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5434Y1 - 이동식 피자 구이기 - Google Patents

이동식 피자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5434Y1
KR200385434Y1 KR20-2005-0006997U KR20050006997U KR200385434Y1 KR 200385434 Y1 KR200385434 Y1 KR 200385434Y1 KR 20050006997 U KR20050006997 U KR 20050006997U KR 200385434 Y1 KR200385434 Y1 KR 2003854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unit
pizza
fuel
ro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69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관
Original Assignee
이성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관 filed Critical 이성관
Priority to KR20-2005-00069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54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54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54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58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 pizz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8Bread-toasters
    • A47J37/0864Bun toas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8Bread-toasters
    • A47J37/0871Accessories
    • A47J37/0878Warm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식 피자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숯을 열원으로 하여 피자를 조리하는 경우 복사열의 토출을 최대한 억제하도록 이중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조리시간이 단축되고, 이동이 가능하여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동식 피자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일측벽은 도어(12)에 의해 개폐되고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의 저장부(11)와, 상기 저장부(11)의 저부에 일측벽이 개구된 연소부(14)가 형성되고, 상기 연소부(14)의 저부에 공기를 송풍하도록 팬이 장착된 구동모터(18)가 구비되는 송풍부(16)가 일체로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저장부(11)에 안치되고, 내부에 피자를 굽기 위한 복수개의 조리팬(22)이 삽입 안착되는 원통형상의 조리부(20)와; 상기 연소부(14)의 개구부에 인입,출되고, 상기 조리부(20)에 열을 전도하도록 내측에 일정량의 연료(40)가 수용되는 연료용기(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식 피자 구이기{PIZZA ROAST MACHINE OF A MOVEMENT TYPE}
본 고안은 이동식 피자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숯을 열원으로 하여 피자를 조리하는 경우 복사열의 토출을 최대한 억제하도록 이중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조리시간이 단축되고, 이동이 가능하여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동식 피자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자를 조리할 경우에는 열원을 전기나 가스를 이용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어 왔으며, 이런 방식들은 조리기의 제작이 어렵고 제작 비용이 비싼 단점이 있어 일반인들은 거의 사용하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전기 히타로 간점 가열하여 열풍으로 피자를 조리하는 경우에는 소음이 심한 관계로 고객과 차단된 조리실을 별도로 만들어 상기 조리실에서 조리를 하고 난 후 손님에게 가져오는 방식을 채택하여 손님에게 소음으로 인한 불쾌감을 느끼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식 또한 규모가 작은 매장에서는 소음을 차단하기가 어려워 피자를 조리할 때 발생하는 소음이 고스란히 고객에게 전달되어 불쾌감을 느끼게 되고, 원거리에 별도로 제작된 경우에는 이동시 자칫 넘어지거나 이물질이 투입될 수 있는 요인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77942호(2002. 05. 28, 고안의 명칭: 피자 조리기)를 보면, 황토벽돌로 측벽을 구성하고 하단부에 숯의 재를 빼내기 위한 재받이와, 그 위에 숯을 연소시키는 연소실과, 피자를 굽기 위한 조리실과, 측벽에 공기를 공급해주는 송풍기와, 상단부에 가스가 배출되는 배기후드로 구성된 피자 조리기를 제공함으로써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고객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식은 피자 조리기의 부피가 상대적으로 커지게 됨으로써 넓은 공간에 설치 가능하여 공간의 제약을 받게 되고, 이에 따른 설치비용이 증가하게 되며, 고객이 조리과정을 확인할 수 있도록 개방하여 신뢰감을 느낄수 있게 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단순구조에 따른 열손실로 조리시간의 증가를 가져오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복사열의 토출을 최대한 억제하도록 이중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열손실을 방지하여 조리시간을 단축하고, 이동이 가능하여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객이 직접 조리할 수 있어 체험에 따른 만족감 및 포만감을 느낄 수 있는 이동식 피자 구이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은 일측벽은 도어에 의해 개폐되고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의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저부에 일측벽이 개구된 연소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소부의 저부에 공기를 송풍하도록 팬이 장착된 구동모터가 구비되는 송풍부가 일체로 형성된 본체와; 상기 저장부에 안치되고, 내부에 피자를 굽기 위한 복수개의 조리팬이 삽입 안착되는 원통형상의 조리부와; 상기 연소부의 개구부에 인입,출되고, 상기 조리부에 열을 전도하도록 내측에 일정량의 연료가 수용되는 연료용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조리팬은 상기 조리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외주연에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복수개의 삽입홈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저부에는 상기 삽입홈과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연결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송풍부의 저부에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공기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공의 바깥쪽으로 상기 본체를 지지하도록 복수개의 받침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냄새 및 연기가 정화되어 배출되도록 정화장치가 내장된 배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료용기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내주면에 내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게 걸림턱이 형성되고, 하부면 중심부에는 상기 송풍부로 부터 송풍되도록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관통되는 송풍구가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상기 연소부에 인입,출이 용이하도록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의 상부에는 상기 걸림턱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연료받침석쇠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리부는 연료의 복사열을 상부에 공급하도록 상기 조리팬의 인접부위에 다수의 복사열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조리팬이 안착되도록 내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게 안착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이동식 피자 구이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피자 구이기의 사시도이고, 도1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피자 구이기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며, 도2는 도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리팬의 연결구조를 보인 상태도이며, 도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연료용기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1a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피자 구이기는 일측벽은 힌지 결합되는 도어(12)에 의해 개폐되고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의 저장부(11)와, 상기 저장부(11)의 저부에 일측벽이 개구된 연소부(14)가 형성되고, 상기 연소부(14)의 저부에 공기를 송풍하도록 팬이 장착된 구동모터(18)가 구비되는 송풍부(16)가 일체로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저장부(11)에 안치되고, 내부에 피자를 굽기 위한 복수개의 조리팬(22)이 삽입 안착되는 원통형상의 조리부(20)와; 상기 연소부(14)의 개구부에 인입,출되고, 상기 조리부(20)에 열을 전도하도록 내측에 일정량의 연료(40)가 수용되는 연료용기(30)로 구성된다.
상기 저장부(11)는 내측에 상기 조리부(20)가 삽입되도록 일측벽에 힌지 결합되는 반원형의 도어(12)에 의해 분리 결합되고, 개구된 하부에는 상기 조리부(20)를 지지하도록 내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게 지지턱(13)이 형성된다.
상기 연소부(14)는 상기 저장부(11)의 저부에 일정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어 피자를 조리하는 경우 연료(40)로 부터 근접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측벽에 형성된 개구부는 적어도 반원형에 근접되게 형성하여 상기 연료용기(30)가 자연스럽게 인입,출되게 한다.
이 경우, 상기 연소부(14)에 인입,출되는 상기 연료용기(30)는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에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하고, 연료(40)의 열손실을 방지하도록 상기 연소부(14)의 개구부에 밀착되게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연료용기(30)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내주면에 내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게 걸림턱(32)이 형성되고, 하부면 중심부에는 상기 송풍부(16)로 부터 송풍되는 바람이 연료(40)에 직접적으로 쏘이도록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관통되는 송풍구(34)가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상기 연소부(14)에 인입,출이 용이하도록 손잡이(3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턱(32)의 상부에는 상기 걸림턱(32)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연료받침석쇠(38)를 구비하여 피자를 조리하기 위한 연료(40)를 올려 놓도록 하되, 연료(40)의 재가 하측으로 떨어지도록 일정 틈새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리부(20)는 상기 저장부(11)의 내부에 삽입 안치되도록 상기 저장부(11)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하고, 내측면에 상기 연료(40)의 복사열을 조리팬(22)의 상부에 공급하도록 상기 조리팬(22)의 인접부위에 상기 조리팬(22)의 두께보다 적어도 더 두껍게 각각 복사열 가이드홈(26)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조리팬(22)이 안착되도록 내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게 안착턱(28)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조리팬(22)은 상기 조리부(2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부면에 일정 깊이로 복수개의 삽입홈(23)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저부에는 상기 삽입홈(23)과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연결대(24)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대(24)는 상기 조리팬(22)을 각각 연결할 경우 상기 삽입홈(23)에 연결대(24)가 각각 삽입되되, 억지 끼움방식으로 삽입되게 하여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하며, 결합된 다수의 조리팬(22)은 상기 조리부(20)의 개구된 상부로 삽입시키면 된다.
또한, 상기 조리팬(22)은 상기 삽입홈(23)의 내측으로 복수개의 통공(25)을 관통되게 형성하여 피자를 조리할 경우 통공(25)을 통하여 열이 삽입되게 함으로써 단시간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조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송풍부(16)의 저부에는 구동모터(18)을 구동시켜 팬을 회전시킬 경우 공기가 유입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공기유입공(17)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공(17)의 바깥쪽으로 상기 본체(10)를 지지하도록 복수개의 받침대(5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는 냄새 및 연기가 정화되어 배출되도록 정화장치가 내장된 배출부(62)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피자를 조리하기 위하여 먼저 다수의 조리팬(22)에 조리하고자 하는 피자를 만들어 놓은 후, 각각의 조리팬(22)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저부에 형성된 연결대(24)를 다른 조리팬(22)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홈(23)에 각각 삽입시켜 일체로 결합한 다음 조리부(20)의 상부에서 부터 삽입시켜 저부에 돌출된 안착턱(28)에 안착시킨다.
그 후 본체(10)를 이루는 저장부(11)의 도어(12)를 개방한 뒤에 상기 조리부(20)를 삽입 안치시키고, 개방되어 있는 도어(12)를 폐쇄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저장부(11)의 저부에 형성된 연소부(14)에 연료(40)가 수용되어 있는 연료용기(30)를 인입시킨 후, 상기 연소부(14)의 저부에 구비된 구동모터(18)에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시켜 상기 연료(40)가 일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본체(10)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고객이 직접 조리할 수 있음으로써 자신의 요리를 취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과 동시에 요리에 대한 만족감 및 성취감을 얻을수 있으며, 피자가 조리되는 동안 자신의 눈으로 조리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어 새로운 체험을 경험함과 동시에 떨어진 식욕을 복돋아 줄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18)를 구동시키게 되면 송풍부(18)로 부터 연료용기(30)의 내부에 수용된 연료(40)에 송풍됨으로써 연료(40)가 연소되게 되며, 이 경우 연소열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피자가 조리되는 동안 연료(40)가 사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연료(40)로 부터 발산되는 열이 조리부(20)를 통해 공급되어 피자를 굽게 되고, 상기 조리부(20)의 상부에 구비된 조리팬(22)의 경우에는 조리부(20)의 내측에 형성된 복사열 가이드홈(26)을 통해 상부로 공급됨으로써 피자를 구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연료(40)가 타고 난 후에는 연료받침석쇠(38)를 통해 하측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연료용기(30)가 연소부(14)로 부터 인입,출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연료(40)가 모두 타게 되면 상기 연료용기(30)를 인출시켜 하측에 떨어진 재를 배출한 후 연료(40)를 채워 연소부(14)에 인입시키면 된다.
또한, 상기 연료(40)의 복사열에 의해 조리되는 동안 조리부(20)의 내부에 발생되는 연기 또는 냄새 등은 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된 배출부(6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되며, 이때 상기 배출부(60)의 내부에는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는 정화장치가 구비되어 있어 연기 또는 냄새를 제거하여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복사열의 토출을 최대한 억제하도록 이중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열손실을 방지하여 조리시간을 단축하고, 이동이 가능하여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객이 직접 조리할 수 있어 자신의 음식을 취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과 동시에 새로운 경험에 따른 만족감 및 포만감을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피자 구이기의 사시도,
도1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피자 구이기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
도2는 도1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리팬의 연결구조를 보인 상태도,
도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연료용기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1: 저장부
12: 도어 13: 지지턱
14: 연소부 16: 송풍부
17: 공기유입공 18: 구동모터
20: 조리부 22: 조리팬
23: 삽입홈 24: 연결대
25: 통공 26: 복사열 가이드홈
28: 안착턱 30: 연료용기
32: 걸림턱 34: 통공
36: 손잡이 38: 연료받침석쇠
40: 연료(숯) 50: 받침대
60: 배출부

Claims (6)

  1. 일측벽은 도어(12)에 의해 개폐되고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의 저장부(11)와, 상기 저장부(11)의 저부에 일측벽이 개구된 연소부(14)가 형성되고, 상기 연소부(14)의 저부에 공기를 송풍하도록 팬이 장착된 구동모터(18)가 구비되는 송풍부(16)가 일체로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저장부(11)에 안치되고, 내부에 피자를 굽기 위한 복수개의 조리팬(22)이 삽입 안착되는 원통형상의 조리부(20)와;
    상기 연소부(14)의 개구부에 인입,출되고, 상기 조리부(20)에 열을 전도하도록 내측에 일정량의 연료(40)가 수용되는 연료용기(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피자 구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팬(22)은 상기 조리부(2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외주연에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복수개의 삽입홈(23)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저부에는 상기 삽입홈(23)과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연결대(2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피자 구이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16)의 저부에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공기유입공(17)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공(17)의 바깥쪽으로 상기 본체(10)를 지지하도록 복수개의 받침대(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피자 구이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는 냄새 및 연기가 정화되어 배출되도록 정화장치가 내장된 배출부(6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피자 구이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용기(30)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내주면에 내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게 걸림턱(32)이 형성되고, 하부면 중심부에는 상기 송풍부(16)로 부터 송풍되도록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관통되는 송풍구(34)가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상기 연소부(14)에 인입,출이 용이하도록 손잡이(36)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32)의 상부에는 상기 걸림턱(32)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연료받침석쇠(38)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피자 구이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20)는, 연료의 복사열을 상부에 공급하도록 상기 조리팬(22)의 인접부위에 각각 복사열 가이드홈(26)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조리팬(22)이 안착되도록 내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게 안착턱(2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피자 구이기.
KR20-2005-0006997U 2005-03-16 2005-03-16 이동식 피자 구이기 KR2003854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997U KR200385434Y1 (ko) 2005-03-16 2005-03-16 이동식 피자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997U KR200385434Y1 (ko) 2005-03-16 2005-03-16 이동식 피자 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5434Y1 true KR200385434Y1 (ko) 2005-05-27

Family

ID=43686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997U KR200385434Y1 (ko) 2005-03-16 2005-03-16 이동식 피자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54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935B1 (ko) * 2017-03-22 2018-07-16 한성열 구이용 가마의 제조공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가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935B1 (ko) * 2017-03-22 2018-07-16 한성열 구이용 가마의 제조공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가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47512A1 (en) Multipurpose cooking appliance
US20070221191A1 (en) Outdoor oven
CN104172942A (zh) 一种无烟烧烤炉
EP3199076A1 (en) Portable smokeless charcoal barbecue oven
JP2007061515A (ja) 加熱調理器
CN208463630U (zh) 烹饪器具
KR101183938B1 (ko) 다목적 전기 직화 구이기
KR101114290B1 (ko) 전기 로스터
KR101987880B1 (ko) 강제대류열전달을 이용한 무연숯불구이기
EP1312293B1 (en) Domestic oven for barbecuing
JP2002045240A (ja) 可搬式テーブル
KR200385434Y1 (ko) 이동식 피자 구이기
KR101425896B1 (ko) 조립체로 된 훈연 오븐
KR20110003624U (ko) 친환경 열원을 이용하는 스탠드형 구이기
KR20040107460A (ko) 숯불구이장치
CN102018453A (zh) 具有除油烟装置的电烤箱
KR102335948B1 (ko) 초벌구이장치
KR100644973B1 (ko) 이중도어를 갖는 구이장치
JPH08173327A (ja) 無煙ロースター
KR102008011B1 (ko) 숯불 로스터
CN112790624A (zh) 一种便携式多功能烧烤炉
KR200272473Y1 (ko) 원통구이기
CN218606239U (zh) 一种多功能的户外烹饪器具
CN219835528U (zh) 煎烤器具
CN218738487U (zh) 一种减少食物翻面的户外烤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