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1482B1 - 다기능 압력 직화 조리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압력 직화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1482B1
KR101541482B1 KR1020130157504A KR20130157504A KR101541482B1 KR 101541482 B1 KR101541482 B1 KR 101541482B1 KR 1020130157504 A KR1020130157504 A KR 1020130157504A KR 20130157504 A KR20130157504 A KR 20130157504A KR 101541482 B1 KR101541482 B1 KR 101541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owder
electric heater
present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7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1088A (ko
Inventor
오재탁
Original Assignee
오재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재탁 filed Critical 오재탁
Priority to KR1020130157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1482B1/ko
Publication of KR20150071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1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1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1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20Perforated bases or perforated containers to be placed inside a cooking utensil ; Draining baskets, inserts with separation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압력 직화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화 구이, 찜 등 다양한 음식의 조리가 가능함과 동시에, 가스레인지 등의 가열수단에서 발생하는 직화열이 분체 내부로 균일하게 분포되며, 압력을 이용하여 직화열에 의한 조리 시간을 단축하고, 분체에서 조리되고 있는 음식의 기름 등이 직접 가열되고 있는 본체로 떨어지지 않도록 압력뚜껑이 결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수용되면서 본체의 내부공간을 분할하는 분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기능 압력 직화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압력 직화 조리기는 압력 뚜껑이 결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수용되어 본체의 내부공간을 분할하는 분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압력 직화 조리기{PRESSURE TYPE ROASTING COOKER}
본 발명은 다기능 압력 직화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화 구이, 찜 등 다양한 음식의 조리가 가능함과 동시에, 가스레인지 등의 가열수단에서 발생하는 직화열이 분체 내부로 균일하게 분포되며, 압력을 이용하여 직화열에 의한 조리 시간을 단축하고, 분체에서 조리되고 있는 음식의 기름 등이 직접 가열되고 있는 본체로 떨어지지 않도록 압력뚜껑이 결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수용되면서 본체의 내부공간을 분할하는 분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기능 압력 직화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화열을 이용하여 각종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직화구이용 조리기는 가스레인지와 같은 조리용 가열장치에서 발생된 직화열에 의한 열전도에 의해 용기가 히팅됨과 아울러 용기 내부로 직화열의 일부가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공들이 형성되어 이 각 통공들을 통하여 용기 내부로 직화열이 직접 유입되어 이러한 열원들에 의해 용기에 담겨진 음식물이 가열되면서 익혀지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직화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의 조리가 가능한 조리기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30622호(2002.03.18.) "직화 구이팬"(이하 종래 기술이라 함)이 있는데,
상기 종래 기술은 뚜껑과 몸통(이하 본체로 통칭함)이 결합된 내면에다 석쇠를 내장한 본체의 상단외별을 하향지게 길게 절곡하여 열통로인 보열벽을 구성한 본체에 있어서 직화가 내면으로 잘 유입되여 가열하도록 본체 상부 내별에 배기공이 천공되게 한 하변에다 내향지게 약간 절곡하여 직화유입턱을 형성된 상면에 직화유입공을 여러 개 천공하고 본체 상단에 결합턱을 형성하여 뚜껑을 복개하도록 한 직화 구이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직화 구이팬은 조리용 가열장치에서 발생하는 직화열이 상기 직화유입공들을 통하여 본체 내부로 유입되어 본체 바닥면에서 발생된 간접열과 함께 음식물의 조리를 위한 열원으로 사용되며, 이와 같이 본체 내부에 분포된 열원들은 내부 압력에 의해 상기 배기공들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방식으로 음식물이 조리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한 직화 구이팬은 조리용 가열장치에서 발생된 상향(上向)식 직화열이 보열벽 내측에 모이면서 상기 다수개의 직화유입공들을 통하여 상기 본체의 상부 둘레측에서 내부로 유입되므로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서 발생되어 상측으로 이동되는 간접열의 압력에 의해 직화열이 아래쪽으로 이동되지 못하고 상부에 머물면서 상기 배기공들을 통하여 다시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특히, 상기한 현상은 본체 내부 공간에 직화열 머무는 시간이 짧을 뿐만 아니라, 전체 공간에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고 상부 공간에만 머물면서 그대로 배출되므로 과다한 열 손실을 유발하는 한 요인이 된다. 더욱이 이러한 문제점들에 의해 음식물의 조리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음식물의 특정 부위만 익혀지므로 만족할 만한 조리 품질을 얻기가 어렵다.
뿐만 아니라 상기 종래 기술은 본체 내부에 석쇠를 올려 조리가 이루어지므로 음식물에서 배출된 기름 등이 본체 바닥에 떨어져 타면서 냄새가 심해지고, 연기가 발생하며, 본체 바닥면이 타고 눌러 붙어 사용하기 불편한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압력뚜껑을 통해 본체 내부를 밀폐시켜 본체 내부의 온도를 100~150℃까지 빠르게 승온시켜 조리가 이루어지는 압력 직화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본체 내부에 수용된 분체 위에서 조리가 이루어져, 음식물에서 배출된 기름 등이 본체 내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본체와 분체 각각의 바닥면 둘레에 하부로 함몰 형성된 저장홈이 구비되어 있으며, 따라서 본체 하부에서 전달되는 가스레인지 등의 불꽃이 본체 중앙을 집중적으로 가열하여 열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조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압력 직화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식물 전체가 고온의 열을 통해 고르게 익힐 수 있어 직화 구이의 조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나아가 찜 등의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모두 조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분체의 측벽에 관통 형성된 유입공이 구비되어 있는 압력 직화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가스레인지 등을 사용하지 않고 전기로 가열시켜 사용이 편하도록 하고, 조리 후 조리기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전기 히터봉으로 구성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수단이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압력 직화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압력 직화 조리기는
압력 뚜껑이 결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수용되어 본체의 내부공간을 분할하는 분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직화 조리기에서 상기 본체와 상기 분체는 각각의 바닥면 둘레에 하부로 함몰 형성된 저장홈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직화 조리기에서 상기 분체는 측벽에 관통 형성된 유입공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직화 조리기에서 상기 본체에 결합되되는 가열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열수단은 전기 히터봉으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전기 히터봉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장착공이 구비되어 상기 가열수단이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압력 직화 조리기는 본체를 밀폐시키는 압력뚜껑이 결합되어 가열수단에 의하여 발생되는 직화열이 고압력에 의하여 본체 내부를 100~150℃의 고온으로 빠르게 승온시킬 수 있어 직화구이의 조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압력 직화 조리기는 분체를 이용해 통닭, 삼겹살 등의 직화구이만이 아니라, 생선 구이 더 나아가 찌개나 탕 류의 음식 조리를 빠르게 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압력 직화 조리기는 본체 내부에 수용되는 분체와 본체 각각의 바닥면 둘레에 하부로 함몰 형성된 저장홈이 구비되어 있어 분체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에서 배출된 기름 등이 분체의 저장홈으로 흘러들어가기 때문에 본체 바닥이 타거나 기름이 눌러 붙는 것을 방지하면서 조리 후 기름의 제거가 매우 쉽고 빠르게 이루어진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직화 조리기는 상기 분체의 측벽에 관통 형성된 유입공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본체의 저장홈에 물을 채운 후 조리를 하게 되면 증기를 이용한 찜 요리가 가능하게 되어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 조리가 가능해진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직화 조리기는 상기 본체의 저장홈에 의하여 형성되는 본체의 하부 공간은 가스 레인지 등의 가열수단을 이용할 때 불꽃이 본체 중앙을 집중하여 가열하도록 함으로써, 열 손실을 줄여 조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직화 조리기는 가열수단으로써, 전기 히터봉을 도입하여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기 때문에 안전하게 취급하여 사용할 수 있고, 조리 후 세척 시 전기 히터봉을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의 분체의 변형레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압력 직화 조리기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압력 직화 조리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압력 직화 조리기는 크게 냄비 형태의 본체(10)와, 상기 본체(10) 내부에 수용되어 조리대상이 놓이는 분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써, 상기 본체(10)는 상부가 개구된 형상의 냄비 형태로 이루어지며, 개구부 둘레의 측벽에서 내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부(10a)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분체(20)는 요리 대상물이 안치될 수 있도록 하부를 향하여 함몰된 안치부(20A)가 중앙에 형성되고, 분체(20)의 개구부 둘레에는 플렌지 형태의 받침부(20a)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분체(20)는 상기 본체(10)의 개구부를 덮으면서 상기 받침부(20a)가 상기 지지부(10a)에 지지되는 상태로 본체(10)에 수용되며,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분체(20)는 본체(10)의 내부공간(10A)을 상, 하부로 분할한다.
한편 상기 본체(10)는 개구부를 폐쇄하는 압력 뚜껑(13)이 결합되어 본체(10) 내부를 밀폐시켜 본체 하부에서 전달되는 직화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수밀성을 확보하도록 상기 압력 뚜껑에는 본체와의 접촉부에 패킹부재(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조리를 위한 직화열을 발생시키는 수단으로써, 본체 하부를 직접 가열하는 가스레인지 등의 별도 가열수단(미도시) 또는 본체에 결합되어 분체를 직접 가열하는 본 발명의 가열수단(30; 후술함.)이 사용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압력 뚜껑(13)이 상기 본체(10)를 덮은 상태에서 압력 뚜껑(13)과 본체(10)가 견고하게 밀착되면서 결합 상태가 강제로 유지되도록 하는 잠금수단(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잠금수단(12)을 갖는 압력 뚜껑(13)을 통해 상기 압력 뚜껑(13)이 상기 본체(10)에 강제로 고정된 상태에서 조리가 이루어지므로 본체 하부에서 전달되는 직화열에 의하여 상기 분체(20)의 안치부(20A) 내부의 압력을 상승시켜, 분체(20) 하부로 직접 전달되는 복사열과 함께 고압으로 가열된 직화열이 분체(20)의 안치부(20A) 내부로 순환되면서 내부 온도를 100~150℃까지 빠른 시간에 승온시킬 수 있어 조리 시간을 단축하면서 조리 대상물 전체가 고르게 가열되어 조리된다.
여기서 상기 압력 뚜껑(13)은 중앙 상면에 손잡이(16)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 둘레 일측에는 본체(10) 내부의 고압 고온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배출공(13a)이 구비되고, 상기 배출공(13a)에는 밸브부재(14)가 장착되어 사용자가 밸브부재(14)를 작동시켜 조리가 완료된 다음 본체(1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밸브부재(14)는 상기 압력 뚜껑(13)의 배출공(13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요리의 종류에 따라 본체(10) 내부의 공기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분체(20)와 상기 본체(10) 각각의 바닥면(10a)(20a) 둘레에 하부로 함몰 형성된 저장홈(11)(21)이 더 구비된다.
우선 상기 분체(20)의 바닥면(20a) 둘레에 구비된 저장홈(21)은 조리 시 조리 대상물에서 배출되는 기름 등의 배출물이 상기 저장홈(21)으로 흘러 들어가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기름 등이 상기 분체(20) 밖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분체(20) 하부에 배치된 가열수단(30) 또는 본체(10)의 바닥면(10a)에 기름 등이 떨어져 불꽃이 발생하거나 기름이 타면서 연기나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체(20)의 바닥면(20a)은 중앙에서 둘레의 저장홈(21)을 향해 하측방향으로 미세하게 경사지도록 구비되어 조리 대상에서 배출되는 기름 등이 분체(20)의 저장홈(21)으로 자연스럽게 흘러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체(20)는 상기 안치부(20A)를 둘러싸는 측벽에 관통 형성된 유입공(2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가열수단(30)에서 발생하는 직화열이 본체(10) 내부에서 상승된 고압에 의하여 상기 유입공(22)으로 안내되면서 분체(20)의 안치부(20A)에 안치된 조리 대상물의 상부를 가열하게 되고, 분체(20) 하부로 전달되는 복사열과 함께 조리 대상물 전체를 고르게 가열하게 되므로 직화 구이의 맛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공(22)을 통해 본체(10) 내부의 공기가 상기 분체(20) 내부로 순환되므로, 상기 본체(10)의 저장홈(11)에 물을 저장한 후 가열하게 되면 본체(10)의 저장홈(11)에 저장된 물이 증발하면서 발생된 증기가 상기 유입공(22)을 통해 분체(20)의 안치부(20A)로 순환되므로, 본 발명의 조리기를 통해 찜류의 음식을 조리하는 것 또한 가능해진다.
상기 분체(20)는 상기 유입공(22)이 구비된 제1분체와 상기 유입공(22)이 구비되지 않은 제2분체로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제1, 제2분체를 선택하여 사용하여 요리의 종류에 맞는 조리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직화구이나 찜 등의 요리를 조리할 경우 유입공(22)이 구비된 제1분체를 상기 본체(10)에 결합하여 조리를 행할 수 있고, 찌개나 탕 류의 음식을 조리할 경우 유입공(22)이 구비되지 않은 제2분체를 상기 본체(10)에 결합하여 제2분체를 냄비 대용으로 사용하여 조리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입공(22)은 상기 분체(20)의 바닥면(20a), 보다 구체적으로는 분체(20)의 저장홈(21)을 제외한 측벽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분체(20)의 저장홈(21)에 저장되는 기름 등이 분체(20)에서 떨어져 본체(10)의 바닥면이나 가열수단(30)에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본체(10)에서 저장홈(11)에 의하여 하측으로 돌출된 바닥부는 본 발명의 조리기를 바닥이나 가스레인지 등에 놓아 사용할 때 다리부재로 기능하게 되며, 특히 저장홈(11)으로 둘러싸인 본체(10)의 바닥면 하측의 공간은 가스레인지의 불꽃이 본체 바닥면의 중앙을 집중하여 가열하도록 함으로써 열손실을 줄여 조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본체(10)의 저장홈(11)에 둘러싸인 바닥면(10a)의 하부 공간을 장착부(11A)로 활용하고 상기 장착부(11A)에 열이 발생하는 발열유닛(38)이 더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발열유닛(38)은 가열을 통해 본체 내부로 열을 발생시키면서 원적외선 또는 음이온이 방출되도록 하는 방출소재(39)가 저장되는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상기 장착부(11A)에 조립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의 바닥 상면은 원적외선 또는 음이온을 상부에 위치하는 본체(10) 내부로 반사시키기 위한 코팅면으로 구성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하우징의 바닥 자체가 원적외선 또는 음이온을 반사시킬 수 있는 소재 자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열유닛(38)에 사용되는 발열 소재로는 가열에 용이하며 원적외선 또는 음이온이 방출되는 모든 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세라믹 소재, 숯, 돌 등이 있다.
이때 상기 본체(10)의 바닥면(10a)은 일부가 천공되어 하부 장착부(11A)에 상기 발열유닛(38)이 결합되어 방출되는 열이 원적외선 또는 음이온과 함께 본체 내부로 직접 전달되도록 하여 가열 효율을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열유닛은 가스레인지 등의 별도의 가열수단을 통해 가열되어 발열되는 방식 또는 발열 소재가 직접 연소되면서 발열되는 방식(예를 들어 숯, 세라믹 소재로 이루어진 발열판)이 고려될 수 있다.
상기 발열유닛은 후술하는 제2전기 히터봉(33)이 구비된 실시예에 추가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어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써, 본 발명은 상기 본체(10)에 결합되면서 상기 분체(20) 하부에 배열되어 직화열을 발생시키는 가열수단(3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열수단(30)은 상기 분체(20)가 분할한 본체(10)의 내부 공간 중 하부 공간에 배열되도록 결합되고, 가열수단(30)에서 직화열이 발생하여 상기 분체(20)의 안치부(20A)에 안치된 조리 대상물을 가열하면서 조리가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본체(10)에 결합되는 가열수단(30)은 전기 히터봉(31)으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10)는 상기 전기 히터봉(31)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장착공(17)이 구비되어 상기 가열수단(30)이 상기 본체(1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전기 히터봉(31)은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미도시)이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어 전기를 통해 열을 발생시키는 열선(32)이 스파이럴 형태로 몸체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상기 전기 히터봉(31)과 장착공(17)의 수에는 제한이 없으나, 가열의 효율성을 위하여 2 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두 개의 전기 히터봉(31)이 상기 본체(10)에 장착된 것으로 도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도 2의 우측 상부 원내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공(12)은 장착공(12) 사이의 거리가 상기 분체(20)의 저장홈(21)에 둘러싸인 바닥면(20a)의 직경에 상응하거나 좁도록 구비되어 상기 장착공(12)에 삽입되어 결합된 전기 히터봉(31)이 상기 분체(20)의 바닥면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바닥면(20a)만을 집중적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착공(12)에는 상기 전기 히터봉(31)이 삽입되어 결합되었을 때 본체(10) 내부의 공기가 상기 전기 히터봉(31)과 상기 장착공(12) 사이의 간극으로 유출되어 압력 뚜겅에 의한 압력 상승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패킹부재(17a)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리를 할 경우에 상기 전기 히터봉(31)을 장착하여 조리를 행사고, 조리가 완료된 후에는 상기 전기 히터봉(31)을 분리한 다음, 본체(10)와 분체(20)를 분리하여 세척을 행할 수 있어 청소가 편리하여 위생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물 세척 시 전기 히터봉(31)에 물이 접촉하여 합선으로 인하여 파손되거나,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저장홈(11)으로 둘러싸인 본체(10)의 바닥면 하측의 공간은 본체(10)의 바닥면(10a)과 분체(20)의 바닥면(20a) 사이에 배치된 가열수단(30)에서 발생하는 복사열로 인하여 조리기가 놓인 바닥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써, 상기 가열수단(30)은 상기 본체(10)에 결합되는 전기 히터봉(31)과 달리, 상기 압력 뚜껑(13)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전기 히터봉(3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본체(10)에 결합되는 전기 히터봉을 제1전기 히터봉(31)이라 칭하고, 상기 압력 뚜껑(13)에 결합되는 전기 히터봉을 제2전기 히터봉(33)이라 칭한다.
상기 제2전기 히터봉(33) 역시 상기 압력 뚜껑(13)에 대하여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압력 뚜껑에는 상기 제2전기 히터봉(33)이 삽입되는 장착공(18)이 구비되고 조리기 내부의 수밀성을 위하여 내화성의 패킹부재(18a)가 상기 장착공(12)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전기 히터봉(33)은 상기 제1전기 히터봉(31)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으로써, 상세 구성은 상기 제1전기 히터봉(31)과 동일하며, 상기 제2전기 히터봉(33)을 통해 상기 분체(20)의 상부에서 분체(20)의 안치부(20A)에 안치된 조리 대상물을 복사열을 통해 하부에서 전달되는 열과 함께 동시에 조리가 가능하므로 조리 대상물을 더욱 고르게 조리할 수 있으며, 고온 고압의 직화열을 통하여 조리 시간을 더욱 단축할 수 있다.
미설명 부호인 34는 제2전기 히터봉(33)에 감긴 열선을 의미한다.
도 6 및 도 7에서 가스레인지 등에 의하여 가열되면서 상부에 상기 제2전기 히터봉이 포함된 구성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도면과 달리, 제2실시예 즉, 상기 제1전기 히터봉과 상기 제2전기 히터봉이 모두 포함되는 구성 역시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도 4의 우측 상부 원내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체(20)의 저장홈(21) 하부에는 본체 또는 하부에서 전달되는 직화열이 상기 분체(20)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홀(2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홀(23)은 상기 유입공(22)과 같이, 가열수단에서 발생하는 직화열 또는 찜 조리 시 발생하는 증기가 상기 분체(20)의 안치부(20A)로 원활하게 유입되어 조리의 질적 향상 및 조리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유입홀(23)은 조리 대상물에서 배출된 기름 등이 하부에 위치하는 본체(10)의 저장홈(11)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부로써의 기능을 포함한다.
즉, 상기 유입홀(23)은 사용자가 기름이 많은 종류의 조리 대상물을 조리할 경우 분체(20)의 저장홈(21) 용량을 초과하게 되면 기름이 분체(20)의 바닥면(20a)으로 침범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저장홈(21)의 수위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유입홀(23)은 상기 분체(20)의 저장홈(21)의 최하부 평평한 면에 구비되는 것 보다 상기 저장홈(21)을 형성하는 측벽의 소정 높이에 구비되어 직화열이나 증기의 유입을 보조할 뿐만 아니라, 조리 대상물에서 배출되는 기름이 일정 수위 이상으로 높아질 때 상기 유입홀(23)을 통해 기름이 하부에 위치하는 본체(10)의 저장홈(11)으로 낙하되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 유입홀(23)은 상기 분체(20)의 저장홈(21)과 분체(20)의 바닥면(20a)의 연결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분체(20)의 바닥면(20a) 외곽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가열수단으로써, 제2실시예와 같은 전기 히터봉(31)이 구비될 경우 상기 유입홀(23)은 상기 분체(20)의 저장홈(21)을 따라 구비되어 있되, 하부에 배치되는 제1전기 히터봉(31)이 지나가는 위치를 제외한 분체(20) 외곽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본체(10)의 저장홈(11)은 기름이 낙하하여 저장되더라도, 저장홈으로써 기능하는 것이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으나, 기름이 상기 제1전기 히터봉(31)으로 낙하할 경우 발열을 통해 기름이 연소되어 화재가 일어나거나, 제1전기 히터봉(31)이 합선되어 파손될 위험이 있으므로, 제1전기 히터봉(31)이 지나가는 위치를 제외한 분체(20) 외곽에 상기 유입홀(23)이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와 상기 분체(20)의 저장홈(11)(21)은 바닥면 둘레를 따라 하나의 저장홈이 모두 연통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상기 저장홈(11)(21)이 복수개로 단절되는 형태로도 형성 가능하며, 도 8에서는 본체(10)에 구비되는 단절된 형태의 저장홈(11')을 대표하여 도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유입공(22), 각각의 저장홈(11)(21), 발열유닛(38) 등의 구체 구성은 제2실시예와 제3실시예 모두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동일 구성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하였는바, 이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충분히 예측하여 재현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 해석이 제한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다기능 압력 직화 조리기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본체 10a : 본체의 바닥면
11 : 본체의 저장홈 11A : 장착부
12 : 잠금수단 13 : 압력 뚜껑
14 : 밸브부재 16 : 손잡이
17 : 장착공 18 : 삽입공
20 : 분체 20A : 안치부
21a : 분체의 바닥면 21 : 분체의 저장홈
22 : 유입공 23 : 유입홀
30 : 가열수단 31 : 제1전기 히터봉
33 : 제2전기 히터봉 32, 34 : 열선
38 : 발열유닛 39 : 방출소재

Claims (4)

  1. 압력 뚜껑이 결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수용되어 본체의 내부공간을 분할하는 분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에 결합되되는 가열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열수단은 전기 히터봉으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전기 히터봉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장착공이 구비되어 상기 가열수단이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직화 조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분체는 각각의 바닥면 둘레에 하부로 함몰 형성된 저장홈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직화 조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는 측벽에 관통 형성된 유입공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직화 조리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는 저장홈의 하부에서 관통 형성된 유입홀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직화 조리기.
KR1020130157504A 2013-12-17 2013-12-17 다기능 압력 직화 조리기 KR101541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504A KR101541482B1 (ko) 2013-12-17 2013-12-17 다기능 압력 직화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504A KR101541482B1 (ko) 2013-12-17 2013-12-17 다기능 압력 직화 조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1088A KR20150071088A (ko) 2015-06-26
KR101541482B1 true KR101541482B1 (ko) 2015-08-06

Family

ID=53517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7504A KR101541482B1 (ko) 2013-12-17 2013-12-17 다기능 압력 직화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14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67560B (zh) * 2018-12-14 2020-12-22 嘉兴市万荣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油水分离效果的锅体
JP7278494B2 (ja) 2019-12-31 2023-05-19 ゼジアン シャオシン スーポア ドメスティック エレクトリカル アプライアン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調理器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3379A (ja) * 2000-11-17 2002-05-28 Sanyoo Kogyo Kk 調理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3379A (ja) * 2000-11-17 2002-05-28 Sanyoo Kogyo Kk 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1088A (ko) 2015-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6787B1 (ko) 다용도 복합 조리기
US2224945A (en) Self-cleaning electric cooking apparatus
KR200469933Y1 (ko) 조리용 팬의 교체가 용이한 전열 조리기구
KR20130006491U (ko) 찜겸용 구이팬 직화용기
KR102236131B1 (ko) 휴대용 바비큐 조리기구
KR101541482B1 (ko) 다기능 압력 직화 조리기
KR20110021541A (ko) 다용도 조리용기
KR102064698B1 (ko) 구이감이 타지 않는 구이장치
KR101340648B1 (ko) 조리기구
JP6467570B2 (ja) ガスコンロのグリル庫用陶磁器製調理器
KR20090002654A (ko) 다용도 조리기구
US20160088974A1 (en) Apparatus for Roasting Corn
KR101040024B1 (ko) 탄소섬유발열체를 이용한 다목적 가열기
KR20110000512U (ko) 직화형 후라이팬
KR20110073659A (ko) 전자렌지용 밥솥
KR200350884Y1 (ko) 테이블용 전기식 로스터
KR200441569Y1 (ko) 전기식 로스터
CN105640362A (zh) 多功能无油烟便携式烧烤炉
KR200413907Y1 (ko) 직화 조리가 가능한 다목적 조리기기
KR101598125B1 (ko) 다용도 로스팅용기
KR200424658Y1 (ko) 신선로 겸용 취사기
KR20130001752A (ko) 외통과 솥에 뚜껑이 결합된 다기능 만능솥
JP3193322U (ja) 固体燃料用携帯型コンロ
KR102537581B1 (ko) 중탕조리기
KR20110125407A (ko) 전기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