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6354B1 - 수육용기 - Google Patents
수육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26354B1 KR101126354B1 KR1020100032424A KR20100032424A KR101126354B1 KR 101126354 B1 KR101126354 B1 KR 101126354B1 KR 1020100032424 A KR1020100032424 A KR 1020100032424A KR 20100032424 A KR20100032424 A KR 20100032424A KR 101126354 B1 KR101126354 B1 KR 1011263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laver
- seaweed
- meat
- gimpo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27—Plates, dishes or the like with means for keeping food cool or ho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4—Plates with detachable waste recepta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steaming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6—Articles adapted for a particular kind of foodstu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당 또는 가정에서 돼지고기 등을 수육으로 따뜻하게 데우면서 먹을 때 사용될 수 있으며 수육의 맛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수육용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수육용기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용기, 이 용기의 중간부 배치되고 다수의 김 통과공이 제공되어 수육이 올려지며 수육으로 김을 공급하는 제1 김공급부, 용기 또는 제1 김공급부에 결합되며 용기에서 올라오는 김을 전달받아 수육의 상면과 측면 부분으로 공급하는 제2 김공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수육용기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용기, 이 용기의 중간부 배치되고 다수의 김 통과공이 제공되어 수육이 올려지며 수육으로 김을 공급하는 제1 김공급부, 용기 또는 제1 김공급부에 결합되며 용기에서 올라오는 김을 전달받아 수육의 상면과 측면 부분으로 공급하는 제2 김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육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당 또는 가정에서 돼지고기 등을 수육으로 따뜻하게 데우면서 먹을 때 사용될 수 있으며 수육의 맛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수육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육은 돼지고기 등을 물에 넣고 삶아서 익힌 후 건져낸 상태의 고기를 말한다. 이러한 수육은 보쌈용으로 널리 먹는 음식이며 고기를 삶아서 지방을 뺀 상태로 섭취하므로 건강에도 매우 이로운 조리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수육은 따뜻할 때 먹어야 맛이 좋다. 따라서 수육용기에 수육을 올려놓고 데우면서 먹는 것이 일반적이다. 수육용기는 용기에 물을 채우고 그 위에 배치되며 김이 통과할 수 있는 채반과 같은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그리고 플레이트에 수육을 올려놓고 용기를 가열하면 김이 플레이트를 통하여 위쪽으로 올라오면서 수육을 지속적으로 데운다.
그러나 기존의 수육용기를 이용하여 수육을 지속적으로 따뜻하게 데우는 경우에 수육용기에 올려진 수육의 저면부는 김에 의하여 촉촉하고 말랑말랑한 상태가 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육의 위면부는 김이 잘 접촉하지 못하여 마름 현상이 발생한다.
수육의 일부가 마르면 처음에 조리한 수육의 상태와는 다르게 되어 수육의 맛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육을 지속적으로 데울 때 수육의 저면부 뿐만 아니라 측면 침 상면에 김이 골고루 전달되어 전체적으로 균일하고 골고루 수육에 김이 전달되도록 하여 처음에 조리한 상태의 수육의 맛을 유지할 수 있는 수육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용기, 상기 용기의 중간부 배치되고 다수의 김 통과공이 제공되어 수육이 올려지며 상기 수육으로 김을 공급하는 제1 김공급부, 상기 용기 또는 상기 제1 김공급부에 결합되며 상기 용기에서 올라오는 김을 전달받아 상기 수육의 상면과 측면 부분으로 공급하는 제2 김공급부를 포함하는 수육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용기는 내부의 중간 부분에 상기 제1 김공급부가 올려지는 걸림턱부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는 바닥면의 가운데 부분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쳄버를 이루며 상기 쳄버에서 발생된 김을 상부 측으로 안내하며 격벽으로 이루어진 김안내부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김안내부에는 상기 용기의 내부로 관통된 다수의 물 유통구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김공급부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레이트에는 용기에서 올라온 김을 통과시켜 수육의 저면으로 김을 공급하는 다수의 김통과공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김공급부에는 중앙부에 상기 제2 김공급부가 끼워지는 관통구멍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김공급부는 저면에 제공되며 상기 용기 측에서 공급되는 김이 유입되는 김 유입구, 통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위쪽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경사진 김포집용 벽부, 상기 김포집용 벽부의 상면에 제공되어 상기 김포집용 벽부의 상면을 폐쇄하는 폐쇄부, 상기 김포집용 벽부의 내부에 모인 김을 상기 수육의 상부 및 측면에 공급하며 상기 김포집용 벽부에 제공되는 다수의 김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김포집용 벽부는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김배출구들은 제1 김공급부 측으로 김이 방사상으로 배출되도록 그 방향이 다르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수육을 지속적으로 데울 때 제1 김공급부에서 김이 수육의 하부에 공급되고 제2 김공급부에 의하여 수육의 상부와 측면에 김을 공급하여 수육이 마르는 것을 방지하여 맛있는 수육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수육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부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부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부를 잘라서 본 단면도로, 수육용기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수육용기는 용기(1), 제1 김공급부(3), 그리고 제2 김공급부(3)를 포함한다.
용기(1)는 위쪽이 오픈되어 있으며 내부에 물이 수용될 수 있다. 용기(1)는 통상적으로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용기(1)는 내부의 중간 부분에 중앙부 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부(7)가 제공된다. 용기(1)에 제공된 걸림턱부(7)에는 상술한 제1 김공급부(3)가 올려진다. 즉, 걸림턱부(7)는 제1 김공급부(3)의 외주면이 걸쳐져 용기(1)의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거리가 떨어진 위치에서 제1 김공급부(3)를 안정된 자세로 배치하는 역할을 한다.
용기(1)는 김을 상부 측으로 안내하며 격벽으로 이루어진 김안내부(9)가 제공된다. 김안내부(9)는 바닥면의 가운데 부분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쳄버(11)를 이룬다. 따라서 이러한 김안내부(9)는 쳄버(11)에서 발생된 김을 상부측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이러한 김안내부(9)에는 용기(1)의 내부측으로 관통된 다수의 물 유통구(9a)가 제공된다.
제1 김공급부(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용기(1)의 걸림턱부(7)에 배치되고 다수의 김 통과공(3a)이 제공된다. 제1 김공급부(3)는 용기의 형상에 다른 모양으로 이루어져 평평한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김공급부(3)에는 수육이 올려진다.
제1 김공급부(3)는 상술한 제2 김공급부(5)가 끼워지는 관통구멍(13)이 중앙부에 제공된다.
제2 김공급부(5)는 용기(1)에 제공된 김안내부(9)에 끼우지거나 또는 제1 김공급부(5)에 끼워진다. 제2 김공급부(5)의 저면측에는 도시하지 않은 걸림턱 등이 제공되어 제1 김공급부(3) 또는 용기(1)와 쉽게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공급부(5)는 제1 김공급부(3)와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공급부(3)와 제2 공급부(5)가 분리되는 구조는 구석구석 세척이 용이하여 청결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다.
제2 김공급부(5)는 용기(1)의 쳄버(11)에서 올라오는 김을 전달받아 수육의 상면과 측면 부분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2 김공급부(5)는 김유입구(15), 김포집용 벽부(17), 폐쇄부(19), 그리고 또 다른 김배출구(21)를 포함한다.
김유입구(15)는 김포집용 벽부(17)의 저면에 제공되어 쳄버(11)로부터 김이 유입된다.
김포집용 벽부(17)는 통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위쪽으로 갈수록 넓어지면서 경사진 모양을 가진다. 즉, 김포집용 벽부(17)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 곡선을 이루어 수육 측으로 김을 잘 배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김포집용 벽부(17)의 상면에 제공되어 폐쇄부(19)가 제공되어 상기 김포집용 벽부(17)의 상면을 폐쇄한다.
김포집용 벽부(17)에는 다수의 또 다른 김배출구(21)가 제공된다. 김포집용 벽부(17)에 제공된 김배출구(21)는 김포집용 벽부(17)의 내부에 모인 김을 수육의 상부 및 측면에 공급한다.
이러한 김포집용 벽부(17)에 제공된 김배출구(21)들은 제1 김공급부(3) 또는 수육 측으로 김이 방사상으로 배출되도록 그 구멍이 향하는 방향이 다르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용기에 물을 채우고 제1 김공급부(3)를 걸림턱부(7)에 올려놓는다. 그리고 제2 김공급부(5)의 저면을 제1 김공급부(3)의 관통구멍(13)에 삽입하고 결합한다.
수육을 제1 김공급부(3)에 올려놓는다. 용기(1)를 가열하면 김이 발생된다. 용기(1)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김은 제1 김공급부(3)에 제공된 김통과동(3a)을 통하여 수육의 저면 측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수육의 저면부는 항상 김이 전달되어 먹기 좋은 상태인 최초의 조리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쳄버(11)에서 발생한 김은 김안내부(9)에 안내되어 제2 김공급부(5)로 전달된다.
제2 김공급부(5)에는 김유입구(15)를 통하여 김포집용 벽부(17)의 내부로 김이 모여진다. 김포집용 벽부(17)의 내부에 모인 김은 김포집용 벽부(17)에 제공된 김배출구(21)로 배출된다.
김포집용 벽부(17)에 제공된 김배출구(17)로 배출된 김은 수육의 상부와 측면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수육의 윗면에도 지속적으로 김이 공급되어 마르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수육은 최초의 조리상태를 유지하여 맛을 잃지 않아 항상 맛있는 수육을 제공할 수 있다.
1. 용기, 3. 제1 김공급부,
3a. 김통과공, 5. 제2 김공급부,
7. 걸림턱부, 9. 김안내부,
9a. 물 유통구, 11.쳄버,
13. 관통구멍, 15. 김유입구,
17. 김포집용 벽부, 19. 폐쇄부,
21. 김배출구
3a. 김통과공, 5. 제2 김공급부,
7. 걸림턱부, 9. 김안내부,
9a. 물 유통구, 11.쳄버,
13. 관통구멍, 15. 김유입구,
17. 김포집용 벽부, 19. 폐쇄부,
21. 김배출구
Claims (9)
-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용기,
상기 용기의 중간부 배치되고 다수의 김 통과공이 제공되어 수육이 올려지며 상기 수육으로 김을 공급하는 제1 김공급부,
상기 용기 또는 상기 제1 김공급부에 결합되며 상기 용기에서 올라오는 김을 전달받아 상기 수육의 상면과 측면 부분으로 공급하는 제2 김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김공급부는
저면에 제공되며 상기 용기 측에서 공급되는 김이 유입되는 김 유입구,
통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위쪽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경사진 김포집용 벽부,
상기 김포집용 벽부의 상면에 제공되어 상기 김포집용 벽부의 상면을 폐쇄하는 폐쇄부,
상기 김포집용 벽부의 내부에 모인 김을 상기 수육의 상부 및 측면에 공급하며 상기 김포집용 벽부에 제공되는 또 다른 다수의 김배출구를 포함하는 수육용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내부의 중간 부분에 상기 제1 김공급부가 올려지는 걸림턱부가 제공되는 수육용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바닥면의 가운데 부분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쳄버를 이루며 상기 쳄버에서 발생된 김을 상부 측으로 안내하며 격벽으로 이루어진 김안내부가 제공되는 수육용기.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김안내부에는 상기 용기의 내부로 관통된 다수의 물 유통구가 제공되는 수육용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김공급부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레이트에는 용기에서 올라온 김을 통과시켜 수육의 저면으로 김을 공급하는 다수의 김통과공이 제공되는 수육용기.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김공급부에는
중앙부에 상기 제2 김공급부가 끼워지는 관통구멍이 제공되는 수육용기.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김포집용 벽부는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수육용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김배출구들은
제1 김공급부 측으로 김이 방사상으로 배출되도록 그 방향이 다르게 배치되는 수육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32424A KR101126354B1 (ko) | 2010-04-08 | 2010-04-08 | 수육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32424A KR101126354B1 (ko) | 2010-04-08 | 2010-04-08 | 수육용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13082A KR20110113082A (ko) | 2011-10-14 |
KR101126354B1 true KR101126354B1 (ko) | 2012-03-23 |
Family
ID=45028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32424A KR101126354B1 (ko) | 2010-04-08 | 2010-04-08 | 수육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2635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949098A (zh) * | 2012-06-25 | 2013-03-06 | 周林斌 | 双层蒸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949102A (zh) * | 2012-06-25 | 2013-03-06 | 周林斌 | 双层蒸盘蒸食物的方法 |
CN102949101B (zh) * | 2012-06-25 | 2015-08-05 | 周林斌 | 一种蒸盘的蒸食物的方法 |
CN102949097A (zh) * | 2012-06-25 | 2013-03-06 | 周林斌 | 一种防回流蒸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9819Y1 (ko) * | 2002-06-04 | 2002-09-19 | 이장로 | 야채나 과일 및 국수류등의 물빠짐용 용기 |
KR200336731Y1 (ko) * | 2003-09-30 | 2003-12-24 | 윤수현 | 수육 조리용 용기 |
KR100525055B1 (ko) * | 2005-04-29 | 2005-10-31 | 원 앤 원(주) | 수육용기 |
-
2010
- 2010-04-08 KR KR1020100032424A patent/KR10112635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9819Y1 (ko) * | 2002-06-04 | 2002-09-19 | 이장로 | 야채나 과일 및 국수류등의 물빠짐용 용기 |
KR200336731Y1 (ko) * | 2003-09-30 | 2003-12-24 | 윤수현 | 수육 조리용 용기 |
KR100525055B1 (ko) * | 2005-04-29 | 2005-10-31 | 원 앤 원(주) | 수육용기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등록디자인 제0366100호*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949098A (zh) * | 2012-06-25 | 2013-03-06 | 周林斌 | 双层蒸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13082A (ko) | 2011-10-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526875B1 (en) | Cooking vessel with removable trough | |
US20100263552A1 (en) | Specialized pan for boiling lasagna noodles | |
KR101126354B1 (ko) | 수육용기 | |
KR101311121B1 (ko) | 멀티 쿠커 | |
KR200445346Y1 (ko) | 신선로 | |
CN110367833A (zh) | 一种饭煲及其控制方法 | |
KR20130002374A (ko) | 중탕냄비 | |
CN110367834B (zh) | 一种饭煲 | |
KR20110083255A (ko) | 다기능 구이기 | |
KR101645410B1 (ko) | 즉석 찜 포장용기 | |
KR200487295Y1 (ko) | 요리용 찜기 | |
KR101552042B1 (ko) | 해산물 증숙장치 | |
KR200455177Y1 (ko) | 개량 신선로 | |
CN210018887U (zh) | 一种砂锅组件 | |
CN208447231U (zh) | 一种多功能中式早餐烹调机 | |
KR101001613B1 (ko) | 다공성 보조용기를 구비한 조리 용기 | |
CN204378850U (zh) | 蒸煮并用式电子锅 | |
CN217309839U (zh) | 内锅组件和烹饪器具 | |
CN212186232U (zh) | 煎烤机 | |
CN217309856U (zh) | 内锅组件和烹饪器具 | |
CN218186308U (zh) | 一种易取的多层蒸锅 | |
US1976219A (en) | Cooking utensil | |
CN103356058A (zh) | 蒸具及蒸制食品的方法 | |
CN211582630U (zh) | 一种蒸箱 | |
KR200336731Y1 (ko) | 수육 조리용 용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