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724Y1 - 다용도 요리기. - Google Patents

다용도 요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724Y1
KR200441724Y1 KR2020070000985U KR20070000985U KR200441724Y1 KR 200441724 Y1 KR200441724 Y1 KR 200441724Y1 KR 2020070000985 U KR2020070000985 U KR 2020070000985U KR 20070000985 U KR20070000985 U KR 20070000985U KR 200441724 Y1 KR200441724 Y1 KR 2004417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ain body
storage space
food
coo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09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2806U (ko
Inventor
김형수
김남석
Original Assignee
김형수
김남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수, 김남석 filed Critical 김형수
Priority to KR20200700009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724Y1/ko
Publication of KR200800028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8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7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7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9/00Heat-insulated warming chambers; Cupboards with heating arrangements for warming kitchen utens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C15/327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with air moistur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채반과 발효용기의 교체과정만으로 하나의 요리기로 찜기와 발효기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과, 또한 상기 채반과 발효용기를 수용하는 용기부재를 다단으로 적재시켜 보다 많은 양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는 다용도 요리기를 제공한다.
요리기, 찜기, 발효기, 용기부재, 다단, 적재

Description

다용도 요리기.{MULTIPURPOSE COOKER}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찜기로 사용되는 다용도 요리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입체도.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다용도 요리기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도 1의 찜기로 사용되는 다용도 요리기의 용기부재를 다단으로 적재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발효기로 사용되는 다용도 요리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발효기로 사용되는 다용도 요리기의 용기부재를 다단으로 적재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20: 용기부재
22: 외부용기 24: 내부용기
26: 저장공간 28: 증기통과구멍
32: 연결플랜지부 34: 통풍구멍
36: 채반
본 고안은 다용도 요리기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찜기와 발효기를 하나의 요리기에서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용기를 다단으로 적재시켜 보다 많은 양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요리기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찜기(찜용기)와 발효기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요리기구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상기 찜기는 바닥면에 형성된 다수의 증기구멍을 통해 고온의 증기를 용기내의 수용공간으로 유입시켜 상기 수용공간에 담겨져 있는 음식물이 증기가 가지는 열원으로 데워지거나 발효되도록 구성한 것이고, 상기 발효기는 증기가 아닌 열기 자체의 열원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발효시키도록 구성하는 데 차이점을 가진다.
즉, 이와 같이 찜기와 발효기는 증기와 열기를 사용하는 각각의 특성에 맞도록 제작됨에 따라 하나의 기기로 찜기와 발효기를 겸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종래 찜기와 발효기는 통상 하나의 용기를 이용한 단층구조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따라서 보온을 위한 장치가 없어, 외기의 온도가 낮을 때는 보온 또는 항온이 필요한 음식을 조리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나의 요리기로 찜기와 발효기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요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외부용기와 내부용기로 된 이중구조와 보온전용 뚜껑을 제공하여 음식물과 공기를 보온하여 음식물의 발효 또는 숙성 등을 했을 때 보온성을 크게 상승시킬 수 있는 다용도 요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찜기로 사용 할 때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안치되며 상기 본체에서 발생한 증기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용기부재로 구성한 요리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재는 상기 본체 위에 얹혀지는 외부용기, 상기 외부용기내에 위치하며 내부에는 음식물을 저장하는 저장공간을 가지고, 바닥면에는 상기 본체에서 발생한 증기를 저장공간으로 공급시키는 증기통과구멍이 형성된 내부용기와, 상기 내, 외부용기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에서 발생한 증기를 통과시키는 통로부와, 상기 내, 외부용기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플랜지부에 형성되며 상기 통로부를 통과한 증기를 상기 내부용기의 저장공간으로 공급시키는 다수개의 통풍구멍들 및 , 상기 내부용기의 바닥면에 얹혀지며 평판형태로 전면에는 다수개의 구멍들이 천공된 상태로 제작되어 음식물을 받쳐주는 채반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부재의 외부용기 상면에는 뚜껑으로 덮혀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부재는 동일한 구조로 하여 복수개를 다단으로 적재시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을 발효기로 사용 할 때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안치되며 상기 본체에서 발생한 열기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용기부재로 구성한 요리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재는 상기 본체 위에 얹혀지는 외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내에 위치하며 내부에는 음식물을 저장하는 저장공간을 가지고, 바닥면에는 상기 본체에서 발생한 증기를 저장공간으로 공급시키는 증기통과구멍이 형성된 내부용기와, 상기 내, 외부용기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에서 발생한 증기를 통과시키는 통로부와, 상기 내, 외부용기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플랜지부에 형성되며 상기 통로부를 통과한 증기를 상기 내부용기의 저장공간으로 공급시키는 다수개의 통풍구멍(34)들 및 상기 내부용기의 바닥면에 얹혀지며 내부에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통기구멍들이 형성된 발효용기와 발효용기위에 얹히는 보온용 내부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부재의 외부용기 상면에는 뚜껑으로 덮혀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찜기로 사용되는 다용도 요리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용도 요리기(100)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상에 얹혀지는 용기부재(2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증기를 발생시키는 수단으로서, 상단은 개구되고 내부에는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는 담수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담수공간(12)의 바닥에는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으로 발열하는 히터(14)가 장착된다.
상기 용기부재(20)는 본체(10)의 상면에 안치되며 상기 본체(10)에서 발생한 증기로 내부에 저장된 음식물을 조리하는 수단이다.
상기 용기부재(20)는 내, 외부용기(22, 24)로 외형을 이룬다.
상기 외부용기(22)는 본체(10)의 상면에 얹혀지는 용기로서, 상면과 하면을 개방시켜 구성하고, 또한 상단 둘레면을 따라 손잡이부(22a)를 연장 형성시켜 구성한다. 상기 손잡이부(22a)의 상면에는 단턱부(22b)가 구비되고, 상기 단턱부(22b)에는 후술하겠지만 상기 용기부재(20)위에 다른 용기부재를 적재할 때, 이 용기부재를 구성하는 다른 외부용기가 걸려지게 된다.
상기 내부용기(24)는 외부용기(22)내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는 용기로서, 내부에는 음식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26)이 형성되며, 상면은 개방시켜 구성한다. 이때 상기 내부용기(24)의 바닥판 중앙에는 본체(10)에서 발생한 증기를 상기 저장공간(26)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통과구멍(28)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부용기(24)의 바닥면에는 상기 통과구멍(28)의 주연부를 따라 잔물받이부(30)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잔물받이부(30)는 증기의 응고과정에서 생성된 물을 저장하게 된다.
상기 내부용기(24)의 상면 둘레에는 내, 외부용기(22, 24)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플랜지(32)가 연장 형성되고, 이 연결플랜지(32)에는 후술하는 통풍구멍(34)들 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개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내부용기(24)의 바닥면에는 통과구멍(28) 위로 채반(36)이 얹혀진다. 상기 채반(36)은 내부용기(24)의 저장공간(26)에 담겨지는 음식물을 받쳐주는 수단이다. 이때 상기 채반(36)은 망체형태로 전체면에 걸쳐 다수개의 구멍(36a)들이 천공된 상태로 제작하여 통과구멍(28)으로 유입된 증기가 상기 저장공간(26)으로 공급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내, 외부용기(22, 24)의 사이에는 일정간격만큼의 통로부(38)가 더 형성되며, 상기 통로부(38)는 본체(10)에서 발생한 증기를 상기 내, 외부용기(22, 24)사이로 통과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내, 외부용기(22, 24)를 연결하는 연결플랜지(32)에는 다수개의 통풍구멍(34)들이 관통 형성되며, 이 통풍구멍(34)들은 상기 통로부(38)를 통과한 증기를 전술한 내부용기(24)의 저장공간(26)으로 유입시키게 된다.
즉, 본체(10)에서 발생한 증기는 통과구멍(28)을 통해 내부용기(24) 아래쪽으로만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통풍구멍(34)을 통해 내부용기(24)의 위쪽으로도 공급되며, 따라서 내부용기의 저장공간(26)에 담겨진 음식물은 증기를 위와 아래에서 동시에 골고루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용기부재(20)를 구성하는 외부용기(22)의 상면에는 뚜껑(40)이 덮혀져, 본체(10)에서 발생한 증기의 외부유출을 차단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 예를 들어 내, 외부용기(22, 24), 증기통과구멍(28), 통로부(38), 통풍구멍(34)등으로 구성된 용기부재(2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구조로 하여 복수개를 수직으로 적재시켜 구성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용기부재(20)를 본체(10) 위에 설치하고 난 후, 다시 상기 용기부재(20)와 동일한 구조의 다른 용기부재(20)를 상기 용기부재(20) 위에 적재시켜 구성함으로서 복수개의 용기부재(20)가 가지는 각각의 저장공간(26)을 통해 보다 많은 양의 음식물을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용기부재(20)를 구성하는 외부용기(22)의 둘레면에는 단턱부(22b)를 가지는 손잡이부(22a)를 형성하여, 다단으로 적재시 위쪽의 외부용기(22)가 상기 단턱부(22b)에 걸려지도록 하여 사용과정에서 용기부재(20)들 간의 무너짐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복수개로 적재되는 용기부재(20)들 중 최상단에 위치하는 용기부재(20)의 상면은 뚜껑(40)으로 덮혀지도록 구성하여 증기의 외부유출을 차단토록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요리기의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동일한 구조로 제작된 복수개의 용기부재(20)들을 본체(10) 위에 수직으로 적재시킨 상태에서 각 용기부재(20)의 저장공간(26)으로 일정량의 음식물을 저장한다.
다음, 본체(10)로 전원을 인가하면 히터(14)의 동작으로 물이 가열되어 증기를 발생시키게 되며, 발생된 증기는 아래쪽의 용기부재(20)를 구성하는 내부용기(24)의 바닥면에 형성된 통과구멍(28)을 통해 내부용기(24)의 저장공간(26)으로 유입되어 지고, 또한 발생된 증기는 내, 외부용기(22, 24)의 사이에 형성된 통로 부(38)를 통과한 다음, 통풍구멍(34)들을 통해 상기 내부용기(24)의 저장공간(26)으로 동시로 유입된다.
상기한 구조를 통해 저장공간(26)으로는 증기가 상, 하로 골고루 유입되어 음식물과 직접적인 접촉을 일으키며 음식물 전체를 골고루 데워주게 된다.
한편, 아래쪽의 용기부재(20)로 유입된 증기는 이후,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위쪽에 적재되어 있는 다른 용기부재(20)의 저장공간으로 유입되어 져, 많은 양의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데워줄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 5는 본 고안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발효기로 사용되는 다용도 요리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용도 요리기(100)는 필요에 따라 발효기로도 사용할 수 있는 데,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다용도 요리기(100)를 발효기로 사용할 때에는 본체(10)와, 상기 본체위로 내,외부용기(22, 24) 그리고 통로부(38) 및 통풍구멍(34), 통과구멍(28)으로 구성한 용기부재(20)를 사용하되, 상기 용기부재(20)의 내부용기(24) 바닥면에 얹혀져 있는 채반(36)을 분리한 상태에서 보온 보습을 위한 발효뚜껑(54)으로 덮혀지며 내부에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저장공간(52)이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통기구멍(50a)들이 형성된 발효용기(50)를 대체하여 상기 내부용기(24) 바닥면에 얹어 사용토록 한다. 또한, 발효기는 증기가 아닌 열기를 사용하는 특성상, 본체(10)의 담수공간(12)에 물을 채워 넣지 않고, 상기 담수공간(12)에 설치된 히터(14) 자체에서 발생한 열기를 사용토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다용도 요리기(100)를 사용할 때에는 음식물을 상기 발효용기(50)내에 저장된 상태에서 보온 보습을 위한 발효뚜껑(54)으로 덮은 다음, 본체(10)로 전원을 인가하여 열기를 발생시키게 되면 열기는 내부용기(24) 바닥의 통과구멍(28)을 통과한 다음, 발효용기(50)의 통기구멍(50a)을 통해 발효용기(50)내의 저장공간(52)으로 공급되어 음식물을 발효시키게 된다.
또한 본체(10)에서 발생한 열기는 통과구멍(28)을 통해 내부용기(24) 아래쪽으로만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내, 외부용기(22, 24) 사이의 통로부(38) 및 통풍구멍(34)을 통해 내부용기(24) 위쪽으로도 공급되어 지며, 공급된 열기는 외기와 음식물을 차단하여 보온의 역할을 하며 발효뚜껑에도 일부의 열을 전달하게 되며, 이때 발효용기(20)에 담겨진 음식물은 열기를 위와 아래에서 동시에 골고루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용기부재(20)를 구성하는 외부용기(22) 상면에는 뚜껑(40)을 덮어 열기의 외부유출을 차단토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외부용기(22)에 덮혀지는 뚜껑(40)과 발효용기(50)에 덮혀지는 발효뚜껑(54)의 사이에는 보온공간(60)이 형성되며, 상기 보온공간(60)으로는 본체(50)에서 발생한 열기가 채워지며 용기부재(20)의 보온효과를 높혀주게 된다.
삭제
삭제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채반과 발효용기를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서 하나의 요리기에 의해서 찜기와 발효기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은 외부용기와 내부용기의 이중구조와 보온전용 뚜껑을 제공하여 음식물과 공기를 보온하여 음식물의 발효 또는 숙성 등을 했을 때 보온성을 같도록 한 다용도 요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Claims (5)

  1.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안치되며 상기 본체에서 발생한 열기 또는 증기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용기부재로 구성한 요리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재는;
    상기 본체 위에 얹혀지는 외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내에 위치하며 내부에는 음식물을 저장하는 저장공간을 가지고, 바닥면에는 상기 본체에서 발생한 열기 또는 증기를 저장공간으로 공급시키는 증기통과구멍이 형성된 내부용기와;
    상기 내, 외부용기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에서 발생한 열기 또는 증기를 통과시키는 통로부와;
    상기 내, 외부용기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플랜지부에 형성되며 상기 통로부를 통과한 열기 또는 증기를 상기 내부용기의 저장공간으로 공급시키는 다수개의 통풍구멍들 및 ;
    상기 통풍구멍이 형성된 안쪽면에 요리의 종류와 형태에 따라 얹히도록 되어 있는 보온 보습용 발효뚜껑과;
    상기 내부용기의 바닥면에 얹혀지며 평판형태로 전면에는 다수개의 구멍들이 천공된 상태로 제작되어 음식물을 받쳐주는 채반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부재의 외부용기 상면에는 뚜껑으로 덮혀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요리기.
  2. 삭제
  3.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안치되며 상기 본체에서 발생한 열기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용기부재로 구성한 요리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재는;
    상기 본체 위에 얹혀지는 외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내에 위치하며 내부에는 음식물을 저장하는 저장공간을 가지고, 바닥면에는 상기 본체에서 발생한 증기를 저장공간으로 공급시키는 증기통과구멍이 형성된 내부용기와;
    상기 내, 외부용기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에서 발생한 증기를 통과시키는 통로부와;
    상기 내, 외부용기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플랜지부에 형성되며 상기 통로부를 통과한 증기를 상기 내부용기의 저장공간으로 공급시키는 다수개의 통풍구멍(34)들 및 ;
    상기 통풍구멍이 형성된 안쪽면에 요리의 종류와 형태에 따라 얹히도록 되어 있는 보온 보습용 발효뚜껑과;
    상기 내부용기의 바닥면에 얹혀지며 내부에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통기구멍들이 형성된 발효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부재의 외부용기 상면에는 뚜껑으로 덮혀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요리기.
  4. 삭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용기를 덮고 있는 발효뚜껑(54)과 상기 용기부재에 덮고 있는 뚜껑(40) 사이에는 보온공간(6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요리기.
KR2020070000985U 2007-01-19 2007-01-19 다용도 요리기. KR2004417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985U KR200441724Y1 (ko) 2007-01-19 2007-01-19 다용도 요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985U KR200441724Y1 (ko) 2007-01-19 2007-01-19 다용도 요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806U KR20080002806U (ko) 2008-07-23
KR200441724Y1 true KR200441724Y1 (ko) 2008-09-03

Family

ID=41490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0985U KR200441724Y1 (ko) 2007-01-19 2007-01-19 다용도 요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72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119B1 (ko) * 2011-10-25 2012-03-21 우창근 다용도 찜통
KR101523557B1 (ko) * 2013-12-19 2015-05-28 이병희 볶음 겸용 요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806U (ko) 200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1491B2 (en) Food cooking basket and corresponding cooking system
TW201114392A (en) Combination multiple vessel cookware
KR200441724Y1 (ko) 다용도 요리기.
KR101311121B1 (ko) 멀티 쿠커
EP2936001A1 (en) An oven comprising a cooking pot
CN101270887A (zh) 蒸煮式微波炉
US6668707B2 (en) Fuel-efficient steam cooking device
KR101831559B1 (ko) 조리장치
KR200448360Y1 (ko) 부분 보온용 접시
CN111713958A (zh) 防串味电热蒸汽炊具
KR101066907B1 (ko) 보온 기능을 구비한 배식대
CN203290713U (zh) 电蒸锅
CN215190898U (zh) 一种蒸锅
NO763827L (ko)
KR200487295Y1 (ko) 요리용 찜기
KR20110000512U (ko) 직화형 후라이팬
JP3149809U (ja) 電気炊飯器用内蓋
KR101072987B1 (ko) 고온증기 순환 찜용기
KR101728660B1 (ko) 전자렌지용 취사 용기
KR101605253B1 (ko) 뚝배기
CN214017117U (zh) 一种高效蒸蛋装置
CN221060370U (zh) 电蒸锅
CN217645028U (zh) 一种电蒸锅的蒸盘
KR200299164Y1 (ko) 찜 요리를 위한 조리기구
CN212280973U (zh) 一种炖蒸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