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7840Y1 - 조리 기구 - Google Patents

조리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7840Y1
KR200287840Y1 KR2020020016078U KR20020016078U KR200287840Y1 KR 200287840 Y1 KR200287840 Y1 KR 200287840Y1 KR 2020020016078 U KR2020020016078 U KR 2020020016078U KR 20020016078 U KR20020016078 U KR 20020016078U KR 200287840 Y1 KR200287840 Y1 KR 2002878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chamber
housing
lid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60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순
Original Assignee
이재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순 filed Critical 이재순
Priority to KR20200200160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78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78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7840Y1/ko

Links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압, 고온의 증기를 이용하여 한번에 많은 양의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방이 개구된 통체 형상으로 내부에는 가열실, 증발실, 조리실이 바닥면으로부터 차례로 형성되어 있으며, 조리실에는 중앙의 배출실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다층으로 지지가이드가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과 ; 상기 하우징의 상방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뚜껑 및 상기 하우징의 조리실에 설치된 지지가이드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지가이드를 따라 미끌려 이동하며, 그 상부면에 조리용기가 놓여지는 용기지지판으로 이루어진 조리 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리 기구{cooking apparatus}
본 고안은 조리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닭백숙이나 삼계탕 등과 같이 하나의 용기내에서 끓여지되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음식물을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 기구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식생활은 주로 국이나 탕종류가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백숙이나 삼계탕 등을 많이 먹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음식은 그 내용물에 육류를 포함하고 있음으로 충분히 익혀주어야 육류로부터 맛이 우러나와 고유의 맛을 느낄 수가 있으며 이렇게 조리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모 되었다.
또한 이와 같은 조리법은 많은 양의 물을 장시간 끓여야 함으로 용기가 커야하고 한번에 많은 양을 조리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이러한 음식물을 제공하는 음식점 등에서는 각각의 용기에 재료를 넣고 끓여야 하는데 각각의 용기를 가열하여 조리를 해야함으로 많은 열기구가 요구되고 이에 따라 설비비가 너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한번에 많은 양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되 짧은 시간에 조리할 수 있는 조리 기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특히, 백숙이나 삼계탕과 같은 종류의 음식물은 고온, 고압의 상태에서 많은 양을 짧은 시간에 조리할 수 있는 조리 기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 기구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 A-A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 기구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 는 도 3 B-B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 기구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0, 10' : 하우징 20, 20' : 뚜껑
21, 21' : 뚜껑손잡이 22, 22' : 힌지
23, 23' : 잠금장치 24, 24' : 증기배출공
30, 30' : 지지가이드 40, 40' : 용기지지판
41, 41' : 관통공 42, 42' : 판체손잡이
50, 50' : 패킹 60, 60' : 증기배출공마개
100, 100' : 가열실 200, 200' : 증발실
300, 300' : 조리실 400 : 배출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상방이 개구된 통체 형상으로 내부에는 가열실, 증발실, 조리실이 바닥면으로부터 차례로 형성되어 있으며, 조리실 양측벽에는 각각 다층으로 지지가이드가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과 ; 상기 하우징의 상방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뚜껑 및 상기 하우징의 조리실에 설치된 지지가이드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상부면에 조리용기가 놓여지는 용기지지판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조리실을 양측벽에 각각 형성하고 조리실들 사이에는 배출실을 더 설치하며, 상기 용기지지판을 조리실로부터 배출실로 슬라이딩시키고 배출실 상부의 개구부로 출입되게 설치함에 의해 이루어진다.
더욱이 본 고안은 상기 뚜껑에는 하나 이상의 증기배출공을 형성하고, 상부면의 전면을 향한 단부에는 내열성 뚜껑손잡이를 더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방으로 개구된 단부에는 내열성 패킹을 더 설치하며, 상기 슬아이딩판의 전단부에는 판체손잡이를 형성하고, 판면을 관통하여 다수의 관통공을 형성함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조리 기구의 전면에는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고안에 의해 뚜껑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뚜껑을 잠그는 잠금장치를 더 설치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조리 기구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 기구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A-A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 기구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 는 도 3 B-B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 기구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구는 크게 하우징(10)과 뚜껑(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가열실(100), 증발실(200), 조리실(30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열실(100), 증발실(200) 및 조리실(300)은 바닥면으로붙 수차적으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가열실(100)에는 열을 발생시키는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열 발생 수단으로는 전기의 공급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코일이 바람직하고, 코일로부터 발생된 열을 가열실(100) 상부에 구성된 증발실(200)에 고르게 전달하기 위한 열전도체로 코일을 매설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발실(200)은 가열실(100)로부터 공급된 열로 그 내부의 용수를 증발시켜 고온의 증기를 발생시키는 공간으로서 일측벽에는 조리후 남아있는 용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구(20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증발실(200)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로부터 다층으로 지지가이드(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가이드(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내부 중간에 설치된 지지판(11)의 양측과 하우징(10)의 내벽에 서로 같은 높이에 대향되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가이드(30)의 층수는 하우징(10) 내부 공간의 크기에 따라 달라 질수 있으나,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을 너무 크게 하면 증발실(200)에서 발생된 고온의 증기의 영향이 고르게 미칠 수 없음으로 3내지 5층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 본 고안의 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지지가이드(30)들은 그 하부에 설치된 지지가이드(30)들 보다 상방에 설치된 지지가이드(30)들 사이의 폭을 넓게 설치할 수 있다. 즉, 이렇게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향하며 점차 지지가이드(30)들 사이의 폭을 넓게 설치함으로서 각 층에 설치되는 용기지지판(40)의 폭이 하방으로 향할 수록 좁아지고 이에 따라 용기지지판(40)을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층으로 적층하고 상방의 개구부로 출입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용기지지판(40)은 그 상부면에 조리용 용기가 놓여지는 판체로서 판면을 관통하여 다수의 관통공(41)을 형성함으로서 조리실(300)의 하부에 형성된 증발실(200)로부터 발생된 고온의 증기의 열이 조리 용기에 충분하게 미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상기 용기지지판(40)의 양단부에는 판체손잡이(42)를 형성하여 조리실(300)의 내부에 설치된 용기지지판(40)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게 하였다.
상기 하우징(10)의 상방에 개구된 부분에는 뚜껑(20)이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뚜껑(20)과 대면되는 하우징(10)의 상단 부분에는 조리시 하우징(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고압의 증기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50)이 설치되어 있으며, 뚜껑(20)과 하우징(10)의 배면의 인접부를 힌지(22)고정시켜 뚜껑을 개폐가능하게 설치하였으며, 뚜껑(20)과 하우징(10)의 전면에는 잠금장치(23)를 설치하여 조리시 하우징(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고압의 증기에 의해 뚜껑이 열리는 것을 방지하였다.
또한 뚜껑(20)의 일측에는 조리 후 하우징(10)의 내부에 형성된 고압의 증기를 배출시킬 수 있는 증기배출공(24)을 더 형성하고 증기배출공마개(60)를 설치하였다.
상기 증발실(200)과 조리실(300)은 서로 연통된 상태를 이루게 형성됨으로서 증발실(200)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증기가 조리실(300)에 까지 전달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상기 조리실(300)는 도 3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의 중안에 형성된 비어 있는 배출실(400)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서 양측에 구성된 조리실(300')의 내부에 설치된 용기지지판(40')을 중앙의 배출실(400)으로 슬라이딩시켜 배출실(400)의 상방으로 출입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 배출실(400)을 구성할 경우에는 상기 지지가이드(30')에 용기지지판(40')이 미끌릴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조리 기구의 사용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잠금장치(23)를 해제시키고 뚜껑(20)을 개방하며, 뚜껑(20)에 형성된 증기배출공(24)에 증기배출공마개(60)을 설치하고, 증발실(200)의 일측에 형성된 배수공(201)에 마개를 설치한 후 용수를 공급한다.
용기지지판(40)을 설치하는 방법은 조리실(300)의 구조와 배출실(400)의 유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먼저 배출실(400)이 구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가이드(30) 사이의 폭이 가장 좁은 최하단의 지지가이드(30) 위에 조리 용기가 올려진 용기지지판(40)을 상방의 개구로부터 삽입하여 안착시킨 후, 다음의 용기지지판(40)을 설치하는 순서로 차례로 적층시킨다.
또한, 배출실(400)이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리실(300')로부터 배출실(400')측으로 인출시키고 조리가 준비된 조리 용기를 용기지지판(40')위에 올린후 다시 조리실(300')의 내부로 밀어 넣는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각각의 용기지지판(40)에 조리 용기를 올린 후 뚜껑(20)을 닫고 잠금장치(23)를 잠근다.
전원을 공급하여 가열실(100)을 가열시키고 증발실(200)에서 발생된 고온의 증기에 의해 음식물이 가열되어 조리가 완성되면,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증기배출공마개(60)를 제거하여 하우징(10)내의 증기를 배출시킨 후 잠금장치(23)를 해제하고 뚜껑(20)을 개방한다.
용기지지판(40)을 조리실(300)로부터 인출시키고 조리 용기를 꺼낸다.
조리를 마친 후 증발실(200)의 일측에 형성된 배수공(201)을 개방하여 용수를 배출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봉 고안의 조리 기구는 다층으로 이루어진 조리실에서조리 용기에 담긴 음식물을 조리함으로서 한번에 많은 양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고, 고온 고압의 상태에서 조리를 할 수 있게 함으로서 짧은 시간에 조리를 할 수 있다.

Claims (6)

  1. 상방이 개구된 통체 형상으로 내부에는 가열실, 증발실, 조리실이 바닥면으로부터 차례로 형성되어 있으며, 조리실 양측벽에 각각 다층으로 지지가이드가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과 ;
    상기 하우징의 상방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뚜껑 및
    상기 하우징의 조리실에 설치된 지지가이드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상부면에 조리용기가 놓여지는 용기지지판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은 양측벽에 각각 형성되고 조리실들 사이에는 배출실이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지지판은 조리실로부터 배출실로 슬라이딩되어 배출실 상부의 개구부로 출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는 하나 이상의 증기배출공이 형성되고, 상부면의 전면을 향한 단부에는 내열성 뚜껑손잡이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방으로 개구된 단부에는 내열성 패킹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지지판의 전단면에는 판체손잡이가 더 형성되어 있고, 판면을 관통하여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기구에는 전면에는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고안에 의해 뚜껑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뚜껑을 잠그는 잠금장치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KR2020020016078U 2002-05-27 2002-05-27 조리 기구 KR2002878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078U KR200287840Y1 (ko) 2002-05-27 2002-05-27 조리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078U KR200287840Y1 (ko) 2002-05-27 2002-05-27 조리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7840Y1 true KR200287840Y1 (ko) 2002-09-09

Family

ID=73123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078U KR200287840Y1 (ko) 2002-05-27 2002-05-27 조리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784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347B1 (ko) * 2006-12-12 2009-01-08 황주환 조리장치
KR200451873Y1 (ko) * 2010-07-16 2011-01-14 이근용 고기구이 겸용 황토가마 조리기
KR101152903B1 (ko) 2009-02-13 2012-06-05 문인술 만두 찜용 항아리
KR101238436B1 (ko) 2011-02-01 2013-02-28 문인술 돌솥 밥 임시저장항아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347B1 (ko) * 2006-12-12 2009-01-08 황주환 조리장치
KR101152903B1 (ko) 2009-02-13 2012-06-05 문인술 만두 찜용 항아리
KR200451873Y1 (ko) * 2010-07-16 2011-01-14 이근용 고기구이 겸용 황토가마 조리기
KR101238436B1 (ko) 2011-02-01 2013-02-28 문인술 돌솥 밥 임시저장항아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50915B1 (en) Microwave moisture lock cover
EP2683280B1 (en) Barbeque apparatus
EP1419721A1 (en) Cooking vessel used with microwave ovens
US6516709B1 (en) Apparatus for steaming food
JP2011021839A (ja) 過熱蒸気を用いた加熱調理機および加熱調理方法
JP2004205201A (ja) 電子レンジ
KR200287840Y1 (ko) 조리 기구
JP2009034337A (ja) 誘導加熱調理容器、及び調理セット
JPH06304067A (ja) 蒸気式調理法及び調理器
KR20110113082A (ko) 수육용기
BR102019007157A2 (pt) dispositivo e método para aquecimento por micro-ondas com inversão
EP3282195B1 (en) Food cooking system
KR100812295B1 (ko) 조리장치
US11272803B2 (en) Steam cooking apparatus with invertible insert basket and method of steam cooking using same
KR102227717B1 (ko) 나열식 테이블 스팀찜기
US10765250B1 (en) Steam cooking apparatuses with invertible steaming insert baskets and controlled venting lids
KR20100033463A (ko)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KR200336747Y1 (ko) 알요리가 가능한 전자렌지용 조리용기
KR200487295Y1 (ko) 요리용 찜기
KR20110000512U (ko) 직화형 후라이팬
KR101019413B1 (ko) 다단으로 구획된 인입출이 가능한 안착수단이 구비된 증기압을 이용한 조리장치
KR200422311Y1 (ko) 조리장치 및 이를 위한 가열장치
JP3579400B2 (ja) 冷凍食品の調理方法及び冷凍調理済み食品用解凍機
KR200238469Y1 (ko) 찜통기
KR100471364B1 (ko) 찜 요리를 위한 조리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