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319U -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 - Google Patents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319U
KR20130002319U KR2020110008972U KR20110008972U KR20130002319U KR 20130002319 U KR20130002319 U KR 20130002319U KR 2020110008972 U KR2020110008972 U KR 2020110008972U KR 20110008972 U KR20110008972 U KR 20110008972U KR 20130002319 U KR20130002319 U KR 201300023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body
pot
overflow
water
ingredi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89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2073Y1 (ko
Inventor
오재탁
Original Assignee
오재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재탁 filed Critical 오재탁
Priority to KR20201100089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073Y1/ko
Publication of KR201300023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3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0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0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47J27/13Tier cooking-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냄비본체; 상기 냄비본체의 상단부에 체결수단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냄비본체의 높이를 연장시켜 끓는 물이나, 식재료가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넘침방지수단; 및 상기 넘침방지수단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패킹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에 냄비에서 물이 끓는 경우 물이나, 식재료가 냄비 밖으로 끓어 넘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냄비본체를 높이를 연장시키기 위한 넘침방지수단을 도입하여 물이 끓는 경우에도 물이나, 식재료가 냄비 밖으로 넘쳐흐르는 것이 방지되어 조리작업이 편리해지고, 또한 조리 중 물이나, 식재료가 흘러넘쳐 불이 꺼지는 것을 염려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끓어 넘친 물이나 식재료에 의하여 주변 장소가 더럽혀지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조리 후, 불필요하게 청소를 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는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를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POT FOR PREVENTING OVERFLOW}
본 고안은 종래에 냄비에서 물이 끓는 경우 물이나, 식재료가 냄비 밖으로 끓어 넘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냄비본체를 높이를 연장시키기 위한 넘침방지수단을 도입하여 물이 끓는 경우에도 물이나, 식재료가 냄비 밖으로 넘쳐흐르는 것이 방지되어 조리작업이 편리해지고, 또한 조리 중 물이나, 식재료가 흘러넘쳐 불이 꺼지는 것을 염려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끓어 넘친 물이나 식재료에 의하여 주변 장소가 더럽혀지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조리 후, 불필요하게 청소를 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에 물이나, 식재료가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냄비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특1999-0084420호(1999.12.06.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 "넘침방지용 냄비"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냄비의 뚜껑 테두리에 다수개의 수증기 배출용 원형결합공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위치로 냄비 본체의 프레임 상단에 받침 겸용 결합용 원형돌부를 형성하여 뚜껑을 닫았을 때는 상기 원형 결합공이 본체의 프레임에 형성되는 원형돌부에 결합되어 밀폐 상태에서 조리를 할 수 있게 되고 내부의 내용물이 끓게되어 수증기가 발생하게 되면 상기 뚜껑을 들어올려 일측으로 회전시켜 올려놓게 되면 상기 본체의 프레임에 형성되는 원형돌부에 뚜껑의 테두리가 올라 타면서 공간이 생겨 내부의 수증기(김)가 원형돌부의 공간과 뚜껑에 형성되는 원형결합공으로 배출되어 냄비 내부의 조리되는 내용물이 넘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오염시키지 않고 사용상 편리함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냄비의 기능과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냄비에서 물이나, 식재료가 가열되어 끓는 경우 원형결합공만으로 수증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원형결합공으로 배출되는 수증기의 양이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고,
또한 물이나 식재료가 고온으로 가열되어 끓는 경우에는 종래기술과 같이 수증기의 배출만으로는 물이나, 식재료가 끓어 넘치는 것을 해결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종래기술은 물이나 식재료가 냄비 밖으로 끓어 넘쳐 렌지의 불이 꺼질 수 있으며,
사용자는 불이 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조리 중에 냄비의 상태를 수시로 살펴야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방지하기 위해 불의 강도를 조절하는 경우 끓어 넘치는 뜨거운 물이나, 식재료에 의하여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위험이 초래된다.
더 나아가 상기한 바와 같이 물이나, 식재료가 끓어 넘치는 경우에는 렌지나, 그 주변이 더럽혀져 조리 후, 렌지나, 그 주변을 청소하여야 하는 등의 많은 불편함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종래에 냄비에서 물이 끓는 경우 물이나, 식재료가 냄비 밖으로 끓어 넘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냄비본체를 높이를 연장시키기 위한 넘침방지수단을 도입하여 물이 끓는 경우에도 물이나, 식재료가 냄비 밖으로 넘쳐흐르는 것이 방지되어 조리작업이 편리해지고,
또한 조리 중 물이나, 식재료가 흘러넘쳐 불이 꺼지는 것을 염려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끓어 넘친 물이나 식재료에 의하여 주변 장소가 더럽혀지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조리 후, 불필요하게 청소를 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냄비본체와 넘침방지수단의 결합부위에 패킹부재가 구비되어 밀폐성을 보장하게 되는데, 이 경우 패킹부재의 제2 밀착부가 냄비본체의 내벽면에서 이격되어 있다가,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제2 밀착부가 팽창하여 냄비본체의 내벽면에 밀착되어 밀폐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냄비본체와 넘침방지수단의 결합 시, 냄비본체의 내벽면과 제2 밀착부의 접촉면이 비접촉됨으로써 냄비본체와 넘침방지수단간의 결합작업을 쉽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는 냄비본체; 상기 냄비본체의 상단부에 체결수단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냄비본체의 높이를 연장시켜 끓는 물이나, 식재료가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넘침방지수단; 및 상기 넘침방지수단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패킹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냄비본체의 상단면에 밀착되는 제1 밀착부와, 상기 제1 밀착부의 내측부에 연결되어 상기 냄비본체의 상단부 내벽면과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팽창하여 상기 냄비본체의 내벽면에 밀착되는 제2 밀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제2 밀착부에서 상기 냄비본체와의 접촉면에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냄비본체와 상기 넘침방지수단의 결합 시, 결합용이성을 보장하기 위한 경사부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넘침방지수단의 하부 외측면 또는 상기 냄비본체의 상부 외측면에 힌지결합되는 복수의 클램핑부재와, 상기 냄비본체의 상부 외측면 또는 상기 넘침방지수단의 하부 외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각 클램핑부재가 체결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는 종래에 냄비에서 물이 끓는 경우 물이나, 식재료가 냄비 밖으로 끓어 넘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냄비본체를 높이를 연장시키기 위한 넘침방지수단을 도입하여 물이 끓는 경우에도 물이나, 식재료가 냄비 밖으로 넘쳐흐르는 것이 방지되어 조리작업이 편리해진다.
또한 본 고안은 조리 중 물이나, 식재료가 흘러넘쳐 불이 꺼지는 것을 염려할 필요가 없고, 또한 끓어 넘친 물이나 식재료에 의하여 주변 장소가 더럽혀지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조리 후, 불필요하게 청소를 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냄비본체와 넘침방지수단의 결합부위에 패킹부재가 구비되어 밀폐성을 보장하게 되는데, 이 경우 패킹부재의 제2 밀착부가 냄비본체의 내벽면에서 이격되어 있다가,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제2 밀착부가 팽창하여 냄비본체의 내벽면에 밀착되어 밀폐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냄비본체와 넘침방지수단의 결합 시, 냄비본체의 내벽면과 제2 밀착부의 접촉면이 비접촉됨으로써 냄비본체와 넘침방지수단간의 결합작업을 쉽고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의 체결수단은 나타내는 단면도 및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의 체결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확대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는
냄비본체(10); 상기 냄비본체(10)의 상단부에 체결수단(40)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냄비본체(10)의 높이를 연장시켜 끓는 물이나, 식재료가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넘침방지수단(20); 및 상기 넘침방지수단(2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패킹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에서, 상기 냄비본체(10)는
물과 식재료가 담겨 가열수단에 의하여 가열되어 조리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냄비본체(10)는 물과 식재료가 담기는 수용부(11)와, 외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손잡이(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손잡이(13)에는 열전도율이 낮은 나무나, 이와 유사한 재료의 부재가 감겨져 있어 냄비가 가열된 상태에서도 온도가 상승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파지하여도 화상을 입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에서, 상기 넘침방지수단(20)은
상기 냄비본체(10)의 수용부(11)에 담긴 물이나, 식재료가 가열되어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넘침방지수단(20)은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정한 높이로 형성된 넘침방지통(21)과,
상기 넘침방지통(21)의 외측면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2 손잡이(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넘침방지수단(20)은 종래에 냄비를 가열하여 조리를 하는 경우 물이나 식재료가 끓게 되면서 냄비 밖으로 물이나 식재료가 넘쳐흘러 렌지의 불을 꺼지게 하여 재차 불을 켜야 하는 문제와,
또한 넘쳐 흘러내린 물이나 식재료가 렌지의 주변이나 주방을 더럽혀 조리 후에 주변을 청소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것이다.
즉 상기 넘침방지수단(20)의 넘침방지통(21)은 냄비본체(10)의 높이를 일정 이상 연장시켜 냄비본체(10)의 높이를 충분히 확보하여 냄비가 가열되어 물이나 식재료가 끓는 경우에도 냄비 밖으로 물이나 식재료가 넘쳐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 즉 조리 중에 렌지의 불이 꺼지거나, 또는 주변장소를 더럽히는 문제를 일거 해결하여 조립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넘침방지수단(20)의 제2 손잡이(23)는 상기 넘침방지통(21)을 상기 냄비본체(10)에 결합 및 분리 시에 사용자가 제2 손잡이(23)를 파지하여 결합 및 분리 작업을 쉽고 용이하게 하고,
또한 제1 손잡이(13)와 마찬가지로 열전도율이 낮은 재료를 감아 화상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에서, 상기 패킹부재(30)는
상기 냄비본체(10)와 상기 넘침방지수단(20)의 넘침방지통(21)과의 결합부(31a)위를 밀착시켜 밀폐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패킹부재(30)는 상기 냄비본체(10)의 상단면에 밀착되는 제1 밀착부(31)와,
상기 제1 밀착부(31)의 내측부에 연결되어 상기 냄비본체(10)의 상단부 내벽면과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팽창하여 상기 냄비본체(10)의 내벽면에 밀착되는 제2 밀착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밀착부(31)의 상부에는 홈 형태의 결합부(31a)가 구비되어 상기 결합부(31a)에 상기 넘침방지통(21)의 하단부가 삽입 장착되고,
또한 상기 제1 밀착부(31)의 하면부는 상기 냄비본체(10)와 넘침방지통(21)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 냄비본체(10)의 상단면에 밀착되어 상기 냄비본체(10)와 넘침방지통(21)을 밀폐시키게 된다.
특히 상기 제2 밀착부(33)는 상기 냄비본체(10)와 넘침방지통(21)의 밀폐시키는 역할과, 상기 냄비본체(10)와 넘침방지통(21)의 결합 시, 상호간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우선 상기 패킹부재(30)는 실리콘이나, 고무와 등과 같이 탄성과 밀착성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은 부재는 연질이 재료이고, 마찰계수가 커 상기 냄비본체(10)와 넘침방지통(21)의 결합 시 상기 냄비본체(10)의 내벽면과 상기 제2 밀착부(33)의 접촉면이 접착하는 경우 상기 제2 밀착부(33)에 의하여 상기 냄비본체(10)가 잘 삽입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밀착부(33)의 접촉면에 경사부(33a)를 형성하여 상기 냄비본체(10)와 넘침방지통(21)의 결합 시, 상기 냄비본체(10)의 내벽면과 상기 제2 밀착부(33)의 접촉면이 비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냄비본체(10)와 넘침방지통(21) 상호간의 결합이 쉽고 용이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 밀착부(33)의 접촉면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냄비본체(10)와 넘침방지통(21)이 결합된 후, 상기 냄비본체(10)의 내벽면과 이격되어 비접촉하므로 밀폐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는데,
이는 상기 패킹부재(30)의 소재의 특성상 냄비가 가열되는 경우 상기 제2 밀착부(33)는 팽창이 일어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밀착부(33)는 외측방향으로 변위하여 상기 냄비본체(10)의 내벽면에 밀착되어 상기 냄비본체(10)와 넘침방지통(21)의 결합부(31a)위를 밀폐시켜 조리 중에 상기 냄비본체(10)와 넘침방지통(21)의 결합부(31a)위에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냄비본체(10)와 상기 넘침방지통(21)을 결합시킨 후, 이들을 고정시키기 위해 체결수단(4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체결수단(40)은 상기 넘침방지수단(20)의 하부 외측면 또는 상기 냄비본체(10)의 상부 외측면에 힌지결합되는 복수의 클램핑부재(41)와,
상기 냄비본체(10)의 상부 외측면 또는 상기 넘침방지수단(20)의 하부 외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각 클램핑부재(41)가 체결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재(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1, 도 3 및 도 4의 도시를 기준으로 상기 클램핑부재(41)는 상기 넘침방지수단(20)의 넘침방지통(21)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43)는 상기 냄비본체(10)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편의에 따른 것으로 상기 클램핑부재(41)와 걸림부재(43)는 도 1의 도시와 달리 상기 냄비본체(10)와 넘침방지통(21)에 반대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도 1, 도 3 및 도 4의 도시를 전제하여 상기 체결수단(40)에 관한 구성을 상세 기술하기로 한다.
우선 상기 클램핑부재(41)는 상기 넘침방지통(21)의 외측면 하부에 연결되는 고리형태의 힌지결합부(41a)와, 상기 힌지결합부(41a)와 연결되는 잠금부(41b)와, 상기 잠금부(41b)와 힌지 결합되는 힌지결합봉(41c)과, 상기 힌지결합봉(41c)과 연결되는 걸고리(41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힌지결합부(41a)에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힌지결합봉(41c)과, 상기 힌지결합봉(41c)과 연결되는 걸고리(41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걸림부재(43)는 상기 냄비본체(10)의 외측면 상부 부분에 연결되어, 하부 방향을 개구된 걸림홈(43a)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잠금부(41b)를 상기 힌지결합부(41a)를 중심으로 하부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걸고리(41d)를 하부 방향으로 내려가게 되어 상기 걸림홈(43a)의 하부에 상기 걸고리(41d)의 하단부가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잠금부(41b)를 상부 방향으로 들어 올리게 되면 상기 걸고리(41d)가 상부 방향으로 들어 올려지면서 상기 걸림홈(43a)에 삽입되고,
이때 상기 걸고리(41d)가 상기 냄비본체(10)와 넘침방지통(21)을 가압하게 되어 상기 냄비본체(10)와 넘침방지통(21)을 결합시키게 된다.
더 나아가 본 고안에서는 상기 넘침방지수단(20)의 넘침방지통(21) 상단부를 덮을 수 있는 뚜껑(50)이 구비되어 조리 시에 상기 넘침방지통(21)을 덮을 수 있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뚜껑(50)을 덮지 않은 상태에서 조리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인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H : 가열수단
10 : 냄비본체 11 : 수용부
13 : 제1 손잡이
20 : 넘침방지수단 21 : 넘침방지통
23 : 제2 손잡이
30 : 패킹부재 31 : 제1 밀착부
31a : 결합부 33 : 제2 밀착부
33a : 경사부
40 : 체결수단 41 : 클램핑부재
41a : 힌지결합부 41b : 잠금부
41c : 힌지결합봉 41d : 걸고리
43 : 걸림부재 43a : 걸림홈
50 : 뚜껑

Claims (4)

  1. 냄비본체;
    상기 냄비본체의 상단부에 체결수단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냄비본체의 높이를 연장시켜 끓는 물이나, 식재료가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넘침방지수단; 및
    상기 넘침방지수단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패킹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냄비본체의 상단면에 밀착되는 제1 밀착부와,
    상기 제1 밀착부의 내측부에 연결되어 상기 냄비본체의 상단부 내벽면과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팽창하여 상기 냄비본체의 내벽면에 밀착되는 제2 밀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밀착부에서
    상기 냄비본체와의 접촉면에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냄비본체와 상기 넘침방지수단의 결합 시, 결합용이성을 보장하기 위한 경사부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넘침방지수단의 하부 외측면 또는 상기 냄비본체의 상부 외측면에 힌지결합되는 복수의 클램핑부재와,
    상기 냄비본체의 상부 외측면 또는 상기 넘침방지수단의 하부 외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각 클램핑부재가 체결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
KR2020110008972U 2011-10-07 2011-10-07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 KR2004720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972U KR200472073Y1 (ko) 2011-10-07 2011-10-07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972U KR200472073Y1 (ko) 2011-10-07 2011-10-07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319U true KR20130002319U (ko) 2013-04-17
KR200472073Y1 KR200472073Y1 (ko) 2014-04-10

Family

ID=51485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8972U KR200472073Y1 (ko) 2011-10-07 2011-10-07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07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9557A (ko) 2018-01-23 2019-07-3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쿠킹 타이머
CN110876564A (zh) * 2018-09-05 2020-03-13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的控制方法、系统及烹饪器具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3117Y1 (ko) * 1988-04-30 1991-05-13 전한실업 주식회사 조리용 넘침방지기
JP4193213B2 (ja) * 2005-11-17 2008-12-10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炊飯器
KR200447074Y1 (ko) * 2007-05-14 2009-12-22 이준희 다용도 솥
KR100918310B1 (ko) * 2008-01-02 2009-09-18 김상운 넘침방지구가 구비된 조리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9557A (ko) 2018-01-23 2019-07-3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쿠킹 타이머
CN110876564A (zh) * 2018-09-05 2020-03-13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的控制方法、系统及烹饪器具
CN110876564B (zh) * 2018-09-05 2021-09-21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的控制方法、系统及烹饪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073Y1 (ko) 2014-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005014221D1 (de) Kessel zum kochen eines getränks, elektrischer heizkessel und schnurloser elektrischer heizkessel zum kochen eines getränks
US20210022541A1 (en) Electric Pressure Cooker Rim Cover
KR101136091B1 (ko) 넘침방지 조리기구용 뚜껑
KR101244277B1 (ko) 중탕기
KR200472073Y1 (ko)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
US20170354293A1 (en) Silicone liner for slow cooker
KR20120057475A (ko) 넘침 방지기능을 갖는 이중뚜껑 조리용기
KR20080006168U (ko) 전자렌지용 조리용기
KR20110000512U (ko) 직화형 후라이팬
KR101152777B1 (ko) 전기 압력 조리기
JP3134535U (ja) 電子レンジ用炊飯釜
KR200479981Y1 (ko) 다목적 조리 기구
KR200467703Y1 (ko) 조리기구 덮개
KR200478961Y1 (ko) 다중구조냄비
KR20120041833A (ko) 착탈식 내솥을 갖는 중탕기
KR102547837B1 (ko) 다기능 후라이팬
KR200473141Y1 (ko) 가스 오븐 찜기
KR100903036B1 (ko) 조리용기의 넘침방지구조
KR200275732Y1 (ko) 음식물 넘침방지용 조리용기
KR100765137B1 (ko) 넘치는 국물을 처리하기 위한 가열용기
KR20170106092A (ko) 손잡이가 뜨겁게 가열되는 것이 방지되는 조리용기 어셈블리
KR200390009Y1 (ko) 냄비뚜껑
JP2018015513A (ja) ポータブル湯燗器
KR101831836B1 (ko) 각을 가지는 조리기구
KR200279277Y1 (ko) 개량된 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