로 된 새로운 구조의 탄성체를 통해 탄성력 향상과 더불어 유지관리가 편리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판을 구비하는 양면팬을 보인 사시도.
도 2의 "가"내지 "다"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판을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판이 장착된 모습을 보인 개략적 평면도.
도 4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판을 구비하는 양면팬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판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판을 보인 종단면도.
도 7의 "가" 내지 "다"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다양한 형태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판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누름판을 구비하는 양면팬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판을 구비하는 양면팬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의 "가"내지 "다"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판을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판이 장착된 모습을 보인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누름판을 구비하는 양면팬은 크게 하부본체(10), 상부본체(20), 힌지부재(30) 및 누름판(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본체(10)는 내부에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공간(12)이 형성되고, 전측에는 손잡이(14)가 구비되며 상기 조리공간(12)을 형성하는 후측벽 상측에는 배출홈(18)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배출홈(18)은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토록 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한편 배출홈(18)은 상부본체(20)에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어느 한 쪽에만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상기 하부본체(10)의 조리공간(12)을 형성하는 외벽의 상면에는 밀폐성을 위한 패킹(19)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모서리 부분에는 안치될 누름판(40)이 흔들리지 않고 안정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지돌기(1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본체(20)는 상기 하부본체(1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측에는 손잡이(24)가 마련되며, 조리공간(22)이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본체(10) 및 상부본체(20)는 후방측을 상호 접철 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는 힌지부재(30)로 인해 접철 작동 가능하게 구성되는데, 이러한 구성은 이미 종래에서도 언급하고 있는 바 본원에서는 별도의 상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하부본체(10)와 상부본체(20)의 손잡이(14,24)에는 미부호 설명이나 자석이 구비되거나 체결장치가 마련되어 있어 상/하부본체(10,20)가 무단으로 개폐되지 않도록 구성하는데, 이러한 구성도 널리 공지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누름판(40)은 상기 하부본체(10)의 조리공간(12) 바닥면에 위치되는 식재료의 상부에 위치되어 지그시 눌러주기 위한 금속소재의 판재로써, 상기 누름판(40)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관통공(42)이 형성되어 누르고 있는 식재료의 상부로 열기를 전달할 수 있어 고르고 신속하게 조리를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누름판(40)의 일측에는 손잡이(44)가 구비되어서 파지력을 좋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손잡이(44)는 도 2의 "가" 내지 "다"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형태나 위치가 다양하게 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42)도 도면상에는 원통형 형상이지만, 사각형 및 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을 인지해야 될 것이다. 이와 함께 누름판(40)의 하면에는 문양을 형성하여 식재료를 누를 때 덜 달라붙거나 식재료에 그 문양이 형성되도록 하여 미감을 더 좋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누름판(40)은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본체(10)의 조리공간(12) 내부로 안치되는데, 이 과정에서 조리공간(12)의 각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지지돌기(16)가 누름판(40)을 사방에서 지지하게 됨으로써 유동이 최소화되어 사용이 더 편리할 것이다.
도 4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판을 구비하는 양면팬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측단면도이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상부본체(20)를 열어서 개방하고 하부본체(10)의 조리공간(12) 바닥에 식재료를 넣고 그 위에 누름판(40)을 올려놓게 되는데, 그러면 자중에 의해서 식재료(50)를 지그시 누르게 될 것이다. 이때 누름판(40)에 구비되는 손잡이(44)를 파지하게 되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다음, 상부본체(20)를 닫고 하부본체(10) 하면을 가열하게 되면 식재료(50)가 조리가 될 것인데, 이때 식재료(50)는 누르고 있는 누름판(40)에 의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어느 한 쪽이 들뜨지 않고 고르게 조리가 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상/하부본체(10,20)의 조리공간(12,22)의 열기가 누름판(40)에 형성된 관통공(42)을 통해서 식재료(50)의 상부로 전달됨에 따라 얇은 식재료(50)는 굳이 뒤집지 않더라도 조리가 되는 장점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식재료(50)에서 증발되는 수증기는 누름판(40)과 하부본체(10) 사이에 갇히는 것이 아니라 관통공(42)을 통해서 증발됨에 따라 촉촉하면서도 노릇하게 조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렇듯, 누름판(40)을 올려놓는 방법으로 조리를 하게 되면 특히 삼겹살 같은 고리류, 오징어, 쥐포, 장어 등 굽는 요리를 할 때 지그시 눌러 줄 수 있어 고르게 익히면서도 신속하게 조리를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와 같이 누름판(40)을 단순히 올려놓기만 해도 전술한 바와 같이 많은 장점이 있지만 탄성력으로 보다 적극적으로 누르게 되면 효과가 더 우수할 것인데, 이에 대해서는 다른 일실시예를 통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판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판을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7의 "가" 내지 "다"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다양한 형태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판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기에 앞서, 다른 일실시예일지라도 바람직한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5 및 7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판(40a)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관통공(42)이 형성됨은 당연하고, 관통공(42)의 형상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누름판(40a) 상면에 탄성부재(46)가 더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동시에 상기 누름판(40a)의 상면에는 상기 탄성부재(46)를 장착할 결합부(45)가 형성된다. 이렇게 탄성부재(46)를 구비하는 것은 상부본체(20)를 덮을 때 저면에 탄성지지됨으로써 누름판(40a)이 탄성력으로 식재료를 지그시 눌러 줄 수 있도록 구현한 것이다. 결국, 상기 누름판(40a)이 탄성력으로 식재료를 보다 적극적으로 눌러 줌으로써 밀착력이 더 좋고, 들뜨는 현상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탄성력이 있기 때문에 식재료에 손상이 가는 일도 거의 없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을 것이다.
상기 탄성부재(46)는 탄성력을 가지는 소재이면 만족하나, 바람직하게는 하부로 개방된 형상의 중공부(47)를 가지며 탄성력 있는 실리콘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45)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46)는 탄성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 7의 "가" 및 "나"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48)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스프링은(48)은 상기 중공부(47) 내부에 위치되거나 혹은 중공부(47) 외벽 내부에 일체로 매립된 채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46)은 실리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스프링(48)은 널리 공지된 바와 같이 금속소재이다. 물론, 스프링(48)을 단독으로 탄성부재(40a)로서 직접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럴 경우에는 스프링(48) 사이사이로 조리시 발생되는 찌꺼기나 유분이 묻어나 세척과 같은 유지관리에 불편함이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46)는 주름관 형태로 구현되어 신축 작용이 원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탄성부재(46)가 구비된 누름판(40a)도 동일하게 식재료를 누르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즉,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누름판(40a)은 하부본체(10)의 조리공간(12)에 위치된 식재료(50) 상부에 안치되어서 식재료(50)를 눌러주는데, 단순히 자중에 의해 누르고 있는 상태만 아니라 상부본체(20)를 닫게 되면 탄성부재(46)로 인해 탄성지지되면서 식재료를 적극적으로 눌러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더 고르고 신속하게 조리가 가능한 큰 장점이 있다.
또한, 상/하부본체(10,20)의 조리공간(12,22)의 열기가 누름판(40)에 형성된 관통공(42)을 통해서 식재료(50)의 상부로 전달됨에 따라 얇은 식재료는 굳이 뒤집지 않더라도 조리가 되는 장점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식재료를 고르게 익히기 위해 눌러주는 행위가 불필요함에 따라 화상 위험으로부터도 안전한 예상치 못한 효과도 창출하게 된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 : 하부본체 12 : 조리공간
14 : 손잡이 16 : 지지돌기
18 : 배출홈 19 : 패킹
20 : 상부본체 22 : 조리공간
24 : 손잡이 30 : 힌지부재
40 : 누름판 42 : 관통공
44 : 손잡이 45 : 결합부
46 : 탄성부재 47 : 중공부
48 : 스프링 50 : 식재료

Claims (6)

  1. 내부에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공간이 형성되고, 전측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며, 상기 조리공간을 형성하는 후측벽 상측에는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토록 하는 배출홈이 형성된 하부본체;
    상기 하부본체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부본체;
    상기 하부본체와 상부본체의 후방측을 상호 접철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재; 및
    상기 하부본체의 조리공간 바닥면에 위치되는 식재료의 상부에 위치되어 지그시 눌러주기 위해 구비되며, 상면에는 결합부가 구비되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누르고 있는 식재료의 상부로 열기를 전달할 수 있어 고르고 신속하게 조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누름판;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본체의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누름판이 안치되었을 때 유동을 최소화하기 위한 지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누름판의 상면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부본체를 닫을 때 상부본체 저면에 탄성지지되어 탄성력에 의해 지그시 식재료를 눌러주기 위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실리콘 소재로 형성되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 내부에는 스프링이 구비되어서 탄성력을 향상시키면서 상기 상부본체를 닫을 때 상기 탄성부재와 함께 탄성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판을 구비하는 양면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의 어느 일측에는 손잡이가 구비되어서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판을 구비하는 양면팬.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10063156A 2021-05-17 2021-05-17 누름판을 구비하는 양면팬 KR102348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156A KR102348861B1 (ko) 2021-05-17 2021-05-17 누름판을 구비하는 양면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156A KR102348861B1 (ko) 2021-05-17 2021-05-17 누름판을 구비하는 양면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8861B1 true KR102348861B1 (ko) 2022-01-10

Family

ID=79347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156A KR102348861B1 (ko) 2021-05-17 2021-05-17 누름판을 구비하는 양면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86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952Y1 (ko) * 2003-04-01 2003-07-04 김정식 양면 후라이팬
JP2003304975A (ja) * 2002-04-15 2003-10-28 Aoba:Kk 加熱調理器
KR20180089969A (ko) * 2017-02-02 2018-08-10 서성준 식품 보관용기의 누름판
KR20200069636A (ko) * 2018-12-07 2020-06-17 안인성 원심 탈지구조를 갖는 회전식 구이장치
CN211609355U (zh) * 2019-12-31 2020-10-02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
KR102171633B1 (ko) * 2019-02-20 2020-10-29 서경찬 기름유출 방지 양면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4975A (ja) * 2002-04-15 2003-10-28 Aoba:Kk 加熱調理器
KR200318952Y1 (ko) * 2003-04-01 2003-07-04 김정식 양면 후라이팬
KR20180089969A (ko) * 2017-02-02 2018-08-10 서성준 식품 보관용기의 누름판
KR20200069636A (ko) * 2018-12-07 2020-06-17 안인성 원심 탈지구조를 갖는 회전식 구이장치
KR102171633B1 (ko) * 2019-02-20 2020-10-29 서경찬 기름유출 방지 양면팬
CN211609355U (zh) * 2019-12-31 2020-10-02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203049B2 (en) Multifunctional Cookware
US5974953A (en) Kitchen and table-ware for steam cooking
KR102348861B1 (ko) 누름판을 구비하는 양면팬
KR20110072862A (ko) 넘침방지 조리기구용 뚜껑
US20080072768A1 (en) Food steamer
KR102348862B1 (ko) 누름판을 구비하는 양면팬
KR102296337B1 (ko) 누름판을 구비하는 다용도 조리기구
KR200454958Y1 (ko) 양면 후라이팬
KR20110000512U (ko) 직화형 후라이팬
JPH072137B2 (ja) 加熱調理装置
JP2588141B2 (ja) 組合せ調理鍋
KR101404928B1 (ko) 다용도 냄비
KR200487295Y1 (ko) 요리용 찜기
KR200318987Y1 (ko) 조리용기
KR200390741Y1 (ko) 다중 조리가 가능한 솥
KR101728660B1 (ko) 전자렌지용 취사 용기
KR20060095421A (ko) 다중 조리가 가능한 솥
CN212280973U (zh) 一种炖蒸锅
KR200479981Y1 (ko) 다목적 조리 기구
JP3075968U (ja) 多機能鍋
KR20130002319U (ko)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
CN207970015U (zh) 一种双面烤盘
CN212415451U (zh) 一种锅具
KR20040087397A (ko) 다용도 양면조리팬
KR101844027B1 (ko) 숯수용부를 구비한 기능성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