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0648B1 - 조리기구 - Google Patents
조리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40648B1 KR101340648B1 KR1020120089165A KR20120089165A KR101340648B1 KR 101340648 B1 KR101340648 B1 KR 101340648B1 KR 1020120089165 A KR1020120089165 A KR 1020120089165A KR 20120089165 A KR20120089165 A KR 20120089165A KR 101340648 B1 KR101340648 B1 KR 1013406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oking
- cookware
- grill
- cooking object
- wa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18—Boilers or utensils with sieves inserted therein, e.g. potato-cook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83—Warming devices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간접가열방식과 대류현상으로 조리대상물을 조리할 수 있으므로 고르게 익힐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구이와 찌개 또는 밥을 동시에 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의성과 신속성을 제공하고, 물 받침의 중앙에 배출관을 형성하여 고열과 고압을 배출시키므로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내부에서 발생되는 연기와 냄새를 배출하여 필터로 걸러 내므로 청결한 실내공기를 유지할 수 있으며,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여 청소 및 보관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각종 구이와 찌개 또는 밥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조리기구(1)이며, 내부에 히터(40)를 구성하여 조리대상물(A)을 간접적으로 가열하고 대류현상을 발생시켜 조리대상물(A)을 내·외부 고루 익힐 수 있으며, 단시간에 여러 요리를 할 수 있는 신속함과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조리기구(1)의 내부에 배출관(52)을 형성하여 가열된 온도가 높아 내부에 고압이 발생되더라도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배출관(52)의 하부에 필터(32)를 형성하여 내부에 형성된 고온 고압을 걸러 내므로 수증기 또는 열기의 온도를 저하시키고 동시에 연기와 냄새를 없애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각종 구이와 찌개 또는 밥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조리기구(1)이며, 내부에 히터(40)를 구성하여 조리대상물(A)을 간접적으로 가열하고 대류현상을 발생시켜 조리대상물(A)을 내·외부 고루 익힐 수 있으며, 단시간에 여러 요리를 할 수 있는 신속함과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조리기구(1)의 내부에 배출관(52)을 형성하여 가열된 온도가 높아 내부에 고압이 발생되더라도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배출관(52)의 하부에 필터(32)를 형성하여 내부에 형성된 고온 고압을 걸러 내므로 수증기 또는 열기의 온도를 저하시키고 동시에 연기와 냄새를 없애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이 및 찌개 등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직접가열방식을 탈피하여 간접가열방식으로 조리대상물이 눌어붙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고르게 익힐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구이와 찌개 또는 밥을 동시에 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의성과 신속성을 제공하고, 물 받침의 중앙에 배출관을 형성하여 상승된 열이 아래로 빠지게 함으로써 압력솥과 같은 효과를 제공하며, 내부의 압력이 고압이더라도 폭발 염려가 없는 안전한 제품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여 청소 및 보관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조리기구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선, 육고기(이하 '조리대상물'라 한다) 등으로 구이를 행할 시 전기프라이팬, 가스렌즈 또는 화로 등의 상부에 석쇠 또는 구이판을 올려놓고 조리대상물을 놓은 상태로 조리하거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71556와 같이 조리대상물을 구이팬에 올려놓고 조리를 할 수 있으나 불꽃 또는 열기가 아래쪽에서 조리대상물에 직접 가열하는 직화방식으로 조리대상물의 겉면이 타기 쉽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석쇠 또는 조리대상물을 반대로 돌리는 작업을 해야 하는 사용의 불편한 점이 있으며, 조리대상물이 조리하는 동안에는 다른 일을 할 수 없는 문제점과 조리대상물의 겉면은 익거나 타더라도 내부가 잘 익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조리대상물이 완전 조리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조리대상물을 자르거나 내부를 확인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조리대상물이 두 가지 이상일 경우 한 가지를 먼저 조리한 후 사용해야하고, 다른 요리 등을 행할 시 석쇠 또는 구이판을 세척한 후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과 시간이 많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하나의 석쇠 또는 구이판에 구이와 찌개를 동시에 올려놓고 조리할 경우에는 냄비의 바닥 또는 겉면에 구이용 조리대상물이 접하기 때문에 비위생적으로 위생상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 조리기구의 문제점을 해소코자 창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직접가열방식을 탈피하여 간접가열방식으로 조리대상물이 타거나 눌어붙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구이와 찌개 또는 밥을 동시에 조리할 수 있도록 하며, 내부의 압력이 고압이더라도 폭발 염려가 없는 안전한 조리기구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며,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조리용기를 제공함에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서로 연접하여 결합 구성하고, 중앙에는 테두리를 형성하며, 일측에는 제어장치가 구성되며, 내부 측벽에는 제어장치로 구동되는 띠 형상의 히터를 구성한 몸체와; 상부에는 내부가 투시되고 상부 중앙에 손잡이가 형성된 투시창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몸체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에 결합되는 금속테를 하부에 구성한 뚜껑과; 상기 하부몸체의 하단에 형성된 내입턱이 내입 결합되고 물을 담을 수 있는 저장부를 형성하며, 중앙에는 가열된 열기와 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관을 구성하고, 상부에는 조리대상물이 안치되어 조리할 수 있도록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으로 적층 구성한 석쇠 또는 구이판을 구성한 물 받침과; 상부에 물 받침이 결합 구성되는 받침턱을 형성하고, 중앙에는 배출관에서 배출된 기체 및 증기의 이물질을 걸러 내는 필터를 구성하며, 하부에는 필터를 통해 걸려진 증기가 액체가 되어 저장되는 물저장통을 형성하고, 외주면에는 필터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한 개 이상의 배출공을 형성한 받침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히터의 외면에는 내열성이 우수한 탄소섬유로 제작된 단열재를 결합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리기구는 조리대상물이 놓여진 석쇠 또는 구이판을 직접가열하는 방식을 탈피하여 간접가열방식으로 내부 외주면에 히터를 설치하여 조리대상물이 타거나 눌어붙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리대상물이 내·외부 고르게 익힐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조리대상물이 익는 동안에 겉면이 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뒤집는 수고로움을 해소하였으며, 고온 고압으로 조리대상물을 조리하는 압력솥과 같은 효과를 제공함으로 조리시간을 단축함과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조리기구는 구이와 찌개 또는 밥을 동시에 할 수 있으므로 조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조리기구에 배출관을 형성하여 가열된 온도가 높아 조리기구의 내부에 고압이 형성되더라도 폭발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배출관의 하부에 필터를 형성하여 내부에 형성된 고온 고압을 걸러 내므로 수증기 또는 열기의 온도를 저하시켜 배출공을 통해 배출시킬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내부에서 발생되는 연기와 조리대상물의 냄새를 없애주므로 조리기구를 사용하고 있는 실내공기를 정화할 필요없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히터 외면에 탄소섬유로 제작된 단열재를 구성하여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부에 열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실수로 가열된 조리기구를 잡더라도 화상을 입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더불어 양분된 몸체의 중앙 테두리에 실리콘 재질의 단열커버를 구성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리기구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단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리기구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1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리대상물(A)을 조리할 수 있도록 가열수단인 히터(40)가 구비된 몸체(10)와 조리하는 동안에 외부로 열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몸체(1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뚜껑(20)과 상기 몸체(10)를 받쳐주며 지지하는 받침수단(30)으로 구성한다.
상기 몸체(10)는 상부몸체(11)와 하부몸체(12)로 나누어지고 서로 연접하여 결합 구성하며, 중앙에는 밖으로 돌출된 테두리(13)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히터(4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장치(14)가 구성되며, 내부에는 속이 빈 공간(15)을 형성하며, 내부 측벽에는 띠 형상의 히터(40)를 구성한다.
상기 히터(40)의 외면에는 히터(40)가 가열되어 열이 발생한 후 몸체(10) 외부로 열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몸체(10)가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몸체(10)를 잡을 시 화상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내식성이 크고, 열팽창이 작으며, 내열성이 뛰어난 탄소섬유로 제작된 단열재(16)를 결합 구성한다.
도 4와 같이 상기 테두리(13)에는 사용자가 실수로 조리기구(1)를 잡을거나 조리작업 중 신체에 접촉되어 화상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몸체(11)와 하부몸체(12)가 견고히 결합되며, 잦은 충격에도 상부몸체(11)와 하부몸체(12)가 이탈 및 분리가 되지 않고, 단열효과를 제공하는 단열커버(17)를 끼움 결합구성한다.
상기 단열커버(17)는 온도에 따라 변화하는 일이 적은 내열성과 산화되지 않는 내산화성, 물에 대한 발수성이나 내수성, 전기의 절연성 등이 우수한 실리콘으로 제작한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13)에 필요에 따라 이동의 편리함을 제공하고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미도시)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몸체(11)는 호형으로 외관을 형성하고, 상단에는 뚜껑이 결합되는 단 이진 걸림턱(11a)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몸체(12)는 호형으로 외관을 형성하며, 하단에는 물 받침(50)에 내입 결합되는 단 이진 내입턱(12a)을 형성한다.
상기 뚜껑(20)은 몸체(10) 내부에서 조리대상물(A)이 조리되는 동안 내부의 열과 증기 및 연기가 상측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하부에는 상부몸체(11)와 결합되는 금속테(21)를 구성하고, 상부에는 내부가 투시되어 조리대상물(A)을 관찰할 수 있는 투시창(22)을 형성한다.
상기 투시창(22)은 상부 중앙에 손으로 붙잡아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손잡이(23)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조리기구(1) 내부에서 조리되는 조리대상물(A)이 고루 익힐 수 있도록 내부의 기체가 대류 현상이 일어나도록 아래쪽으로 불룩하게 형성된 융기부(24)를 구성한다.
상기 물 받침(50)은 물을 담을 수 있도록 저장부(51)를 형성하며, 중앙에는 히터(40)로 가열된 열기와 증기 및 연기가 융기부(24)의 외벽을 타고 대류현상이 일어나 내부에서 순환되는 과정에서 고압과 고열이 발생되고 조리기구가 폭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부로 증기와 고열, 연기 및 냄새가 배출되는 상하로 관통되는 배출관(52)을 구성하고, 상부에는 조리대상물(A)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으로 적층 구성한 석쇠 또는 구이판(60)을 구성한다.
상기 제어장치(14)는 히터(40)를 켜고 끄는 전원스위치(14a)와 히터(40)의 가열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레버(14b) 및 히터(40)의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부(14c)로 구성되며, 일측에는 전원플러그(14d)를 구성한다.
상기 제어장치(14)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강 중 약으로 조절하는 스위치 또는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 예약기능 스위치 등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받침수단(30)은 상부에 물 받침(50)을 결합 구성할 수 있는 단 이진 받침턱(31)을 형성하고, 중앙에는 배출관(52)에서 배출된 액체나 기체 속의 이물질을 걸러 내는 필터(32)를 구성하며, 하부에는 필터(32)를 통해 걸려진 증기가 온도가 저하되어 액체가 된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물저장통(33)을 형성하며, 외주면에는 필터(32)을 통해 걸려진 기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수개의 배출공(34)을 형성하고, 일측에는 물저장통(33)에 저장된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밸브(35)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조리기구(1)는 몸체(10) 내부의 측벽에 구성된 히터(40)로 조리대상물(A)을 가열하는 간접가열방식으로 조리대상물(A)을 고루 익힐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을 사용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상기 조리기구(1)의 내부에 구성된 물 받침(50)의 상부에 석쇠 또는 구이판(60)을 올려놓고, 상기 물 받침(50)의 저장부(51)에 물을 투입하여 저장한다.
상기 저장부(51)에 물을 투입하는 이유는 조리대상물(A)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연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조리대상물(A)에서 떨어지는 수분과 기름을 냉각시키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석쇠 또는 구이판(60)의 상부에 조리대상물(A)을 올려놓고, 몸체(10)의 상부에 뚜껑(20)을 덮으면 조리준비는 완료되며, 조리기구(1)에 형성된 제어장치(14)의 전원플러그(14d)를 콘센트에 끼움 결합하여 조리기구(1)에 전원을 인가시키고, 전원스위치(14a)를 켜면 몸체(10) 내부의 측벽에 있는 히터(40)가 예열되어 조리기구(1)에 있는 조리대상물(A)을 조리할 수 있는 것이다.
조리기구(1)의 내부에서는 도 5와 같이 측면의 히터(40)가 가열되어 기체가 데워져 위로 상승하게 되고 뚜껑(20)의 융기부(24) 면에 따라 기체가 아래쪽으로 하강하게 되는 대류현상이 발생되므로 조리대상물(A)의 전체부위와 내부가 고루 익혀지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 조리기구는 직접가열방식으로 조리대상물(A)이 한쪽 부위만 가열되어 타거나 눌어붙으며, 한쪽 부위만 타고 익는 동안에 겉면이 타기 때문에 자주 뒤집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은 간접가열방식과 대류현상이 더불어 발생되므로 조리대상물(A)의 내·외부 고르게 익힐 수 있는 것이고, 조리대상물(A)이 익는 동안에 뒤집는 수고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조리기구(1)를 뚜껑(20)으로 밀폐시켜 빠른 시간 내에 고온 고압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조리 시간을 단축하고 조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전력소비량을 감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석쇠 또는 구이판(60)은 보통 한 개를 놓고 조리대상물(A)을 조리할 수 있으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여러 개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구이와 찌개 또는 밥을 동시에 할 수 있으므로 조리 시간을 단축함과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한다.
그리고 물 받침(50)의 중앙에 배출관(52)을 형성하여 고온 고압이 생성된 내부 기체를 배출할 수 있으므로 조리기구(1)가 폭발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내부에 생성된 연기와 냄새를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배출관(52)의 하부에 필터(32)를 형성하여 내부에 형성된 고온의 기체와 증기의 온도를 저하시키고, 이와 동시에 내부에서 발생되는 연기와 냄새를 없애주므로 조리기구(1)를 사용하고 있는 실내공기를 별도로 정화하는 작업을 할 필요없는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또한 히터(40) 외면에 단열재(16)를 구성하여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차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실수로 가열된 조리기구(1)를 잡더라도 화상을 입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더불어 양분된 몸체(10)의 테두리(13)에 실리콘 재질의 단열커버(17)를 구성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관하여 설명하고 있는바,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정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상의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관련되는 균등수단에 대해서는 그 보호범위가 미친다고 할 것이다.
1: 조리기구
10: 몸체 11: 상부몸체
11a: 걸림턱 12: 하부몸체
12a: 내입턱 13: 테두리
14: 제어장치 14a: 전원스위치
14b: 조절레버 14c: 표시부
14d: 전원플러그 15: 공간
16: 단열재 17: 단열커버
20: 뚜껑 21: 금속테
22: 투시창 23: 손잡이
24: 융기부
30: 받침수단 31: 받침턱
32: 필터 33: 물저장통
34: 배출공 35: 밸브
40: 히터
50: 물 받침 51: 저장부
52: 배출관
60: 석쇠 또는 구이판
A: 조리대상물
10: 몸체 11: 상부몸체
11a: 걸림턱 12: 하부몸체
12a: 내입턱 13: 테두리
14: 제어장치 14a: 전원스위치
14b: 조절레버 14c: 표시부
14d: 전원플러그 15: 공간
16: 단열재 17: 단열커버
20: 뚜껑 21: 금속테
22: 투시창 23: 손잡이
24: 융기부
30: 받침수단 31: 받침턱
32: 필터 33: 물저장통
34: 배출공 35: 밸브
40: 히터
50: 물 받침 51: 저장부
52: 배출관
60: 석쇠 또는 구이판
A: 조리대상물
Claims (5)
- 조리대상물(A)을 석쇠 또는 구이판(60)에 올려놓고 조리하는 통상적인 조리기구에 있어서,
상부몸체(11)와 하부몸체(12)를 서로 연접하여 결합 구성하고, 중앙에는 테두리(13)를 형성하며, 일측에는 제어장치(14)가 구성되며, 내부 측벽에는 제어장치로 구동되는 띠 형상의 히터(40)를 구성한 몸체(10)와;
상부에는 내부가 투시되고 상부 중앙에 손잡이(23)가 형성된 투시창(22)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몸체(11)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11a)에 결합되는 금속테(21)를 하부에 구성한 뚜껑(20)과;
상기 하부몸체(12)의 하단에 형성된 내입턱(12a)이 내입 결합되고 물을 담을 수 있는 저장부(51)를 형성하고, 중앙에는 가열된 열기와 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관(52)을 구성하며, 상부에는 조리대상물(A)이 안치되어 조리할 수 있도록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으로 적층 구성한 석쇠 또는 구이판(60)을 구성한 물 받침(50)과;
상부에 물 받침(50)이 결합 구성되는 받침턱(31)을 형성하고, 중앙에는 배출관(52)에서 배출된 기체 및 증기의 이물질을 걸러 내는 필터(32)를 구성하며, 하부에는 필터(32)를 통해 걸려진 증기가 액체가 되어 저장되는 물저장통(33)을 형성하고, 외주면에는 필터(32)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한 개 이상의 배출공(34)을 형성한 받침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터(40)의 외면에는 내열성이 우수한 탄소섬유로 제작된 단열재(16)를 결합 구성한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13)에는 단열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실리콘으로 제작된 단열커버(17)를 끼움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창(22)의 하부에는 조리대상물을 고루 익힐 수 있도록 내부의 기체가 대류현상이 일어나도록 아래쪽으로 불룩하게 형성된 융기부(24)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받침수단(30)의 일측에는 물저장통(33)에 저장된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밸브(35)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9165A KR101340648B1 (ko) | 2012-08-14 | 2012-08-14 | 조리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9165A KR101340648B1 (ko) | 2012-08-14 | 2012-08-14 | 조리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40648B1 true KR101340648B1 (ko) | 2013-12-12 |
Family
ID=49988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89165A KR101340648B1 (ko) | 2012-08-14 | 2012-08-14 | 조리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40648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91560B1 (ko) | 2017-05-04 | 2017-10-30 | (주)조이쿡 | 자연대류식 전기조리기 |
CN108402891A (zh) * | 2018-03-07 | 2018-08-17 | 尚科宁家(香港)股份有限公司 | 一种食物烹饪方法及其烹饪器具 |
KR20190006288A (ko) | 2017-07-10 | 2019-01-18 | 아바윈주식회사 | 면상 발열체를 이용한 조리 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13886B1 (ko) | 2001-08-07 | 2004-01-07 | 주식회사 모닝아트 | 다용도 전열 조리기 |
KR200433838Y1 (ko) | 2006-09-14 | 2006-12-20 | (주) 신신사 | 다기능 쿠커 |
KR100925979B1 (ko) | 2009-01-21 | 2009-11-10 | 임기복 | 구이기 |
-
2012
- 2012-08-14 KR KR1020120089165A patent/KR10134064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13886B1 (ko) | 2001-08-07 | 2004-01-07 | 주식회사 모닝아트 | 다용도 전열 조리기 |
KR200433838Y1 (ko) | 2006-09-14 | 2006-12-20 | (주) 신신사 | 다기능 쿠커 |
KR100925979B1 (ko) | 2009-01-21 | 2009-11-10 | 임기복 | 구이기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91560B1 (ko) | 2017-05-04 | 2017-10-30 | (주)조이쿡 | 자연대류식 전기조리기 |
KR20190006288A (ko) | 2017-07-10 | 2019-01-18 | 아바윈주식회사 | 면상 발열체를 이용한 조리 장치 |
CN108402891A (zh) * | 2018-03-07 | 2018-08-17 | 尚科宁家(香港)股份有限公司 | 一种食物烹饪方法及其烹饪器具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936837B1 (en) | Combined rotisserie oven, range and fryer | |
KR101340648B1 (ko) | 조리기구 | |
KR101311121B1 (ko) | 멀티 쿠커 | |
KR200467826Y1 (ko) | 프라이팬 커버 | |
KR100896318B1 (ko) | 다용도 조리기구 | |
KR20110021541A (ko) | 다용도 조리용기 | |
KR20160112425A (ko) | 인도어 및 아웃도어 겸용 스테이크 팬 | |
KR101315389B1 (ko) | 떡볶이 중탕 조리 겸용 어묵조리기 및 그것을 이용한 떡볶이와 어묵의 동시 조리방법 | |
KR101541482B1 (ko) | 다기능 압력 직화 조리기 | |
KR102236131B1 (ko) | 휴대용 바비큐 조리기구 | |
KR20110000512U (ko) | 직화형 후라이팬 | |
KR100655907B1 (ko) | 원적외선 전기조리기 | |
KR102142681B1 (ko) | 구이팬 | |
KR20110005564U (ko) | 직화를 이용한 찜 조리기구 | |
KR100690401B1 (ko) | 냄새제거기를 갖춘 조리장치 | |
KR101467530B1 (ko) | 비금속조리용기를 이용한 화상, 화재방지용 자동 라면조리기 | |
CN103565259A (zh) | 一种用于加热食用油的锅具 | |
KR100845765B1 (ko) | 다기능 직화 조리용기 | |
US20200297162A1 (en) | Apparatus for cooking food | |
JP5817325B2 (ja) | 調理器 | |
JP2011240063A (ja) | 調理容器およびその蓋 | |
WO2009066846A1 (en) | Multi-layer cooker | |
KR20170064679A (ko) | 분리형 복합 조리기구를 이용하는 로스팅 장치 | |
KR101953255B1 (ko) | 유동 가능한 다수 개의 구이판과 발열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 | |
KR20110029540A (ko) | 탄소섬유발열체를 이용한 다목적 가열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