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6219Y1 - 조리기용 찜솥구조 - Google Patents
조리기용 찜솥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66219Y1 KR200366219Y1 KR20-2004-0023125U KR20040023125U KR200366219Y1 KR 200366219 Y1 KR200366219 Y1 KR 200366219Y1 KR 20040023125 U KR20040023125 U KR 20040023125U KR 200366219 Y1 KR200366219 Y1 KR 20036621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oker
- pot
- housing
- case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enlarged bottom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을 조리하고 전시하면서 판매할 수 있는 조리기용 찜솥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부에 바퀴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음식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진열대가 구비되며, 상면에 뚜껑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 내부가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솥;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솥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솥의 개방된 상부 둘레를 따라 돌출되며, 상면에 상기 뚜껑이 지지되는 돌기;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기 솥의 상부 둘레를 따라 구비되며, 상기 솥의 상단과 상기 개구부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상기 솥과 연통되는 덕트; 그리고 상기 덕트와 연결되며, 상기 솥에서 발생된 냄새와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조리기용 찜솥구조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조리기용 찜솥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음식을 조리하고 전시하면서 판매할 수 있는 조리기용 찜솥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야외에서 음식을 조리하면서 전시, 판매할 수 있는 조리기가 구비된 판매대는 소자본 창업자들을 중심으로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조리기가 구비된 판매대는 일반적으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구비된 바퀴,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된 음식 진열대, 그리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조리 히터 등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조리기용 판매대는 이동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조리 및 전시 판매를 동시에 할 수 있어서 그 보급량이 점차 많아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한편, 상기 조리기용 판매대의 솥을 통해 족발 등의 음식은 삶거나 쪄서 조리한다. 따라서, 족발 등의 음식을 조리하는 경우, 이를 조리하는 솥으로부터 많은 양의 냄새와 증기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발생된 냄새와 증기는 빠른 시간 내에 조리기용 판매대의 찜솥 주위로 퍼지게 되므로, 조리자나 조리된 음식을 구입하고자하는 소비자, 그리고 주변을 보행하는 보행자 및 음식점 내부의 손님들에게 불편함을 끼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솥 내부에서 발생된 냄새 및 증기가 조리자 및 소비자에게 직접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조리기용 찜솥구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솥에서 발생된 냄새 및 증기를 정화한 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의 조리기용 찜솥구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솥의 온도를 오랫 동안 유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의 조리기용 찜솥구조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용 찜솥구조의 외부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리기용 찜솥구조의 내부 구조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조리기용 찜솥구조에서 솥의 윗 부분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조리기용 찜솥구조에서 진열대를 제거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I-I선에 따른 단면 중 정화 장치의 모습만을 나타낸 단면도; 그리고
도 6은 도 1의 조리기용 찜솥구조에서 조명부의 지지대의 구조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케이스 102: 진열대
103: 개구부 107: 뚜껑
109: 간극 110: 솥
115: 돌기 120: 히터
130: 덕트 140: 배출관
150: 팬 160: 중탕 장치
200: 정화 장치 210: 하우징
220: 숯 230: 격판
240: 안내관 250: 필터
260: 브라켓 300: 조명부
310: 제1 지지대 320: 제2 지지대
330: 핀 340: 조명 갓
350: 전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부에 바퀴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음식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진열대가 구비되며, 상면에 뚜껑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 내부가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솥;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솥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솥의 개방된 상부 둘레를 따라 돌출되며, 상면에 상기 뚜껑이 지지되는 돌기;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기 솥의 상부 둘레를 따라 구비되며, 상기 솥의 상단과 상기 개구부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상기 솥과 연통되는 덕트; 그리고 상기 덕트와 연결되며, 상기 솥에서 발생된 냄새와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조리기용 찜솥구조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용 찜솥구조은, 상기 배출관과 연통되는 하우징, 그리고 상기 하우징 내에 채워지며 상기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냄새와 증기를 정화하는 숯을 포함하는 정화 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화 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부를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며, 각 구획된 공간을 연통시키는 통공이 형성된 다수의 격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화 장치는, 상기 각 통공에 설치되는 다공성 필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정화 장치는, 상기 격판에 연결되고, 상기 통공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하우징 내부의 각 구획된 공간의 하부로 안내하는 안내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정화 장치는, 상기 하우징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발생된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용 찜솥구조은, 상기 솥의 하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중탕 용기, 그리고 상기 중탕 용기 내에 채워지고, 히터에 의해 가열된 열을 상기 솥에 전달하는 중탕 용액을 포함하는 중탕 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용 찜솥구조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부착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1 핀홀을 가진 제1 지지대, 상기 제1 지지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핀홀과 대응하는 제2 핀홀을 적어도 하나 가진 제2 지지대, 상기 제1 핀홀과 제2 핀홀을 관통하도록 끼워지는 핀, 그리고 상기 제2 지지대에 고정되며, 전구가 구비된 조명 갓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조명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본 고안 일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이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은 이하에서 생략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케이스(100)의 하부에는 다수 개의 바퀴(10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에는 음식을 올려 좋을 수 있는 진열대(102)가 구비되는데, 상기 진열대(10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의 측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5)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105)를 열면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101)에 접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0)의 상면에는 개구부(103)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03)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101)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것으로 대략 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10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07)에 의해 개폐된다. 여기서, 상기 뚜껑(107)의 외주면은 상기 개구부(103)의 내주면과 같거나 약간 작아서, 상기 뚜껑(107)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103) 내로 삽입된다.
한편, 상기 뚜껑(107)의 외주면과 상기 개구부(103)내주면과는 약간의 외부공기가 유입토록 틈새(106)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솥(110)이 설치된다. 상기 솥(110)의 상부는 개방되므로, 상기 솥(110)의 내부는 상부 개구부(103)와 연통된다. 여기서, 상기 솥(110)의 개방된 상단과 상기 개구부(103) 사이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의 간극(109)이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그리고 상기 솥(110)의 아래에는 상기 솥(110)을 가열하는 히터(120)가 구비된다. 참고로, 도 2에는 연료를 태울때 발생하는 불꽃을 이용한 히터(120)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전기 저항열을 이용한 히터(미도시)가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솥(110)의 개방된 상부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115)가 돌출된다. 상기 돌기(115)는 상기 솥(110)의 상부에서 상측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되며, 상기 솥(110)의 상부 둘레를 따라 다수 개가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돌기(11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103)를 폐쇄하는 뚜껑(107)의 하단 둘레를 지지한다.
그러므로, 상기 뚜껑(107)이 상기 개구부(103)를 폐쇄하였을때 상기 뚜껑(107)의 하단과 상기 솥(110)의 개방된 상단 사이에는 상기 돌기(115)의 높이 만큼의 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솥(110)의 상단과 상기 케이스(100)의 개구부(103) 사이에는 간극(109)이 있으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107)이 상기 개구부(103)를 막게 되면, 상기 솥(110)의 내부에서 발생된 냄새나 증기 등은 상기 개구부(103)와 상기 솥(110)의 상단 사이의 간극을 통해 상기 솥(110)으로부터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101)으로 빠져 나갈 수 있다.
그런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101)에는 상기 솥(110)의 상부 둘레를 따라서 덕트(130)가 구비된다. 그러므로, 상기 덕트(130)의 내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솥(110)의 상단과 개구부(103) 사이의 공간, 즉 상기 간극(109)을 통해서 상기 솥(110)의 내부와 연통된다. 따라서, 조리시에는 배출관(140)에 구비된 강제 배출팬(150)의 작동에 의해 상기 뚜껑(107)외주연과 개구부(103)내주연 사이의 틈새(106)를 통해 외부공기가 유입됨과 동시에 상기 솥(110)에서 발생한 냄새와 연기는 상기 뚜껑(107) 때문에 상기 개구부(103)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상기 간극(109)을 통해 틈새(106)로 유입된 외부공기와 솥(110)에서 발생되는 냄새와 수증기가 혼합되어 상기 덕트(130) 내부로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덕트(130)와 연결된 배출관(140)이 구비된다. 상기 배출관(140)은 상기 솥(110)에서 발생된 후 상기 간극(109)을 통해 상기 덕트(130) 내부로 안내된 냄새와 증기 등을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배출관(140)은 상기 솥(110) 내부의 압력과 외부의 압력 차이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냄새와 증기를 단순히 외부로 안내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관(140)은, 조리자 및 소비자, 그리고 보행자에게 피해를 끼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100)의 바닥면을 통해 인출되어 하수구 등과 연통되도록 설치되거나, 외부로 길게 인출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상기 배출관(140)의 중간, 또는 단부에 상기 냄새와 증기를 강제로 배출시키는 팬(150)이 구비되거나, 상기 배출관(140)의 중간에 정화 장치(20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정화 장치(200)가 구비되면, 배출관(140)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정화되므로 조리기용 찜솥구조 주변의 환경을 더욱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비되는 정화 장치(200)의 구조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정화 장치(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상기 배출관(140)과 연통된 하우징(210), 그리고 상기 하우징(210) 내에 채워지는 숯(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배출관(1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10)의 측면 상부에 형성된 입구(211)를 관통한 후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 하부까지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210)에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21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10)의 측면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하우징(210)으로 유입된 공기의 유동 동선이 길어지므로 상기 하우징(210) 내에 채워져 공기를 정화하는 숯(220)과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냄새와 증기를 정화하는 능력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출구(212)는 상기 팬(150)과 연통되므로, 상기 출구(212)를 빠져나간 정화된 공기는 상기 팬(150)에 의해 케이스(100)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210) 내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 동선을 좀더 길게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210) 내부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격판(2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격판(230)이 구비되면,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는 다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되며, 각 구획된 공간들은 상기 격판(230)에 형성된 통공(231)에 의해 서로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입구(211)를 통해 하우징(210)으로 유입된 공기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판(230)에 의해 구획된 여러 개의 공간을 차례로 순환한 후 출구(212)를 통해 배출되므로, 하우징(210) 내에서 좀더 많은 숯(220)과 접촉되면서 정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격판(230)에는 각각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관(24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각 안내관(2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격판(230)에 형성된 통공(231)과 연통되며, 통공(231)을 통해 그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하우징(210) 내부의 각 구획된 공간의 하부로 안내한다. 여기서, 상기 통공(23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판(23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면, 상기 공기가 상기 하우징(210) 내에서 도 5의 점선 화살표와 같이 "S"형 유로를 형성하면서 이동할 수밖에 없으므로 숯(220)과의 접촉 면적이 많아지게 되어 정화 장치(200)의 정화 능력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각 통공(231)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성 필터(25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격판(230)의 일측, 좀더 상세하게는 상기 안내관(240)이 연결된 측의 반대측에는 상기 필터(250)를 끼우기 위한 브라켓(260)이 형성된다. 상기 필터(25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260)에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통공(231)을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250)는 예를 들어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지며, 다수 개의 미세공(251)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필터(250)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수분과 오일 입자는 상기 필터(250)에 흡수되면서 공기로부터 제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정화 장치(200) 내에는 다량의 숯(220)과 세라믹 재질의 다공성 필터(25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정화 장치(200)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오일 및 수분 입자는 상기 하우징(210) 내에서 숯(220)과 필터(250)를 지나면서 온도가 떨어져 응축되는 등 액화되게 된다. 그러므로, 액화된 물 및 오일은 하우징(210)의 바닥에 고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210)의 바닥에 고인 액체를 받아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210)의 하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2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상기 각 격판(230)의 하단에는 액체가 통과하기 위한 제1 홀(235)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210)의 바닥면에는 상기 물탱크(270)와 상기 하우징(210) 내부를 연통시키는 제2 홀(215)이 다수 형성된다. 나아가,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하우징(210)의 바닥에 고인 액체가 쉽게 물탱크(27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210)의 바닥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참고로, 도 5에서 실선 화살표는 응축된 액체의 흐름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비된 물탱크(270)는 상기 하우징(210)에 대해 분리 가능하므로 상기 물탱크(270)에 고인 액체는 쉽게 비워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솥(110)은 상기 히터(120)에 의해 직접 가열될 수도 있겠으나,이 경우, 히터(120)가 솥(110)을 가열하지 않으면, 솥(110)이 쉽게 식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용 찜솥구조에는 가열된 솥(110)의 온도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도록 중탕 장치(1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탕 장치(1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120)에 의해 가열되는 중탕 용기(161), 그리고 상기 중탕 용기(161)에 저장된 중탕 용액(16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중탕 용기(161)는 상기 솥(110)의 하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중탕 용기(161)의 내부에는 히터(120)에 의해 가열되고, 그 열을 상기 솥(110)에 전달하는 중탕 용액(165)이 채워진다. 여기서, 상기 중탕 용액(165)으로는 예를 들면 파라핀, 물, 또는 오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중탕 장치(160)가 구비되면, 히터(120)가 꺼지더라도 솥(110)의 온도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솥(110)이 갑작스럽게 가열되면서 솥(110) 내부에 저장된 음식이 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용 찜솥구조에는 조명부(30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조명부(300)가 구비되면, 야간에도 쉽고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다. 이러한 조명부(300)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대, 그리고 전구(350)가 구비된 조명 갓(3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대(310), 제2 지지대(320), 및 핀(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지지대(3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에 부착되며, 그 상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핀홀(3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지지대(320)는 상기 제1 지지대(310)의 상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지지대(310)와 연결되며, 그 하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핀홀(311)과 대응하는 제2 핀홀(321)이 적어도 하나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핀홀(321)은 다수 개가 제2 지지대(320)의 상하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핀(3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핀홀(311)과 제2 핀홀(321)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제2 지지대(320)의 높이를 적당하게 조절한 후 상기 핀(330)을 상기 제1 핀홀(311)과 제2 핀홀(321)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끼우면 상기 조명 갓(340)의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조명 갓(340)은 상기 제2 지지대(320)의 상부에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전구(350)가 구비된다. 상기 전구(350)로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할로겐 램프 등이 사용될 수 있겠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형광등, 백열등 등의 램프로도 대체 가능하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용 찜솥구조의 작동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히터(120)가 가열되면, 도 2에 도시된 상기 중탕 장치(160)의 중탕 용액(165)이 가열되고, 이에 따라 상기 솥(110)이 가열된다. 그러면, 상기 솥(110) 내부에 있는 음식이 가열되면서 조리되고, 이에 따라 솥(110) 내부에서는 냄새 및 증기가 발생한다. 솥(110) 내부에서 발생된 냄새와 증기는 위로 상승하는데, 상기 솥(110)의 위에 형성된 케이스(100)의 개구부(103)는 상기 뚜껑(107)에 의해 막혀있으므로, 상승한 냄새와 증기는 상기 개구부(103)와 상기 솥(110) 사이의 간극(103)을 통해 덕트(130) 내로 유입된다.
덕트(130) 내로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냄새와 증기는 배출관(140)을 통해 이동한 후 상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정화 장치(200)의 하우징(210)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10) 내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격판(230)에 의해 구획된 다수의 공간들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S"자 경로를 그리며 경유하면서 그 속에 채워진 숯(220)과 상기 격판(230)의 통공(231)에 구비된 필터(250)에 의해 정화된다. 상기 하우징(210)을 경유하면서 정화된 공기는 상기 팬(150)을 거쳐 케이스(100)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정화 과정에서 응축된 액체는 하우징(210)의 바닥면에 고인 후 상기 물탱크(270)에 저장된다.
한편, 야간에는 조명부(300)를 이용하게 되는데, 전구(350)가 구비된 조명 갓(340)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핀(330)을 제1 지지대(310)와 제2 지지대(320)로부터 빼낸다. 그런 다음, 제2 지지대(320)를 필요한 만큼 상기 제1 지지대(310)로부터 위쪽으로 인출하거나 아래쪽으로 밀어 넣는다. 제2 지지대(320)의 인출 길이가 결정되면, 상기 핀(330)을 상기 제1 핀홀(311)과 제2 핀홀(321)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삽입하여 고정한다.
상기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고안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범위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고안의 범주내에 포함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용 찜솥구조에서는 솥의 상단과 케이스의 개구부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통해 솥 내부의 증기를 덕트로 유도한 후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그러므로, 증기와 냄새가 뚜껑 둘레를 통해 빠져나와 조리기용 찜솥구조 주변으로 퍼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조리기용 찜솥구조 주변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관의 중간에는 정화 장치가 구비된다. 따라서, 솥 내부에서 발생된 후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냄새와 증기를 정화시킨 후 배출할 수 있다.
또한, 격판과 안내관 등이 구비되므로,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유동 경로는 길어지고, 이에 따라 공기의 정화 시간이 길어지고 숯과의 접촉 면적이 넓어진다. 따라서, 정화 장치의 정화 능력이 향상된다.
나아가, 숯과 필터에 의해 공기가 정화될 뿐만 아니라, 정화 과정 중에서 공기에 포함된 오일 및 수분의 증기가 응축되어 액화된다. 이와 같이 액화된 액체는 하우징 하부에 구비된 물탱크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정화 장치의 정화 능력이 더욱 향상되고, 증기가 제거된 깨끗한 공기만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중탕 장치가 구비되므로, 히터가 작동하지 않더라도 오랜 동안 솥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솥이 갑자기 가열되어 솥 내부의 음식이 타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조명부가 구비되므로 야간에도 조리기용 찜솥구조을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핀을 이용하여 조명갓의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다.
Claims (8)
- 하부에 바퀴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음식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진열대가 구비되며, 상면에 뚜껑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내부가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솥;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솥을 가열하는 히터로 이루어진 조리기에 있어서,상기 솥의 개방된 상부 둘레를 따라 돌출되며, 상면에 상기 뚜껑이 지지되는 돌기;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기 솥의 상부 둘레를 따라 구비되며, 상기 솥의 상단과 상기 개구부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상기 솥과 연통되는 덕트; 그리고상기 덕트와 연결되며, 상기 솥에서 발생된 냄새와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에 배출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조리기용 찜솥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배출관과 연통되는 하우징, 그리고상기 하우징 내에 채워지며 상기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냄새와 증기를 정화하는 숯을 포함하는 정화 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조리기용 찜솥구조.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정화 장치는,상기 하우징 내부를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며, 각 구획된 공간을 연통시키는 통공이 형성된 다수의 격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조리기용 찜솥구조.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정화 장치는,상기 각 통공에 설치되는 다공성 필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조리기용 찜솥구조.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정화 장치는,상기 격판에 연결되고, 상기 통공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하우징 내부의 각 구획된 공간의 하부로 안내하는 안내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조리기용 찜솥구조.
-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정화 장치는,상기 하우징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발생된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조리기용 찜솥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솥의 하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중탕 용기, 그리고상기 중탕 용기 내에 채워지고, 히터에 의해 가열된 열을 상기 솥에 전달하는 중탕 용액을 포함하는 중탕 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조리기용 찜솥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부착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1 핀홀을 가진 제1 지지대,상기 제1 지지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핀홀과 대응하는 제2 핀홀을 적어도 하나 가진 제2 지지대,상기 제1 핀홀과 제2 핀홀을 관통하도록 끼워지는 핀, 그리고상기 제2 지지대에 고정되며, 전구가 구비된 조명 갓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조명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조리기용 찜솥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23125U KR200366219Y1 (ko) | 2004-08-13 | 2004-08-13 | 조리기용 찜솥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23125U KR200366219Y1 (ko) | 2004-08-13 | 2004-08-13 | 조리기용 찜솥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66219Y1 true KR200366219Y1 (ko) | 2004-11-03 |
Family
ID=49351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23125U KR200366219Y1 (ko) | 2004-08-13 | 2004-08-13 | 조리기용 찜솥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66219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2295B1 (ko) | 2006-04-28 | 2008-03-17 | 박정규 | 조리장치 |
KR101019413B1 (ko) | 2010-08-09 | 2011-03-07 | 박향례 | 다단으로 구획된 인입출이 가능한 안착수단이 구비된 증기압을 이용한 조리장치 |
KR101097740B1 (ko) * | 2009-01-06 | 2011-12-22 | 윤정모 | 간접열 방식을 이용한 족발 삶는 솥 |
-
2004
- 2004-08-13 KR KR20-2004-0023125U patent/KR20036621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2295B1 (ko) | 2006-04-28 | 2008-03-17 | 박정규 | 조리장치 |
KR101097740B1 (ko) * | 2009-01-06 | 2011-12-22 | 윤정모 | 간접열 방식을 이용한 족발 삶는 솥 |
KR101019413B1 (ko) | 2010-08-09 | 2011-03-07 | 박향례 | 다단으로 구획된 인입출이 가능한 안착수단이 구비된 증기압을 이용한 조리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6052843A1 (ko) | 급배기 겸용 인덕션 환기시스템 | |
JP6758507B2 (ja) | 容器内に入れられた食物を蒸気加熱および/または蒸気調理するためのモジュラースチーマ付属品 | |
CN1140221C (zh) | 带有蒸汽冷凝装置的电烹烧装置 | |
RU2006135483A (ru) | Передви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контактной поверхностью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 |
RU2401040C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пара | |
JP2007061515A (ja) | 加熱調理器 | |
JP4572253B2 (ja) | 調理容器蓋の臭い排出装置 | |
KR100378679B1 (ko) | 전기 구이기 | |
KR200366219Y1 (ko) | 조리기용 찜솥구조 | |
JP5281985B2 (ja) | グリル | |
US6363840B1 (en) | Fryer | |
KR19990022243U (ko) | 구이장치 | |
KR200196661Y1 (ko) | 구이장치 | |
KR100845099B1 (ko) | 물 순환이 이루어지는 구이기 | |
KR200164418Y1 (ko) | 숯불구이기의 숯 착화장치 | |
KR200385434Y1 (ko) | 이동식 피자 구이기 | |
KR100464922B1 (ko) | 전기구이기 | |
KR102489504B1 (ko) | 연기 및 냄새 제거 효율이 향상된 실내용 로스팅 장치 | |
KR102494586B1 (ko) | 가정용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 | |
KR200431721Y1 (ko) | 육류구이용 로스터의 구이판 냉각장치 | |
KR200335312Y1 (ko) | 직화구이기 | |
KR200321502Y1 (ko) | 정화장치가 구비된 공기 순환식 숯불 구이기 | |
KR200330949Y1 (ko) | 숯불용 개량불판 | |
KR200185658Y1 (ko) | 전기 구이기 | |
KR200477266Y1 (ko) | 세척이 용이한 다용도 캐비닛형 후라이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