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2042B1 - 해산물 증숙장치 - Google Patents

해산물 증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042B1
KR101552042B1 KR1020140040096A KR20140040096A KR101552042B1 KR 101552042 B1 KR101552042 B1 KR 101552042B1 KR 1020140040096 A KR1020140040096 A KR 1020140040096A KR 20140040096 A KR20140040096 A KR 20140040096A KR 101552042 B1 KR101552042 B1 KR 101552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chamber
steaming
steame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0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윤한
Original Assignee
고윤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윤한 filed Critical 고윤한
Priority to KR1020140040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20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1Details of apparatus, e.g. for transport, for loading or unloading manipulation, pressure feed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산물 증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102)에 의해 개폐되는 개방부(101)를 전면에 형성하고, 내부에는 가이드(103)를 형성한 증숙챔버(1)와; 상기 가이드(103)에 수납, 인출 가능케 설치되며 내부에는 수증기에 의해 증숙되는 증숙대상물이 안치되는 채반(2)과; 증기생산수단(7)에서 생산된 고온의 증기를 증숙챔버(1) 내부로 공급하는 증기공급관(4)으로 구성함으로 특징으로 하여 증숙챔버 내부에서 고온의 증기가 효율적으로 확산되도록 함으로써 증숙챔버 내부에 투입된 다량의 증숙대상물이 단시간에 균일하게 증숙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해산물 증숙장치{Acuatic products boiling apparatus}
본 발명은 해산물 증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해산물을 증숙할 때, 최소한의 증기로도 해산물의 효율적인 증숙이 가능케 함으로써 증기 생산에 따른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해산물의 증숙이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해산물 증숙장치에 관한 것이다.
증숙(蒸熟)장치란 증기를 이용하여 식품 등을 삶아내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서, 식품의 특정 영양 성분을 증가시키거나, 식품의 맛을 좋게 하거나, 식품을 장기적으로 보관 가능케 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사용된다.
특히, 해산물의 경우에는 단시간 내에 상하거나 부패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증숙장치를 주로 사용하게 되는데, 흔히 건어물(乾魚物)이라 불리는 말린 생선이나 조개류 등은 증숙장치를 이용하여 증숙한 후 건조장치 등을 이용하여 건조하거나, 자연 건조시킨 것으로서 장기 보관이 가능하고, 운반, 유통 등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대게와 조개 등과 같은 해산물을 살아 있는 상태로 보관하기 위하여 수조에 담아 놓은 후, 필요한 만큼 즉석에서 건져내어 삶아 먹기 위해서 증숙장치를 이용하기도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각종 식품이나 해산물 등을 증숙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일반적인 증숙장치는 증숙용기 내부에 일정 량의 물을 채우고, 증숙용기 상부에는 내부에 채워진 물에 닿지 않는 높이 상에 채반을 거치한 후, 채반 내부에 증숙하고자 하는 식품이나 해산물 등을 안치한 상태에서 증숙용기 하부에 버너를 설치하여 버너를 이용해 증숙용기를 가열하면 증숙용기 내부에 담긴 물이 버너의 열에 의해 가열되면서 발생한 증기에 의해 증숙용기 내부에 거치된 채반에 담긴 식품이나 해산물이 증숙된다.
등록특허 10-0634375 등록특허 10-1321512
상기와 같은 종래의 증숙장치는 증숙용기를 버너를 이용해 직접 가열하여 증숙용기 내부에 담긴 물을 가열함으로써 증기를 생산하고, 그 생산된 증기가 증숙용기 상부로 곧장 올라가면서 증숙용기 상부에 설치된 채반에 담긴 증숙대상물을 증숙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채반 하부에 담긴 증숙대상물은 고온의 증기와 곧장 닿으면서 빠르게 증숙되는 반면에 채반의 상부에 담긴 증숙대상물은 아래에서 올라오면서 식어버린 증기와 닿기 때문에 증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증숙장치는 한꺼번에 다량의 해산물을 증숙하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다량의 해산물을 증숙하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증숙용기가 필요하고, 그에 따라서 각각의 증숙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각각의 버너기 필요로 함으로써 연료비가 증가하며, 채반(2)이 올려진 증숙용기 상부를 덮개로 덮어서 증숙하긴 하지만, 증기의 발생 압력에 의해서 증숙용기와 덮개 사이로 증기가 누출되기 때문에 열량 손실이 많은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도어(102)에 의해 개폐되는 개방부(101)를 전면에 형성하고, 내부에는 가이드(103)를 형성하며, 후면에는 증기유입부(104)와 배수구(105)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증기유입부(104)와 연결되는 증기배출관(106)을 내부 바닥면에 설치한 증숙챔버(1)와;
상기 가이드(103)에 수납, 인출 가능케 설치되며 내부에는 수증기에 의해 증숙되는 증숙대상물이 안치되는 채반(2)과;
상기 배수구(105)에 설치되어 증숙챔버(1) 내부 바닥면으로 고이는 응결수를 배출하는 드레인밸브(3)와;
상기 증숙챔버(1)의 외측면에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하 양단부에는 연결나사부(401a, 401b)를 형성하고, 일측면에는 증기공급밸브(402)를 설치하며, 증기공급밸브(402)와 상기 증기유입부(104)를 연결관(403)으로 연결하여 증기생산수단(7)에서 생산된 고온의 증기를 증숙챔버(1) 내부로 공급하는 증기공급관(4)으로 구성함으로써 다량의 증숙대상물을 균일하게 증숙할 수 있는 발명의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증숙챔버 내부에서 고온의 증기가 효율적으로 확산되도록 함으로써 증숙챔버 내부에 투입된 증숙대상물이 단시간에 균일하게 증숙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증숙챔버를 간편하게 다층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한꺼번에 다량의 증숙대상물을 증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개방 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평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증숙챔버 정면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증기공급수단에서의 증기 공급 관계를 나타낸 정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적층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들 중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도면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음을 유의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공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첨부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102)에 의해 개폐되는 개방부(101)를 전면에 형성하고, 내부에는 가이드(103)를 형성하며, 후면에는 증기유입부(104)와 배수구(105)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증기유입부(104)와 연결되는 증기배출관(106)을 내부 바닥면에 설치한 증숙챔버(1)와;
상기 가이드(103)에 수납, 인출 가능케 설치되며 내부에는 수증기에 의해 증숙되는 증숙대상물이 안치되는 채반(2)과;
상기 배수구(105)에 설치되어 증숙챔버(1) 내부 바닥면으로 고이는 응결수를 배출하는 드레인밸브(3)와;
상기 증숙챔버(1)의 외측면에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하 양단부에는 연결나사부(401a, 401b)를 형성하고, 일측면에는 증기공급밸브(402)를 설치하며, 증기공급밸브(402)와 상기 증기유입부(104)를 연결관(403)으로 연결하여 증기생산수단(7)에서 생산된 고온의 증기를 증숙챔버(1) 내부로 공급하는 증기공급관(4)으로 구성된다.
상기 증숙챔버(1)는 단열성을 고려하여 벽체를 이중으로 형성하거나, 필요에 따라서 내부에 단열재를 충진하게 된다.
상기 증숙챔버(1)의 개방부(101)를 개폐하는 도어(102)는 별도의 잠금장치(5)를 설치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증숙챔버(1)의 개방부(101)와 밀착되는 도어(102)의 내측면에는 증기가 공급되는 증숙챔버(1) 내부의 기밀성 유지를 위하여 실링부재(102a)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가이드(103)는 증숙챔버(1)의 양측 내벽에서 채반(2)을 거치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설치하게 된다.
상기 증기배출관(106)은 증숙챔버(1)의 내부 바닥면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하고, 양 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증기배출공(106a)을 형성하여 증기배출관(106)으로 공급되는 증기가 증숙챔버(1)의 바닥면 중앙에서 좌우로 균일하게 확산된다.
또한, 상기 증기배출관(106)의 상부에는 양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는 확산판(106b)을 일체로 형성하여 증기배출공(106a)에서 배출되는 증기가 확산판(106b)의 거리만큼 측면으로 이동하여 확산된다.
상기 증숙챔버(1) 일측벽에는 증기가 공급되는 증숙챔버(1) 내부의 증기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게이지(6)를 설치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압력게이지(6) 일측에는 증숙챔버(1) 내부 압력이 과도하게 높을 경우 증숙챔버(1) 내부의 압력을 낮춰주는 안전밸브를 설치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가이드(103)에 수납, 인출 가능케 설치되는 채반(2)은 저면에 다수의 통공(201)을 형성한 바구니 형으로 형성하여 내부에 증숙대상물을 안치함으로써 안치된 증숙대상물이 증숙챔버(1) 내부로 공급된 증기에 의해 증숙된다.
상기 증숙챔버(1)의 후방에는 배수구(105)를 형성하여 그 배수구(105)에 드레인밸브(3)를 설치함으로써 증숙챔버(1) 내부로 공급된 고온의 증기가 식으면서 증숙챔버(1) 내부 바닥면으로 고이는 응결수를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증기공급관(4)의 상단부에 형성된 연결나사부(401a)는 마감수단(401c)으로 막음하고, 하단부에 형성된 연결나사부(401b)는 고온의 증기를 별도 생산하는 증기생산수단(7)과 연결배관(404)으로 연결하여 증기생산수단(7)을 통해서 증기를 공급받게 된다.
또한, 상기 증기공급관(4)의 일측면에는 증기공급밸브(402)를 설치하여, 상기 증숙챔버(1) 후면에 형성된 증기유입부(104)와 증기공급밸브(402) 간을 플랙시블한 연결관(403)으로 연결함으로써 증기생산수단(7)을 통해 공급되는 고온의 증기를 선택적으로 증숙챔버(1) 내부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증숙챔버(1)는 필요에 따라 다층으로 적층하고, 적층된 각 증숙챔버(1)의 증기공급관(4)의 연결나사부(401a, 401b)를 연결수단(405)으로 연결하되, 최하단부에 위치하는 증숙챔버(1)의 증기공급관(4)을 증기생산수단(7)과 연결배관(404)으로 연결함으로써 증기생산수단(7)에 생산된 고온의 증기를 각 증숙챔버(1)의 증기공급관(4)을 통해 동시에 공급 가능케 된다.
상기 증기생산수단(7)은 정수된 물이나 해수를 가열수단을 이용해 가열하여 고온의 증기를 대량을 생산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그 구조나, 가열방식, 작동방식 등이 매우 다양하므로 증기생산수단(7)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적 설명이나 도면의 도시는 생략하되, 일반적으로 식품이나 해산물의 증숙을 가능케 하는 고온의 증기를 다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증기생산수단(7)이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해산물 증숙장치의 작동 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이용해 증숙대상물을 증숙하고자 할 때에는 상자형으로 된 채반(2) 내부에 증숙대상물을 안치한 후, 채반(2)을 증숙챔버(1) 내부에 설치된 가이드(103)를 통해 증숙챔버(1) 내부에 수납하고, 증숙챔버(1)의 전면 개방부(101)에 설치된 도어(102)를 닫아서 증숙챔버(1) 내부를 완전히 밀폐시키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증숙챔버(1) 일측에 형성된 증기공급관(4)을 별도의 증기생산수단(7)과 연결배관(404)으로 연결함으로써 증기생산수단(7)을 통해 공급되는 증기가 증기공급관(4)으로 공급된다.
상기 증기공급관(4)의 일측면에는 증기공급밸브(402)를 설치하여, 상기 증숙챔버(1) 후면에 형성된 증기유입부(104)와 증기공급밸브(402) 간을 연결관(403)으로 연결함으로써 증기생산수단(7)을 통해 공급되는 고온의 증기를 증기유입부(104)를 통해 증숙챔버(1)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증숙챔버(1)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기 증기유입부(104)와 이어지는 증기배출관(106)을 설치함으로써 증기유입부(104)를 통해 유입된 고온의 증기는 증기배출관(106)의 양 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증기배출공(106a)을 통해 증숙챔버(1) 내부로 배출된다.
이때, 증기배출관(106)의 부에는 양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는 확산판(106b)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증기배출공(106a)에서 배출되는 증기가 확산판(106b)의 거리만큼 측면으로 이동하여 확산되기 때문에 증숙챔버(1) 내부에 고온의 증기가 고르게 확산됨으로써 증숙챔버(1) 내부에 수납된 채반(2)에 안치된 증숙대상물이 위에서 아래까지 고르게 증숙된다.
고온의 증기에 의해 채반(2)에 안치된 증숙대상물의 증숙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증숙챔버(1) 내부로 공급된 고온의 증기는 식으면서 증숙챔버(1) 내부 바닥면에 고이게 되는데, 이렇게 고인 응결수는 증숙챔버(1) 후면에 형성된 배수구(105)에 설치된 드레인밸브(3)를 이용해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증숙챔버(1) 일측벽에는 증기가 공급되는 증숙챔버(1) 내부의 증기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게이지(6)를 설치함으로써 고온의 증기가 지속적으로 증숙챔버(1) 내부로 공급되는 동안에 증숙챔버(1) 내부의 압력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증숙챔버(1) 내부의 압력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압력게이지(6) 일측에는 안전밸브를 함께 설치함으로써 증기의 지속적인 공급으로 인해 증숙챔버(1) 내부의 압력이 과도하게 높아질 경우에 안전밸브가 자동 개방되면서 증숙챔버(1) 내부의 압력을 적정 압력으로 낮추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증숙챔버(1)는 기본적으로 하나로 구성되나, 첨부도면 도 7과 같이 증숙챔버(1)를 다층으로 적층하고, 적층된 각 증숙챔버(1)의 증기공급관(4)의 연결나사부(401a, 401b)를 연결수단(405)으로 연결하되, 최하단부에 위치하는 증숙챔버(1)의 증기공급관(4)을 증기생산수단(7)과 연결배관(404)으로 연결함으로써 증기생산수단(7)에 생산된 고온의 증기를 각 증숙챔버(1)의 증기공급관(4)을 통해 동시에 공급 가능케 된다.
따라서 다수의 증숙챔버(1)를 적층 구성함으로서 한꺼번에 많은 양의 증숙대상물을 증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일 증기생산수단(7)을 이용해 다수의 증숙챔버(1)에 동시에 고온의 증기를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증기생산수단(7)의 가동에 따는 에너지 효율이 증가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 증숙챔버 101: 개방부
102: 도어 103: 가이드
104: 증기유입부 105: 배수구
106: 증기배출관 106a: 증기배출공
106b: 확산판 2: 채반
201: 통공 3: 드레인밸브
4: 증기공급관 401a, 401b: 연결나사부
402: 증기공급밸브 403: 연결관
5: 잠금장치 6: 압력게이지
7: 증기생산수단

Claims (3)

  1. 도어(102)에 의해 개폐되는 개방부(101)를 전면에 형성하고, 내부에는 가이드(103)를 형성하며, 후면에는 증기유입부(104)와 배수구(105)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증기유입부(104)와 연결되는 증기배출관(106)을 내부 바닥면에 설치한 증숙챔버(1)와; 상기 가이드(103)에 수납, 인출 가능케 설치되며 내부에는 수증기에 의해 증숙되는 증숙대상물이 안치되는 채반(2)과; 상기 배수구(105)에 설치되어 증숙챔버(1) 내부 바닥면으로 고이는 응결수를 배출하는 드레인밸브(3)와; 상기 증숙챔버(1)의 외측면에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하 양단부에는 연결나사부(401a, 401b)를 형성하고, 일측면에는 증기공급밸브(402)를 설치하며, 증기공급밸브(402)와 상기 증기유입부(104)를 연결관(403)으로 연결하여 증기생산수단(7)에서 생산된 고온의 증기를 증숙챔버(1) 내부로 공급하는 증기공급관(4)을 포함하여 해산물 증숙장치를 구성하고,
    상기 증기배출관(106)은 양 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증기배출공(106a)을 형성하며, 상부에는 양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는 확산판(106b)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증숙챔버(1)는 다층으로 적층하고, 적층된 각 증숙챔버(1)의 증기공급관(4)을 연결수단(405)으로 연결하여 증기생산수단(7)에서 생산된 고온의 증기를 적층된 다수의 증숙챔버(1)에 동시에 공급 가능케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산물 증숙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40040096A 2014-04-03 2014-04-03 해산물 증숙장치 KR101552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096A KR101552042B1 (ko) 2014-04-03 2014-04-03 해산물 증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096A KR101552042B1 (ko) 2014-04-03 2014-04-03 해산물 증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2042B1 true KR101552042B1 (ko) 2015-09-09

Family

ID=54247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0096A KR101552042B1 (ko) 2014-04-03 2014-04-03 해산물 증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20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332B1 (ko) * 2019-03-28 2019-07-22 김미정 보리굴비 조리방법
KR20190122418A (ko) * 2018-04-20 2019-10-30 주식회사 참코청하 과열증기를 이용한 밀폐형 패류 자숙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5021B1 (ko) * 2011-03-24 2011-11-21 강근묵 수삼 증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태극삼 및 홍삼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5021B1 (ko) * 2011-03-24 2011-11-21 강근묵 수삼 증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태극삼 및 홍삼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2418A (ko) * 2018-04-20 2019-10-30 주식회사 참코청하 과열증기를 이용한 밀폐형 패류 자숙기
KR102103008B1 (ko) * 2018-04-20 2020-04-22 주식회사 참코청하 과열증기를 이용한 밀폐형 패류 자숙기
KR102002332B1 (ko) * 2019-03-28 2019-07-22 김미정 보리굴비 조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30212B (zh) 具备烹调容器的加热烹调器
CN101023843A (zh) 蒸汽加热型烹饪设备
KR101441649B1 (ko) 수비드 머신
KR101552042B1 (ko) 해산물 증숙장치
US9723950B2 (en) Vertical food cabinet
KR101126354B1 (ko) 수육용기
KR101452104B1 (ko) 수비드 조리기
KR102046256B1 (ko) 열플라즈마를 이용한 유도가열식 튀김장치
CN111713958A (zh) 防串味电热蒸汽炊具
CN207604848U (zh) 蒸汽式食品保温台
US10667336B2 (en) Food cooking system
KR102050669B1 (ko) 무압 증기발생장치
KR200309752Y1 (ko) 간이 증기조리기
US1452907A (en) Steam cabinet for foods
KR101893293B1 (ko) 증기를 이용한 찜장치
KR200487295Y1 (ko) 요리용 찜기
KR200287840Y1 (ko) 조리 기구
CN211608034U (zh) 一种新型的船用隔离式蒸汽蒸柜
KR200441724Y1 (ko) 다용도 요리기.
KR101905883B1 (ko) 분리 가능한 이중 조리장치
CN204049263U (zh) 一种多功能蒸锅及蒸锅托架
KR101518417B1 (ko) 스팀 공급장치
CN103356058A (zh) 蒸具及蒸制食品的方法
KR101741311B1 (ko) 수유식 튀김기
NO325549B1 (no) Fremgangsmate til behandling av et naeringsmiddel med et fluid fra en fluidkilde i lukket forpak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