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9413B1 - 다단으로 구획된 인입출이 가능한 안착수단이 구비된 증기압을 이용한 조리장치 - Google Patents

다단으로 구획된 인입출이 가능한 안착수단이 구비된 증기압을 이용한 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9413B1
KR101019413B1 KR1020100076449A KR20100076449A KR101019413B1 KR 101019413 B1 KR101019413 B1 KR 101019413B1 KR 1020100076449 A KR1020100076449 A KR 1020100076449A KR 20100076449 A KR20100076449 A KR 20100076449A KR 101019413 B1 KR101019413 B1 KR 101019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water
steam
sea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향례
Original Assignee
박향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향례 filed Critical 박향례
Priority to KR1020100076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94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9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9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2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inserts for cooking different foods separately at the same time; Inser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괄적으로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말하면 다수개의 조리용기에 조리코자 하는 다양한 형태의 음식등을 동시에 조리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가열기나 화구의 수시 조절할 필요없이 한번의 셋팅으로 조리 가능하도록 하여 조리의 간편성, 신속성 및 작업자의 편리성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도록 한 다단으로 구획된 인입출이 가능한 안착수단이 구비된 증기압을 이용한 조리장치에 관한 것본 발명은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상부면 후방부에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전원, 조리시간, 조리음식종류선택, 종료알람을 포함하는 컨트롤 버튼이 구비된 컨트롤패널부(110)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면 하부에는 물공급밸브(120)가 타측면 하부에는 드레인밸브(130)가 구비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다수개 형성된 상태로서 하부 측면에는 증기가 유입 가능하도록 증기유입홀(141)이 형성되어 있는 수납홈(14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홈(140)의 하단 내부에는 상기 수납홈(140)과 같은 갯수의 홀(151)이 천공된 플레이트(150)가 구비된 하우징(100)과,
상기 수납홈(140)의 최전방에는 밀착 진공상태로 체결되면서 상면에 증기인출홀(210)이 천공되어 있는 뚜껑(200)과,
상기 수납홈(140)내로 인입출이 가능하면서 조리용기를 다단으로 안착가능한 안착부(310)가 다수개 구비되어 있는 안착수단부(300)와,
상기 플레이트(150)에 구비된 홀(151)에는 상기 물공급밸브(120)와 연결된 배관이 커넥터(410)에 의해 바닥면과 연결되어 있으며 전기단자(E)와 연결된 히터(421)가 관(420)에 의해 감싼 형태로 바닥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일측면에는 유입되는 물을 체크하여 자동으로 수위를 조절 및 배출하는 높이를 달리하는 복수개의 센서(S)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면에는 상기 증기유입홀(141)과 배관에 의해 연통 가능하도록 증기배출홀(510)이 천공되어 있는 물수납부(400)와,
상기 물수납부(400)에 진공상태로 밀착 체결되는 것으로서 상면에는 압력게이지(P)가 구비되어 있는 물수납뚜껑(500)으로 이루어진 것"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다단으로 구획된 인입출이 가능한 안착수단이 구비된 증기압을 이용한 조리장치{Steam Cooking Apparatus to having Multistage safety means}
본 발명은 포괄적으로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말하면 다수개의 조리용기에 조리코자 하는 다양한 형태의 음식등을 동시에 조리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가열기나 화구의 수시 조절할 필요없이 한번의 셋팅으로 조리 가능하도록 하여 조리의 간편성, 신속성 및 작업자의 편리성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도록 한 다단으로 구획된 인입출이 가능한 안착수단이 구비된 증기압을 이용한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조리장치는 열원은 하부에 위치하고 열원의 상부에 조리부가 위치하는 형태가 주종을 이루어, 가열원으로서는 전기식 히터 또는 가스나 석유 등의 연료를 연소시키는 각종 히터를 사용하고 조리부로서는 솥, 냄비, 팬, 석쇠 등을 사용하게 되며 열원과 조리부가 분리되어 있는 형태가 많이 사용되고 그 이외에도 전기밥솥, 전기쿠커, 전기팬 등 열원이 조리부 하부에 위치한 상태로서 일체로 이루어지는 형태가 활용되고 있다.
종래의 이들 조리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원하는 형태로 취사하기 위하여는 그 원하는 수효만큼 별도의 조리장치와 이러한 조리장치를 가열하기 위한 화구나 가열기를 갖춘 가열장치가 필요하며 이에 따라 각각의 조리장치를 사용하여 종류마다 각각 취사를 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식당과 같은 업소에서는 수요자가 원하는 밥, 예를 들면 잡곡밥, 보리밥, 콩밥, 밤밥, 각종 재료를 혼합한 영양밥, 등 개인별로 취사를 행하는 경우 소용량의 밥솥이나 돌솥 등을 각각 갖추고 각각 취사를 행하여야 하므로 가열원의 역할을 하는 가스레인지의 화구도 이에 상응되게 많은 수의 화구를 동시에 갖추고 있어야만 하고, 이에 따라 과도한 시설비와 이를 유지 관리하기 위한 작업인력이 요구되어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물론, 위와 같은 문제점을 일부 해소하기 위하여 밥솥의 내부를 구획하여 동시에 여러 종류의 밥을 취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제시되어 있으나, 이 경우에는 대부분이 밥솥 자체에 여러 구획부를 구성한 형태가 주종을 이루고 있어, 이들각각의 나뉘어진 구획부에 필요로 하는 종류의 취사용 재료를 채워 놓고 한꺼번에 동시에 취사를 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음식의 취사가 이루어진 후에는 각각의 취사가 이루어진 음식을 외부로 각각 독립적으로 꺼내기가 어렵고 특히 조리가 이루어진 직후인 뜨거운 상태에서는 별도로 취급하기가 더욱 어려우며, 조리가 이루어진 후에 다시 취사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준비단계로서 이를 세척하고자 하는 경우 이들 각각의 구획부가 좁고 깊게 구성되어 있어 구석구석 세척하기가 번거로워 사용상 대단히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가열장치의 경우에는 대부분이 가스레인지나 인덕션 등의 전기식 가열기구의 경우에 거치대 상부에 직접 조리하고자 하는 조리장치를 올려놓고 이를 직접 가열시켜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이 이루어져 있어, 가열시에 열기가 조리장치의 저면 및 외부에 다다르게 되지만 그 이외의 부분이 개방되어 있는 관계로 외부로 손실되는 손실량이 많아 열효율이 떨어지고 조리장치의 높이가 커지면 커질수록 무게 중심이 상부로 올라가게 되어 예측하지 못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넘어지거나 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특허출원 제2006-0038552호 발명의 명칭 "조리장치"의 구성적 특징으로 살펴보면,
청구항 1
상부뚜껑(1)과 하부본체(2)를 분리 결합하여 사용하고 하부본체(2)의 내부에서 취사를 행할 수 있게 구성되는 통상의 조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본체(2)의 내부공간(20)에 넣거나 인출하기 편리하게 내장시킬 수 있도록 카트리지부재(3)를 구성하고, 상기 카트리지부재(3)는 다단으로 구획된 구획판(30)를 갖도록 구성하고 상기 카트리지부재(3)의 구획판(30)엔 유니트조리기구(4)를 각각 얹어 놓은 상태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본체(2)는 하향으로 길게 연장하여 내부공간(20)도 이와 상응되게 연장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청구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부재(3)는 여러 구획판(30)을 선반 형태로 구성하고 하부에는 다리부가 위치하게 되며, 상기 각각의 구획판(30)의 일측엔 요부(34)를 구성하고, 상부에는 손잡이(36)를 마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카트리지부재(3)의 여러 구획판(30)은 수평부(30a)와 경사요부(30b)가 교번되게 방사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청구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조리기구(4)는 여러 구획부(40)를 갖춘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유니트조리기구(4)는 중앙 하부엔 중앙돌부(42)를 구성하고 상기 카트리지부재(3)의 여러 구획판(30)에도 상기 중앙돌부(42)가 안착될 수 있도록 중앙돌부(32)를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청구항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조리기구(4)는 여러 개로 분리된 형태로 구성하여 서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청구항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조리기구(4)에는 개폐가 가능한 별도의 뚜껑(44)을 마련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를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선행자료는 단순히 구획판이 다단으로 이루어진 카트리지부재와 이와 같은 카트리지부재에 적용되는 유니트조리기구의 구체적이고 한정적인 구성만을 그 권리로 하고 있는 바, 상기 구획판의 다단 형성은 이미 특허출원 제2004-2907호 발명의 명칭 "절첩식 지주를 갖는 찜기용 찜물받침"에서 공지된 것으로서 상기 선행자료인 특허출원 제2006-0038552호는 다단으로 이루어진 카드리지부재와 유니트조리기구가 결합된 특허이며 가열장치는 구체적으로 언급이 없는 문제점이 있고 하부본체의 내부공간에 물을 수납하여 상기 물을 가열하여 그 열로 다단에 구비된 유니트조리기구에 수납된 음식물을 조리하는 것이나 최하단에 구비된 물을 가열하여 다단에 구비된 음식물을 조리함에 따른 가열량의 균일성에 문제점이 있어 균일한 음식물의 조리에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개의 조리용기를 다단으로 안착가능하도록 한 안착수단부를 하우징의 측방에 다수개 설치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고 별도의 물수납부를 상기 각각의 안착수단부의 하측에 구비하면서 상기 물수납부에 수납된 물을 가열함에 따라 발생되는 증기를 배관을 통해 상기 안착수단부에 공급하여 안착수단부에 안착된 조리용기에 수납된 음식물을 골고루 균일하게 조리토록 하고 상기 증기로 부터 발생되는 물은 별도의 배관을 통해 하우징 외부로 드레인 가능하도록 한 다단으로 구획된 인입출이 가능한 안착수단이 구비된 증기압을 이용한 조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상부면 후방부에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전원, 조리시간, 조리음식종류선택, 종료알람을 포함하는 컨트롤 버튼이 구비된 컨트롤패널부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면 하부에는 물공급밸브가 타측면 하부에는 드레인밸브가 구비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다수개 형성된 상태로서 하부 측면에는 증기가 유입 가능하도록 증기유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수납홈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홈의 하단 내부에는 상기 수납홈과 같은 갯수의 홀이 천공된 플레이트가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수납홈의 최전방에는 밀착 진공상태로 체결되면서 상면에 증기인출홀이 천공되어 있는 뚜껑과, 상기 수납홈내로 인입출이 가능하면서 조리용기를 다단으로 안착가능한 안착부가 다수개 구비되어 있는 안착수단부와, 상기 플레이트에 구비된 홀에는 상기 물공급밸브와 연결된 배관이 커넥터에 의해 바닥면과 연결되어 있으며 전기단자와 연결된 히터가 관에 의해 감싼 형태로 바닥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일측면에는 유입되는 물을 체크하여 자동으로 수위를 조절 및 배출하는 높이를 달리하는 복수개의 센서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면에는 상기 증기유입홀과 배관에 의해 연통 가능하도록 증기배출홀이 천공되어 있는 물수납부와, 상기 물수납부에 진공상태로 밀착 체결되는 것으로서 상면에는 압력게이지가 구비되어 있는 물수납뚜껑으로 이루어진 것과,
상기 안착수납부는 가로방향으로 다수개의 구획판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구획판의 일측 끝단에는 마감판이 상기 마감판 상면에는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구획판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복수개의 칸막이봉이 상기 구획판을 관통하면서 다수개 형성됨으로서 상기 안착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 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다수개의 조리용기에 원하는 형태의 조리용 재료를 각각 넣고 조리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원하는 수효나 종류, 량에 따라 다양하고도 맛이 좋은 취사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밥, 국, 찌개 등의 다양한 형태의 조리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인력을 많이 요하지 않고 효과적이면서 경제적인 조리가 가능하며, 특히 조리시 열원인 히터에 의해 가열된 증기를 균일하게 분사토록 함으로서 다단으로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균일한 조리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진공상태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외부로 손실되는 열을 최소화하게 하여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다단으로 구획된 인입출이 가능한 안착수단이 구비된 증기압을 이용한 조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다단으로 구획된 인입출이 가능한 안착수단이 구비된 증기압을 이용한 조리장치에 있어서 하우징의 수납홈과 상기 수납홈에 인입출되는 안착수단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다단으로 구획된 인입출이 가능한 안착수단이 구비된 증기압을 이용한 조리장치에 있어서 물수납부의 분리 및 일부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다단으로 구획된 인입출이 가능한 안착수단이 구비된 증기압을 이용한 조리장치에 있어서 플레이트와 물수납부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다단으로 구획된 인입출이 가능한 안착수단이 구비된 증기압을 이용한 조리장치에 있어서 수납홈과 물수납부가 배관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다단으로 구획된 인입출이 가능한 안착수단이 구비된 증기압을 이용한 조리장치에 있어서 내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다단으로 구획된 인입출이 가능한 안착수단이 구비된 증기압을 이용한 조리장치에 있어서 내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단으로 구획된 인입출이 가능한 안착수단이 구비된 증기압을 이용한 조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다단으로 구획된 인입출이 가능한 안착수단이 구비된 증기압을 이용한 조리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다단으로 구획된 인입출이 가능한 안착수단이 구비된 증기압을 이용한 조리장치에 있어서 하우징의 수납홈과 상기 수납홈에 인입출되는 안착수단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다단으로 구획된 인입출이 가능한 안착수단이 구비된 증기압을 이용한 조리장치에 있어서 물수납부의 분리 및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다단으로 구획된 인입출이 가능한 안착수단이 구비된 증기압을 이용한 조리장치에 있어서 플레이트와 물수납부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다단으로 구획된 인입출이 가능한 안착수단이 구비된 증기압을 이용한 조리장치에 있어서 수납홈과 물수납부가 배관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다단으로 구획된 인입출이 가능한 안착수단이 구비된 증기압을 이용한 조리장치에 있어서 내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다단으로 구획된 인입출이 가능한 안착수단이 구비된 증기압을 이용한 조리장치에 있어서 내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지시부호 100은 하우징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00)은 상부면 후방부에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전원, 조리시간, 조리음식종류선택, 종료알람을 포함하는 컨트롤 버튼이 구비된 컨트롤패널부(110)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면 하부에는 물공급밸브(120)가 타측면 하부에는 드레인밸브(130)가 구비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다수개 형성된 상태로서 하부 측면에는 증기가 유입 가능하도록 증기유입홀(141)이 형성되어 있는 수납홈(14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홈(140)의 하단 내부에는 상기 수납홈(140)과 같은 갯수의 홀(151)이 천공된 플레이트(150)가 구비된 것이다.
지시부호 200은 뚜껑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뚜껑(200)은 상기 수납홈(140)의 최전방에는 밀착 진공상태로 체결되면서 상면에 증기인출홀(210)이 천공되어 있는 것이며,
지시부호 300은 안착수단부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안착수단부(300)은 상기 수납홈(140)내로 인입출이 가능하면서 조리용기를 다단으로 안착가능한 안착부(310)가 다수개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안착수납부(300)는 가로방향으로 다수개의 구획판(32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구획판(320)의 일측 끝단에는 마감판(330)이 상기 마감판(330) 상면에는 손잡이(34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구획판(320)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복수개의 칸막이봉(350)이 상기 구획판(320)을 관통하면서 다수개 형성됨으로서 상기 안착부(310)가 자연스럽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 지시부호 400은 물수납부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물수납부(400)은 상기 플레이트(150)에 구비된 홀(151)에는 상기 물공급밸브(120)와 연결된 배관이 커넥터(410)에 의해 바닥면과 연결되어 있으며 전기단자(E)와 연결된 히터(421)가 관(420)에 의해 감싼 형태로 바닥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일측면에는 유입되는 물을 체크하여 자동으로 수위를 조절 및 배출하는 높이를 달리하는 복수개의 센서(S)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면에는 상기 증기유입홀(141)과 배관에 의해 연통 가능하도록 증기배출홀(510)이 천공되어 있으며,
지시부호 500은 물수납뚜껑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물수납뚜껑(500)은 상기 물수납부(400)에 진공상태로 밀착 체결되며 상면에는 압력게이지(P)가 구비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압력게이지(P)와 센서(S)는 물의 적정 수급을 체크하여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최적의 조건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은 우선 컨트롤 패널부(110)의 조작에 의해 전원 공급 및 기타 물공급 등등을 작동이 이루어지며 우선, 물공급밸브(120)를 통해 각 수납홈(140) 하측의 플레이트(150)의 홀(151)에 구비된 물수납부(400)에 적정량의 물을 수납한 후 안착수단부(300)의 안착부(310)에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이 담겨진 조리용기를 다단으로 수납하고 상기 수납홈(140)내로 안착수단부(300)를 슬라이딩 수납한 연후에 뚜껑(200)을 진공상태로 폐쇄한 후 물수납부(400)의 히터(421)에 전기단자(E)를 통해 컨트롤패널부(110)의 조작으로 전원을 공급하면 상기 히터(421)의 가열에 의해 수증기 즉, 열증기가 발생하고 이와 같이 발생된 증기가 증기배출홀(510)를 통해 상기 수납홈(140) 하부 측면에 구비된 증기유입홀(141)로 유입되어 조리용기에 담겨진 음식을 조리토록 하는 것으로서 일정한 즉, 음식 조리가 완성되는 시점에 뚜껑(200)의 증기인출홀(210)을 개방하여 뜨거운 증기를 배출한 후 뚜껑(200)을 개방하고 안착수단부(300)를 인출하여 안착부(310)에 안착된 조리용기를 인출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조리 완성과정에서 상기 물수납부(400)의 물이 넘칠 가능성이 있을 경우에는 음식의 종류에 따라 물의 수위를 체크하는 이단 높이로 이루어진 센서(S)의 작동에 의해 컨트롤패널부(110)에 소리나 점멸등 등으로 인식 가능하도록 하면서 동시에 컨트롤패널부(110)에서 자동으로 드레인 밸브(130)을 개방함과 동시에 물공급밸브(120)을 차단함으로서 물의 과다한 공급을 방지하고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최적의 물 수위를 조정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배관을 통해 드레인밸브(130)로 물이 배출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물공급밸브(120)나 드레인밸브(130) 등도 전자적인 작동으로 자동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 또한 컨트롤패널부(110)의 셋팅에 따라 자유롭게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조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100 : 하우징 110 : 컨트롤패널부
120 : 물공급밸브 130 : 드레인 밸브
140 : 수납홈 150 : 플레이트
151 : 홀 200 : 뚜겅
210 : 증기인출홀 300 : 안착수단부
310 : 안착부 320 : 구획판
330 : 마감판 340 : 손잡이
350 : 칸막이봉 400 : 물수납부
410 : 커넥터 420 : 관
421 : 히터 500 : 물수납뚜껑
510 : 증기배출홀 E : 전기단자
P : 압력게이지 S : 센서

Claims (2)

  1. 상부면 후방부에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전원, 조리시간, 조리음식종류선택, 종료알람을 포함하는 컨트롤 버튼이 구비된 컨트롤패널부(110)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면 하부에는 물공급밸브(120)가 타측면 하부에는 드레인밸브(130)가 구비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다수개 형성된 상태로서 하부 측면에는 증기가 유입 가능하도록 증기유입홀(141)이 형성되어 있는 수납홈(14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홈(140)의 하단 내부에는 상기 수납홈(140)과 같은 갯수의 홀(151)이 천공된 플레이트(150)가 구비된 하우징(100)과,
    상기 수납홈(140)의 최전방에는 밀착 진공상태로 체결되면서 상면에 증기인출홀(210)이 천공되어 있는 뚜껑(200)과,
    상기 수납홈(140)내로 인입출이 가능하면서 조리용기를 다단으로 안착가능한 안착부(310)가 다수개 구비되어 있는 안착수단부(300)와,
    상기 플레이트(150)에 구비된 홀(151)에는 상기 물공급밸브(120)와 연결된 배관이 커넥터(410)에 의해 바닥면과 연결되어 있으며 전기단자(E)와 연결된 히터(421)가 관(420)에 의해 감싼 형태로 바닥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일측면에는 유입되는 물을 체크하여 자동으로 수위를 조절 및 배출하는 높이를 달리하는 복수개의 센서(S)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면에는 상기 증기유입홀(141)과 배관에 의해 연통 가능하도록 증기배출홀(510)이 천공되어 있는 물수납부(400)와,
    상기 물수납부(400)에 진공상태로 밀착 체결되는 것으로서 상면에는 압력게이지(P)가 구비되어 있는 물수납뚜껑(5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으로 구획된 인입출이 가능한 안착수단이 구비된 증기압을 이용한 조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수납부(300)는 가로방향으로 다수개의 구획판(32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구획판(320)의 일측 끝단에는 마감판(330)이 상기 마감판(330) 상면에는 손잡이(34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구획판(320)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복수개의 칸막이봉(350)이 상기 구획판(320)을 관통하면서 다수개 형성됨으로서 상기 안착부(310)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으로 구획된 인입출이 가능한 안착수단이 구비된 증기압을 이용한 조리장치.
KR1020100076449A 2010-08-09 2010-08-09 다단으로 구획된 인입출이 가능한 안착수단이 구비된 증기압을 이용한 조리장치 KR101019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449A KR101019413B1 (ko) 2010-08-09 2010-08-09 다단으로 구획된 인입출이 가능한 안착수단이 구비된 증기압을 이용한 조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449A KR101019413B1 (ko) 2010-08-09 2010-08-09 다단으로 구획된 인입출이 가능한 안착수단이 구비된 증기압을 이용한 조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9413B1 true KR101019413B1 (ko) 2011-03-07

Family

ID=43938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449A KR101019413B1 (ko) 2010-08-09 2010-08-09 다단으로 구획된 인입출이 가능한 안착수단이 구비된 증기압을 이용한 조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94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5507A1 (ko) * 2015-04-30 2016-11-03 (주) 다나일렉트릭스 다층으로 구획된 인덕션을 이용한 밥 조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164Y1 (ko) 2002-09-16 2003-01-03 이상윤 찜 요리를 위한 조리기구
KR200366219Y1 (ko) 2004-08-13 2004-11-03 윤정모 조리기용 찜솥구조
KR100543070B1 (ko) 2004-01-15 2006-01-23 주식회사진양테크 절첩식 지주를 갖는 찜기용 찜물받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164Y1 (ko) 2002-09-16 2003-01-03 이상윤 찜 요리를 위한 조리기구
KR100543070B1 (ko) 2004-01-15 2006-01-23 주식회사진양테크 절첩식 지주를 갖는 찜기용 찜물받침
KR200366219Y1 (ko) 2004-08-13 2004-11-03 윤정모 조리기용 찜솥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5507A1 (ko) * 2015-04-30 2016-11-03 (주) 다나일렉트릭스 다층으로 구획된 인덕션을 이용한 밥 조리장치
CN107529903A (zh) * 2015-04-30 2018-01-02 多娜电子株式会社 被划分为多层的利用电磁炉的饭烹饪装置
CN107529903B (zh) * 2015-04-30 2020-01-07 多娜电子株式会社 被划分为多层的利用电磁炉的饭烹饪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126237A2 (en) Food steamer
CN107713727B (zh) 烤盘组件和具有其的烹饪器具
US20090266241A1 (en) Cooking utensil using steam
KR101044918B1 (ko) 증기를 이용한 조리시스템
KR101311121B1 (ko) 멀티 쿠커
KR20120003314U (ko) 즉석식품조리스팀기
KR101019413B1 (ko) 다단으로 구획된 인입출이 가능한 안착수단이 구비된 증기압을 이용한 조리장치
JP2005065819A (ja) 蒸気加熱調理器
KR101214728B1 (ko) 다기능 구이기
CN209733475U (zh) 一种蒸烤组合机
KR102046256B1 (ko) 열플라즈마를 이용한 유도가열식 튀김장치
KR100812295B1 (ko) 조리장치
CN104286062A (zh) 一种圆筒形油水混合式油炸锅
KR20100033463A (ko)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CN208463753U (zh) 烤盘组件和具有其的烹饪器具
KR100877347B1 (ko) 조리장치
GB2414925A (en) A food steamer
KR200287840Y1 (ko) 조리 기구
KR200422311Y1 (ko) 조리장치 및 이를 위한 가열장치
EP2377441A1 (en) Multipurpose bread machine
KR101518417B1 (ko) 스팀 공급장치
CN110856590A (zh) 烹饪器具
CN214017117U (zh) 一种高效蒸蛋装置
CN209315616U (zh) 一种蒸汽食物盒及具有蒸汽食物盒的蒸汽烤箱/蒸箱
CN211722759U (zh) 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