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6661Y1 - 구이장치 - Google Patents
구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96661Y1 KR200196661Y1 KR2020000006183U KR20000006183U KR200196661Y1 KR 200196661 Y1 KR200196661 Y1 KR 200196661Y1 KR 2020000006183 U KR2020000006183 U KR 2020000006183U KR 20000006183 U KR20000006183 U KR 20000006183U KR 200196661 Y1 KR200196661 Y1 KR 20019666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er cylinder
- air
- fan motor
- hole
- duc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의 구이장치는 음식점 등에서 테이블에 설치하고, 숯을 사용하여 육류, 어패류 등을 조리하기 위한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이장치는 상단에 제 1 홀이 형성된 수평면과, 제 2 홀이 형성된 바닥면을 갖는 외통과, 외통의 윗면과 수평면에 놓임으로써 상기 외통의 측면 및 수평면과 함께 제 1 영역을 형성하는 흡입링과,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외측과 내측, 흡입링에 걸쳐지는 플랜지를 갖는 그리고 외통의 내부에 놓여지는 물통과, 외통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제 3 홀들이 형성된 측면과, 다수의 공기 조절홀들이 형성된 상면을 갖는 받침통과, 물통의 내측에 삽입되어 받침통에 놓여지는 숯통과, 유입구와 유출구를 갖고 외통의 외부면에 설치되고 구이장치 내부에서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팬 모터와, 외통의 외부면에 설치되고 제 1 홀과 상기 팬 모터의 유입구를 연결하는 제 1 덕트와, 팬 모터의 유출구와 제 2 홀을 연결하는 제 2 덕트와, 제 2 덕트상에 설치되고 팬 모터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음식점 등에서 테이블에 설치하고, 숯을 사용하여 육류, 어패류 등을 조리하기 위한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 등에서 사용하는 구이장치는 테이블 중앙에 위치하여 육류 또는 어패류 등을 요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이장치를 통하여 육류를 조리할 경우 육류는 버너의 화력 또는 숯에 의해 직접 또는 복사열에 의해 간접적으로 가열되면서 익게 된다.
종래 구이장치는 가스 연소실 또는 숯불 등의 발화체 상부에 그릴이 안착되고, 상기 발화체로부터 상승하는 열기가 그릴에 놓인 육류를 가열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때, 육류 가열시 발생되는 냄새와 연기는 구이장치 상부의 실내공간으로 배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구이 장치의 상부에 배기 덕트를 설치하여 외부로 연기와 냄새를 배출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는 육류가열시 발생되는 냄새와 연기를 포함하는 연소공기가 내부로 순환되면서 연소실내에 재 공급되도록 실내에 육류를 굽는 냄새나 연기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내부 순환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 구이장치에서의 공기 순환은 구이판의 상부에서 흡입링의 홀을 통해 내통과 외통 사이의 공간을 거쳐 팬 모터로 유입된 후, 다시 내통의 내부로 재 공급된다. 이러한 내부 순환 방식의 구이장치는 외통 내부에 내통을 구성하고, 그 외통과 내통 사이로 흡입링의 홀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흐르도록 한 공기의 내부 순환을 위한 기술적 구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 구이 장치는 공기의 내부 순환 통로를 만들기 위한 내통이 별도로 필요할 뿐만 아니라, 내통과 외통 사이의 순환 공간이 필요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외통 사이즈가 커지는 단점을 갖고 있다. 그리고, 상기 내통과 외통 사이의 공간이 불필요하게 넓기 때문에 팬 모터의 흡입력이 저하되는 단점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 구이장치는 공기가 순환될 때, 구이 대상물이 익거나 타면서 발생되는 연기와 냄새도 함께 순환된다. 이때, 구이판 위에 놓인 구이 대상물에는 순환되는 공기의 연기와 냄새가 스며들어 배게 된다. 결국, 순환되는 공기에 포함된 연기와 냄새로 인해 구이 대상물의 맛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구성을 단순화하고, 팬 모터의 공기 흡입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순환되는 공기에 함유된 연기와 냄새를 효과적으로 필터링 할 수 있는 구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이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이장치의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이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이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구이장치의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외통 14 : 제 1 홀
16 : 제 2 홀 18 : 수평면
20 : 차단판 22 : 제 3 홀
30 : 물통 40 : 받침통
50 : 숯통 54 : 구이판
60 : 흡입링 70 : 덕트
80 : 팬 모터 82 : 제 2 덕트
90 : 정화통 92 : 봉
94 : 부직포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구이장치는 상단에 제 1 홀이 형성된 수평면과, 제 2 홀이 형성된 바닥면을 갖는 외통과; 상기 외통의 윗면과 상기 수평면에 놓임으로써 상기 외통의 측면 및 수평면과 함께 제 1 영역을 형성하는 흡입링과;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외측과 내측, 상기 흡입링에 걸쳐지는 플랜지를 갖는 그리고 상기 외통의 내부에 놓여지는 물통과; 상기 외통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제 3 홀들이 형성된 측면과, 다수의 공기 조절홀들이 형성된 상면을 갖는 받침통과; 상기 물통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받침통에 놓여지는 숯통과; 유입구와 유출구를 갖고 상기 외통의 외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구이장치 내부에서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팬 모터와; 상기 외통의 외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홀과 상기 팬 모터의 유입구를 연결하는 제 1 덕트와; 상기 팬 모터의 유출구와 상기 제 2 홀을 연결하는 제 2 덕트와; 상기 제 2 덕트상에 설치되고 상기 팬 모터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장치에서 상기 여과 수단은 상기 팬 모터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홀이 형성된 측면을 갖고 내부에는 물이 수용되는 정화통과; 물기를 갖도록 일부가 물에 잠긴 상태로 상기 정화통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홀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다수의 필터들을 구비하여, 공기는 상기 필터들을 통과하면서 공기속에 포함된 유해물질이 상기 필터의 물기와 반응하여 수용액으로 변함으로서 여과된다.
이와 같은 본 장치에서 상기 숯통에 담겨진 숯을 착화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받침통에 설치되는 버너와; 상기 버너에 연결되는 가스 공급 라인 및; 상기 버너로부터 분사되는 가스를 점화하고, 가스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를 구비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 상기 도면들에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병기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이장치(100)는 외통(10), 차단판(20), 물통(30), 받침통(40), 숯통(50), 구이판(54), 흡입링(60), 제 1 덕트(70), 공기 순환수단, 착화 수단 그리고 공기 정화수단을 갖는다.
상기 외통(10)은 음식점 등의 테이블(200)에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외통(10)은 상기 테이블(200)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삽입되고, 상기 외통 플랜지(12a)가 상기 테이블(200)에 놓이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외통은(10)은 윗면이 개방되고, 측면에 형성된 제 1 홀(14)과 바닥면에 형성된 제 2 홀(16)을 갖는다.
한편, 본 고안에서 상기 차단판(20)은 가장 특징적인 부분으로 상기 외통(10)의 상단 내부면에 설치된다. 상기 차단판(20)은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 3 홀(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입링(60)은 상기 외통(10)의 윗면과 상기 차단판(20)에 놓여지며, 상기 외통(10) 및 상기 차단판(20)과 함께 제 1 영역(A)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덕트(70)는 상기 제 3 홀(22)과 상기 제 1 홀(14)을 연결하기 위한 통로로 상기 외통(10)의 내부면에 설치된다.
상기 공기 순환수단은 상기 구이 장치(100) 내부에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기 위하여, 팬 모터(80), 제 2 덕트(82), 그리고 제 1 스위치(미도시됨)로 이루어진다. 상기 팬 모터(80)는 상기 외통(10)의 외부면의 팬 모터를 위한 브라켓내에 설치된다. 상기 제 2 덕트(82)는 상기 팬 모터와 상기 2 홀(16)을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1 스위치는 외부에서 상기 팬 모터(8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물통(30)은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외측과 내측을 갖는다. 상기 물통(30)은 상기 외통(10)의 내부에서 상기 흡입링(60)에 의해 지지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물통(30)은 물통 외측(32), 물통 내측(34), 그리고 물통 플랜지(32a)를 포함한다. 상기 물통 플랜지(32a)는 상기 흡입링(60)의 플랜지(64)에 놓이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물통 내측(34)에는 상기 숯통(50)이 삽입된다.
한편, 상기 받침통(40)은 상기 제 2 홀(16)이 안쪽에 위치되도록 상기 외통(10)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상기 받침통(40)의 측면(42)에는 다수의 홀(44)들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다수의 공기 조절홀(46)들이 형성된다. 상기 받침통(40)은 상기 외통(10)의 바닥면과 함께 제 2 영역(B)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통(40)은 상기 외통(10), 차단판(20) 그리고 물통(30)에 의해 제 3 영역(C)을 형성한다.
상기 숯통(50)은 내부에 숯을 담도록 형성된다. 상기 숯통(50)은 상기 물통 내측(34)에 삽입되어 상기 받침통(40)에 놓여진다. 상기 숯통(50)은 상기 받침통(40)의 상면과 함께 제 4 영역(D)을 형성한다.
상기 구이판(54)은 윗면에 구이 대상물이 놓인다. 상기 구이판(54)은 상기 물통(30) 위에 놓임으로써, 상기 물통(30)과 상기 숯통(50)과 함께 제 5 영역(E)을 형성한다.
한편, 본 구이장치에서의 공기 조절은 상기 공기 조절홀(46)을 열고 닫아서 상기 숯통(50)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한다. 이를 위해 상기 구이장치에는 공기 차단판(56), 작동 링크(57) 그리고 조작 레버(58;도 3도 도시됨)로 이루어진 통상적인 공기 조절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착화 수단은 상기 숯통(50)에 담겨진 숯을 착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가스 공급 라인(92)과, 상기 받침통에 설치되는 버너(94), 그리고 가스를 점화하고, 가스량을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96;도 3에 도시됨)를 갖는다.
한편, 상기 공기 정화수단은 상기 제 2 덕트(82)상에 설치된다. 상기 공기 정화수단은 상기 공기 순환수단에 의해 상기 제 1 영역(A)에서 제 1 덕트(70)를 통해 팬 모터를 거쳐 제 2 영역(B)으로 흐르는 공기를 습식을 이용하여 여과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공기 순환수단은 정화통(90)과, 봉(92)들 그리고 부직포(94)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정화통(90)은 상기 제 2 덕트(82)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정화통(90)의 일측에는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홀(90a)이 형성된다. 상기 정화통(90)에는 일정량의 물(96)이 담겨진다. 상기 봉(92)들은 상기 정화통(90)의 상단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부직포(94)들은 상기 봉(92)에 각각 걸쳐지되, 일단이 상기 물(96)에 잠기도록 설치된다. 상기 부직포(94)에는 물에 잠긴 일단을 통해 물이 흡수된다. 예컨대, 상기 홀(90a)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부직포(94)들을 통과한 후 상기 제 2 홀(24a)을 통해 제 2 영역(C)으로 흐르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기속의 유해물질인 이산화탄소는 상기 부직포(94)들을 거치면서 상기 부직포들의 물기와 반응하여 수용액으로 변하게 된다. 그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H2O + CO2= H2CO3(탄산) 또한, 이산화탄소 이외에 연기나 냄새들도 젖어있는 상기 부직포(94)들을 통과하면서 걸러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영역으로는 정화된 그리고 습도가 높은 공기가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구이장치(100)에서 구이판(54) 상부의 공기는 제 1 영역(A) → 제 1 덕트(20) → 팬 모터(80)로 흐르고, 팬 모터의 배출구에서 빠져 나온 공기는 제 2 덕트(82) → 정화통(90) → 제 2 영역(B) → 제 3,4 영역(C,D), 숯통의 내부 및 물통 → 제 5영역(E) → 구이판의 상부(F)로 연속적으로 순환한다. 이처럼 본 구이장치(100)는 구이판 상부(F)의 공기가 외통(10)과 차단판(20) 그리고 흡입링(60)에 의해 형성된 제 1 영역(A)으로 흡입된 후 곧바로 제 1 덕트(70)를 통해 팬 모터로 유입되기 때문에 공기 흡입력이 뛰어나다.
그리고, 본 고안의 구이장치(100)는 팬 모터에 의한 공기의 강제 순환에 의해 상기 구이판(60) 상부(F)에 발생되는 연기 및 냄새등의 유해물질이 함유된 불순공기를 강제로 흡입하고, 그 불순공기를 상기 제 2 덕트(82)에 설치된 정화통(90)을 통과시키므로서 제 2 영역(B)으로 정화된 그리고 습도가 높은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고기를 굽는 영역으로는 연기와 냄새가 제거된 습도가 높은 공기가 공급되므로 고기를 태우지 않고 고기의 맛을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
여기서 본 고안의 구조적인 특징은 외통에 고리 형상의 차단판을 설치하여, 외통 및 흡입링과 함께 제 1 영역을 형성하고, 이 제 1 영역과 팬 모터를 연결하는 제 1 덕트를 갖는데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구이장치(100)는 상기 공기 순환 수단에 의해서 공기가 상기 구이장치의 내부를 순환하도록 한다. 그 공기의 흐름을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순환 수단의 팬(80)을 작동시키면, 상기 구이판(60) 상부(F)의 공기(연소되고 유해물질이 함유된 공기)는 상기 흡입링(60)의 홀들(62)을 통하여 제 1 영역(A)으로 흡입된다. 이 공기들은 상기 제 1 덕트(70)를 통하여 상기 제 1 홀(14)을 통해 팬 모터로 흡입된 후 상기 제 2 덕트(82)로 배출된다. 상기 제 1 덕트(70)를 통해 상기 제 1 영역(A)으로부터 제 2 덕트(82)로 흐른 공기는 상기 정화통(90)의 부직포(94)들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기는 상기 부직포들(94)들을 통과하면서 필터링된다. 그리고 그 필터링된 공기는 상기 제 2 홀(16)을 통해 제 2 영역(B)으로 흐른다. 이때, 상기 제 2 영역(B)에서 공기의 흐름은 두 갈래로 나누어진다. 즉, 상기 공기 조절홀(46)을 통하여 숯통 내부를 거쳐 제 4 영역으로 형성되는 흐름과, 받침통(40)의 홀(44)을 통하여 제 3 영역(C)으로 형성되는 흐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2 영역(B)으로부터 제 3 영역(C)으로 흐르는 공기는 숯통(50)과 물통(30)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제 5 영역(E)으로 흐른다. 제 5 영역의 공기는 구이판(60)을 거쳐 다시 상기 제 1 영역(A)으로 흡입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이장치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구이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이장치(100)와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갖는 외통(10'), 물통(30), 받침통(40), 숯통(50), 구이판(54), 흡입링(60), 제 1 덕트(70), 공기 순환수단 그리고 공기 정화수단을 가지며, 이들에 대한 설명은 첫 번째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기에 본 실시예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구이장치의 제작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며, 제 1 실시예에서 제 1 영역(A)을 형성하기 위해 설치하였던 차단판(20)을 생략하고, 외통(10') 자체에 차단판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수평면(18)을 일체로 형성한 구조적인 특징을 갖는다.
도 3 및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외통(10)의 수평면(18)에는 제 1 홀(18a)이 형성된다. 상기 흡입링(60)은 상기 외통(10')의 윗면과 상기 수평면(18)에 놓여지며, 상기 외통(10')의 측면과 수평면(18)과 함께 제 1 영역(A)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덕트(70)는 상기 제 1 영역(A)과 상기 팬 모터(80)를 연결하는 통로로, 상기 외통(10')의 구조적인 특징에 의해서, 외통(10')의 외부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이장치(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동일한 상기 공기 순환 흐름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인 특징을 갖는 구이장치(100')는, 기존 외통에 비하여 외통 사이즈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제 2 실시예의 구이장치가 설치된 테이블은 테이블 밑의 여유 공간이 넓어진다. 따라서, 기존 구이장치가 설치된 테이블에 비해 공간이 넓기 때문에 테이블(구이장치가 설치된 테이블) 밑으로 사람이 다리를 편하게 뻗을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본 고안은 숯불 구이장치를 일 예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에서 내부 공기순환 방식을 위한 구조는 사각 및 원형의 가스 구이장치에서도 용이하게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의 공기 정화 수단은 가스 구이장치에서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구이판 상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가스 연소실로 공급하는 중간 단계의 공간에 상술한 바와 같은 공기 정화 수단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구이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덕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외통과 내통 사이의 공간을 통해 순환되는 구조에 비하여 흡입력이 좋다. 따라서, 실내공간으로 빠질 수 있는 공기의 양이 줄어들어 실내 공기의 혼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순환되는 공기에 함유된 연기와 냄새를 효과적으로 필터링 할 수 있다. 그리고 기존에 비하여 외통 사이즈를 축소시킬 수 있어, 테이블 밑의 여유 공간을 넓힐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내통이 불필요함으로 부품 감소에 따른 자재비 절감과 조립이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 구이장치에 있어서:상단에 제 1 홀이 형성된 수평면과, 제 2 홀이 형성된 바닥면을 갖는 외통과;상기 외통의 윗면과 상기 수평면에 놓임으로써 상기 외통의 측면 및 수평면과 함께 제 1 영역을 형성하는 흡입링과;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외측과 내측, 상기 흡입링에 걸쳐지는 플랜지를 갖는 그리고 상기 외통의 내부에 놓여지는 물통과;상기 외통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제 3 홀들이 형성된 측면과, 다수의 공기 조절홀들이 형성된 상면을 갖는 받침통과;상기 물통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받침통에 놓여지는 숯통과;유입구와 유출구를 갖고 상기 외통의 외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구이장치 내부에서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팬 모터와;상기 외통의 외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홀과 상기 팬 모터의 유입구를 연결하는 제 1 덕트와;상기 팬 모터의 유출구와 상기 제 2 홀을 연결하는 제 2 덕트와;상기 제 2 덕트상에 설치되고 상기 팬 모터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여과 수단은 상기 팬 모터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홀이 형성된 측면을 갖고 내부에는 물이 수용되는 정화통과; 물기를 갖도록 일부가 물에 잠긴 상태로 상기 정화통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홀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다수의 필터들을 구비하여, 공기는 상기 필터들을 통과하면서 공기속에 포함된 유해물질이 상기 필터의 물기와 반응하여 수용액으로 변함으로서 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숯통에 담겨진 숯을 착화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되;상기 받침통에 설치되는 버너와;상기 버너에 연결되는 가스 공급 라인 및;상기 버너로부터 분사되는 가스를 점화하고, 가스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06183U KR200196661Y1 (ko) | 2000-03-06 | 2000-03-06 | 구이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06183U KR200196661Y1 (ko) | 2000-03-06 | 2000-03-06 | 구이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96661Y1 true KR200196661Y1 (ko) | 2000-09-15 |
Family
ID=19645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06183U KR200196661Y1 (ko) | 2000-03-06 | 2000-03-06 | 구이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96661Y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75622A (ko) * | 2001-03-26 | 2002-10-05 | 김세웅 | 고기 구이장치 |
KR100464922B1 (ko) * | 2002-09-19 | 2005-01-13 | (주)윤창 | 전기구이기 |
KR200459644Y1 (ko) * | 2009-09-09 | 2012-04-16 | (주)오니코리아 | 육류 구이기 |
KR101431508B1 (ko) | 2013-04-18 | 2014-08-21 | 이민호 | 자동 공기순환 덕트장치 |
KR20200044658A (ko) * | 2018-10-19 | 2020-04-29 | 주식회사 모닝아트 | 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공기 순환식 로스터 |
-
2000
- 2000-03-06 KR KR2020000006183U patent/KR20019666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75622A (ko) * | 2001-03-26 | 2002-10-05 | 김세웅 | 고기 구이장치 |
KR100464922B1 (ko) * | 2002-09-19 | 2005-01-13 | (주)윤창 | 전기구이기 |
KR200459644Y1 (ko) * | 2009-09-09 | 2012-04-16 | (주)오니코리아 | 육류 구이기 |
KR101431508B1 (ko) | 2013-04-18 | 2014-08-21 | 이민호 | 자동 공기순환 덕트장치 |
KR20200044658A (ko) * | 2018-10-19 | 2020-04-29 | 주식회사 모닝아트 | 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공기 순환식 로스터 |
KR102208632B1 (ko) | 2018-10-19 | 2021-01-28 | 주식회사 모닝아트 | 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공기 순환식 로스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03836B1 (ko) | 유증기 및 연기 정화 순환시스템을 구비한 전기구이기 | |
KR100817960B1 (ko) | 무연 로스터 | |
KR200196661Y1 (ko) | 구이장치 | |
CN205842813U (zh) | 一种无烟锅 | |
KR19990022243U (ko) | 구이장치 | |
KR200157723Y1 (ko) | 숯불구이 로스터 | |
KR20180064640A (ko) | 가정용음식연기제거장치 | |
JPS63267854A (ja) | 排煙処理装置 | |
KR0170361B1 (ko) | 육류구이용 로스터 | |
KR101967852B1 (ko) | 에어커튼이 형성되는 구이테이블 | |
JP2000201826A (ja) | 無煙ロ―スタ― | |
JP4677147B2 (ja) | 無煙ロースター | |
KR200321502Y1 (ko) | 정화장치가 구비된 공기 순환식 숯불 구이기 | |
JP3805328B2 (ja) | 排煙機能付ロースター | |
KR200214878Y1 (ko) | 배기순환식 고기구이기 | |
KR200315623Y1 (ko) | 구이장치 | |
CN209213952U (zh) | 一种集成化厨房油烟处理装置 | |
JP2000189326A (ja) | ロ―スタ―及び排煙方法 | |
JP3509739B2 (ja) | 調理器 | |
CN216534995U (zh) | 无烟烤盘 | |
JPS6018727Y2 (ja) | 調理器の消臭装置 | |
KR200166298Y1 (ko) | 콤펙트한 고기구이기 | |
KR200271676Y1 (ko) | 로스터의 연소공기 정화구조 | |
KR200366219Y1 (ko) | 조리기용 찜솥구조 | |
KR200348574Y1 (ko) | 휴대용 가스렌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0707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