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6702B1 - 식품 베이스와 그 제조용기 - Google Patents

식품 베이스와 그 제조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6702B1
KR100936702B1 KR1020070032547A KR20070032547A KR100936702B1 KR 100936702 B1 KR100936702 B1 KR 100936702B1 KR 1020070032547 A KR1020070032547 A KR 1020070032547A KR 20070032547 A KR20070032547 A KR 20070032547A KR 100936702 B1 KR100936702 B1 KR 100936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ood base
cooking
manufacturing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2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9858A (ko
Inventor
임철준
Original Assignee
임철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철준 filed Critical 임철준
Priority to KR1020070032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6702B1/ko
Publication of KR20080089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9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20Perforated bases or perforated containers to be placed inside a cooking utensil ; Draining baskets, inserts with separation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베이스와 그 제조용기에 관한 것으로, 떡과 빵 및 케이크 등과 같은 식품의 제조에 있어서 그 제조에 따른 응용성이 제한되며 결합력이 약한 과일과 견과류 등과 같은 이종재료를 다량으로 추가하는 기능이 제한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떡과 빵 및 케이크와 같은 식품에 있어서 상부로 개구된 채움부를 형성한 식품 베이스를 제조할 수 있게 한 식품 베이스 제조용기를 구비한 것으로, 상기 식품 베이스 제조용기는 그릇 형의 조리용기와 상기 조리용기에 수납되어 채움부가 형성되게 하는 코어용기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리용기와 코어용기로 이루어진 식품 베이스 제조용기를 구비하여서 내부에 채움부가 형성된 식품 베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떡과 빵 및 케이크를 제조함에 있어 내부에 결합력이 약한 과일 또는 견과류를 필요에 따라 다량 추가할 수 있어 식품 베이스의 응용력이 향상되고 그 기능을 제조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식품 베이스, 용기, 떡, 케이크, 조리,

Description

식품 베이스와 그 제조용기{A food base and manufacturing cooker thereof}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결합상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측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식품 베이스를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식품 베이스를 사용하여 만든 케이크의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로 빵과 케이크의 구이를 위하여
별도의 구이용기를 구비한 것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로 빵과 케이크의 구이를 위하여
조리용기에 증기 입출공을 형성하지 않은 것을 예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식품 베이스 11 : 채움부
100 : 식품 베이스 제조용기 110 : 조리용기
111, 121 : 증기 입출공 112 : 바안착홈
120 : 코어용기 122 : 결속바
123 : 결속수단 130 : 구이용기
본 발명은 식품 베이스와 그 제조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떡과 빵 및 케이크과 같은 식품을 제조함에 있어서 이종 재료를 채워 넣을 수 있게 한 채움부를 형성한 식품 베이스를 제공하여 떡과 빵 및 케이크와 같은 식품을 제조함에 있어 이종 재료 특히 결합력이 약한 과일재료 등을 용이하게 채워 넣을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식품 베이스를 제조할 수 있게 한 식품 베이스 조리용기를 제공하여서, 내부에 채움부를 형성한 식품 베이스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루떡과 같은 종류의 떡은 하부에 증기공이 형성된 용기에 쌀가루 등을 수납하고 하부에서 증기을 가하여 이를 쪄 만드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시루떡과 같이 쪄 만든 떡에 다른 이종 재료를 첨가하고자 할 경우에는 쌀가루 등의 적층과정에 있어 쌀가루 위에 층을 형성하여 제조하거나 쌀가루와 배합하여 제조하는 것으로서, 찌기 전에 이종 재료를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그리고, 빵은 밀가루를 반죽한 후 이를 일정 틀의 구이기에 넣고 오븐 등에서 구워 만드는 것으로서, 밀가루의 반죽과정에 있어 이종 재료를 첨가하여 제조하고 있다.
또한, 케이크는 빵을 제조과정을 통하여 케이크 베이스를 만든 후 여기에 생크림을 덮고 과일 등을 장식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떡과 빵 및 케이크의 제조에 있어서 시루떡과 같이 쪄서 제조하는 떡의 제조는 그 중앙부에 과일 등과 같은 이종 재료를 넣고자 할 경우 불가능하고 이종 재료의 추가가 층으로만 이루어져 있어 그 응용성이 제한되고 그 맛과 그 기능의 극대화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빵 제조에 있어서는 빵을 구운 후 상부에 크림을 올리거나 크림 등을 주입하는 제조방법 이외에 결합력이 약한 다량의 과일과 견과류의 이종재료를 추가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케이크 제조의 경우에는 케이크 베이스가 단순한 판으로만 이루어져 있어서 그 외부에 크림을 도포하고 약간의 과일만을 얹어 장식하는 것 이외에는 그 내부에 결합력이 약한 다량의 과일과 견과류와 같은 이종 재료를 추가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그 응용성이 제한되고 그 맛과 기능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떡과 빵 및 케이크 등과 같은 식품의 제조에 있어서 그 제조에 따른 응용성이 제한되며 결합력이 약한 과일과 견과류 등과 같은 이종재료를 다량으로 추가하는 기능이 제한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떡과 빵 및 케이크와 같은 식품에 있어서 상부로 개구된 채움부를 형성한 식품 베이스를 제조할 수 있게 한 식품 베이스 제조용기를 구비한 것으로, 상기 식품 베이스 제조용기는 그릇 형의 조리용기와 상기 조리용기에 수납되어 채움부가 형성되게 하는 코어용기로 구성하여 상기한 기술적과제를 실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어용기의 하부가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닿지 않도록 하는 지지수단을 부가하여 일정한 유격이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코어용기와 조리용기에는 구멍을 형성하여 증기의 입출이 원활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조용기는 다단으로 적재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리용기와 코어용기로 이루어진 식품 베이스 제조용기를 구비하여서 내부에 채움부가 형성된 식품 베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떡과 빵 및 케이크를 제조함에 있어 내부에 결합력이 약한 과일 또는 견과류를 필요에 따라 다량 추가할 수 있어 식품 베이스의 응용력이 향상되고 그 기능을 제조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결합력이 약한 과일 및 견과류와 이종 재료를 내부에 수납할 수 있게 한 식품 베이스를 제공하여 떡과 빵 및 케이크의 제조에 있어 그 응용성과 기능성을 다양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도 1 과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떡과 빵 및 케이크의 제조를 위한 식품 베이스를 제조함에 있어 그 중앙에 상부로 개구되는 채움부(11)를 구비한 식품 베이스(10)를 제조할 수 있게 한 식품 베이스 제조용기(100)를 구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식품 베이스 제조용기(100)는 그릇 형으로 원형 또는 다 각형으로 이루어진 조리용기(110)와 상기 조리용기(110)에 수납되어서 원형 또는 다각형의 채움부(11)가 형성되게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코어용기(120)로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리용기(110)와 코어용기(120)는 스테인레스 스틸 등과 같은 금속과 유리, 자기 및 종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코어용기(120)에는 조리용기(110)에 고정되며 조리과정에 있어 내벽과의 사이에 일정 공극을 유지할 수 있게 두 개 이상의 결속바(122)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리용기(110)에는 상기 결속바(122)가 안착 결속될 수 있게 한 바안착홈(112)을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속바(122)의 단부 측에는 조리용기(110)와의 견고한 결속을 위한 결속수단(123)을 구비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결속수단(123)은 조리용기에 나사 결속되는 결속볼트 또는 끼움 결속되는 결속핀 등으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리용기(110)에는 떡 조리과정에 있어서 증기의 원활한 공급을 위한 증기 입출공(111)을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조리용기(110)에 증기 입출공을 형성하여 실시한 상태에서 구이 조리되는 빵과 케이크용 식품 베이스(10)를 제조할 수 있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 입출공(111)이 형성되지 않은 별도의 조리용기를 구비하거나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리용기(110)의 내측에 수납되어 증기 입출공(111)을 밀폐하는 구이용기(130)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코어용기(120)에는 조리과정에 있어 증기의 원활한 입출을 위한 증기 입출공(121)을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코어용기(120)가 수납된 조리용기(110)는 상부로 돌출되지 아니하기 때문에 코어용기(120) 상부에 다른 코어용기를 적재할 수 있으며, 상기 입출공(111, 121)으로 수증기가 입출이 가능하므로 적재된 용기에 담겨진 쌀이 원활하게 쪄 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조과정 및 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떡과 빵 및 케이크의 제조를 위한 식품 베이스를 제조함에 있어 그 중앙에 상부로 개구되는 채움부(11)를 구비한 식품 베이스(10)를 제조할 수 있게 한 식품 베이스 제조용기(100)를 구비하되, 상기 식품 베이스 제조용 기(100)는 그릇 형으로 원형 또는 다 각형으로 이루어진 조리용기(110)와 상기 조리용기(110)에 수납되어지되 하부가 조리용기(110)의 바닥에 닿지 않도록 일정한 유격을 두어서 원형 또는 다각형의 채움부(11)가 형성되게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코어용기(120)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함에 있어서 시루떡과 같은 떡을 제조하고자 할 경우에는 조리용기(110)의 내부에 쌀가루가 빠지지 않게 면직물 또는 종이로 이루어진 깔개를 깔고 바닥에 일정량의 쌀가루를 붓는다.
그리고, 조리용기(110)에 코어용기(120)를 넣어 양측 결속바(122)가 조리용기(110)의 바안착홈(112)에 안착되게 한 후 결속수단(123)으로 견고하게 결속시킨다.
이상과 같이 조리용기(110)에 코어용기(120)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코어용기(120)와 조리용기(110) 사이에 쌀가루를 채워넣고 상부에 증기의 과다한 배출로 인한 냉각 손실이 방지되게 면직물을 덮고 증기를 공급하여 찜 작업을 실시함으로써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채움부(11)가 형성된 떡용 식품 베이스(10)가 완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된 떡용 식품 베이스(10)의 채움부(11)에 필요에 따라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일을 넣거나 꿀떡, 강정, 송편 또는 쿠키와 같은 다른 종류의 재료를 넣음으로써 떡과 이종재료를 통하여 새로운 떡이 제조되는 것이다.
한편, 빵과 케이크용 식품 베이스(10)는 필요에 따라 조리용기(110)에 반죽물을 먼저 투입하고 코어용기(120)를 조립하면서 가압하여서 반죽물이 조리용 기(110)와 코어용기(120) 사이에 채워지게 하거나 코어용기(120)를 조리용기(110)에 먼저 조립한 후 반죽물을 투입하여서 반죽물이 코어용기(120)와 조리용기(110) 사이로 흘러들게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제조된 빵 또는 케이크용 식품 베이스(10)에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이종 재료를 넣음으로써 빵 또는 케이크의 제조에 있어 그 응용성과 기능성이 다양화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리용기와 코어용기로 이루어진 식품 베이스 제조용기를 구비하여서 내부에 채움부가 형성된 식품 베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떡과 빵 및 케이크를 제조함에 있어 내부에 결합력이 약한 과일 또는 견과류를 필요에 따라 다량 추가할 수 있어 식품 베이스의 응용력이 향상되고 그 기능을 제조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화할 수 있는 것이며, 다단으로 적재가 가능하므로 대량 생산이 가능한 장점이 있고, 입출공으로 수증기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다단으로 적재되었다고 하더라도 상하 위치와 무관하게 어느 위치에서나 동일한 숙성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그릇 형으로서 스테인레스 스틸을 포함하는 금속, 유리, 자기 또는 종이 중 어느 하나의 재료를 선택적으로 하여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조리용기;와
    상기 조리용기에 수납되어 지되 스테인레스 스틸을 포함하는 금속, 유리, 자기 또는 종이 중 어느 하나의 재료를 선택적으로 하여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코어용기;로 구성하되
    상기 코어용기의 바닥과 외벽이 조리용기와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코어용기의 상부에서 외향돌출되는 두 개 이상의 결속바와 이 결속바가 안착 결속될 수 있게 한 바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결속바의 단부 측에는 조리용기와의 견고한 결속을 위하여 이 조리용기에 나사 결속되는 결속볼트를 결속수단으로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지지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조리용기에는 떡 조리과정에 있어서 증기의 원활한 공급을 위한 증기 입출공이 바닥면과 외벽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베이스 제조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의 내측에 수납되어 증기 입출공을 밀폐하는 구이용기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베이스 제조용기.
  10. 제 1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용기에는 조리과정에 있어 증기의 원활한 입출을 위한 증기 입출공이 바닥면과 외벽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베이스 제조용기.
  11. 제 10 항의 제조용기에 의하여 제조되어 내부에 이종재료를 수납할 수 있게 중앙에 상부로 개구되는 채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베이스.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70032547A 2007-04-02 2007-04-02 식품 베이스와 그 제조용기 KR100936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547A KR100936702B1 (ko) 2007-04-02 2007-04-02 식품 베이스와 그 제조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547A KR100936702B1 (ko) 2007-04-02 2007-04-02 식품 베이스와 그 제조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9858A KR20080089858A (ko) 2008-10-08
KR100936702B1 true KR100936702B1 (ko) 2010-01-13

Family

ID=40151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2547A KR100936702B1 (ko) 2007-04-02 2007-04-02 식품 베이스와 그 제조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67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52429A (zh) * 2018-04-04 2018-10-16 小甑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自动蒸煮炊具及其蒸煮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6315U (ko) * 1985-12-10 1987-06-19
JP2001017312A (ja) 1999-07-12 2001-01-23 Kagetsu:Kk 多機能鍋
KR200279277Y1 (ko) * 2002-03-18 2002-06-24 최중렬 개량된 찜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6315U (ko) * 1985-12-10 1987-06-19
JP2001017312A (ja) 1999-07-12 2001-01-23 Kagetsu:Kk 多機能鍋
KR200279277Y1 (ko) * 2002-03-18 2002-06-24 최중렬 개량된 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9858A (ko) 200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20633B (zh) 食物煎烤器
US6412400B1 (en) Baking assembly for preparing a filled waffle
US20210274792A1 (en) Flexible, interlocking, baking mold assembly with aperture that bakes comestibles in complex shapes and peels apart at the interlocking seal afterwards
KR100736013B1 (ko) 누룽지 초코스낵과 누룽지 초코파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058526A1 (de) System zur zubereitung und darreichung von nahrungsmitteln
JP2014528731A (ja) 食品製品の成形調理装置、食品製品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た食品製品
US20180000097A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shelf-stable filled sponge-type bakery product
KR100936702B1 (ko) 식품 베이스와 그 제조용기
CN100459865C (zh) 制作甜或咸饼的深冻半成品的方法及所得到的半成品
KR101338212B1 (ko) 밥을 이용한 와플 및 그 제조방법
KR101523016B1 (ko) 주먹밥 제조방법 및 성형틀
KR101548430B1 (ko) 소형 떡 찜기
US20130276642A1 (en) Personal Cake Pan
KR102197439B1 (ko) 누룽지 샌드 제조방법
JP3200307U (ja) 鯛焼き様食品
KR102052986B1 (ko) 함침 초콜릿 과자
KR101881399B1 (ko) 주먹밥 성형틀
KR101322849B1 (ko) 다기능 한과 제조용 틀 및 이를 이용한 한과 제조 방법
KR20090101328A (ko) 토스트 제조방법
KR20070074471A (ko) 내벽이 코팅된 식용 가능한 누룽지 그릇의 제조방법 및 그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내벽이 코팅된 식용 가능한 누룽지그릇
JP2016029893A (ja) ベーグ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71067B1 (ko) 생선조림 솥
KR100869811B1 (ko) 떡 베이스 제조용기
KR200449258Y1 (ko) 패스트푸드 수납용 케이스
EP3432722B1 (fr) Procede de fabrication d&#39;une pate a tarte crue preformee et stabilisee et produits affer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