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258Y1 - 패스트푸드 수납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패스트푸드 수납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258Y1
KR200449258Y1 KR2020080007108U KR20080007108U KR200449258Y1 KR 200449258 Y1 KR200449258 Y1 KR 200449258Y1 KR 2020080007108 U KR2020080007108 U KR 2020080007108U KR 20080007108 U KR20080007108 U KR 20080007108U KR 200449258 Y1 KR200449258 Y1 KR 2004492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 food
lower case
case
parts
storag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71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2363U (ko
Inventor
김우영
Original Assignee
김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영 filed Critical 김우영
Priority to KR20200800071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258Y1/ko
Publication of KR200900123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3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2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2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akery products, e.g. bis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2Wrapped articles enclosed in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패스트푸드 수납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식용 가능한 소정의 곡물 재료로 제조되며, 내부에 패스트푸드가 수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상부 및 하부 케이스부;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케이스부의 결합을 위해 상기 상부 및 하부 케이스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형성되되, 다른 하나의 단부를 부분적으로 덮어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패스트푸드 그 자체를 수납시킴으로써 패스트푸드 내의 속재료가 튀어나오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외관상 깔끔하고 심플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패스트푸드를 식용하기가 용이해질 수 있다.
패스트푸드, 케이스, 곡물, 빵, 식빵, 햄버거빵

Description

패스트푸드 수납용 케이스{Case for fast food}
본 고안은, 패스트푸드 수납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패스트푸드 그 자체를 수납시킴으로써 패스트푸드 내의 속재료가 튀어나오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외관상 깔끔하고 심플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패스트푸드를 식용하기가 용이해질 수 있는 패스트푸드 수납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패스트푸드의 사전적인 의미는, 햄버거, 도넛, 닭튀김과 같이 가게에서 간단한 조리를 거쳐 제공되는 음식을 말한다.
물론, 이 외에도 즉석에서 간단하게 제공될 수 있는 다양한 음식들도 패스트푸드라 할 수 있지만, 이하에서는 패스트푸드의 범위를 좁혀 패스트푸드를, 그 내부에 속재료(계란 프라이, 고기 패드, 양배추, 토마토, 오이 피클 등)를 집어넣은 상태에서 먹게 되어 있는 예컨대 토스트, 샌드위치, 햄버거, 피자 등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근자에 들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패스트푸드의 소비량이 점차 감소하고 있기는 하지만, 토스트, 샌드위치, 햄버거, 피자 등의 패스트푸드는 여전 히 현대인들에게 있어 각광을 받는 음식이다.
이러한 패스트푸드는 혼자 먹기에도 그다지 어려움이 없으며, 여러 가지 맛을 선택하여 먹을 수 있고, 특히 간편하여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패스트푸드는, 그 내부에 계란 프라이, 고기 패드, 양배추, 토마토, 오이 피클 등의 속재료가 실질적으로 가득히 들어감에도 불구하고, 패스트푸드의 외피를 형성하는 빵(과자를 포함함)이 통상의 식빵이나 햄버거빵 등과 같이 내면이 대략 평평한 상태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많은 속재료를 넣을 경우, 속재료가 빵의 외부로 튀어나오게 됨에 따라 깔끔하고 심플한 형태를 유지하기가 곤란하며, 특히 먹기에 다소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식용 가능한 별도의 패스트푸드 수납용 케이스를 마련하고, 이 패스트푸드 수납용 케이스의 내부에 토스트, 샌드위치, 햄버거, 피자 등의 패스트푸드를 그대로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한다면, 패스트푸드 내의 속재료가 튀어나오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외관상 깔끔하고 심플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패스트푸드를 식용하기가 용이해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패스트푸드 그 자체를 수납시킴으로써 패스트푸드 내의 속재료가 튀어나오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외관상 깔끔하고 심플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패스트푸드를 식용하기가 용이해질 수 있는 패스트 푸드 수납용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식용 가능한 소정의 곡물 재료로 제조되며, 내부에 패스트푸드가 수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상부 및 하부 케이스부;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케이스부의 결합을 위해 상기 상부 및 하부 케이스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형성되되, 다른 하나의 단부를 부분적으로 덮어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트푸드 수납용 케이스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케이스부는 그 내부에 각각 상부 공간부와 하부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금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금형 제작 시 상기 상부 및 하부 케이스부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는 장식패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곡물 재료는, 과자나 빵 등의 제조 시 사용되는 단일 재료 또는 다양한 첨가 재료가 가미된 복합 재료일 수 있으며, 상기 패스트푸드는 토스트, 샌드위치, 햄버거, 피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패스트푸드 그 자체를 수납시킴으로써 패스트푸드 내의 속재료가 튀어나오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외관상 깔끔하고 심플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패스트푸드를 식용하기가 용이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스트푸드 수납용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패스트푸드 수납용 케이스(100)는 패스트푸드(H) 그 자체를 수납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서, 크게 상부 케이스부(110)와 하부 케이스부(1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패스트푸드(H)란, 그 내부에 계란 프라이, 고기 패드, 양배추, 토마토, 오이 피클 등의 속재료가 들어 있는 토스트, 샌드위치, 햄버거, 피자 등을 말한다. 하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토스트, 샌드위치, 햄버거, 피자 외에 이들과 균등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들도 패스트푸드(H)의 범주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본다.
상부 및 하부 케이스부(110,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토스트, 샌드위치, 햄버거, 피자 등의 패스트푸드(H)를 외부에서 감싸 지지하는 부분이며, 패스트푸드(H)와 함께 식용되어야 하므로 상부 및 하부 케이스부(110,120)는 식용이 가능한 재료로 제작된다.
식용이 가능한 재료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을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곡물 재료를 그 예로 하기로 한다. 이 때, 곡물 재료는 과자나 빵 등의 제조 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일 재료가 될 수도 있고, 혹은 다양한 첨가 재료가 가미된 복합 재료일 수도 있다.
단일 재료는 밀가루, 쌀가루 등의 재료를 가리키며, 복합 재료는 밀가루, 쌀가루 등의 재료에 별도의 첨가물, 예컨대 불고기 맛을 위한 첨가물, 바비큐 맛을 위한 첨가물, 다양한 소스, 향신료 등을 가미시킨 것을 말한다.
복합 재료로 패스트푸드 수납용 케이스(100)를 제조하는 경우, 단순한 밀가루 맛에서 벗어나 다양한 맛을 구현해 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구매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상부 및 하부 케이스부(110,120)의 내부에는 각각 상부 공간부(110a)와 하부 공간부(120a)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및 하부 공간부(110a,120a)는 상부 및 하부 케이스부(110,120)가 상호 결합될 때 상부 및 하부 케이스부(110,120) 사이에서 하나의 단일 공간을 이루면서 패스트푸드(H)가 수납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부 및 하부 케이스부(110,120)는 대략 반구 형태를 가지므로, 이러한 상부 및 하부 케이스부(110,120)의 결합에 의해 내부에 형성되는 상부 및 하부 공간부(110a,120a)에는 패스트푸드(H)의 한 종류인 햄버거가 그대로 수납될 수 있다.
만일, 상부 및 하부 케이스부(110,120)가 내부에 공간부(미도시)를 구비한 블록 구조를 갖는다면, 이러한 상부 및 하부 케이스부(110,120) 내의 공간부에는 패스트푸드(H)의 한 종류인 토스트, 샌드위치, 피자 등이 그대로 수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패스트푸드 수납용 케이스(100)는 반드시 도면의 형상에 국한될 필요는 없으며, 패스트푸드(H)의 종류와 모양, 형상에 맞게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상부 및 하부 케이스부(110,120)가 식용이 가능한 곡물 재료로 만들어지고 있으므로, 상부 및 하부 공간부(110a,120a)는 상부 및 하부 케이스부(110,120)의 내면을 홈 형태로 파서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대량 생산을 위해 상부 및 하부 케이스부(110,120)를 금형 작업하고 있으므로, 금형에 의해 상부 및 하부 케이스부(110,120)가 제조될 경우에 상부 및 하부 케이스부(110,120) 내에 상부 및 하부 공간부(110a,120a)가 자연스럽게 형성되도록 하면 더욱 좋다.
특히, 금형 작업에 의해 상부 및 하부 케이스부(110,120)가 제조되는 경우, 금형의 성형면에 약간의 패턴을 가미할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케이스부(110,120)의 표면에는 장식패턴부(110b,120b)가 형성되어 외장의 미를 향상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장식패턴부(110b,120b)는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금형 작업 등에 의해 상부 및 하부 케이스부(110,120) 내에 상부 및 하부 공간부(110a,120a)가 형성될 때, 상부 및 하부 케이스부(110,120)의 내부 모두에 공간부(110a,120a)가 형성될 필요는 없다.
즉, 상부 및 하부 케이스부(110,120) 중 어느 하나에만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다른 하나는 막힌 형태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다만, 이처럼 상부 및 하부 케이스부(110,120) 중 어느 하나에만 공간부가 형성될 경우에는 통상의 햄버거보다 작은 부피의 패스트푸드(H)가 수납되면 된다.
한편, 상부 및 하부 케이스부(110,120) 내에 상부 및 하부 공간 부(110a,120a)가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 공간부(110a,120a)로 패스트푸드(H)가 수납된다 하더라도, 만약 상부 및 하부 케이스부(110,120) 간의 결합 수단이 없다면 사실상 상부 및 하부 케이스부(110,120)가 저절로 분리되면서 그 내부에 수납된 패스트푸드(H)가 케이스(100)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높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및 하부 공간부(110a,120a)에 수납된 패스트푸드(H)가 상부 및 하부 케이스부(110,1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상부 케이스부(110)의 단부에 하부 케이스부(120)의 단부를 부분적으로 덮어 결합시키는 결합부(130)를 더 형성시키고 있다.
물론, 이러한 결합부(130)는 상부 및 하부 케이스부(110,120)가 완전히 분리되지 못하도록 하는 정도의 결합력을 갖는 것은 아니다. 즉, 상부 및 하부 공간부(110a,120a) 내에 패스트푸드(H)를 수납시키면서 상부 및 하부 케이스부(110,120)를 상호간 마주보면서 접면시키는 경우에 잠시나마 혹은 미약한 힘이나마 상부 및 하부 케이스부(110,120)가 상호 분리되지 않을 정도면 그것으로 족한 것이다.
특히, 결합부(130)가 상부 케이스부(110)의 단부에 하부 케이스부(120)의 단부를 부분적으로 덮어 결합시키는 형태로 제조되는 경우, 결합부(130) 영역을 통해서도 패스트푸드(H)의 속재료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것임에 틀림이 없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패스트푸드(H) 그 자체를 수납시킴으로써 패스트푸드(H) 내의 속재료가 튀어나오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외관 상 깔끔하고 심플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패스트푸드(H)를 식용하기가 용이해질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패스트푸드 수납용 케이스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패스트푸드 수납용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의 케이스(100)의 경우, 결합부(130)가 상부 케이스부(110)의 단부에 형성된 상태에서 하부 케이스부(120)의 단부를 부분적으로 덮어 결합시키는 형태를 가졌다.
하지만, 제2 실시예의 케이스(200)에서 결합부(230)는 도 3과 같이 하부 케이스부(220)에 형성된 상태에서 상부 케이스부(210)의 단부를 부분적으로 덮어 결합시키는 형태로 제조되고 있다.
그리고 제3 실시예의 케이스(300)에서는 결합부(130,230)의 구조가 한글 'ㄱ'의 단순 구조에서 벗어나 도 4의 결합부(330)와 같이, 하부 케이스부(320)에 형성되되 대략 영문자 'U'의 형태를 가지도록 하여 상부 케이스부(310)의 단부가 결합부(330) 내로 부분적으로 수용 및 끼워지면서 결합되도록 하고 있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구성한다 하더라도 본 고안의 효과를 제공하는 데에는 아무런 무리가 없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였으나, 상부 및 하부 케이스부는 반드시 분리된 상태로 제조될 필요는 없다. 즉, 상부 및 하부 케이스부가 일측에서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형태가 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스트푸드 수납용 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패스트푸드 수납용 케이스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패스트푸드 수납용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300 : 패스트푸드 수납용 케이스 110~310 : 상부 케이스부
120~320 : 하부 케이스부 130~330 : 결합부

Claims (4)

  1. 식용 가능한 소정의 곡물 재료로 제조되며, 내부에 패스트푸드가 수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상부 및 하부 케이스부;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케이스부의 결합을 위해 상기 상부 및 하부 케이스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형성되되, 다른 하나의 단부를 부분적으로 덮어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패스트푸드 수납용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 케이스는 패스트푸드의 종류와, 형상 및 모양에 일치하도록 금형에 의해 제작되며, 상기 상, 하부 케이스부의 결합부 중에서 어느 한 결합부에서는 "ㄱ"자 또는 "U"자 형태의 단턱이 전주에 걸쳐 내측으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나머지 케이스부에서는 그 단부가 상기 단턱에 전주에 걸쳐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납용 케이스는 곡물 재료로 이루어지되 수납된 패스트푸드의 맛과 어울리는 첨가물이 가미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트푸드 수납용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케이스부는 그 내부에 각각 상부 공간부와 하부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금형에 의해 제작되며,
    상기 금형 제작 시 상기 상부 및 하부 케이스부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는 장식패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트푸드 수납용 케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 재료는, 과자나 빵 등의 제조 시 사용되는 단일 재료 또는 다양한 첨가 재료가 가미된 복합 재료이며,
    상기 패스트푸드는 토스트, 샌드위치, 햄버거, 피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트푸드 수납용 케이스.
  4. 삭제
KR2020080007108U 2008-05-30 2008-05-30 패스트푸드 수납용 케이스 KR2004492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108U KR200449258Y1 (ko) 2008-05-30 2008-05-30 패스트푸드 수납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108U KR200449258Y1 (ko) 2008-05-30 2008-05-30 패스트푸드 수납용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363U KR20090012363U (ko) 2009-12-03
KR200449258Y1 true KR200449258Y1 (ko) 2010-06-25

Family

ID=44242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7108U KR200449258Y1 (ko) 2008-05-30 2008-05-30 패스트푸드 수납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258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6675A (ja) * 1998-06-05 1999-12-21 Hokuriku Seika Kk 食用容器
KR20010074465A (ko) 1998-03-31 2001-08-04 추후제출 생분해성 포장재료, 그 제조방법 및 용도
KR200357654Y1 (ko) 2004-05-19 2004-07-31 이성윤 딸기포장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4465A (ko) 1998-03-31 2001-08-04 추후제출 생분해성 포장재료, 그 제조방법 및 용도
JPH11346675A (ja) * 1998-06-05 1999-12-21 Hokuriku Seika Kk 食用容器
KR200357654Y1 (ko) 2004-05-19 2004-07-31 이성윤 딸기포장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363U (ko) 200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9258Y1 (ko) 패스트푸드 수납용 케이스
JP2006223177A (ja) 苺ジャム、可食皿及び苺菓子
US8383176B2 (en) Han-burger and making method thereof
WO2007138620A1 (en) Foodstuff
KR101672302B1 (ko) 밥버거 및 그 제조방법
US20140154395A1 (en) Crunchy egg product and manufacturing apparatus and process
JP2008035754A (ja) 焼き稲荷飯、焼き稲荷飯弁当及び焼き稲荷飯の製造方法
JP3242793U (ja) 羽根つき鯛焼き
US20180027826A1 (en) Han-Burger and Making Method Thereof
KR101585764B1 (ko) 음식물 포장용 상자
KR101908108B1 (ko) 포켓형 조미밥 및 그 제조 방법
JP3178446U (ja) 食用トレイ
JP5555397B2 (ja) 携帯可能食品
KR100690437B1 (ko) 튀김 초밥
KR20020033688A (ko) 밥 속에 내용물을 넣어 만든 밥 튀김
JP3114793U (ja) シュー食品
JP2017205084A (ja) じゃが芋コロッケを内包した餅
JP3084480B2 (ja) 天にぎり
KR20130010589A (ko) 모형을 이용한 빵의 제조방법
KR20050089100A (ko) 양념밥과 밀가루반죽을 이용한 즉석음식의 제조방법
JP4391390B2 (ja) きりたんぽ
JP3103786U (ja) 装飾食品
JP3163790U7 (ko)
KR100777133B1 (ko) 양념볶음밥과 곡물가루반죽을 이용한 즉석음식의 제조방법
JP2005270075A (ja) 焼き菓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