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7837B1 - 다기능 후라이팬 - Google Patents

다기능 후라이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7837B1
KR102547837B1 KR1020210125640A KR20210125640A KR102547837B1 KR 102547837 B1 KR102547837 B1 KR 102547837B1 KR 1020210125640 A KR1020210125640 A KR 1020210125640A KR 20210125640 A KR20210125640 A KR 20210125640A KR 102547837 B1 KR102547837 B1 KR 102547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ying pan
annular rim
annular
inner protrusion
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5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2873A (ko
Inventor
공하성
Original Assignee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25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7837B1/ko
Publication of KR20230042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2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용 후라이팬의 환형테두리에 일체되어 내부 및 외부에 구비되는 돌출부로 달걀 등과 같은 단단한 요리재료를 파쇄하거나 기름을 이용한 식재료의 마지막 조리과정에서 내부에 기름이 바깥으로 튀지않게 물을 투입할 수 있으며, 호라이팬 손잡이 부분에 삽입연결되는 온도측정봉의 온도를 손잡이 외부에 출력하여 조리를 알맞은 온도에서 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후라이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원형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테두리부분이 돌출되는 환형테두리으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환형테두리에 나사결합되어 장착되는 손잡이와 상기 환형테두리과 일체되되, 환형테두리의 내부에 삼각뿔모양으로 돌출되되, 모서리 부분이 날카롭게 구비되는 파쇄부를 포함하는 내부돌출부와 상기 환형테두리 상부에 안착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돌출부는 상단이 개방되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하단에 유체가 후라이팬 바닥면으로 유입될 수 있는 유입공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돌출부의 환형테두리에 사다리꼴 형상으로 돌출되되, 상부가 개방되는 투입가이드와 상기 투입가이드에 투입된 유체가 내부돌출부로 공급될 수 있는 통공이 구비되는 외부투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후라이팬{MULTIFUNCTIONAL FRYING PAN}
본 발명은 조리용 후라이팬의 환형테두리에 일체되어 내부 및 외부에 구비되는 돌출부로 달걀 등과 같은 단단한 요리재료를 파쇄하거나 기름을 이용한 식재료의 마지막 조리과정에서 내부에 기름이 바깥으로 튀지않게 물을 투입할 수 있으며, 호라이팬 손잡이 부분에 삽입연결되는 온도측정봉의 온도를 손잡이 외부에 출력하여 조리를 알맞은 온도에서 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후라이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담아 조리하는 후라이팬은 가열에 의해 뜨거워진 후라이팬에 접촉된 음식물의 표면을 통해 열을 전달하여 가열, 조리한다.
또한, 후라이팬을 이용하여 바쁜 현대인들이 간단하게 조리할 수 있는 계란후라이 또는 스크램블에그와 같이 달걀을 이용하는 요리의 경우 달걀 껍질을 깨야하는데, 달걀을 후라이팬 환형테두리이나 싱크대의 모서리 부분에 타격하여 깨곤한다. 그러나 이는 깨는 순간 달걀에 오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달걀 내부의 흰자 혹은 노른자가 프라이팬의 외부로 튈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종래기술로 국내등록특허 제10-1460687호로 받침판을 구비한 지지대를 형성하고, 상부에는 달걀을 깨기 위한 날카로운 날을 구비한 달걀 껍질 깨는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간단하게 후라이팬만 구비하면 되는 조리를 상기 종래기술인 달걀 껍질 깨는 기구를 추가로 구비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후라이팬 내부에 달걀을 깰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여 달걀의 내용물이 흐르게 되어도 후라이팬 내부로 수용되어 내용물의 손실을 방지하고, 조리기구를 추가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후라이팬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다기능 후라이팬을 착안하게 되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460687호(등록일:2014.11.05.)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을 내부 및 외부에 돌출부를 구비한 후라이팬으로서, 내부의 돌출부는 달걀을 깰 수 있는 파쇄부가 구비되되, 튀김요리시 뜨거워진 후라이팬 내부에 유체를 투입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조리법을 위해 외부에 구비된 투입가이드로 공급되는 유체가 후라이팬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하단에 유체토출공이 구비되는 다기능 후라이팬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후라이팬은,
외부의 열이 전달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테두리부분이 돌출되는 환형테두리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환형테두리에 나사결합되어 장착되는 손잡이와 상기 환형테두리과 일체되되, 환형테두리의 내부에 내부돌출부를 구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돌출부는 상기 환형테두리의 내주면 일측에 삼각뿔 모양으로 돌출되되, 모서리 부분이 날카롭게 구비되는 파쇄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돌출부는 상단이 개방되는 개방부가 구비되고, 하단은 유체가 후라이팬 바닥면으로 유입될 수 있는 유입공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내부돌출부가 구비된 환형테두리의 대응되는 외주면에는 외부투입부를 더 구비한 것으로서, 상기 외부투입부는 상부가 개방되는 투입구를 구비한 투입가이드와 상기 투입구를 통해서 투입된 유체가 상기 투입가이드를 따라서 안내되어 상기 내부돌출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환형테두리에 통공이 구비된 것이다.
본 발명의 후라이팬은 환형테두리 내주면에 파쇄부를 내부로 돌출되도록 구성하여 달걀을 파쇄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오염이나 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후라이팬은 기름을 사용하는 요리에 있어서도 커버를 덮은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물과 같은 액체를 주입하는 것이 가능하여 요리과정에서 기름이 밖으로 튀어 화상을 입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후라이팬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후라이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후라이팬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후라이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희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후라이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후라이팬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후라이팬은,
열이 전달되는 바닥면(110)과 상기 바닥면의 테두리부분이 돌출되는 환형테두리(120)으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환형테두리(120)의 일측에 결합되어 장착되는 손잡이(200)와
상기 환형테두리(120)과 일체되고, 환형테두리의 내부에 삼각뿔모양으로 돌출되되, 모서리 부분이 날카롭게 구비되는 파쇄부(310)를 포함하는 내부돌출부(30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후라이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내부돌출부(300)는,
상기 환형테두리 내부면의 일측에 파쇄부(310)가 일체로 결합되되, 상기 파쇄부(310)는 상단이 개방되는 개방부(320)가 형성되고, 하단에 유체가 후라이팬 바닥면으로 유입될 수 있는 유입공(330)이 구비되어 조리시 조미액등의 액상으로된 조미료를 추가할때 음식의 중앙으로 첨가하지않고 음식의 테두리부터 스며들게 할 수 있고,
상기 환형테두리의 외주면에는 상기 내부돌출부의 반대편에 대응하도록 돌출되어 구비되되, 상부가 개방되어 투입구(420)가 구비되도록 투입가이드(410)가 일체로 상기 환형테두리 외주면에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투입가이드의 하부는 밀폐되지만 상기 내부돌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환형테두리에는 통공(430)이 구비되어 상기 투입가이드를 통해서 투입된 유체가 내부돌출부(400)로 공급될 수 있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후라이팬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과 같이 달걀을 내부돌출부(400)의 파쇄부(410)를 이용하여 깨게 되면 계란이 튀거나 흐르게 되어도 후라이팬 내부로 수용되고, 외부 가구 혹은 싱크대에 깰 경우 생기는 식재료 오염 또는 싱크대 오염 문제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후라이팬 바닥면(110)에 기름을 두르고 식재료를 굽거나 튀기는 조리과정중 식재료를 골고루 익히기위해 소량의 물을 넣고 수증기를 발생시켜 음식물을 익히는데, 이때, 물과 뜨거운 기름이 만나면서, 물이 급격하게 기화되며 기름과 물이 사방으로 튀게 되는 것을 몸체(100)에 커버를 덮은 상태로 외부투입부(400)의 투입가이드(410)로 물을 넣어 내부돌출부(300)의 유입공(330)으로 물을 공급하여 기름과 물이 튀지않게 조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몸체, 110: 바닥면, 120: 환형테두리
200: 손잡이
300: 내부돌출부, 310: 파쇄부, 320: 개방부, 330: 유입공
400: 외부투입부, 410: 투입가이드 420: 투입구, 430 : 통공

Claims (3)

  1. 음식물을 조리하는 후라이팬에 있어서,
    열이 가해지는 바닥면(110)과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테두리를 형성하도록 구비된 환형테두리(120)로 이루어진 몸체(100);
    상기 환형테두리(120)의 일측에 결합 장착되는 손잡이(200);를 구비하는 후라이팬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0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환형테두리(120)의 일측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내부돌출부(300);가 구비되고,
    상기 내부돌출부(300)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환형테두리(120)의 외주면에 외부투입부(400);를 더 구비하되,

    상기 내부돌출부(300)의 상단은 삼각뿔모양의 모서리가 돌출된 구비된 파쇄부(310)가 구비되고, 상기 파쇄부와 상기 환형테두리(120) 사이는 개방되도록 개방부(320)가 형성되고, 상기 파쇄부와 상기 환형테두리(120) 사이의 하단에는 유체가 후라이팬 바닥면(110)으로 유입될 수 있는 유입공(330)이 구비되고,

    상기 환형테두리(120)와 상기 외부투입부(400) 사이는 투입가이드(410)가 형성되고, 상기 환형테두리(120)와 상기 외부투입부(400) 사이의 상단은 개방되어 투입구(420)가 구비되고 하단은 밀폐되며, 상기 환형테두리 방향으로 통공(430)이 형성되어, 투입구(420)를 통하여 투입된 유체는 상기 통공(430)을 통과하여 상기 유입공(330)를 거쳐 후라이팬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후라이팬.

  2. 삭제
  3. 삭제
KR1020210125640A 2021-09-23 2021-09-23 다기능 후라이팬 KR102547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640A KR102547837B1 (ko) 2021-09-23 2021-09-23 다기능 후라이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640A KR102547837B1 (ko) 2021-09-23 2021-09-23 다기능 후라이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2873A KR20230042873A (ko) 2023-03-30
KR102547837B1 true KR102547837B1 (ko) 2023-06-23

Family

ID=85985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5640A KR102547837B1 (ko) 2021-09-23 2021-09-23 다기능 후라이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783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5141A (ja) * 2002-12-14 2004-07-15 Shogo Tsuchida 蓋付き搾り乾燥皿付き鍋
KR101763223B1 (ko) * 2016-02-03 2017-07-31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유체 투입 홀이 형성된 후라이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687B1 (ko) 2013-01-17 2014-11-11 김순문 달걀 껍질 깨는 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5141A (ja) * 2002-12-14 2004-07-15 Shogo Tsuchida 蓋付き搾り乾燥皿付き鍋
KR101763223B1 (ko) * 2016-02-03 2017-07-31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유체 투입 홀이 형성된 후라이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2873A (ko) 2023-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9219B1 (ko) 다기능 조리용기
US20210022541A1 (en) Electric Pressure Cooker Rim Cover
KR101136091B1 (ko) 넘침방지 조리기구용 뚜껑
KR101252443B1 (ko) 다기능 냄비
KR101409033B1 (ko) 넘침방지 기능을 갖춘 조리 용기 뚜껑
KR102547837B1 (ko) 다기능 후라이팬
KR200323694Y1 (ko) 넘침 방지 냄비뚜껑 손잡이
KR200319119Y1 (ko) 넘침 방지 냄비
KR20050094730A (ko) 넘침 방지 냄비뚜껑 손잡이
KR200472073Y1 (ko)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
KR200275732Y1 (ko) 음식물 넘침방지용 조리용기
JP2013202397A (ja) 差し水注ぎ口付きフライパン
KR20080006168U (ko) 전자렌지용 조리용기
KR200393710Y1 (ko) 국물 넘침 방지 조리용기
KR100399610B1 (ko) 증기 배출 장치
JP2004141362A (ja) ゆで容器
KR200166413Y1 (ko) 후라이 팬용 기름튀김 방지판의 구조
KR200357106Y1 (ko) 넘침방지용 냄비뚜껑장치
JP2000116507A (ja) 炊飯器の蒸気孔構造
KR100903036B1 (ko) 조리용기의 넘침방지구조
KR20110072164A (ko) 조리용기의 넘침 방지장치
KR20030038363A (ko) 음식물 넘침방지용 조리용기
KR20120041833A (ko) 착탈식 내솥을 갖는 중탕기
KR20060130894A (ko) 국물 넘침 방지 조리용기
KR200352161Y1 (ko) 넘침 방지용 냄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