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295Y1 - 요리용 찜기 - Google Patents

요리용 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295Y1
KR200487295Y1 KR2020170001278U KR20170001278U KR200487295Y1 KR 200487295 Y1 KR200487295 Y1 KR 200487295Y1 KR 2020170001278 U KR2020170001278 U KR 2020170001278U KR 20170001278 U KR20170001278 U KR 20170001278U KR 200487295 Y1 KR200487295 Y1 KR 2004872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loth
steam
body portion
stea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2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길
Original Assignee
김원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길 filed Critical 김원길
Priority to KR20201700012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2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2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2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7/05Tier steam-cookers, i.e. with steam-tight joints between cooking-vessels stacked while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요리용 찜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찜통의 바닥에 까는 헝겊을 교체할 때 소요되는 교체시간을 단축시키고 음식물을 조리하는데 편리한 요리용 찜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용기 형태의 본체부;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고, 상기 본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판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수평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배치된 증기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증기가 상기 지지부를 경유하여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도록 이루어지는 증기 배출판;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물과 헝겊이 수용되는 헝겊 수용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용 찜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요리용 찜기{STEAMERS FOR COOKING}
본 고안은 요리용 찜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찜통의 바닥에 까는 헝겊을 교체할 때 소요되는 교체시간을 단축시키고 음식물을 조리하는데 편리한 요리용 찜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건강에 신경을 쓰는 사람들이 증가하면서 기름에 볶거나 튀기는 요리 대신 담백한 찜 요리를 선호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찜 요리는 물이나 불에 직접 닿지 낳아 영양소 손실을 줄여주고, 재료 고유의 맛을 간직하고 있어서 건강한 다이어트 식으로 좋다.
찜기는 물을 끓여 발생되는 고온의 수증기로 재료를 익히도록 이루어져 있어, 촉촉하면서도 부드럽고 식감이 살아있는 요리를 하는데 적합하다.
이와 같은 찜기는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만두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알루미늄 찜기부터 가정에서 많이 사용하는 스테인리스 스틸 찜기, 사용하기 편리한 실리콘 찜기와 떡 케이크를 만들 때 사용하는 대나무 찜기 등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요리용 찜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요리용 찜기는 통상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되며, 증기를 발생시키는 스팀통(10)과 조리할 음식이 담기는 찜통(20)으로 이루어진다.
스팀통(10)은 일반적인 용기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나, 찜통(20)은 그 바닥에 다수의 통공(21)이 형성되어 있다.
조리를 할 때에는 스팀통(10)에 적당량의 물을 넣고 그 스팀통(10) 위에 찜통(20)을 1단 이상 적층하게 된다.
이때 찜통(20)의 바닥에는 명주천 등의 헝겊(22)을 깔아 놓고 그 위에 만두 등 음식을 가지런히 배열하게 된다.
이후 스팀통(10)을 가열하게 되면 스팀통(10)의 물이 증발되어 증기가 통공(21)을 통하여 찜통(20) 내부로 유입되어 요리가 익혀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요리용 찜기는, 찜통(20)의 바닥에 까는 헝겊(22)을 찜통(20)과 분리된 장소에 구비하기 때문에 헝겊(22)을 교체할 때 교체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요리용 찜기는 찜통(20)을 여러 단으로 적층시켜 찜을 할 경우에 증기가 하부 찜통(20)으로부터 최상부 찜통(20)에 도달하기까지 시간 차가 크게 된다.
이와 같이, 찜을 하는 초기에 하부 찜통(20)으로부터 데워지면서 차례로 상부 찜통(20) 쪽으로 온도가 전달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음식물이 익혀지는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중국식 만두의 경우, 헝겊 위에 쌀가루물을 얇게 편 후 짧은 시간에 익힌 만두피를 찜통에서 꺼내어 상기 헝겊으로부터 분리하게 되며, 상기 만두피에 소고기나 돼지고기로 구성된 만두소를 넣고 말아서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익혀진 만두피가 헝겊(22)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항상 헝겊을 물에 적신 후 찜통(20)의 바닥에 먼저 깔게 된다.
따라서, 다른 장소에서 헝겊을 적신 후 찜통(20)으로 가져오게 되면 작업이 번거롭고 교체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특히, 식당에서 주문을 받은 후 수분 내에 만두피를 찐 후 고기를 넣어 만두를 만들어야 하는 경우, 헝겊 교체가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면 만두 제조시간이 길어져 음식 준비가 지체되므로 식당을 찾은 고객의 만족도가 크게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KR 20-0175060 Y1 (2000.03.15.공고)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찜통의 바닥에 까는 헝겊을 교체할 때 소요되는 교체시간을 단축시키고 음식물을 조리하는데 편리한 요리용 찜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찜통 내에 한번에 많은 양의 음식물을 배치하여 익힐 수 있고, 음식물이 전체적으로 골고루 익혀지도록 할 수 있는 요리용 찜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용기 형태의 본체부;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고, 상기 본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판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수평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배치된 증기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증기가 상기 지지부를 경유하여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도록 이루어지는 증기 배출판;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물과 헝겊이 수용되는 헝겊 수용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용 찜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직사각형 형태의 수평 단면을 가지고, 상광하협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헝겊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 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부의 내측 상단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에는 상기 증기 배출판을 지지하도록 지지리브가 각각 수평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일측과 타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증기 배출판의 양단에는 각각 수직 상방으로 걸림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증기 배출판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걸림리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 근방의 증기 배출판 부분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헝겊 수용부는 상부가 개구된 중공의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하면에는 물 배출구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이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에 의하면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고안은 본체부의 일측에 헝겊 수용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본체부의 내측 상단에 결합되는 증기 배출판 위에 까는 헝겊을 교체할 때 소요되는 교체시간을 단축시키고 음식물을 조리하는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본체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음식물이 배치되는 증기 배출판을 넓게 형성함으로써, 한번에 많은 양의 음식물을 배치하여 익힐 수 있고, 음식물이 전체적으로 골고루 익혀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증기 배출판을 지지하는 지지리브를 본체부의 내측 상단에 형성함으로써, 증기에 의해 뜨겁게 달궈진 증기 배출판 상에서 안전하게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본체부를 상광하협의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증기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증기의 유속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상부로 가면서 넓게 퍼지도록 하여 증기 배출판에 형성된 복수의 배출공 전체를 통과하는 증기에 의해 음식물이 골고루 익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본체부의 일측과 타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증기 배출판의 양단에 각각 수직 상방으로 걸림리브를 형성함으로써, 증기 배출판 위에 씌여지는 헝겊이 걸림리브에 걸쳐지도록 하여 음식물이 익혀지면 음식물이 놓인 헝겊을 손쉽게 걷어 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증기 배출판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걸림리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 근방의 증기 배출판 부분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을 형성함으로써, 관통공에 집게 등 각종 도구를 삽입한 다음 들어 올리는 방식으로 본체부로부터 증기 배출판을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헝겊 수용부에 물 배출구를 형성함으로써, 헝겊 수용부 내에 채워져 있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킨 다음 헝겊 수용부 내부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요리용 찜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요리용 찜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덮개부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헝겊 수용부에 수용되는 헝겊이 증기 배출판에 씌여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을 아래에서 올려다 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요리용 찜기에서 본체부, 지지부 및 헝겊 수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요리용 찜기에 채용되는 증기 배출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요리용 찜기에 채용되는 덮개부의 안쪽 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요리용 찜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요리용 찜기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본 고안에 따른 요리용 찜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 지지부(20), 증기 배출판(30), 헝겊 수용부(40) 및 덮개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부(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 형상의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용기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직사각형 형태의 수평 단면을 가지고, 상광하협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본체부(10)를 상광하협의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후술할 지지부(20)의 하부에 배치되는 증기 발생기(미도시)로부터 발생된 증기의 유속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상부로 가면서 넓게 퍼지도록 하여 증기 배출판(30)에 형성된 복수의 배출공(31) 전체를 통과하는 증기에 의해 음식물이 골고루 익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체부(10)의 내측 상단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헝겊 수용부(40)가 형성된 본체부(10)의 일측(12)으로부터 본체부(10)의 일측(12)과 대향하는 타측(14) 방향을 따라 지지리브(16)가 각각 수평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지지리브(16)는 후술할 증기 배출판(30)의 양측 테두리를 지지하게 된다.
이처럼 증기 배출판(30)을 지지하는 지지리브(16)를 본체부(10)의 내측 상단에 형성함으로써, 증기에 의해 뜨겁게 달궈진 증기 배출판(30) 상에서 안전하게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게 된다.
지지부(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고, 본체부(10)와 연통되도록 본체부(10)의 하부에 배치되어 본체부(10)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중공의 원통 형태로 이루어진다.
증기 배출판(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배출공(31)이 형성된 넓은 판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본체부(10)의 내측 상단에 형성된 지지리브(16)에 의해 지지되도록 수평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러한 증기 배출판(30)은 지지부(20)의 하부에 배치된 증기 발생기(미도시)로부터 발생된 증기가 지지부(20)의 내부를 경유하여 배출공(31)을 통해 배출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증기 배출판(30)을 넓게 형성함으로써, 한번에 많은 양의 음식물을 배치하여 익힐 수 있고, 음식물이 전체적으로 골고루 익혀지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본체부(10)의 일측(12)과 타측(14)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증기 배출판(30)의 양단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수직 상방으로 걸림리브(33)가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증기 배출판(30) 위에 씌여지는 헝겊이 걸림리브(33)에 걸쳐지도록 하여 음식물이 익혀지면 음식물이 놓인 헝겊을 손쉽게 걷어 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증기 배출판(3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걸림리브(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근방의 증기 배출판(30) 부분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35)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관통공(35)에 집게 등 각종 도구를 삽입한 다음 들어 올리는 방식으로 본체부(10)로부터 증기 배출판(30)을 손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헝겊 수용부(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일측(12)에 본체부(10)와 일체로 형성되어 물(W)과 헝겊(C)이 수용되는데, 이처럼 본체부(10)의 일측(12)에 헝겊 수용부(40)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본체부(10)의 내측 상단에 결합되는 증기 배출판(30) 위에 까는 헝겊(C)을 교체할 때 소요되는 교체시간을 단축시키고 음식물을 조리하는데 편리함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와 헝겊 수용부(40)의 경계부(B) 길이방향으로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와 헝겊 수용부(40)의 상부는 동일한 폭(W)을 가진다.
이와 같은 헝겊 수용부(40)는 상부가 개구된 중공의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하면에는 물 배출구(42)가 관통되어 형성되며, 물 배출구(42)에는 개폐밸브가 설치된 배출관(P)이 끼워지게 된다.
이처럼 헝겊 수용부(40)에 물 배출구(42)를 형성함으로써, 헝겊 수용부(40) 내에 채워져 있는 물(W)을 외부로 배출시킨 다음 헝겊 수용부(40) 내부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덮개부(50)는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깥쪽 면이 볼록하고 안쪽면(55)이 오목한 돔 형태로 이루어져서 바깥쪽 면 상단에는 손잡이(51)가 형성되고, 내외면을 관통하는 증기 유출공(53)이 복수로 형성된다.
이때, 덮개부(50)의 안쪽면(55)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외측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덮개부(50) 내부의 증기가 액화되면서 생기는 물방울이 음식물로 바로 떨어지지 않고 경사면을 타고 증기 배출판(30)의 가장자리로 흐르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의 식감이나 맛이 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본체부 16 : 지지리브
20 : 지지부 30 : 증기 배출판
31 : 배출공 33 : 걸림리브
40 : 헝겊 수용부 50 : 덮개부

Claims (5)

  1. 상광하협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부는 직사각형 형태로 개구되는 용기 형태의 본체부;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고, 상기 본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판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수평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배치된 증기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증기가 상기 지지부를 경유하여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도록 이루어지는 증기 배출판;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중공의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물과 헝겊이 수용되고, 하면에는 물 배출구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헝겊 수용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와 헝겊 수용부의 경계부 길이방향으로 상기 본체부의 상부와 헝겊 수용부의 상부는 동일한 폭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본체부의 일측과 타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증기 배출판의 양단에는 각각 수직 상방으로 걸림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증기 배출판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걸림리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 근방의 증기 배출판 부분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용 찜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헝겊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 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부의 내측 상단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에는 상기 증기 배출판을 지지하도록 지지리브가 각각 수평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용 찜기.
  4. 삭제
  5. 삭제
KR2020170001278U 2017-03-17 2017-03-17 요리용 찜기 KR2004872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278U KR200487295Y1 (ko) 2017-03-17 2017-03-17 요리용 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278U KR200487295Y1 (ko) 2017-03-17 2017-03-17 요리용 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295Y1 true KR200487295Y1 (ko) 2018-08-30

Family

ID=63405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278U KR200487295Y1 (ko) 2017-03-17 2017-03-17 요리용 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2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3829A (ko) 2021-07-20 2023-01-27 주식회사 안진 조립식 편백찜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682U (ko) * 1997-10-18 1999-05-15 송창석 일회용 종이물수건 보관대
KR200175060Y1 (ko) 1999-10-13 2000-03-15 이근순 만두·찐빵용 찜기
JP3811107B2 (ja) * 2002-08-02 2006-08-16 恵生 矢部 電気ポット用蒸し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682U (ko) * 1997-10-18 1999-05-15 송창석 일회용 종이물수건 보관대
KR200175060Y1 (ko) 1999-10-13 2000-03-15 이근순 만두·찐빵용 찜기
JP3811107B2 (ja) * 2002-08-02 2006-08-16 恵生 矢部 電気ポット用蒸し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3829A (ko) 2021-07-20 2023-01-27 주식회사 안진 조립식 편백찜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6875B1 (en) Cooking vessel with removable trough
US20100263552A1 (en) Specialized pan for boiling lasagna noodles
US1909983A (en) Vegetable cooker
KR101311121B1 (ko) 멀티 쿠커
KR200487295Y1 (ko) 요리용 찜기
KR20130002374A (ko) 중탕냄비
US4316447A (en) Steam cooking apparatus
KR101126354B1 (ko) 수육용기
US9445685B1 (en) Apparatus for steaming tamales
KR20110083255A (ko) 다기능 구이기
KR200442826Y1 (ko) 다목적 조리용기
US20150000537A1 (en) Steamer for foodstuffs
KR101645410B1 (ko) 즉석 찜 포장용기
JPH072137B2 (ja) 加熱調理装置
KR20110000512U (ko) 직화형 후라이팬
KR200455177Y1 (ko) 개량 신선로
KR200318987Y1 (ko) 조리용기
US1282230A (en) Culinary utensil.
WO2015019038A1 (en) Apparatus for cooking a chicken
US1976219A (en) Cooking utensil
KR101605253B1 (ko) 뚝배기
US11937729B2 (en) Food steamers and steamer baskets
KR101945939B1 (ko) 찜기 겸용 전골냄비
KR101001614B1 (ko) 수증기를 이용한 조리 용기
KR200299306Y1 (ko) 음식물 조리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