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739Y1 - 직화구이 팬 - Google Patents

직화구이 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739Y1
KR200428739Y1 KR2020060019006U KR20060019006U KR200428739Y1 KR 200428739 Y1 KR200428739 Y1 KR 200428739Y1 KR 2020060019006 U KR2020060019006 U KR 2020060019006U KR 20060019006 U KR20060019006 U KR 20060019006U KR 200428739 Y1 KR200428739 Y1 KR 2004287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direct
fan
protruding
ro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90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하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다스커뮤니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다스커뮤니케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다스커뮤니케이션
Priority to KR20200600190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7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7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7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64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육류, 어류 등을 굽는 구이판과 찜을 조리할 수 있는 냄비용기로 활용할 수 있는 직화구이 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팬의 바닥면에 좁고 긴 모양의 단을 형성하여 돌출된 직열부(42)와 상기 직열부(42) 사이의 물 저장부(41)를 연속적으로 반복해서 나열하여 연돌 현상과 다수의 증기 순환을 발생시켜서 열효율이 좋은 직화구이 팬을 제공하는 것이다.
직화구이 팬, 돌출 직열부, 연돌 현상, 다수의 증기순환, 돌기

Description

직화구이 팬 {Barbecue Roarst Fan}
도 1은 종래 기술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의 사용 상태 설명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주요 부분 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사용 상태 설명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본 고안은 육류, 어류 등을 굽는 구이판과 찜을 조리할 수 있는 냄비용기로 활용할 수 있는 직화구이 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팬의 바닥면에 좁고 긴 모양의 단을 형성하여 돌출된 직열부(42)와 상기 직열부(42) 사이의 물 저장부(41)를 연속적으로 반복해서 나열하여 연돌 현상과 다수의 증기 순환을 발생시켜서 열효율이 좋은 직화구이 팬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피가 큰 취사물의 경우에는 구이를 하는 경우에 속이 잘 익지 않고 겉은 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뚜껑을 덮어서 증기를 발생하도록 하여 구이를 해주는 경우가 많고, 증기로 조리된 음식물은 영양소의 파괴가 적기 때문에 증기를 이용한 조리기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래서 많은 종류의 증기를 이용한 조리기기가 나왔는데 이러한 직화 조리기기 중에서 종래에 등록된 실용신안 제 391164호 찜 및 직화구이 겸용 냄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냄비는 냄비의 내부 바닥면 가장자리 물 저장부(11)와, 상기 물 저장부(11)를 제외하고 냄비의 중심부위까지 돌출되어 있는 직열부(12)와, 상기 직열부(12)에서 돌출된 다수의 개구부(13)와, 냄비 내부의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개구부(13)에 설치된 물 넘침 방지턱(14)과, 물을 주입할 수 있는 물 주입구(15)로 이루어져서 냄비 내부에 석쇠(16)를 설치하고 뚜껑(17)을 안착하여 요리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통 냄비에서 조리시 연돌 효과를 고려하는데, 연돌 효과라 함은 흔히 굴 뚝효과라고도 말하여 지며, 냄비의 안과 밖의 온도차가 커지게 되면 내외부의 밀도차로 인한 압력의 차이로 부력이 발생해 저층부에서 공기가 유입되어, 유입된 공기는 수직 유동경로를 통해 상승하는 현상을 말한다.
그러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직화 냄비는 직열부(12)가 넓은 원형을 이루고, 상기 직열부(12)에서 돌출된 개구부(13)의 돌출 정도가 적기 때문에 외부 공기의 유입이 작게 되어 외부의 공기가 열원에 의해 가열되어 돌출된 직열부(12) 쪽으로 유입되는 연돌 현상이 약하게 발생한다.
이로 인해 연돌 현상에 의한 직열부(12) 쪽으로 열원의 불을 이끌어 주는 것이 약하게 되어 열효율이 떨어지고 효과적으로 조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로 찜요리를 하는 경우 냄비 바닥면의 가장자리에 물 저장부(11)가 위치하고 있고 열원은 냄비 가운데에 있는 직열부(12)를 중심으로 가열하기 때문에 물 저장부(11)의 물이 증기가 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열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더구나 가장자리에 있는 물이 증기로 변환하여 도 3에서와 같이 냄비 바닥면 가장자리에서 냄비의 벽면을 타고 올라갔다가 가운데 부분에서 내려와서 취사물 과 접촉하게 되는데, 이러한 증기 순환은 취사물의 위치에 따라 동일한 요리 효과를 주기가 힘들고, 소량의 취사물의 경우에는 열의 낭비가 많아지는 등 열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물 주입구(15)로 인하여 수납할 때 불편하고, 찜 요리를 할 때 물 주입구(15)로 증기가 빠져 나갈 수 있으며 물 넘침 방지턱(14)과 직열부(12) 사이의 거리가 짧아서 물이 넘치고 증기가 빠져나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고안은 연돌 효과를 증가하게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직열부(42)를 제공하여 열효율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다수의 증기 순환을 만들 수 있도록 다수의 반복적인 물 저장부(41)를 제공하여 물의 증기변환을 빠르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요리할 때 시간을 줄여주고 취사물의 모든 부분이 동일한 요리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해주며 소량의 취사물의 경우에도 열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석쇠(16)와 물 주입구(15)와 같은 부수적인 장치들을 제거하여 구성을 간단히 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취사물이 바닥면에 눌러 붙지 않도록 하여 편리하게 요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인 직화구이 팬은 도 4에서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을 구비한 팬의 몸체부와, 뚜껑과, 상기 몸체부(40) 바닥 면에 좁고 긴 모양의 단을 형성하여 내부로 돌출되어 있으면서 연속적으로 반복해서 나열하여 열을 직접 전달하는 다수개의 직열부(42)와, 상기 돌출된 직열부(42)와 직열부(42) 사이의 공간으로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다수개의 물 저장부(41)와, 상기 직열부(42)의 양 측면에 물 저장부(41) 측으로 개방되어 공기와 열을 전달하는 다수개의 개구부(43)와, 상기 직열부(42)의 상단에 돌출되어 석쇠를 대체하는 돌기(45)와, 상기 개구부(43)의 상단에 형성되어 열원인 불과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는 넘침 방지턱(44)과, 상기 직열부(42)는 상단에 양 측면으로 돌출되어 전열 면적을 증가시키는 보조 가열판(46)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실시예인 직화구이 팬의 구성품을 도 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 직열부(42)는 팬의 몸체부(40) 바닥 면에 좁고 긴 모양의 단을 형성하여 직사각형 형태을 이루며 내부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열기구로부터 인입되는 열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물 저장부(41)는 상기 돌출된 직열부(42)와 직열부(42) 사이의 함몰된 내부면의 상부가 개방된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진 형태로 형성되며 열원에 의해 증기로 변환하는 물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돌기(45)는 상기 직열부(42)의 상단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종래의 석쇠(16)를 대체하여 취사물이 눌러 붙는 것과 타는 것을 방지하고 취사물과 바닥면의 접촉을 최소화시켜서 직접적인 열원의 전달에 의한 영양소 파괴를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개구부(43)는 상기 직열부(42)의 양 측면에 물 저장부(41) 측으로 개방된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연돌 현상에 의해 불을 직열부(42)로 인도해 줄 수 있도록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열의 낭비를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넘침 방지턱(44)은 상기 개구부(43)의 테두리에 사각형 돌기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열원인 불과 취사물이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취사물이 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조 가열판(46)은 상기 직열부(42)는 상단에 양 측면으로 돌출된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취사물이 물 저장부(41)로 떨어지는 것을 막아주며 전 달되는 열원을 취사물의 일부분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가열 면적을 증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직화구이 팬을 이용하여 작동 원리를 살펴보면, 구이를 하는 경우는 물 저장부(41)에 물을 넣지 않은 상태에서 가열을 하여 바닥면 내부로 돌출되어 있는 직열부(42)와 상기 직열부(42)의 상단 양 측면에 돌출되어 있는 보조 가열판(56)에 열이 전달되고, 상기 직열부(42)에 돌출되어 있는 다수의 돌기(45) 위에 올려 있는 어류나 육류와 같은 취사물이 익게 된다.
그리고 찜을 하는 경우는 물을 넣은 다수의 반복적인 물 저장부(41)가 바닥면 내부로 돌출되어 있는 다수의 반복적인 직열부(42)에 비해 열원에 가깝게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열을 먼저 흡수하여 물 저장부(41) 내부의 물을 가열하게 되며, 가열된 물은 계속 가열되어 증기로 변환되고, 상기 증기가 계속적인 가열에 의해 도 6에서와 같이 다중의 증기 순환을 만들어서 취사물을 요리한다.
즉 상기 다중의 증기 순환과 직열부(42)의 직접적인 열전달을 이용하여 요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물 저장부(41)의 물의 양과 뚜껑(17)을 이용한 개폐여부에 따라 다양한 찜과 구이를 요리할 수 있으며, 소량이거나 형태가 다르고 두께가 다른 취사물의 경우에도 상기 다중의 증기 순환과 직열부(42)의 직접적인 열전달을 이용하여 취사물의 모든 부분에 동일한 요리 효과를 제공하도록 해준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인 직화구이 전용 팬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을 구비한 팬의 몸체부(40)와, 뚜껑(17)과, 상기 몸체부(40) 바닥 면에 좁고 긴 모양의 단을 형성하여 내부로 돌출되어 있으면서 연속적으로 반복해서 나열하여 열을 직접 전달하는 다수개의 직열부(72)와, 상기 돌출된 직열부(72)와 직열부(72) 사이의 공간으로 취사물에 의해 발생하는 기름과 같은 기타 생성물을 수용할 수 있는 다수개의 수용부(71)와,
상기 직열부(72)에서 직사각형의 단면을 이루며 돌출되어 직열부(72)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양 측면과 바닥 면인 하부가 개방된 형태를 이루며 연돌현상에 의해 열원인 불을 유도하여 취사물을 직접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직화부(73)와,
상기 직화부(73)의 개방된 양 측면 하단에 위치하여 팬 내부의 취사물에 의해 발생하는 기름과 같은 기타 생성물이 직화부(73) 하부에 개방되어 있는 부분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직화 넘침 방지턱(74)로 이루어진다.
이는 직열부(72)에 돌출되어 반복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직화부(73)를 형성하여 상기 직화부(73)의 개방된 바닥 면인 하부로 연돌 현상에 의해서 불을 유도하 고, 직열부(72)의 길이 방향으로 개방된 상기 직화부(73)의 양 측면을 통하여 취사물과 불을 직접 만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인 도 7은 바닥면 내부로 돌출된 다수의 직열부(72)와 상기 직열부(72)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직화부(73)에 의해 연돌 현상이 활발하게 일어나도록 하여 열원의 불을 효율적으로 취사물로 이끌 수 있는 직화 전용의 직화구이 팬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인 직화구이 팬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을 구비한 팬의 몸체부(40)와, 뚜껑(17)과, 상기 몸체부(40) 바닥 면에 좁고 긴 모양의 단을 형성하여 내부로 돌출되어 있으면서 연속적으로 반복해서 나열하여 열을 직접 전달하는 다수개의 직열부(72)와, 상기 돌출된 직열부(42)와 직열부(42) 사이의 공간으로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다수개의 물 저장부(41)와,
상기 직열부(42)의 길이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원호형의 돌출부위를 일단에 가지고 타단으로 갈수록 원호의 단면이 줄어들어 첨단을 형성하며, 상기 직열부의 상단에 원호형의 돌출부위가 좌·우측 끝단에 상호 교차되도록 나열되는 돌기(85)와,
상기 돌기(85)에 형성되어 있는 원호형의 돌출부위가 이루는 단면 내부가 개방되어 팬 하부에서 공기와 열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개구부(8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도 8의 직화구이 팬은 도 4의 경우에서 직열부에 상단에 형성되는 돌기(45)와 상기 직열부(42)의 측면에 형성되는 개구부(43)를 돌기(85)와 개구부(83)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서 구성을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부(83)의 크기가 커져서 연돌 효과를 증진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좌·우측으로 교대로 반복해서 형성된 개구부(83)에 의해 열원인 불이 인도되기 때문에 취사가 빠르게 이루어지며 취사효율이 좋아지고, 뚜껑(17)을 덮고 물을 물 저장부(41)에 넣으면 찜요리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종래 기술에 포함되어 있는 물 주입구(15)는 수납할 때 불편하고 보통 냄비에 물을 넣는 것과 같이 뚜껑(17)을 열어서 물을 주입할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에서는 제거를 하였고, 석쇠(16)의 경우는 취사물이 눌러 붙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의 돌기(45)로 대체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였다.
이로 인해 본 고안은 알루미늄이나 철과 같은 여러 가지 재료를 이용하여 주물이나 단조 작업을 통하여 손쉽게 생산을 할 수 있고, 생산 단가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인 직화구이 팬에 의하면 열기구에서 발생되는 열이 연돌 현상에 의해 팬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따라서 직열부(42)로 인도되어 열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해주며, 다중의 증기 순환을 이용하여 취사물의 모든 부분에 동일한 요리 효과를 줄 수 있도록 해주고, 이러한 증기를 이용하여 요리함에 따라 취사물의 영양소 파괴를 줄여주며, 종래의 직화구이 팬을 이용한 요리의 겉은 타고 속은 덜 익는 현상을 줄여주고, 석쇠(16)와 물 주입구(15) 등의 부수적인 장치를 제거하여 수납이 편리하며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해준다.
즉 상기 직화구이 팬은 구성이 간단하여 생산성이 높고, 찜과 구이 등에 다용도로 사용이 가능하고, 연돌 현상과 다중의 증기 순환을 이용하여 매우 경제적이고 편리하게 요리를 할 수 있도록 해준다.

Claims (6)

  1.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을 구비한 팬의 몸체부(40)와, 뚜껑과, 상기 몸체부(40) 바닥 면에 좁고 긴 모양의 단을 형성하여 내부로 돌출되어 있으면서 연속적으로 반복해서 나열하여 열을 직접 전달하는 다수개의 직열부(42)와,
    상기 돌출된 직열부(42)와 직열부(42) 사이의 공간으로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다수개의 물 저장부(41)와,
    상기 직열부(42)의 양 측면에 물 저장부(41) 측으로 개방되어 공기와 열을 전달하는 다수개의 개구부(43)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 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열부(42)는 상단에 석쇠를 대체하는 돌기(45)가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 팬
  3.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43)는 개구부(43)의 상단에 넘침 방지턱(44)을 구비하여 열원인 불과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 팬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직열부(42)는 상단에 양 측면으로 돌출된 보조 가열판(46)을 구비하여 전열 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 팬
  5.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을 구비한 팬의 몸체부(40)와, 뚜껑과, 상기 몸체부(40) 바닥 면에 좁고 긴 모양의 단을 형성하여 내부로 돌출되어 있으면서 연속적으로 반복해서 나열하여 열을 직접 전달하는 다수개의 직열부(72)와,
    상기 돌출된 직열부(72)와 직열부(72) 사이의 공간으로 취사물에 의해 발생하는 기름과 같은 기타 생성물을 수용할 수 있는 다수개의 수용부(71)와,
    상기 직열부(72)에서 사각형의 단면을 이루며 돌출되어 직열부(72)의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양 측면과 바닥 면인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와 전·후면은 폐쇄된 형태로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취사물과 열원인 불을 직접 만날 수 있도록 해주는 다수개의 직화부(73)와,
    상기 직화부(73)의 개방된 양 측면 하단에 위치하여 팬 내부의 취사물에 의해 발생하는 기름과 같은 기타 생성물이 직화부(73) 하부에 개방되어 있는 부분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직화 넘침 방지턱(74)을 구비하여 직화구이 전용 팬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 팬
  6.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을 구비한 팬의 몸체부(40)와, 뚜껑과, 상기 몸체부(40) 바닥 면에 좁고 긴 모양의 단을 형성하여 내부로 돌출되어 있으면서 연속적으로 반복해서 나열하여 열을 직접 전달하는 다수개의 직열부(72)와,
    상기 돌출된 직열부(42)와 직열부(42) 사이의 공간으로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다수개의 물 저장부(41)와,
    상기 직열부(42)의 길이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원호형의 돌출부위를 일단에 가지고 타단으로 갈수록 원호의 단면이 줄어들어 첨단을 형성하며, 상기 직열부의 상단에 원호형의 돌출부위가 좌·우측 끝단에 상호 교차되도록 나열되는 돌기(85)와,
    상기 돌기(85)에 형성되어 있는 원호형의 돌출부위가 이루는 단면 내부가 개방되어 팬 하부에서 공기와 열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개구부(83)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 팬
KR2020060019006U 2006-07-13 2006-07-13 직화구이 팬 KR2004287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006U KR200428739Y1 (ko) 2006-07-13 2006-07-13 직화구이 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006U KR200428739Y1 (ko) 2006-07-13 2006-07-13 직화구이 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739Y1 true KR200428739Y1 (ko) 2006-10-16

Family

ID=41777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9006U KR200428739Y1 (ko) 2006-07-13 2006-07-13 직화구이 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73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6961A1 (en) * 2011-12-23 2013-06-27 Mamoru Imura Pan, system and method of cooking
KR200475796Y1 (ko) 2013-12-13 2015-01-05 박천욱 직열구이냄비
KR20210031171A (ko) * 2019-09-11 2021-03-19 박선정 직화용 양면그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6961A1 (en) * 2011-12-23 2013-06-27 Mamoru Imura Pan, system and method of cooking
KR200475796Y1 (ko) 2013-12-13 2015-01-05 박천욱 직열구이냄비
KR20210031171A (ko) * 2019-09-11 2021-03-19 박선정 직화용 양면그릴
KR102231253B1 (ko) 2019-09-11 2021-03-23 박선정 직화용 양면그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1229Y1 (ko) 찜겸용 구이팬 직화용기
KR200428739Y1 (ko) 직화구이 팬
TWM460613U (zh) 烹調容器
KR200371963Y1 (ko) 조리기구판
KR20090008808U (ko) 냄비뚜껑
KR101482500B1 (ko) 열기 및 스팀 가열 방식의 구이용 불판
KR200393644Y1 (ko) 찜 및 직화구이 겸용냄비
KR200391164Y1 (ko) 찜 및 직화구이 겸용냄비
KR200394229Y1 (ko) 조리용기의 뚜껑
KR101541482B1 (ko) 다기능 압력 직화 조리기
KR20110000512U (ko) 직화형 후라이팬
KR101154028B1 (ko) 직화 조리기
KR200443515Y1 (ko) 양면조리를 할 수 있는 가스기기의 그릴용 생선 구이판
KR100690401B1 (ko) 냄새제거기를 갖춘 조리장치
KR20200090604A (ko) 열조절층이 형성되는 직화용기
KR101016360B1 (ko) 다기능 조리용기
KR200479718Y1 (ko) 다용도 불판 및 이를 이용한 불판 장치
KR20150098475A (ko) 수냉식 구이용 불판
KR200479654Y1 (ko) 로스터
KR20200100510A (ko) 양면 구이팬
KR200490334Y1 (ko) 간접 가열식 석쇠조리기구
KR200421229Y1 (ko) 다기능 직화 조리기
KR101968869B1 (ko) 만능냄비
JPH0532014Y2 (ko)
KR101244990B1 (ko) 복합 구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