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3624U - 친환경 열원을 이용하는 스탠드형 구이기 - Google Patents

친환경 열원을 이용하는 스탠드형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3624U
KR20110003624U KR2020090013041U KR20090013041U KR20110003624U KR 20110003624 U KR20110003624 U KR 20110003624U KR 2020090013041 U KR2020090013041 U KR 2020090013041U KR 20090013041 U KR20090013041 U KR 20090013041U KR 20110003624 U KR20110003624 U KR 201100036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ource
furnace
unit
chamber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30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수
Original Assignee
김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수 filed Critical 김철수
Priority to KR20200900130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3624U/ko
Publication of KR201100036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62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1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00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 F24C1/08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solely adapted for radiation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4Spillage trays or gro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F24C15/164Rotisserie spits inside ovens

Abstract

본 고안은 옥수수 알갱이(알곡) 및 기능성 우드 펠릿(Wood-Pellet)을 열원으로 사용하여 연료비를 절감함은 물론, 사용이 편리하고 구이대상체의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친환경 열원을 이용하는 스탠드형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스탠드형 구이기는, 베이스프레임; 정면에 개폐문과 조작부, 내부에 챔버와 열원저장용 호퍼가 구비된 본체; 상기 챔버의 내부에 배열되는 구이대상체 고정수단; 및 상기 호퍼의 열원이 연소되면서 발생한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구이대상체를 굽기 위한 열원공급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열원은 옥수수알갱이 또는 우드 펠릿이고,
상기 열원공급유닛은 상기 챔버의 내부에 구비되는 화덕장치와, 상기 호퍼의 열원을 상기 화덕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이송유닛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열원을 이용하는 스탠드형 구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옥수수, 알곡, 우드, 펠릿, pellet, 열원, 연료, 구이기, 구이장치, 로스터, 화덕, 화로, 호퍼

Description

친환경 열원을 이용하는 스탠드형 구이기{ROASTER TYPE OF STAND}
본 고안은 옥수수알갱이 및 우드펠릿을 열원으로 사용하되, 구이기에 열원(옥수수알갱이 또는 우드펠릿)이 저장되는 호퍼와, 상기 열원을 연소시키기 위한 화덕장치와, 호퍼에 저장된 열원을 화덕장치에 공급하는 이송유닛을 구비하여 연료비가 절감되고, 사용이 편리하며, 구이대상체의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친환경 열원을 이용하는 스탠드형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선, 닭, 각종 육류 등(이하, '구이대상체'라 통칭함)을 굽기 위한 장치는 크게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구이대상체를 일일이 굽는 형태로 사용되는 방식과, 1m~2m 정도의 높이를 갖고 작업자가 기립한 상태에서 구이대상체를 일괄적으로 굽는 형태에 따라 나눌 수 있다. 이 중에서 후자(後者)의 방식을 본 명세서에서는 '스탠드형 구이기'로 칭한다.
이러한 스탠드형 구이기는 여름철에도 손님이 땀을 흘리며 구이대상체를 굽지 않아도 되며, 손님이 직접 굽는 과정에서 기름이 튀거나, 옷이나 머리카락에 냄 새가 배는 문제가 없으며, 주로 장작이나 숯불을 열원으로 이용함으로써 은은한 나무 향기가 구이대상체에 배어 풍미가 향상되면서도 빠른 굽기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장작이나 숯불을 열원으로 하는 스탠드형 구이기는 열원의 보관 및 취급이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이는 열원의 부피가 크고 거칠거칠하여 다루기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큰 부피로 인해 많은 양의 재가 발생하여 이의 처리 및 구이기의 내부청소가 불편하다.
또한 구이기를 사용할 때마다 열원을 일일이 투입하여야 하고, 열원이 충분히 발화될 때까지 긴 점화시간이 요구되며, 발화중인 열원을 중간에 소화시키기가 어렵기에 열원의 공급과 점화 및 소화에 있어 불편함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한편, 고기를 굽는 용도로 숯, 가스 등의 전통적인 열원을 대신하여 환경에 무해한 친환경 열원인 옥수수 알갱이나 기능성 우드펠릿이 각광을 받고 있다.
친환경 열원인 옥수수 알갱이는 가격이 저렴하고 발열량이 높아 유용한 열원으로서 인정받고 있으며,
그리고 기능성 우드펠릿은 소나무, 참나무, 대나무 등의 나무 종류를 개별 형태의 펠릿으로 제작 사용하게 되며 이를 연소시켜 자연 훈제된 구이대상체는 나무 특성별로 향이 배이게 되어 고객 취향에 맞는 조리가 가능함에 따라 맛의 차별화를 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옥수수 또는 우드펠릿을 열원으로 하여 구이대상체의 풍미를 살릴 수 있으며, 아울러 장작이나 숯불을 열원으로 하는 종래 스탠드형 구이 기의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친환경 열원을 이용하는 스탠드형 구이기를 개발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옥수수알갱이 또는 기능성 우드펠릿을 열원으로 하여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하며, 연소시 옥수수나 기능성 우드펠릿이 갖는 고유한 향이 구이대상체에 배이게 되어 풍미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친환경 열원을 이용하는 스탠드형 구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스탠드형 구이기는,
베이스프레임;
정면에 개폐문과 조작부, 내부에 챔버와 열원저장용 호퍼가 구비된 본체;
상기 챔버의 내부에 배열되는 구이대상체 고정수단; 및
상기 호퍼의 열원이 연소되면서 발생한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구이대상체를 굽기 위한 열원공급유닛;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열원은 옥수수알갱이 또는 우드펠릿이고,
상기 열원공급유닛은 상기 챔버의 내부에 구비되는 화덕장치와, 상기 호퍼의 열원을 상기 화덕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이송유닛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열원을 이용하는 스탠드형 구이기에 의해 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옥수수알갱이 및 우드펠릿을 열원으로 하여 연료비가 절감되며, 옥수수의 구수한 향으로 인해 구이대상체의 풍미가 더욱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열원의 형태, 특히 옥수수 알갱이는 크기가 작고 동그란 형태를 가짐으로써 그 취급 및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구이기 내부에 열원저장용 호퍼와 이송유닛과 화덕장치를 구비하여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열원의 공급과 점화 및 소화를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구이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투입안내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투입안내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열원을 이용하는 스탠드형 구이기는 크게 베이스프레임(100)과, 본체(200)와, 구이대상체 고정수 단(300) 및 열원공급유닛(7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은 구이기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200)를 받치는 것으로서, 네 개의 형강이 결합되어 사각 틀을 이루고 있으며, 각 모서리의 하부에는 바퀴(110)가 결합된다.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부에는 후술 되는 화덕장치(400)가 설치되는 안착프레임(12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전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쭉하게 구멍이 형성되어 기름받이(130)가 끼워지며, 이를 받치기 위해 베이스프레임(100)의 하부에는 받침막대(140)가 구비되어 상기 기름받이(130)의 진입방향을 따라 길게 놓여 있다.
상기 본체(200)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태로 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된다. 본체(200)의 전면에는 투시창(211)이 형성된 개폐문(210)이 구비되며, 그 하측에는 조작부(220)가 형성되어 전원스위치(221)와 점화스위치(222)와 화력조절스위치(223) 등이 구비된다. 본체(200)의 내부에는 상기 개폐문(210) 측으로 개방된 챔버(230)가 형성되어 그 내부에 조리실(231)이 형성되며, 챔버(230)의 상부에는 연통(240)이 설치되고, 챔버(230)의 후방으로는 호퍼(250)가 설치되어 옥수수알갱이 또는 기능성 우드펠릿(F, 이하 '열원'이라고 통칭함)이 저장된다. 챔버(230)의 바닥은 중앙 집중형 경사형상을 갖고, 중앙부에 상기 기름받이(130)와 연결되는 배출로(232)가 형성되어 바닥에 떨어진 기름이 기름받이(130)로 흘러가도록 되어있다. 또한, 본체(200)의 일측면에는 상기 호퍼(250)에 열원(F)을 보충할 수 있게끔 투입구(251)가 형성되고, 그 하측에는 투시창(252)을 두어 호퍼(250)에 담긴 열원(F)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게끔 되어있다.
상기 구이대상체 고정수단(300)은 선회축(310)과 꼬챙이(320)로 구성되어 상기 조리실(231) 내부에 배열되어 설치된다.
상기 선회축(310)은 상기 조리실(231)에 일정 간격을 두고 여러 개가 상하 배열되어 자전운동하면서 상기 꼬챙이(320)에 끼워진 구이대상체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선회축(310)은 일단이 상기 챔버(230)의 우측벽(230b)을 관통하여 설치된 부싱부재(233)의 일측에 끼워지고, 타단이 상기 챔버(230)의 좌측벽(230a)에 설치된 거치대(234)에 거치되어 조리실(231) 밖으로 손쉽게 빼낼 수 있게끔 되어있다. 또한, 선회축(310)은 상기 우측벽(230b)의 바깥쪽에 구비되는 구동수단(330)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구동수단(330)은 상기 우측벽(230b)의 바깥쪽에 설치되는 선회축 구동모터(331)와, 상기 부싱부재(233)의 타측에 설치되는 다수의 더블스프로킷(332)과, 상기 선회축 구동모터(331)와 각각의 더블스프로킷(332)을 연결하는 체인(333)으로 구성되어 서로 연동하게끔 되어있다.
상기 꼬챙이(320)는 슬라이드부재(321)에 의해 상기 선회축(3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되, 상기 슬라이드부재(321)의 외면에 둘 이상의 분지(322, 分枝)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각 분지(322)의 선단은 구이대상체를 쉽게 관통할 수 있도록 뾰족하게 형성되어있다. 여기서 상기 분지(322)의 개수는 제작성과 꼬치 작업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2~4개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 재(321)에는 나비볼트(323)가 결합되되, 상기 나비볼트(323)를 조임으로써 꼬챙이(320)가 상기 선회축(310)의 일정위치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재(321)와 상기 선회축(310)에서 슬라이드부재(321)가 이동되는 구간은 그 단면의 형상이 사각형이 되게 하여 꼬챙이(320)의 공회전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이대상체 고정수단(300)에는 필요에 따라 선반(34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선반(340)은 석쇠형태를 가지며 각각의 선회축(310) 사이에 설치되어 꼬챙이(320)로 고정하기가 곤란한 구이대상체를 올려놓을 수 있게끔 되어있다.
상기 열원공급유닛(700)은 호퍼(250)에 저장된 열원(F)을 연소시켜 이에 발생한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구이대상체를 굽기 위한 것으로서 화덕장치(400)와 이송유닛(500)으로 구성된다.
상기 화덕장치(400)는
상기 안착프레임(120)에 설치되어 조리실(231)의 바닥에 위치된다. 화덕장치(400)는 열원(F)을 연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화로(410), 하우징(420), 점화부(430), 송풍부(440) 및 커버(450)로 구성된다.
상기 화덕장치(400)는 조리실(231)의 크기에 따라 설치되는 개수를 달리할 수 있는데, 일반적인 스탠드형 구이기의 경우 2~3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작부(220)의 점화스위치(222)와 화력조절스위치(223)는 화덕장치(400)의 개수에 맞추어 구비됨은 물론이다.
상기 화덕장치(400)를 이루는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화로(410)는
열원(F)이 담겨 연소되는 곳으로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외기유입공(411)이 타공 형성된 용기 형태를 가진다. 화로(410)는 금속판재를 프레스 성형하거나 용접하여 제작되며, 평면의 형태는 사각형, 오각형 등 다각형이거나 타원 또는 원형이 될 수 있다. 또한, 화로(410)는 후술 되는 하우징(420)에 끼워지되 바닥판이 공중에 떠있도록 상단 가장자리에 바깥쪽을 향해 접힌 테(412, rim)를 가지며, 필요에 따라서는 집게 등을 사용하여 위로 들어올리기 쉽도록 걸이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450)는
화로(410)의 상부에 설치되어 구이대상체가 구워지면서 흘러나온 기름이 화로(410)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커버(450)는 상기 화로(410)에서 테(412)의 상부에 세워진 3~4개의 기둥(451)에 얹히어 화로(410)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그 상면에는 방사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방열구(452)가 형성된다. 상기 방열구(452)는 랜스가공(lancing)에 의해 형성되어 기름이 방열구(452)를 통과하여 화로(410)에 떨어지지 않도록 방지한다. 여기서 랜스가공이란, 판금가공에서 재료의 일부를 절단하고 절단하지 않은 나머지부분을 굽혀 세우는 가공 방법이다.
상기 하우징(420)은
화로(410)가 놓이는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통 형상을 갖고, 화로(410)에 공기가 잘 유입되게끔 밑바닥이 개방되어 있으며, 그 하측으로 받침대(460)가 구비된다.
상기 받침대(460)는 원반형상을 갖고, 상부에 단턱(461)이 형성되어 이에 상기 하우징(420)이 끼워져 얹히게 된다. 또한 상기 단턱(461)에는 통기공(462)이 형성되며, 드로잉 가공 등에 의해 중앙부가 하측을 향하여 휘어져 개방됨으로써 상기 화로(410)로의 용이한 공기유입을 유도한다.
상기 점화부(430)는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화로(410)에 담긴 열원(F)을 점화하기 위한 것으로,
화염이 화로(410)의 바닥판 저면을 향하도록 화로(410)의 저부에 상방을 향해 설치되고, 열감지식 안전수단(431a)을 갖는 가스토출구(431),
상기 가스토출구(431)를 통해 가스연료가 분출되도록 하는 가스공급부(432), 그리고
전기적 수단에 의해 상기 가스토출구(431)로 토출되는 가스연료를 점화시키기 위한 가스점화부(43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는 통상의 가정용 또는 휴대용 가스레인지에 사용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200)의 일측면에는 수용부(260)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260)에는 가스용기 접속장치(261)가 구비되며, 상기 가스용기 접속장치(261)에는 휴대용 부탄가스(B)가 장착되어 상기 가스연료가 휴대용 부탄가스(B)에 의해 공급된다. 휴대용 부탄가스(B)를 사용하는 것은, 초기점화에 의해 열원(F)이 발화되면 이후에 공급되는 열원(F)은 이미 발화중인 열원(F)에 의해 점화되기 때문에, 가스연료는 초기 점화시에 미량만 필요하게 되어 휴대용 부탄가스(B)의 용량만으로도 여유롭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가스토출구(431)에 착화된 가스 열기는 그에 필요한 산소량을 강제 공급하여 열량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가스 불꽃의 형상을 화로 전달이 쉬운 형태로 유지하며 화로에 전달된 가스 열기에 충분히 예열된 후 열원이 공급되어 연기 등이 발생하지 않고 점화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으로 간편한 점화 조작이 이루어져 화력 조절을 위한 소화 점화의 조작이 간편하게 된다.
상기 송풍부(440)는
상기 화로(410) 내부로 외부공기를 강제유입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받침대(460)의 하부에 설치된 송풍덕트(441), 그리고
상기 송풍덕트(441)에 공기를 불어 넣기 위한 공기압발생부(44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송풍덕트(441)는 상기 안착프레임(120)에 설치되되, 공기유입 구(447)는 챔버(230)의 외벽을 관통하여 배관 되어 조리실(231)의 외부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송풍덕트(441)의 내부에는 유입공기가 상기 받침대(460)의 중심부를 향하여 공급될 수 있도록 공기유도판(44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압발생부(443)는 챔버(230)의 외벽에 설치되되 호퍼(250)의 하측에 위치하여 송풍덕트(441)와 연결된다. 이를 위해 본체(200)의 측면 하부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통풍구(270)가 형성된다. 통풍구(270)는 타공에 의해 형성되거나, 상기 커버(450)의 방열구(452)와 같이 랜스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압발생부(443)는 팬모터(444)와 이에 의해 회전되는 송풍팬(445)으로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상기 송풍팬(445)에는 유입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446)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팬(445)은 단계별로 회전속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수동으로 공기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공지의 공기조절수단이 부가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이송유닛(500)은
호퍼(250)의 하부에 설치되어 화로(410)에 열원(F)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각의 화덕장치(400)마다 구비되며, 이에 따라 호퍼(250)의 배출구(253)도 각각의 이송유닛(500)마다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호퍼(250)와 화로(410)를 연결하는 이송관(510),
상기 이송관(5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이송스크류(520), 그리고
상기 이송스크류(520)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이송스크류 구동모터(5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이송관(510)은 호퍼(250)의 하부에 설치되되 선단이 챔버(230)를 관통하여 화로(410)의 상부까지 연결되고, 그 내부가 호퍼(250)의 배출구(253)와 소통되어 열원(F)이 내부에 유입되게끔 되어있다. 유입된 열원(F)은 다시 이송스크류(520)의 회전에 의해 화로(410)에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스크류(520)는 코일스프링의 형태로 되어 상기 이송스크류 구동모터(530)의 출력축에 결합된다. 이에 의해, 열원(F)이 이송 중에 이송관(510)과 이송스크류(520) 사이의 틈새에 끼이더라도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탄성적으로 형태변형하면서 열원(F)을 압송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스크류 구동모터(530)는 본체(200)의 조작부(220)에 구비된 화력조절스위치(223)의 조작에 의해 회전속도가 조절된다. 이에 따라 열원(F)의 단위시간당 투입량이 변경되어 구이기의 화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이송관(510)의 선단에는 화로(410)와 이송관(510)에 개재되는 경사형 투입안내유닛(60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투입안내유닛(600)은
상기 이송관(510)의 선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끼워지는 메인관(610), 그리고
이 메인관(610)의 선단에 메인관(610)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하방으로 경사지 게 설치되는 미끄럼판(62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투입안내유닛(600)은 길이방향으로 끼운 후, 축 회전시킴으로써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를 위해 투입안내유닛(600)의 메인관(610)에는 니은(ㄴ) 형태의 결합홈(611)이 마련되고, 이송관(510)의 상부에는 결합홈(611)에 끼워질 수 있는 결합돌기(511)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관(610)과 미끄럼판(620)은 소정의 각도를 이루고 있는데, 이는 열원(F)이 미끄러지듯 미끄럼판(620)을 타고 내려와 화로(410) 내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미끄럼판(620)은 반원통 형상으로서 상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메인관(610)의 상부에는 가림판(630)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가림판(630)은 구이대상체에서 흘러나온 기름이 미끄럼판(620)에 떨어지지 않도록 미끄럼판(620)의 직상부 구간(L)의 일부 또는 전부를 처마와 같은 방식으로 가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가림판(630)의 선단(631)은 상방을 향해 절곡되어 있는데 이는 구이대상체로부터 떨어지는 기름을 양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가림판(630)의 중간 부분(632)은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는데 이는 메인관(610)과의 접촉면적을 늘리기 위한 수단인 동시에 기름이 양끝으로 흐르도록 하는 수단이다. 가림판(630)은 미끄럼판(620)이 관(pipe) 형태를 가질 경우에는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한편, 메인관(610)의 연장방향을 따라 일부 구간에는 밸런스(640)관이 더 고정 설치된다. 밸런스관(640)은 열원(F)이 이송관(510)에서 메인관(610)의 선단까지 균일한 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이송관(510)과 같은 직경(외경 및 내경을 모두 포함함)을 가지는 반원통 또는 도시된 것처럼 원통 형태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구이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구성도,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투입안내유닛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투입안내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베이스프레임 130 ; 기름받이
200 ; 본체 210 ; 개폐문
220 ; 조작부 230 ; 챔버
250 ; 호퍼 300 ; 구이대상체 고정수단
310 ; 선회축 320 ; 꼬챙이
330 ; 구동수단 400 ; 화덕장치
410 ; 화로 420 ; 하우징
430 ; 점화부 440 ; 송풍부
450 ; 커버 500 ; 이송유닛
510 ; 이송관 520 ; 이송스크류
530 ; 이송스크류 구동모터 600 ; 투입안내유닛
610 ; 메인관 620 ; 미끄럼판
700 ; 열원공급유닛

Claims (6)

  1. 베이스프레임(100);
    정면에 개폐문(210)과 조작부(220), 내부에 챔버(230)와 열원저장용 호퍼(250)가 구비된 본체(200);
    상기 챔버(230)의 내부에 배열되는 구이대상체 고정수단(300); 및
    상기 호퍼(250)의 열원(F)이 연소되면서 발생한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구이대상체를 굽기 위한 열원공급유닛(70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열원(F)은 옥수수알갱이 또는 우드펠릿이고,
    상기 열원공급유닛(700)은 상기 챔버(230)의 내부에 구비되는 화덕장치(400)와, 상기 호퍼(250)의 열원(F)을 상기 화덕장치(400)로 공급하기 위한 이송유닛(5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열원을 이용하는 스탠드형 구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대상체 고정수단(300)은,
    상기 챔버(230)에 설치되어 자전운동을 하는 선회축(310), 그리고
    상기 선회축(310)에 결합되고 둘 이상의 분지(分枝)(322)로 형성되어 구이대 상체를 고정하는 꼬챙이(3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챔버(230)의 외부에 설치되는 선회축 구동모터(331)에 의해 상기 선회축(310)이 자전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열원을 이용하는 스탠드형 구이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덕장치(400)는,
    타공 형성된 외기유입공(411)을 갖는 화로(410),
    내부에 수납되는 상기 화로(410)를 지지하는 하우징(420),
    상기 화로(410)에 담기 열원(F)을 연소시키기 위하여 열감지식 안전수단(431a)을 갖는 가스토출구(431)와 상기 가스토출구(431)에 연결된 가스공급부(432)와 공급된 가스 점화를 위한 가스점화부(433)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420) 하부에 배열되는 점화부(430),
    상기 하우징(420) 하부에 배열되고 상기 화로(410) 내로 외기를 강제 유입시키기 위한 송풍부(440), 그리고
    상기 화로(410)의 상부에 배열되고 상기 화로(410) 내부로 구이대상체의 기름이 낙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4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열원을 이용하는 스탠드 형 구이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500)은,
    상기 호퍼(250)와 상기 화로(410)를 연결하는 이송관(510),
    상기 이송관(5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원투입용 이송스크류(520), 그리고
    상기 이송스크류(520)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이송스크류 구동모터(5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열원을 이용하는 스탠드형 구이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510)의 선단에는 상기 화로(410)와 상기 이송관(510)에 개재되는 경사형 투입안내유닛(600)이 구비되되,
    상기 투입안내유닛(600)은,
    상기 이송관(510)의 선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끼워지는 메인관(610), 그리고
    상기 메인관(610)의 선단에 상기 메인관(610)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미끄럼판(62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열원을 이용하는 스탠드 형 구이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230)는 바닥이 중앙 집중형 경사 형상을 갖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는 상기 바닥을 따라 이동된 기름을 받기 위한 기름받이(130)가 구비되되,
    상기 챔버(230)의 바닥에는 상기 기름받이(130)와 연결되는 배출로(23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열원을 이용하는 스탠드형 구이기.
KR2020090013041U 2009-10-07 2009-10-07 친환경 열원을 이용하는 스탠드형 구이기 KR2011000362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041U KR20110003624U (ko) 2009-10-07 2009-10-07 친환경 열원을 이용하는 스탠드형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041U KR20110003624U (ko) 2009-10-07 2009-10-07 친환경 열원을 이용하는 스탠드형 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624U true KR20110003624U (ko) 2011-04-13

Family

ID=44208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3041U KR20110003624U (ko) 2009-10-07 2009-10-07 친환경 열원을 이용하는 스탠드형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3624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676B1 (ko) * 2009-10-23 2012-05-04 김재화 옥수수를 연료로 이용한 로스터
KR101274425B1 (ko) * 2011-07-15 2013-06-17 김문수 펠릿 연소용 로스터
KR101484910B1 (ko) * 2014-07-08 2015-01-28 주식회사 그램 펠릿을 이용한 구이기
KR101885919B1 (ko) * 2018-03-28 2018-08-06 (주)케이투시스템이엔지 회전식 구이기
US10876733B2 (en) 2018-09-11 2020-12-29 Spider Grills, Llc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pelletized fuel in a kettle grill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676B1 (ko) * 2009-10-23 2012-05-04 김재화 옥수수를 연료로 이용한 로스터
KR101274425B1 (ko) * 2011-07-15 2013-06-17 김문수 펠릿 연소용 로스터
KR101484910B1 (ko) * 2014-07-08 2015-01-28 주식회사 그램 펠릿을 이용한 구이기
KR101885919B1 (ko) * 2018-03-28 2018-08-06 (주)케이투시스템이엔지 회전식 구이기
US10876733B2 (en) 2018-09-11 2020-12-29 Spider Grills, Llc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pelletized fuel in a kettle grill
US11725825B2 (en) 2018-09-11 2023-08-15 Spider Grills, Llc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pelletized fuel in a kettle gril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96031A1 (en) Smoker or Grill Ash Management System
US7637258B2 (en) Charcoal/air BBQ combustion chamber assembly
US5251607A (en) Pellet-fired cooking grill
US20170164783A1 (en) Multiple fuel cooking unit
US10595540B1 (en) Barbecue oven having circulation control
EP1951057B1 (en) Smoke enhancer
US20050155498A1 (en) Transportable cooking and smoking barbeque
US11058255B2 (en) Grill using flue
US20040200359A1 (en) Outdoor cooker oven
US20220071444A1 (en) Outdoor pellet grill
US20120276260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low temperature smoking on a grill
KR101721368B1 (ko) 다용도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
US20130029024A1 (en) Barbeque stove
KR20110003624U (ko) 친환경 열원을 이용하는 스탠드형 구이기
US20080257174A1 (en) Smoker box
KR101721805B1 (ko) 바베큐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
US20160123598A1 (en) Ultimate fire pit
US9833108B2 (en) Barbecue grill with rotating fire receptacle
US20080053315A1 (en) Grilling and cooking apparatus
KR101055065B1 (ko) 간접 가열 방식의 휴대용 바비큐 기기
KR200455169Y1 (ko) 훈제구이장치
KR20140081134A (ko) 바비큐 구이기
US10667650B2 (en) Charcoal grill apparatus and method
KR102335948B1 (ko) 초벌구이장치
KR101890418B1 (ko) 바비큐 그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