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5883B1 - 분리 가능한 이중 조리장치 - Google Patents

분리 가능한 이중 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883B1
KR101905883B1 KR1020160037617A KR20160037617A KR101905883B1 KR 101905883 B1 KR101905883 B1 KR 101905883B1 KR 1020160037617 A KR1020160037617 A KR 1020160037617A KR 20160037617 A KR20160037617 A KR 20160037617A KR 101905883 B1 KR101905883 B1 KR 101905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gas
inner cylinder
cooking
cylinder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1683A (ko
Inventor
신이슬
Original Assignee
신이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이슬 filed Critical 신이슬
Priority to KR1020160037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883B1/ko
Publication of KR20170111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6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conduits through the vessel for circulating heating g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47J27/0815Locking devices where vessel and lid have adapted shapes to provide for the lock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1/00Devices having a modular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통이 외통에 수용된 상태에서 밀폐형 뚜껑에 의해 상기 내통과 외통이 밀폐되고, 고온기체가 고온기체 이동통로와 고온기체 수용부를 거쳐 상기 내통 내부로 분사되어 직접 가열에 의한 조리가 이루어지게 되어 있으며, 조리 후에는 상기 내통, 상기 외통 및 상기 밀폐형 뚜껑이 상호 분리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이중 조리장치에 관해 개시한다.

Description

분리 가능한 이중 조리장치{Separable 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분리 가능한 이중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통이 외통에 수용된 상태에서 밀폐형 뚜껑에 의해 상기 내통과 외통이 밀폐되고, 고온기체가 고온기체 이동통로와 고온기체 수용부를 거쳐 상기 내통 내부로 분사되어 직접 가열에 의한 조리가 이루어지게 되어 있으며, 조리 후에는 상기 내통, 상기 외통 및 상기 밀폐형 뚜껑이 상호 분리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이중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밥솥, 압력밥솥, 찜통 등 고온기체를 이용한 조리장치는 우리의 식생활에 있어서 널리 쓰이고 있다. 조리장치는 물과 식재료를 수용하는 용기와 뚜껑으로 구성되며, 용기 내에 물과 식재료를 넣고 뚜껑으로 밀폐한 후 간접가열 내지 직접가열 방식으로 물과 식재료를 조리하는데, 효율적인 조리를 위해서는 열효율이 중요하다.
고온기체를 이용한 조리장치의 열효율을 높이기 위한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 제10-1222567호가 증기 기포 침투식 가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열 방법에 관하여 제시하고 있다. 상기 증기 기포 침투식 가열장치는 간접 가열방식에서 탈피해 직접 가열방식을 채택한 조리장치로, 구체적으로 물과 식재료가 담기는 조리실 바닥면에 미세한 구멍 또는 슬릿이 형성된 조리장치로서 상기 조리실 하부의 스팀실에서 발생하는 스팀이 상기 미세 구멍 또는 슬릿을 통과하여 미세 기포 형태로 상기 조리실 내부로 분사되게 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미세구멍 또는 슬릿이 형성된 다공판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조리실과 하부에 위치하는 스팀실이 분리되지 않는다. 그로 인해 조리장치 세척이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전기히터에 전기 공급이 중단되면 스팀실의 압력이 조리실보다 낮아져, 조리실에 남아있는 물과 식재료가 다공벽체에 형성된 미세 구멍 혹은 슬릿을 통과해 조리실 하부의 스팀실로 낙하된다. 이 때 조리실과 스팀실이 분리되지 않아 스팀실로 유입돈 식재료 찌꺼기 세척이 불가능하다. 스팀실 내부로 유입된 물과 혼합된 식재료 찌꺼기는 스팀실 내부를 부식시키고 세균 번식을 유발해 위생을 저하시키며 조리장치의 내구성을 떨어뜨린다.
등록특허 10-1222567 "증기 기포 침투식 가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열 방법”, 2013. 01. 16.
본 발명은 내통이 외통에 수용된 상태에서 밀폐형 뚜껑에 의해 상기 내통과 외통이 밀폐되고, 고온기체가 고온기체 이동통로와 고온기체 수용부를 거쳐 상기 내통 내부로 분사되어 직접 가열에 의한 조리가 이루어지게 되어 있으며, 조리 후에는 상기 내통, 상기 외통 및 상기 밀폐형 뚜껑이 상호 분리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이중 조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조리재료를 수용하기 위해 개방된 조리부 및 바닥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미세구멍을 구비한 내통; 상기 내통을 수용하기 위해 개방된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에 상기 내통이 수용된 상태에서 내면과 상기 내통의 외면 사이에 형성된 간극으로 이루어지는 고온기체 이동통로를 형성시키는 외통;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내통의 바닥면과 상기 외통의 바닥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내통의 바닥면과 상기 외통의 바닥면 사이에 이격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고온기체 수용부를 만들어 주되, 상기 고온기체 수용부와 상기 고온기체 이동통로는 연통될 수 있게 해주는 간격유지부재; 및 상기 내통과 외통을 밀폐하며 막아주되, 상기 고온기체 이동통로와 연통된 고온기체 유입부를 구비한 밀폐형 뚜껑;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밀폐형 뚜껑의 고온기체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고온기체가 상기 고온기체 이동통로 및 상기 고온기체 수용부를 거쳐 상기 내통의 바닥면의 미세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조리부로 분사되며, 상기 조리재료가 조리 완료된 후에는 상기 내통, 상기 외통 및 상기 밀폐형 뚜껑이 상호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이중 조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재료를 수용하기 위해 개방된 조리부, 바닥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미세구멍, 상단 테두리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플랜지 형태의 날개 및 상기 플랜지 형태의 날개에 통공으로 형성된 고온기체 통과부를 구비한 내통; 상기 내통을 수용하는 개방된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통의 플랜지 형태의 날개가 상단 테두리에 걸리는 형태로 상기 내통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내면과 상기 내통의 외면 사이의 간극으로 이루어지는 고온기체 이동통로 및 바닥면과 상기 내통의 바닥면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고온기체 수용부를 형성시키는 외통; 및 상기 내통과 외통을 밀폐하며 막아주되, 상기 고온기체 통과부 및 상기 고온기체 이동통로와 연통된 고온기체 유입부를 구비한 밀폐형 뚜껑;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밀폐형 뚜껑의 고온기체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고온기체가 상기 고온기체 통과부, 상기 고온기체 이동통로 및 상기 고온기체 수용부를 거쳐 상기 내통의 바닥면의 미세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조리부로 분사되며, 상기 조리재료가 조리 완료된 후에는 상기 내통, 상기 외통 및 상기 밀폐형 뚜껑이 상호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이중 조리장치」를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재료를 수용하기 위해 상방이 개방된 상부의 조리부와 고온기체를 수용하기 위해 하방이 개방된 하부의 고온기체 수용부가 다수개의 미세구멍이 형성된 다공판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하부 측면에 고온기체 통과부를 구비한 내통; 상기 내통을 수용하되, 상기 내통을 수용한 상태에서 내면과 상기 내통의 외면 사이의 간극으로 이루어지는 고온기체 이동통로를 형성시키는 외통; 및 상기 내통과 외통을 밀폐하며 막아주되, 상기 고온기체 이동통로와 연통된 고온기체 유입부를 구비한 밀폐형 뚜껑;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밀폐형 뚜껑의 고온기체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고온기체가 상기 고온기체 이동통로, 상기 고온기체 통과부 및 상기 고온기체 수용부를 거쳐 상기 다공판의 미세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조리부로 분사되며, 상기 조리재료의 조리가 완료된 후에는 상기 내통, 상기 외통 및 상기 밀폐형 뚜껑이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이중 조리장치」를 함께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다공판은 상기 내통에 착탈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면에는 통공 및 다수개의 미세구멍을 구비한 내통; 상기 내통을 수용하되, 상단과 상기 내통의 상부면 사이에 조리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조리부를 형성시키고, 바닥면과 상기 내통의 상부면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고온기체 수용부를 형성시키는 외통; 상기 내통과 외통을 밀폐하며 막아주되, 고온기체 유입부를 구비한 밀폐형 뚜껑; 및 일단이 상기 밀폐형 뚜껑의 고온기체 유입부와 연통되어 하방향으로 구비되되, 타단은 상기 내통의 통공 및 상기 고온기체 수용부와 연통된 고온기체 이동통로;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밀폐형 뚜껑의 고온기체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고온기체가 상기 고온기체 이동통로 및 상기 고온기체 수용부를 거쳐 상기 내통의 상부면의 미세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조리부로 분사되며, 상기 조리재료가 조리 완료된 후에는 상기 내통, 상기 외통 및 상기 밀폐형 뚜껑이 상호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이중 조리장치」를 함께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내통의 상부면은 착탈이 가능한 다공판의 형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이중 조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지고 있다.
1. 내통이 외통에 수용되고 밀폐형 뚜껑에 의해 상기 내통과 외통이 밀폐된 상태에서 고온기체가 물과 식재료 내부로 분사된 후 직접 가열이 이루어지게 해주어 열효율이 높고 고속 조리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2. 상기 내통, 상기 외통 및 상기 밀폐형 뚜껑이 상호 분리되어 조리후 분리 세척이 가능해 조리장치의 위생이 향상된다.
3. 종래 조리실과 스팀실의 분리 및 분리세척이 불가능하여 고온기체를 이용한 조리장치의 스팀실이나 히터실이 물과 식재료 찌꺼기에 의해 부식되던 문제를 해결하여 준다.
4. 조리 후 상기 내통, 상기 외통 및 상기 밀폐형 뚜껑을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으므로 보관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이중 조리장치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이중 조리장치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실시예의 세부 실시예들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이중 조리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고온기체 이동통로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모식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이중 조리장치에 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이중 조리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은 모두 내통(100), 외통(200), 밀폐형 뚜껑(400), 고온기체 이동통로(10) 및 고온기체 수용부(20)를 공통적인 구성요소로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내통(100)이 상기 외통(200)에 수용되고 상기 밀폐형 뚜껑(400)이 상기 내통(100) 및 상기 외통(200)을 밀폐한 상태에서 고온기체가 상기 고온기체 이동통로(10)와 상기 고온기체 수용부(20)를 거쳐 상기 내통(100) 내부로 분사되어 직접 가열에 의한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조리 후에는 상기 내통(100), 상기 외통(200) 및 상기 밀폐형 뚜껑(400)이 상호 분리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우선,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이중 조리장치를 살펴본다.
[도 1]의 실시예에 나타난 분리 가능한 이중 조리장치는, 상기 내통(100), 상기 외통(200), 상기 밀폐형 뚜껑(400), 고온기체 이동통로(10) 및 고온기체 수용부(20) 외에 간격유지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내통(100)은 조리재료를 수용하기 위해 개방된 조리부(110) 및 바닥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미세구멍(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외통(200)은 상기 내통(100)을 수용하기 위해 개방된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에 상기 내통(100)이 수용된 상태에서 내면과 상기 내통(100)의 외면 사이에 형성된 간극으로 이루어지는 고온기체 이동통로(10)를 형성시켜 준다.
상기 간격유지부재(300)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내통(100)의 바닥면과 상기 외통(200)의 바닥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내통(100)의 바닥면과 상기 외통(200)의 바닥면 사이에 이격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고온기체 수용부(20)를 만들어 주되, 상기 고온기체 수용부(20)와 상기 고온기체 이동통로(10)는 연통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밀폐형 뚜껑(400)은 상기 내통(100)과 외통(200)을 밀폐하며 막아주되, 상기 고온기체 이동통로(10)와 연통된 고온기체 유입부(410)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밀폐형 뚜껑(400)의 고온기체 유입부(410)를 통해 유입된 고온기체가 상기 고온기체 이동통로(10) 및 상기 고온기체 수용부(20)를 거쳐 상기 내통(100)의 바닥면의 미세구멍(1)을 통과하여 상기 조리부(110)로 분사되며, 상기 조리재료가 조리 완료된 후에는 상기 내통(100), 상기 외통(200) 및 상기 밀폐형 뚜껑(400)이 상호 분리 가능하게 된다.
고온기체의 발생을 위한 고온기체 발생기는, 상기 밀폐형 뚜껑(400)의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이중 조리장치의 외부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외부에 구비할 경우는, 밀폐형 뚜껑(400) 내부로 고온기체가 공급될 수 있도록 고온기체 발생기와 밀폐형 뚜껑(400)을 관으로 연결한다. 이러한 고온기체 발생기에 관한 내용은 이하에서 설명할 분리 가능한 이중 조리장치의 실시예들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다음으로,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이중 조리장치를 살펴본다.
[도 2]의 실시예에 나타난 분리 가능한 이중 조리장치는, 상기 내통(100), 상기 외통(200), 상기 밀폐형 뚜껑(400), 상기 고온기체 이동통로(10) 및 상기 고온기체 수용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내통(100)은 조리재료를 수용하기 위해 개방된 조리부(110), 바닥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미세구멍(1), 상단 테두리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플랜지 형태의 날개(120) 및 상기 플랜지 형태의 날개(120)에 통공으로 형성된 고온기체 통과부(13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외통(200)은 상기 내통(100)을 수용하는 개방된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통(100)의 플랜지 형태의 날개(120)가 상단 테두리에 걸리는 형태로 상기 내통(100)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내면과 상기 내통(100)의 외면 사이의 간극으로 이루어지는 고온기체 이동통로(10) 및 바닥면과 상기 내통(100)의 바닥면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고온기체 수용부(20)를 형성시켜준다.
상기 밀폐형 뚜껑(400)은 상기 내통(100)과 외통(200)을 밀폐하며 막아주되, 상기 고온기체 통과부(130) 및 상기 고온기체 이동통로(10)와 연통된 고온기체 유입부(410)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을 통해 상기 밀폐형 뚜껑(400)의 고온기체 유입부(410)를 통해 유입된 고온기체가 상기 고온기체 통과부(130), 상기 고온기체 이동통로(10) 및 상기 고온기체 수용부(20)를 거쳐 상기 내통(100)의 바닥면의 미세구멍(1)을 통과하여 상기 조리부(110)로 분사되며, 상기 조리재료가 조리 완료된 후에는 상기 내통(100), 상기 외통(200) 및 상기 밀폐형 뚜껑(400)이 상호 분리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이중 조리장치를 살펴본다.
[도 3]의 실시예에 나타난 분리 가능한 이중 조리장치는, 상기 내통(100), 상기 외통(200), 상기 밀폐형 뚜껑(400), 상기 고온기체 이동통로(10) 및 상기 고온기체 수용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내통(100)은 조리재료를 수용하기 위해 상방이 개방된 상부의 조리부(110)와 고온기체를 수용하기 위해 하방이 개방된 하부의 고온기체 수용부(20)가 다수개의 미세구멍(1)이 형성된 다공판(140)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하부 측면에 고온기체 통과부(13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외통(200)은 상기 내통(100)을 수용하되, 상기 내통(100)을 수용한 상태에서 내면과 상기 내통(100)의 외면 사이의 간극으로 이루어지는 고온기체 이동통로(10)를 형성시켜 준다.
상기 밀폐형 뚜껑(400)은 상기 내통(100)과 외통(200)을 밀폐하며 막아주되, 상기 고온기체 이동통로(10)와 연통된 고온기체 유입부(410)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밀폐형 뚜껑(400)의 고온기체 유입부(410)를 통해 유입된 고온기체가 상기 고온기체 이동통로(10), 상기 고온기체 통과부(130) 및 상기 고온기체 수용부(20)를 거쳐 상기 다공판(140)의 미세구멍(1)을 통과하여 상기 조리부(110)로 분사되며, 상기 조리재료의 조리가 완료된 후에는 상기 내통(100), 상기 외통(200) 및 상기 밀폐형 뚜껑(400)이 분리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내통(100)은 상기 외통(200)의 바닥면 위에 놓여지거나 상기 내통(100) 및 상기 외통(200)에 각각 상응하는 외측 플랜지 및 내측 플랜지가 구비됨을 전제로 각 플랜지를 결합하여 나사결합하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판(140)은 상기 내통(100)에 착탈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판(140)은 상기 내통(100)의 내면에 형성된 플랜지에 걸쳐 놓여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이중 조리장치를 살펴본다.
[도 4]의 실시예에 나타난 분리 가능한 이중 조리장치는, 상기 내통(100), 상기 외통(200), 상기 밀폐형 뚜껑(400), 상기 고온기체 이동통로(10) 및 상기 고온기체 수용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내통(100)은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면에는 통공 및 다수개의 미세구멍(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통(200)은 상기 내통(100)을 수용하되, 상단과 상기 내통(100)의 상부면 사이에 조리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조리부(110)를 형성시키고, 바닥면과 상기 내통(100)의 상부면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고온기체 수용부(20)를 형성시켜 준다.
상기 밀폐형 뚜껑(400)은 상기 내통(100)과 외통(200)을 밀폐하며 막아주되, 고온기체 유입부(41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고온기체 이동통로(10)는 외통(200) 내부에 위치하여 일단이 상기 밀폐형 뚜껑(400)의 고온기체 유입부(410)와 연통되어 하방향으로 구비되되, 타단은 상기 내통(100)의 통공 및 상기 고온기체 수용부(20)와 연통된 관형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밀폐형 뚜껑(400)의 고온기체 유입부(410)를 통해 유입된 고온기체가 상기 고온기체 이동통로(10) 및 상기 고온기체 수용부(20)를 거쳐 상기 내통(100)의 상부면의 미세구멍(1)을 통과하여 상기 조리부(110)로 분사되며, 상기 조리재료가 조리 완료된 후에는 상기 내통(100), 상기 외통(200) 및 상기 밀폐형 뚜껑(400)이 상호 분리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내통(100)은 상기 외통(200)의 바닥면 위에 놓여지거나 상기 내통(100) 및 상기 외통(200)에 각각 상응하는 외측 플랜지 및 내측 플랜지가 구비됨을 전제로 각 플랜지를 결합하여 나사결합하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통(100)의 상부면은 착탈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된 다공판(140)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다공판(140)은 상기 내통(100)의 상단 테두리 내측으로 형성된 플랜지에 걸쳐 놓여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에는 [도 4]의 실시예의 세부 실시예들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도 4]의 실시예에서 상기 고온기체 유입관(500)은 상기 밀폐형 뚜껑(400)과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2 이상 구비될 수도 있다.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고온기체 유입관(500)이 2개 구비될 경우 스팀을 상기 공간부(140)에 더욱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7] 및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이중 조리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고온기체 이동통로(10)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모식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경우 [도 3]의 실시예 또는 [도 4]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고온기체 이동통로(10)의 구성 실시예들이다.
[도 7]의 (a)의 경우 상기 뚜껑(400)과 일체형으로 상기 고온기체 이동통로(10)가 구비되되 그 하부의 외면에 나사산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고온기체 수용공간(20)에 상기 나사산에 상응하는 나사홈이 구비되어 있는 실시예이다. 이때, 상기 고온기체 이동통로(10)의 하부에는 고온기체의 분사를 위한 1 이상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도 7]의 (b)의 경우 상기 뚜껑(400)과 분리형으로 상기 고온기체 이동통로(10)가 구비되어 있는 실시예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온기체 이동통로(10) 내부 세척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7]의 (c)의 경우 [도 7]의 (a)와 유사한 실시예인데, 상기 뚜껑(400)과 일체형으로 상기 고온기체 이동통로(1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고온기체 수용공간(20)에 상기 고온기체 이동통로(10)와 연통되어 연결되는 별도의 관이 구비되어 있는 실시예이다. 이 때 상기 별도의 관에는 고온기체의 분사를 위한 1 이상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도 8] 역시 [도 3]의 실시예 또는 [도 4]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고온기체 이동통로(10)의 구성 실시예들로서 상기 고온기체 이동통로(10)가 2 이상의 관형부재로 이루어진 경우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의 (a)의 경우 상기 고온기체 이동통로(10)가 상기 뚜껑과 분리형으로 구비되되, 상기 내통(100) 또는 상기 외통(200)의 내면에 구비된 실시예이다.
[도 8]의 (b)의 경우 상기 뚜껑(400)과 일체형으로 상기 고온기체 이동통로(10)가 구비되어 있는 실시예인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통(100) 또는 상기 외통(200)의 내면에 상기 고온기체 이동통로(10)가 연통 결합되는 별도의 관이 구비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을 살펴보면, 상기 고온기체 이동통로(1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와 함께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위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와 같은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 미세구멍
10: 고온기체 이동통로 20: 고온기체 수용부
100: 내통
110: 조리부 120: 플랜지 형태의 날개
130: 고온기체 통과부 140: 다공판
200: 외통
300: 간격유지부재
400: 밀폐형 뚜껑
410: 고온기체 유입부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면에는 통공 및 다수개의 미세구멍(1)을 구비한 내통(100);
    상기 내통(100)을 수용하되, 상단과 상기 내통의 상부면 사이에 조리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조리부(110)를 형성시키고, 바닥면과 상기 내통의 상부면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고온기체 수용부(20)를 형성시키는 외통(200);
    상기 내통(100)과 외통(200)을 밀폐하며 막아주되, 고온기체 유입부(410)를 구비한 밀폐형 뚜껑(400); 및
    상기 외통(200) 내부에 위치하여 일단이 상기 밀폐형 뚜껑(400)의 고온기체 유입부(410)와 연통되어 하방향으로 구비되되, 타단은 상기 내통(100)의 통공 및 상기 고온기체 수용부(20)와 연통된 관형 부재로 구성된 고온기체 이동통로(10);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밀폐형 뚜껑(400)의 고온기체 유입부(410)를 통해 유입된 고온기체가 상기 외통(200) 내부의 고온기체 이동통로(10) 및 상기 고온기체 수용부(20)를 거쳐 상기 내통(100)의 상부면의 미세구멍(1)을 통과하여 상기 조리부(110)로 분사되며, 상기 조리재료가 조리 완료된 후에는 상기 내통(100), 상기 외통(200) 및 상기 밀폐형 뚜껑(400)이 상호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이중 조리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내통의 상부면은 착탈이 가능한 다공판(140)의 형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이중 조리장치.
KR1020160037617A 2016-03-29 2016-03-29 분리 가능한 이중 조리장치 KR101905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617A KR101905883B1 (ko) 2016-03-29 2016-03-29 분리 가능한 이중 조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617A KR101905883B1 (ko) 2016-03-29 2016-03-29 분리 가능한 이중 조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683A KR20170111683A (ko) 2017-10-12
KR101905883B1 true KR101905883B1 (ko) 2018-10-08

Family

ID=60140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617A KR101905883B1 (ko) 2016-03-29 2016-03-29 분리 가능한 이중 조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8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661B1 (ko) * 2019-06-25 2020-12-23 신이슬 헤침기능이 구비된 고속 가열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987B1 (ko) * 2011-02-11 2011-10-13 세방정기 주식회사 고온증기 순환 찜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987B1 (ko) * 2011-02-11 2011-10-13 세방정기 주식회사 고온증기 순환 찜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683A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7534B2 (en) Cooking appliance with steam generator
JP6340581B2 (ja) 食材容器入り食材と食材容器入り食材用加熱装置
US20190021537A1 (en) Energy saving safety cooking pot without steam outlet
US20180110373A1 (en) Food processor with improved steam channel structure
JP2008178719A (ja) 炊飯器
KR101905883B1 (ko) 분리 가능한 이중 조리장치
KR20170042099A (ko) 열에너지 하방분사형 조리장치
KR101935162B1 (ko) 주전자 겸용 스팀 제너레이터
WO2020233111A1 (zh) 蒸烤组合机
KR101244277B1 (ko) 중탕기
CN106889875A (zh) 电压力锅及其锅盖
CN203693260U (zh) 一种蒸汽式电饭锅
CN105534304A (zh) 一种电饭锅
JP2005160808A (ja) 炊飯器
CN106889876A (zh) 电压力锅及其锅盖和内锅
KR200417908Y1 (ko) 기름배출구를 갖춘 다목적 조리기기
KR200428739Y1 (ko) 직화구이 팬
CN109770705B (zh) 烹饪器具
KR101725975B1 (ko) 발열팩을 이용하는 야외용 조리기구
JP7254952B2 (ja) 調理器具及びその調理構造
KR101906822B1 (ko) 내열을 이용한 이중가열식 조리기구
CN205338607U (zh) 电压力锅及其锅盖和内锅
KR200466643Y1 (ko) 유체류 찜용기
KR200456862Y1 (ko) 조리용 압력용기의 압력장치
JP2020063871A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