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9277Y1 - 개량된 찜기 - Google Patents

개량된 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9277Y1
KR200279277Y1 KR2020020007981U KR20020007981U KR200279277Y1 KR 200279277 Y1 KR200279277 Y1 KR 200279277Y1 KR 2020020007981 U KR2020020007981 U KR 2020020007981U KR 20020007981 U KR20020007981 U KR 20020007981U KR 200279277 Y1 KR200279277 Y1 KR 2002792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er
food
water
see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79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중렬
Original Assignee
최중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중렬 filed Critical 최중렬
Priority to KR20200200079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92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92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9277Y1/ko

Links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량된 찜기에 관한 것으로, 찜통과 시루통으로 이루어진 찜기에 있어서, 몸체의 바닥부위 두께가 대략 2.5mm정도로 두텁게 형성되어 열전도율을 높이는 열분사 바닥판을 갖고 상단이 상측으로 수직 절곡된 절곡부를 갖는 찜통과, 몸체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찜통의 상단에 밀착되게 얹혀지는 고정턱을 갖고 몸체 내측면 상부 양측에 고정된 손잡이를 갖으며 몸체의 측면과 하면에 다수개 관통되게 형성된 유통공을 갖는 시루통 및 시루통의 상단에 얹혀지는 뚜껑을 구비하여 틈새를 별도로 막을 필요가 없고 적은 양의 물로도 많은 양의 음식물 등을 보다 짧은 시간에 익힐 수 있어 연료의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조리된 음식물을 짧은 시간에 적당히 식혀 시식할 수 있기 때문에 바쁜 현대인의 취향에도 맞출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개량된 찜기{improved steamer}
본 고안은 개량된 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틈새를 별도로 막을 필요가 없고 적은 양의 물로도 많은 양의 음식물 등을 보다 짧은 시간에 익힐 수 있어 연료의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조리된 음식물을 짧은 시간에 적당히 식혀 시식할 수 있기 때문에 바쁜 현대인의 취향에도 맞출 수 있는 개량된 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찜통(steamer)은 음식을 수증기로 익히게 만든 조리기구로, 음식을 찌는 그릇으로 한국에서는 오래 전부터 시루가 사용되었다. 이것은 흙을 구워 만든 그릇으로, 밑에 수증기가 통하도록 큰 구멍이 6∼7개 뚫려 있으며, 그 위에는 음식재료가 새지 않도록 시루밑을 칡덩굴 등으로 깔게 되어 있다. 이것을 물솥 위에 걸고 불을 지펴서 피어오르는 수증기를 이용하여 찐다.
근래에는 알루미늄 제품의 조리기구가 다양하게 만들어져 시중에 나오는데, 둥글고 깊은 원통형의 알루미늄 찜통을 흔히 볼 수 있다. 찜통의 크기는 한 말들이와 두 말들이가 보통이나 더 작은 것도 있으며, 반원형의 손잡이가 가로질러 걸렸다.
찜통 밑에 바로 물을 넣게 되어 있으며 밑에서 5∼7 cm 되는 높이에 전이 있어 그 위에 작은 구멍이 많이 뚫린 알루미늄판, 즉 시루밑이 얹혀 있다. 이 위에 음식재료를 놓고 직접 불 위에 올려놓고 찐다. 떡집에서나 대중음식점에서는 떡가루를 찌거나 밥을 지을 때, 높이가 나즈막하고 네모지게 만든 알루미늄통을 사용한다. 밑바닥에는 수증기가 통하도록 작은 구멍이 촘촘히 뚫려져 있는데, 그 위에 베보자기 등을 깔고서 찐다.
시루(earthenware steamer)는 떡이나 쌀 등을 찔 때 쓰는 한국 고유의 찜기로, 한국에서 시루를 쓰기 시작한 것은 청동기시대 ·초기 철기시대로 알려졌고, 오늘날도 쓰고 있는데, 구조나 모양이 별로 달라지지는 않았다. 다만 상고시대 시루의 바닥 구멍은 꽃잎 모양으로 뚫려 있고 쇠뿔 모양의 손잡이가 달려 있다.
시루는 바닥에 구멍이 여러 개 뚫려 있어 물솥에 올려놓고 불을 때면 뜨거운 수증기가 구멍 속으로 들어가 시루 안의 것이 익는다. 또한 김이 잘 오르고 가루가 구멍으로 새어 나가지 않도록 칡덩굴 등을 요철(凹凸) 모양으로 엮어서 만든 시루밑을 깐다.
시루 바닥의 크기와 무쇠솥의 지름은 대체로 같으며 큰 시루는 큰솥에, 중시루는 중솥에 걸고 아주 작은 시루는 놋쇠옹에 적합하였다. 대형 시루는 쌀가루 2말들이까지 있고 5홉들이 작은 것도 있는데, 고사(告祀)를 지낼 때 큰 시루는 성주시루, 중시루는 터주시루로 썼고, 작은시루는 백설기를 쪄서 다락에 놓았다고 한다. 재료별로는 도제 ·질그릇 ·동제 등이 있고, 중부 지방에서는 질그릇 시루를 많이 쓰고 남부 지방에서는 도제 시루를 많이 쓴다.
도 4는 종래 찜기의 모습으로 찜통의 상단에 시루통을 얹은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로, 종래의 찜통(100)은 골이 깊은 통체로, 그 상단에는 골이 깊은 시루통(200)의 하단을 얹어 놓는다.
시루통(200)의 하단부에는 걸림턱(210)이 외부로 돌출되어 시루통(200)이 찜통(100)의 상단에 걸려 고정되도록 한다.
이런 종래의 찜통(100)과 시루통(200)은, 먼저 찜통(100)의 내측에 적당량의 물의 넣은 후, 찜통(100)의 상단에 시루통(200)을 올려놓는다. 시루통(200)의 하단 외주연에는 걸림턱(210)이 형성되어 시루통(200)이 찜통(100) 내측으로 더 이상 내려오지 못하도록 고정시킨다. 시루통(200)의 상단에는 뚜껑(300)이 얹혀진다.
시루통(200)의 하단에는 다수개의 통공(220)이 형성되어 찜통(100)의 뜨거운 수증기가 시루통(200)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찜통(100)의 하단에 불을 점화시키면, 일정 시간이 흐른후, 찜통(100) 내부의 물은 끓게 되고, 끓은 뜨거운 수증기는 시루통(200) 하단의 통공(210)을 통해 시루통(200) 내부의 음식물을 익히게 된다. 시루통(200) 상단은 뚜껑(300)에 의해 밀폐된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찜통(100)과 시루통(200)은 서로 별개로 사용시 찜통 (100)상단에 시루통(200)을 올려놓아 고정시키는 것으로, 찜통(100)과 시루통(200) 걸림턱(210)의 접지부에는 많은 틈새가 발생하게 되고 이 틈새로 뜨거운 수증기가 외부로 방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행주나 밀가루 반죽 등으로 그 틈새를 막아야 되는 작업상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찜통(100)의 골이 깊고 찜통(100)의 물과 시루통(200) 하단 통공(220)과의 거리가 길기 때문에 찜통(100) 내부에는 많은 양의 물을 놓고 끓여야 뜨거운 증기가 통공(220)을 통해 시루통(2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어 많은 양의 물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그 많은 물을 끓을 때까지 오랜 시간을 끓여야 되기 ◎문에 연료가 낭비되며 시루통(200)의 음식물 등을 익히기까지의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루통(200)에서 익힌 음식물을 먹기 위해서는 적당한 온도로 음식물이 식혀져야 하는 바, 음식물이 식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경과하여야 되기 때문에, 바쁜 현대인의 취향에 맞지 않아 거부감을 일으키게 되고 외면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틈새를 별도로 막을 필요가 없고 적은 양의 물로도 많은 양의 음식물 등을 보다 짧은 시간에 익힐 수 있어 연료의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조리된 음식물을 짧은 시간에 적당히 식혀 시식할 수 있기 때문에 바쁜 현대인의 취향에도 맞출 수 있는 개량된 찜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찜통과 시루통으로 이루어진 찜기에 있어서;
몸체의 바닥부위 두께가 대략 2.5mm정도로 두텁게 형성되어 열전도율을 높이는 열분사 바닥판을 갖고 상단이 상측으로 수직 절곡된 절곡부를 갖는 찜통과;
몸체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찜통의 상단에 밀착되게 얹혀지는 고정턱을 갖고 몸체 내측면 상부 양측에 고정된 손잡이를 갖으며 몸체의 측면과 하면에 다수개 관통되게 형성된 유통공을 갖는 시루통 및
시루통의 상단에 얹혀지는 뚜껑을 구비하는 특징을 갖는다.
찜통과 시루통 및 뚜껑은 가볍고 녹슬지 않는 스테인레스 합금으로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나, 가볍고 녹슬지 않으며 쉽게 타거나 녹지 않고 단단한 재질이면 어떤 재질이든지 무방하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의 분리된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결합된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인 실시예의 조리 후 시루원판을 들어 올린 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측단면도,
도 4는 종래 찜기의 모습으로 찜통의 상단에 시루통을 얹은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찜기 10 : 찜통
11 : 몸체 12 : 열분사 바닥판
14 : 절곡부 20, 200 : 시루통
21 : 몸체 22 : 유통공
24, 24a : 손잡이 26 : 고정턱
30, 300 : 뚜껑 100 : 찜통
210 : 걸림턱 220 : 통공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의 분리된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결합된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인 실시예의 조리 후 시루원판을 들어 올린 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찜기(1)는 몸체(11) 바닥부위를 2.5mm로 두껍게 형성하여 열전도율을 높인 열분사 바닥판(12)과, 몸체(11) 상단이 상부로 수직 절곡된 절곡부(14)를 갖는 찜통(10)과, 몸체(21) 상단이 외측으로 수평 절곡된 고정턱(26)을 갖고 몸체(21)의 측면과 바닥면에 다수개 통공으로 형성된 유통공(22)을 갖으며, 몸체(21) 내측 상부 양측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손잡이(24)(24a)를 갖는 시루통(20)과, 시루통(20)의 상단에 얹혀지는 뚜껑(30)으로 구성된다.
찜기(1)의 찜통(10)과 시루통(20) 및 뚜껑(30)은 녹슬지 않는 스테인레스 합금 재질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찜통(10)은 원통형의 통으로, 하단에는 열분사 바닥판(12)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측으로 수직 절곡된 절곡부(14)가 형성된다.
열분사 바닥판(12)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몸체(11)의 하부에 형성된 대략 2.5mm 두께의 판체로, 바닥부위에 가해지는 열에너지를 보다 많게 높여 바닥부위의 열전도율을 보다 높이기 위한 것이다.
찜통(10) 상단의 절곡부(14)는 후술되는 시루통(20)의 고정턱(26)이 안착되는 곳으로, 찜통(10) 내부의 끓는 물과 증기가 모여 찜통(10)과 시루통(20)의 고정턱(26) 사이의 틈새를 밀폐시킴으로써 증기가 찜통(10)의 외주연으로 흐르지 못하게 하면서 찜기(1)의 밀폐력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다.
시루통(20)은 스테인레스 재질의 원통형 용기로, 상단에는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고정턱(26)이 형성되고, 몸체(21) 내측면과 하부면에는 증기가 원활하게 유통되는 유통공(22)이 다수개 형성되며, 내측면 상부 양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손잡이(24)(24a)가 형성된다. 시루통(20)의 내측에는 익히기 위한 대상물인 음식물 등이 담겨진다.
뚜껑(30)은 시루통(10)의 상단을 폐쇄시켜 증기압 및 내부온도를 보다 높이기 위한 것으로, 뚜껑(30)이 안착되는 시루통(20)의 상단 외측에는 찜통(10)의 절곡부(14)가 형성되어 끓는 물 등이 수막을 형성시킴으로써 시루통(20)의 고정턱(26)과 찜통(10)의 틈새를 막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찜통(10)의 내부에 대략 50∼70mm 정도의 높이로 적당량 물을 부은 후, 찜통(10)을 화로나 가스불 위에 올려놓고, 찜통(10) 상단의절곡부(26) 내측에 시루통(20)의 고정턱(26)을 위치시켜 시루통(20)을 안착시킨 다음, 시루통(20) 내측에 익힐 음식물을 놓은 후, 뚜껑(30)을 닫고 불을 점화시키면 된다.
음식물이 담겨진 시루통(20)은 찜통(10) 내부의 물이 끓은 후, 찜통(10) 상단에 안착시킬 수도 있고, 물이 끓기 전에 미리 찜통(10) 상단에 안착시킨 후 물을 끓일 수도 있다.
시간이 경과한 후, 찜통(10) 내부의 물이 끓고, 찜기(1) 내부의 온도가 높아지면 높은 온도를 갖는 수증기는 시루통(20)의 유통공(22)을 통해 시루통(10) 내부로 유입되면서 시루통(20) 내부에 담겨진 음식물 등을 증기압과 온도로 익히게 된다.
찜통(10) 바닥부위 형성된 2.5mm 두께의 열분사 바닥판(12)은 두께만큼 전달된 열량을 비축하여 높은 열로 찜통(10)의 열분사 바닥판(12)을 달구게 되고, 이런 열분사 바닥판(12)은 짧은 시간 동안에 높고 많은 열량을 받아 찜통(10) 내부의 물을 최대한 빠른 시간에 끓도록 전 면적에서 고르게 높은 온도의 가열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찜통(10) 내부와 시루통(20) 내부가 뚜껑(30)에 의해 밀폐된 상태에서 일정시간 높은 온도가 유지되면, 시루통(20) 내부의 음식물은 빨리 익혀지게 되고, 이때 사용자는 시루통(20) 상단에서 뚜껑(30)을 분리시킨 후, 시루통(20) 내부 양측의 손잡이(24)(24a)를 잡던가 아니면 보조기구(도시않음)를 손잡이(24)(24a)에 걸어서 찜통(10) 상측에서 시루통(20)을 들어 올려서 분리하게 된다.
찜통(10) 내부에서 들어 올려진 시루통(20) 내부의 음식물은 유통공(22)에 의해 대기 중에서 빠른 시간에 냉각되어 먹기 적당한 온도가 되면 사용자나 시식자가 먹으면 된다.
이런 본 고안의 개량된 찜기(1)는 찜통(10) 내부에 소량의 물이 들어가 끓기까지의 시간이 빠르게 단축되고, 익힌 음식물이 시루통(20) 내측에 담겨져 유통공(22)과 상단부에서 많은 면적이 대기와 접촉하여 식기 때문에, 빠른 시간에 적당한 온도로 음식물의 온도가 내려가게 되어 바쁜 현대인의 취향에 알맞게 찜기(1)를 이용하여 익힌 음식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

  1. 찜통과 시루통으로 이루어진 찜기에 있어서;
    몸체(11)의 바닥부위 두께가 대략 2.5mm정도로 두텁게 형성되어 열전도율을 높이는 열분사 바닥판(12)을 갖고 상단이 상측으로 수직 절곡된 절곡부(14)를 갖는 찜통(10)과;
    몸체(21)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찜통(10)의 상단에 밀착되게 얹혀지는 고정턱(26)을 갖고 몸체(21) 내측면 상부 양측에 고정된 손잡이(24)(24a)를 갖으며 측면과 하면에 다수개 관통되게 형성된 유통공(22)을 갖는 시루통(20) 및
    시루통(20)의 상단에 얹혀지는 뚜껑(30)을 구비함읕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찜기.
KR2020020007981U 2002-03-18 2002-03-18 개량된 찜기 KR2002792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981U KR200279277Y1 (ko) 2002-03-18 2002-03-18 개량된 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981U KR200279277Y1 (ko) 2002-03-18 2002-03-18 개량된 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9277Y1 true KR200279277Y1 (ko) 2002-06-24

Family

ID=73119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7981U KR200279277Y1 (ko) 2002-03-18 2002-03-18 개량된 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92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702B1 (ko) * 2007-04-02 2010-01-13 임철준 식품 베이스와 그 제조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702B1 (ko) * 2007-04-02 2010-01-13 임철준 식품 베이스와 그 제조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17353A (en) Steam cooking rack and method
US6526875B1 (en) Cooking vessel with removable trough
US10238133B2 (en) Grill accessory
US6196120B1 (en) Steamer insert, steamer assembly and method
KR101381845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
JP4727481B2 (ja) 調理器具
US20080072768A1 (en) Food steamer
KR200279277Y1 (ko) 개량된 찜기
KR101350636B1 (ko) 다용도 조리기구
JP2588141B2 (ja) 組合せ調理鍋
KR200279278Y1 (ko) 개량된 찜통
KR200391164Y1 (ko) 찜 및 직화구이 겸용냄비
KR101404928B1 (ko) 다용도 냄비
KR20110000512U (ko) 직화형 후라이팬
US2760481A (en) Combination flame spreader and receptacle holder
CN210204485U (zh) 一种环保型烧烤盘
JPH0540846Y2 (ko)
KR200245632Y1 (ko) 불판 겸용 냄비
KR200166317Y1 (ko) 구이기능을갖는남비
CN211883404U (zh) 锅具的锁水防溢结构
JP2012024321A (ja) フライパン
KR200278443Y1 (ko) 조리기구
KR200482851Y1 (ko) 다기능 육류 구이판
KR200321487Y1 (ko) 구이판겸용 솥
KR100509980B1 (ko) 세라믹 압력 밥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