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5623Y1 - 구이장치 - Google Patents

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5623Y1
KR200315623Y1 KR20-2003-0006435U KR20030006435U KR200315623Y1 KR 200315623 Y1 KR200315623 Y1 KR 200315623Y1 KR 20030006435 U KR20030006435 U KR 20030006435U KR 200315623 Y1 KR200315623 Y1 KR 2003156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air
outer cylinder
circulation motor
air
ro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64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수산
Original Assignee
최수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수산 filed Critical 최수산
Priority to KR20-2003-00064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56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56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56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점 등에서 테이블에 설치하고, 숯을 사용하여 육류, 어패류 등을 조리하기 위한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이장치는 본체의 개방된 윗면으로부터 올라오는 연소공기를 강제로 모아서 순환모터로 제공하는 집연(輯煙) 장치와, 상기 집연장치를 통해 상기 순환모터로 제공되는 연소공기의 살균 및 탈취를 위한 1차 정화장치를 갖는다.

Description

구이장치{A ROASTER}
본 고안은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음식점 등에서 테이블에 설치하고, 숯을 사용하여 육류, 어패류 등을 조리하기 위한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 등에서 사용하는 구이장치는 테이블 중앙에 위치하여 육류 또는 어패류 등을 요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이장치를 통하여 육류를 조리할 경우 육류는 버너의 화력 또는 숯에 의해 직접 또는 복사열에 의해 간접적으로 가열되면서 익게 된다.
종래 구이장치는 가스 연소실 또는 숯불 등의 발화체 상부에 그릴이 안착되고, 상기 발화체로부터 상승하는 열기가 그릴에 놓인 육류를 가열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때, 육류 가열시 발생되는 냄새와 연기는 구이장치 상부의 실내공간으로 배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구이 장치의 상부에 배기덕트를 설치하여 외부로 연기와 냄새를 배출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는 육류가열시 발생되는 냄새와 연기를 포함하는 연소공기가 내부로 순환되면서 연소실내에 재 공급되도록 실내에 육류를 굽는 냄새나 연기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내부 순환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구이장치는 공기가 순환될 때, 구이 대상물이 익거나 타면서 발생되는 연기와 냄새도 함께 순환된다. 이때, 구이판 위에 놓인 구이 대상물에는 순환되는 공기의 연기와 냄새가 스며들어 배게 된다. 결국, 순환되는 공기에 포함된 연기와 냄새로 인해 구이 대상물의 맛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내부 순환식 구이장치는 연소공기가 구이판 상부의 흡입링을통해 외통과 내통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후, 외통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순환모터쪽으로 제공되었다. 이처럼, 기존의 순환식 구이장치는 내부 순환을 위해 외통 안쪽에 내통을 설치함으로써 구이장치의 크기가 커질 수 밖에 없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실내로 연기가 확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있는 구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순환되는 공기에 함유된 연기와 냄새를 효과적으로 제거 할 수 있는 구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내통이 필요 없는 새로운 형태의 구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이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이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이장치에서 오존발생기의 장착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이장치의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본체
130 : 집연장치
140 : 순환 모터
150 : 오존발생기
160 : 2차 정화장치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구이장치는 윗면이 개방된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부에 놓이는 물통과, 상기 물통 내측에 위치되는 가열 수단과; 상기 외통의 외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구이장치 내부에서의 강제 공기 순환을 위한 순환모터와; 상기 외통의 개방된 윗면으로부터 올라오는 연소공기를 강제로 모아서 상기 순환모터로 제공하는 집연(輯煙) 장치와; 상기 집연장치를 통해 상기 순환모터로 제공되는 연소공기의 살균 및 탈취를 위한 1차 정화장치를 갖는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집연장치는 상기 외통의 개방된 윗면 상부에 위치되는 깔데기 모양의 후드(hood) 및; 상기 후드에 연결되고 연소공기를 상기 순환모터로 제공하기 위한 파이프를 포함하되; 상기 파이프는 상기 후드의 위치를 자유자재로 변경할 수 있도록 자바라(flexsible pipe)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1차 정화장치는 고전압을 발생하는 고전압발생기와, 상기 고전압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고전압을 받아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전극을 갖는 오존발생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순환모터와 상기 집연장치를 연결하는 그리고 상기 집연장치로부터 제공된 연소공기가 상기 순환모터로 흡입되기 전에 연소공기가 일시적으로 머무르는 그리고 상기 오존발생기가 설치되는 버퍼 탱크를 더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구이장치는 상기 순환모터로부터 상기 외통으로 제공되는 연소공기를 여과(정화)하기 위한 2차 정화 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2차 정화장치는 상기 순환모터로부터 연소공기가 유입되는 홀을 갖는 그리고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정화통 및; 물기를 갖도록 일부가 상기 물에 잠긴 상태로 상기 정화통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그리고 상기 홀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다수의 필터들을 구비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 상기 도면들에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병기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이장치(100)는 크게 본체, 순환모터, 집연장치, 1차 정화장치, 2차 정화 장치 그리고 버퍼 탱크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10)는 외통(112), 플랜지 링(114), 물통(116), 숯통(118), 구이판(120), 버너(122) 그리고 받침통(124)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통(112)은 음식점 등의 테이블(150)에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외통(112)은 상기 테이블(150)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삽입되고, 상기 외통 플랜지(112a)가 상기 테이블(150)에 놓이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외통은(112)은 윗면이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플랜지 링(114)은 상기 외통(112)에 얹혀진다. 상기 플랜지 링(114)에는 다수의 관통공(114a)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이판(120)은 윗면에 구이 대상물이 놓인다. 상기 구이판(120)은 상기 물통(116) 위에 놓여진다. 상기 물통(116)은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외측과 내측을 갖는다. 상기 물통(116)은 상기 외통(112)의 내부에서 상기 플랜지 링(114)에 놓인다. 상기 물통 내측에는 상기 숯통(118)이 삽입된다.
한편, 상기 받침통(124)은 상기 외통(112)의 바닥면 중앙에 설치된다. 상기 받침통(112)에는 다수의 홀(124a)들이 형성되며, 그 내측에는 버너(122)가 설치된다. 상기 숯통(118)은 내부에 숯을 담도록 형성된다. 상기 숯통(118)은 상기 물통 내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받침통(124)에 놓여진다. 상기 버너(122)는 상기 숯통 아래에 위치된다.
상기 집연 장치(130)는 상기 외통의 개방된 윗면으로부터 올라오는 연소공기를 강제로 모아서 상기 순환모터(140)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 집연(輯煙) 장치(130)는 상기 외통(112)의 개방된 윗면 상부에 위치되는 깔데기 모양의 후드(hood;132)와 상기 후드(132)에 연결되고 연소공기를 상기 순환모터로 제공하기 위한 파이프(13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134)는 상기 후드의 위치를 자유자재로 변경할 수 있도록 자바라(flexsible pipe)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바라(134)의 타단은 본체의 측면에 부착된 버퍼통(탱크;136)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버퍼통(136)은 상기 연소공기가 상기 순환모터(140)로 흡입되기 전에 일시적으로 머무르는 공간이다.
상기 버퍼통(136)의 일측에는 상기 순환모터(14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버퍼통(136)의 내부에는 1차 정화 장치(1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1차 정화장치(150)는 상기 집연장치(130)의 자바라를 통해 상기 버퍼통(136)으로 제공된 연소공기를 살균 및 탈취한다. 이 1차 정화 장치(150)는 고전압을 발생하는 고전압발생기와, 상기 고전압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고전압을 받아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전극을 갖는 오존발생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오존발생기(150)는 상기 고정압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고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오존의 발생율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존발생기의 오존발생전극은 상기 버퍼통의 양측면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오존발생기(150)는 연소공기가 상기 자바라(134)를 통해 상기 버퍼통(136)으로 유입되면, 고전압 발생기로부터 오존 발생전극에 고정압을 인가하여 공기중의 산소를 전리시켜 오존을 생성시킨다. 이 오존은 악취 성분과 반응하여 악취와 세균 성분을 분해 제거하게 된다.
이렇게 냄새와 세균이 제거된 연소공기는 상기 순환모터(140)를 통해 상기 2차 정화장치(160)로 제공된다.
한편, 상기 2차 정화장치(160)는 상기 버퍼통(136)에서 1차로 정화된 연소공기를 상기 본체(110)로 공급하기 전에 습식을 이용하여 여과한다. 상기 2차 정화 장치(160)는 정화통(162), 물통(164), 그리고 부직포(166)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정화통(162)은 상기 본체(110)의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정화통(162)의 일측에는 상기 순환 모터(140)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홀(162a)이 형성되고, 상기 정화통(162)에는 일정량의 물이 담겨진 물통(164)이 설치된다. 상기 부직포(166)들은 일단이 상기 물에 잠긴 상태에서 수직하게 설치된다. 상기 부직포(166)에는 물에 잠긴 일단을 통해 물이 흡수된다.
이처럼 연소공기가 상기 2차 정화장치를 통과할 때, 상기 공기속의 유해물질인 이산화탄소는 상기 부직포(166)들을 거치면서 상기 부직포들의 물기와 반응하여 수용액으로 변하게 된다. 그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H2O + CO2= H2CO3(탄산)
또한, 이산화탄소 이외에 연기나 냄새들도 젖어있는 상기 부직포(166)들을 통과하면서 걸러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10)로는 정화된 그리고 습도가 높은 깨끗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구이장치(100)에서는 공기 차단판(192), 작동 링크(194;도 2) 그리고 조작 레버(미도시됨)로 이루어진 통상적인 공기조절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공기조절수단은 공기 조절홀을 열고 닫아서 상기 숯통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한다.
도 4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구이장치에서의 공기 흐름을 화살표로 잘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구이장치(10)에서의 공기 순환 및 공기 정화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 순환 수단인 순환 모터(140)를 작동시키면, 상기 구이판(120) 상부에 발생되는 연기 및 냄새등의 유해물질이 함유된 연소공기는 순환 모터(140)에 의해 상기 집연 장치(130)의 후드(132)를 통해 상기 버퍼통(136)으로 강제로 흡입된다. 이때, 상기 구이판(120) 상부로부타 발생되는 연소공기는 상기 플랜지 링(114)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배출공(114a)들로부터 뿜어져 나오는 공기에 의해 중앙으로 모여지게 된다. 이렇게 강제로 중앙에 모여진 연소공기는 상기 집연장치(130)의 후드(132)를 통해 강제 흡입된다. 따라서, 연소공기가 실내로 퍼져나가는 확률은 극히 미약하기 때문에 실내가 오염되는 것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집연장치(130)를 통해 상기 버퍼통(136)으로 제공된 연소공기는 오존발생기(150)에 의해 탈취 및 살균된다. 이렇게 오존 발생기(150)에 의해 탈취 및 살균된 연소공기는 순환 모터(140)를 통해 2차 정화장치(160)를 통과하게 된다. 연소공기는 2차 정화장치(160)의 물기를 먹은 부직포(166)을 통하면서 기름기가 걸러지고 습도가 높은 공기로 정화되게 된다. 결국, 고기를 굽는 영역(본체)으로는 연기와 냄새가 제거된 습도가 높은 깨끗한 공기가 공급되므로 고기를 태우지 않고 고기의 맛을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고안의 구조적인 특징은 본체 상부에서 연소공기를 강제 흡입하는 집연장치를 갖는데 있다. 또 다른 특징은 연소공기를 탈취 및 살균하기 위한 오존발생기를 갖는데 있다. 또 다른 특징은 연소공기를 습식정화방식을 이용하여 정화하는데 있다.
예컨대, 본 고안은 숯불 구이장치를 일예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은 가스 구이장치에서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의 집연장치 및 공기정화장치들은 가스 구이장치에서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구이판 상부에서 후드를 사용하여 연소공기를 강제 흡입하기 때문에 실내를 보다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연소공기는 오존발생기에 의해 1차로 탈취 및 살균되고, 공기속에 포함된 기름기 등의 유해물질들은 물에 적은 여과포를 통과하면서 2차로 정화된다. 따라서 연소공기의 정화효율이 매우 뛰어난 제품이다.
특히, 대류에 의해서 구이진행중인 구이판으로 공기가 여과포들을 거치면서 여과포들의 수분이 지속적으로 수증기 형태로 공급된다. 따라서, 구이 대상물의 수분 감소 및 과열에 의해 구이 대상물이 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5)

  1. 구이장치에 있어서:
    윗면이 개방된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부에 놓이는 물통과;
    상기 물통 내측에 위치되는 가열 수단과;
    상기 외통의 외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구이장치 내부에서의 강제 공기 순환을 위한 순환모터와;
    상기 외통의 개방된 윗면으로부터 올라오는 연소공기를 강제로 모아서 상기 순환모터로 제공하는 집연(輯煙) 장치와;
    상기 집연장치를 통해 상기 순환모터로 제공되는 연소공기의 살균 및 탈취를 위한 1차 정화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연장치는
    상기 외통의 개방된 윗면 상부에 위치되는 깔데기 모양의 후드(hood) 및;
    상기 후드에 연결되고 연소공기를 상기 순환모터로 제공하기 위한 파이프를 포함하되;
    상기 파이프는 상기 후드의 위치를 자유자재로 변경할 수 있도록 자바라(flexsible pipe)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정화장치는 고전압을 발생하는 고전압발생기와, 상기 고전압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고전압을 받아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전극을 갖는 오존발생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순환모터와 상기 집연장치를 연결하는 그리고 상기 집연장치로부터 제공된 연소공기가 상기 순환모터로 흡입되기 전에 연소공기가 일시적으로 머무르는 그리고 상기 오존발생기가 설치되는 버퍼 탱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모터로부터 상기 외통으로 제공되는 연소공기를 여과(정화)하기 위한 2차 정화 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2차 정화장치는
    상기 순환모터로부터 연소공기가 유입되는 홀을 갖는 그리고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정화통 및;
    물기를 갖도록 일부가 상기 물에 잠긴 상태로 상기 정화통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그리고 상기 홀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다수의 필터들을 구비하여,
    연소 공기가 상기 정화통상에 설치된 상기 필터들을 통과하면서 그 공기속에 포함된 유해물질이 상기 필터의 물기와 반응하여 수용액으로 변함으로서 여과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윗면으로부터 올라오는 연소공기가 실내로 퍼지려는 것을 중앙으로 모아주도록 외통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으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들을 갖는 플랜지 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장치.
KR20-2003-0006435U 2003-03-05 2003-03-05 구이장치 KR2003156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435U KR200315623Y1 (ko) 2003-03-05 2003-03-05 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435U KR200315623Y1 (ko) 2003-03-05 2003-03-05 구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5623Y1 true KR200315623Y1 (ko) 2003-06-09

Family

ID=49408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6435U KR200315623Y1 (ko) 2003-03-05 2003-03-05 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562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038B1 (ko) 2012-08-28 2015-01-02 히로후미 시나가와 무연 그릴
KR20190069296A (ko) * 2017-12-11 2019-06-19 김통일 정화 효율성을 향상시킨 구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038B1 (ko) 2012-08-28 2015-01-02 히로후미 시나가와 무연 그릴
KR20190069296A (ko) * 2017-12-11 2019-06-19 김통일 정화 효율성을 향상시킨 구이장치
KR102113730B1 (ko) * 2017-12-11 2020-05-21 김통일 정화 효율성을 향상시킨 구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3836B1 (ko) 유증기 및 연기 정화 순환시스템을 구비한 전기구이기
TWI270360B (en) Electrothermal smokeless roaster
KR101550261B1 (ko)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주방용 후드
US20060150965A1 (en) Exhausting and cooling system for cooking utensil
KR101663962B1 (ko) 공기정화기의 악취 제거장치
CN111237690A (zh) 一种杀菌灭蚊空气净化led灯及控制方法
KR100823674B1 (ko) 고기 구이기의 후드 및 탈취장치
JP2006322648A (ja) 室内循環型レンジフードファン
JPH06347047A (ja) 煙の浄化システム
CN205842813U (zh) 一种无烟锅
KR200315623Y1 (ko) 구이장치
KR19990022243U (ko) 구이장치
KR100690048B1 (ko) 공기 정화기
JP2005283060A (ja) 厨房用循環型空気処理装置
KR20190108249A (ko) 공기 집진기
KR200196661Y1 (ko) 구이장치
KR0138630Y1 (ko) 육류 구이용 가스 로스터
KR102306756B1 (ko)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0643783B1 (ko) 무연 쑥 훈증기
KR100582452B1 (ko) 고기구이기의 제연 정화장치
KR20090021750A (ko) 환기장치
KR200367508Y1 (ko) 고기구이기의 제연 정화장치
JPH09178237A (ja) 消臭機能付きレンジフード
CN217365024U (zh) 一种消毒衣柜
CN216592119U (zh) 一种室内空气净化器用杀菌净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2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