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3783B1 - 무연 쑥 훈증기 - Google Patents

무연 쑥 훈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3783B1
KR100643783B1 KR1020040090784A KR20040090784A KR100643783B1 KR 100643783 B1 KR100643783 B1 KR 100643783B1 KR 1020040090784 A KR1020040090784 A KR 1020040090784A KR 20040090784 A KR20040090784 A KR 20040090784A KR 100643783 B1 KR100643783 B1 KR 100643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wort
wormwood
steam
fumigation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0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5161A (ko
Inventor
박종오
Original Assignee
박종오
(주) 파마코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오, (주) 파마코디자인 filed Critical 박종오
Priority to KR1020040090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3783B1/ko
Publication of KR20060045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5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3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3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10Devices on tubs for steam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0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caused by chemical reaction, e.g. moxabur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8Cupping glasses, i.e. for enhancing blood circ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Suction c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lasma & Fus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연 쑥 훈증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쑥 훈증기는, 개폐문이 일측에 설치되어 있고, 개폐문에 대응되도록 쑥연소실이 형성되어 있으며,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쑥연소실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쑥연소장치와; 쑥연소실에 연결되어 쑥증기를 이송하고, 내부에 송풍기가 설치되어 있는 이송관과; 이송관에 연결되어 있고, 바닥면이 사람의 피부와 접하면서 생기는 내부 공간에서 쑥증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배출관이 연결되어 있는 훈증컵과; 배출관이 연결되어 있고, 체크밸브에 의해 쑥증기가 제1필터부 또는 제2필터부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제1필터부는 쑥증기를 여과시킨 후 순환관을 통해 쑥연소실로 보내고, 제2필터부는 쑥증기를 여과, 탈취시킨 후 배출구로 배출하되 공기배출장치가 설치되어 쑥증기를 강제 배출하도록 되어 있는 제연정화장치와;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쑥연소장치와 제연정화장치의 체크밸브와 공기배출장치의 작동을 조절하는 컨트롤장치;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작동시 냄새나 연기가 나지 않고, 적은 양의 쑥으로 많은 약효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편리한 쑥 훈증기가 제공된다.
쑥, 훈증기, 냄새, 여과, 정화

Description

무연 쑥 훈증기{THE SMOKELESS MUGWORT FUMIGATOR}
도 1은 종래의 쑥 훈증기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무연 쑥 훈증기를 나타낸 부분절단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훈증기에서 쑥증기가 순환하는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밞여 훈증기에서 쑥증기가 배출되는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 무연 쑥 훈증기의 또다른 모습을 나타낸 부분절단 사시도.
도 6은 또다른 훈증기에서 쑥증기가 순환하는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또다른 훈증기에서 쑥증기가 배출되는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훈증기에 분배기가 설치되어 있는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 : 케이스 11 : 개폐문
12 : 쑥연소실 13 : 배출구
20 : 쑥연소장치 21 : 거치대
22 : 발열체 30 : 이송관
31 : 송풍기 32 : 열선
40 : 훈증컵 41 : 외컵
42 : 내컵 50 : 배출관
60 : 제연정화장치 61 : 체크밸브
62 : 제1필터부 62a : 순환관
63 : 제2필터부 64 : 공기배출장치
70 : 컨트롤장치 71 : 조작버튼
80 : 공기흡입장치 81 : 공기흡입관
90 : 분배기
100 : 피부
본 발명은 무연 쑥 훈증기에 관한 것이다.
쑥 훈증기는 쑥을 태울 때 생기는 쑥증기를 피부에 쏘이게 함으로써 치료 및 건강증진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쑥 연소시 발생하는 냄새는 주변에 불쾌감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배출되는 쑥증기를 여과탈취기에 연결한 '쑥뜸찜기 조합체'(한국 등록특허 제10-0336423호)가 안출되었다.
또, 가열시간을 조절해 연기가 나지 않고 쑥진의 발생을 줄이도록 되어 있는 '쑥훈증기'(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60549호)가 안출되기도 하였다.
그런데, 위와 같은 장치들은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한 후 배출되는 쑥증기에 약효성분이 상당량 포함되어 쑥 소모량이 많고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 외부로 냄새 등이 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는 필터의 소모량이 많아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훈증컵을 사용자의 피부에 고정시킬 수 없게 되어 있어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무연 쑥 훈증기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연소된 쑥증기가 계속 순환하면서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적은 양의 쑥으로 환자의 피부에 충분한 약효 성분을 공급하도록 하려는 목적이 있다.
또, 쑥증기 순환시 제1필터부에서 이물질이 걸러지고, 외부 배출시는 제2필터부에서 다단계의 필터를 거쳐 냄새와 이물질이 걸러지게 한후 쑥증기를 배출시켜 냄새를 최소화 하려는 목적도 있다.
또한, 이중 구조로 된 훈증컵을 사용자의 피부 부위에 부착시켜 훈증컵의 쑥증기가 외부로 새나가지 않고, 고정이 잘 되게 하며 외컵과 내컵 사이 공간에서는 부항의 효과를 갖게 하려는 목적도 있다.
본 발명은 무연 쑥 훈증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쑥 훈증기는 밀폐식 순환구조로 되어 있어 쑥증기가 계속 순환하면서 사용자의 피부에 약효 성분을 공급하게 된다.
또, 쑥증기 배출시에도 다단계의 필터를 거쳐 배출되므로 냄새가 적어진다.
또한, 훈증컵이 이중구조로 되어 피부에 고정되어 훈증컵 내부의 쑥증기가 외부로 새나가지 않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무연 쑥 훈증기는, 쑥을 집어 넣는 개폐문이 일측에 설치되어 있고, 개폐문에 대응되도록 내부에 쑥연소실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쑥연소실 내부에 설치되어 쑥을 연소시키는 쑥연소장치와; 하단이 쑥연소실 상부에 연결되어 있어 쑥연소장치의 작동에 의해 발생된 쑥증기를 이송하고, 내부에 송풍기가 설치되어 있는 이송관과; 이송관 상단에 연결되어 있고, 바닥면이 사람의 피부와 접하면서 생기는 내부 공간에서 쑥증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순환한 쑥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이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훈증컵과; 배출관이 상부에 연결되어 있고, 배출관을 따라 이동하는 쑥증기가 체크밸브에 의해 제1필터부 또는 제2필터부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제1필터부는 쑥증기를 여과시킨 후 순환관을 통해 쑥연소실로 보내고, 제2필터부는 쑥증기를 여과, 탈취시킨 후 배출구로 배출하되 공기배출장치가 설치되어 쑥증기를 강제 배출하도록 되어 있는 제연정화장치와; 쑥연소장치와 제연정화장치와 송풍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쑥연소장치와 제연정화장치의 체크밸브와 공기배출장치의 작동을 조절하는 컨트롤장치;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케이스(10)는 일측에 쑥을 집어 넣는 개폐문(11)이 설치되어 있고, 개폐문(11)에 대응되도록 내부에 쑥연소실(12)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배출구(13)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스(10)는 금속, 플라스틱, 도기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나 특히 쑥연소실(12) 내부는 고온이기 때문에 내열 내화성이 강한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쑥연소장치(20)는 케이스(10)의 쑥연소실(12)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 개폐문(11)으로 들어온 쑥을 가열 연소시킨다.
쑥연소장치(20)의 예로는,
개폐문(11)을 통해 넣어지는 쑥이 거치되는 거치대(21)와;
거치대(21)를 가열시켜 거치대(21)에 놓여진 쑥을 가열하는 발열체(22);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이송관(30)은 하단이 쑥연소실(12) 상부에 연결되어 있어 쑥연소장치(20)의 작동에 의해 발생된 쑥증기를 이송하고, 내부에 송풍기(31)가 설치되어 있다.
내부에 설치된 송풍기(31)는 이송관(30)을 따라 이동하는 쑥증기의 이동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한 것이다.
송풍기(31)는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형태의 송풍기(31)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훈증컵(40)은 이송관(30) 상단에 연결되어 있고, 바닥면이 사람의 피부(100)와 접하면서 생기는 내부 공간에서 쑥증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순환한 쑥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50)이 일측에 연결되어 있다.
훈증컵(40)은 공지되어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간단한 컵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보다 개선하여,
외컵(41)과 내컵(42)의 이중구조로 되어 있고, 외컵(41)과 내컵(42)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송관(30)과 배출관(50)이 내컵(42)에 연결되어 내컵(42) 내부 공간에서 쑥증기가 순환하도록 구성하고,
공기흡입관(81)이 외컵(41)과 내컵(42) 사이의 공간에 연결되어 있고, 케이스(10) 내부에 공기흡입관(81)과 연결된 공기흡입장치(80)를 두어 공기흡입관(81)을 통해 외컵(41)과 내컵(42) 사이의 공기를 빨아들여 외컵(41)과 내컵(42) 바닥면이 사용자의 피부(100)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훈증컵(40)이 사용자의 피부(100)에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 쑥 훈증기를 사용할 때 훈증컵(40)이 피부에 잘 밀착 되어 내컵(42) 내부의 쑥증기가 외부로 새나가지 않게 되어 보다 편리해 진다.
더불어 외컵(41)과 내컵(42) 사이 공간에서는 부항의 효과까지 얻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제연정화장치(60)는 배출관(50)이 상부에 연결되어 있고 배출관(50) 끝단에 체크밸브(61)가 설치되어 있으며, 체크밸브(61)에서 관이 둘러 나뉘어져 있다.
나뉘어진 관의 하나는 제1필터부(62)에 연결되어 있고, 나머지 다른 하나는 제2필터부(63)에 연결되어 있다.
즉, 체크밸브(61)의 구동에 따라 배출관(50)을 따라 이동한 쑥증기가 제1필터부(62)나 제2필터부(63)로 이동하는 것이다.
먼저 제1필터부(62)는 훈증컵(40)과 사용자의 피부(100) 사이 공간에서 순환한 쑥증기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간단한 망구조의 섬유질 필터로 되어 있다.
제2필터부(63)는 쑥증기가 외부로 배출될 때 지나가도록 되어 있으며 제2필터부(63)는 다단계의 필터가 설치되어 있다.
제2필터의 구성 예로는 제1필터와 같은 망 구조의 여과필터와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필터로 구성할 수 있다.
탈취필터로 세라믹, 숯, 흑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2필터부(63)는 위와 같은 구성 이외에도 내부에 위에서 설명한 세라믹, 숯, 흑연 등이 담긴 물통을 구비하고 체크밸브(61)에서 갈라진 관의 일부를 물통에 집어 넣은 후 다른 관의 일측 끝은 물통에, 타측 끝은 배출구(13)에 연결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때, 제2필터부(63)의 하부에는 공기배출장치(64)가 설치되어 있는데, 공기배출장치(64)는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공기배출장치(64)를 사용하면 되므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위와 같이 제2필터부(63)에 공기배출장치(64)를 두어 강제적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통상의 방법으로는 쑥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3)와 쑥연소실(12)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공기투입구를 형성하여 쑥연소실(12)로 계속 공기가 투입되고, 연소된 쑥증기는 배출구(13)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그런데 위와 같이 구성할 경우 공기 투입구를 통해 쑥연소실(12)의 쑥증기 등의 연기가 스며 나와 냄새가 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냄새를 완전히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쑥연소장치(20) 가동시 쑥연소실(12) 내부로 외부에서 공기가 스며들어가지 않도록 쑥연소실(12)에는 별도의 공기투입구를 형성하지 않은 것이다.
결국, 공기배출장치(64)를 가동하게 되면 쑥연소실(12)과 이송관(30), 배출관(50) 등에 있는 공기가 전부 공기배출장치(6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쑥연소실(12), 이송관(30), 배출관(50) 등에는 공기가 없는 상태가 되고,
쑥을 연소시키기 위해 개폐문(11)을 여는 순간 쑥연소실(12)과 이송관(30), 배출관(50)에 공기가 공급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컨트롤장치(70)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있고, 쑥연소장치(20), 제연정화장치(60), 송풍기(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각각의 작동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또, 조작버튼(71)이 케이스 외부로 나와 있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한 컨트롤장치(70)의 작동 예로서,
일정 시간 동안 쑥연소장치(20)를 작동시켜 쑥을 연소시키면서 제연정화장치(60)의 체크밸브(61)를 조정해 배출관(50)을 따라 이동하는 쑥증기가 제연정화장치(60)의 제1필터부(62)로 유입되어 쑥증기가 계속 순환하도록 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체크밸브(61)를 조정해 쑥증기가 제2필터부(63)로 유입되도록 하며, 이때 제2필터부(63)의 공기배출장치(64)를 작동시켜 내부 공기를 강제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은 컨트롤장치(70)에 타이머가 내장되어 있는 것으로 타이머가 컨트롤장치(70) 내부에 위치하는 것은 도면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그런데, 꼭 타이머에 의해서만 컨트롤장치(70)가 구동되는 것은 아니며 센서에 의해 구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쑥연소실(12) 내부에 산소센서를 설치해 쑥연소장치(20)의 작동 시작 후 쑥연소실(12)에 산소가 더이상 공급되지 않게 되면 쑥연소장치(20)의 가동을 중단시키고,
체크밸브(61)와 공기배출장치(64)의 작동와 같이 타이머의 작동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산소센서를 설치하는 이유는 본 발명의 쑥연소실(12)에 별도의 공기투입구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연소시 외부 공기가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쑥연소실(12)과, 이송관(30), 배출관(50) 상의 산소가 없어지게 되면 쑥이 더이상 연소되지 않기 때문에 그 이후 쑥을 가열하지 않기 위해서이다.
또, 공기흡입장치(80)와 공기흡입관(81)이 더 구비되어 구성할 때는 공기흡입장치(80)와 컨트롤장치(70)가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가 조작버튼(71)을 조작하게 되면 공기흡입장치(80)가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이송관(30)의 외주면에 열선(32)을 설치하고, 열선(32)을 컨트롤장치(70)와 연결하여 쑥연소장치(20)의 가동이 중지된 상태에서 순환하는 쑥증기가 빨리 식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때의 컨트롤장치(70)는 열선(32)의 작동을 조절하게 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케이스(10) 상부에 분배기(90)를 설치하고 분배기(90)로 이송관(30), 배출관(50), 공기흡입관(81)을 여러 가닥으로 나누게 되면 하나의 쑥연소장치(20)를 이용해 여러 개의 훈증컵(40)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분배기(90) 내부의 자세한 구조는 쉽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개폐문(11)을 연후 쑥연소실(12)에 쑥을 거치시켜 놓고 개폐문(11)을 닫는다.
개폐문(11)을 닫게 되면 쑥연소실(12)과 연결된 이송관(30), 배출관(50) 등은 외부와 차단된 상태가 된다.
컨트롤장치(70)를 통해 쑥연소장치(20)를 가동시키면 쑥연소장치(20)가 쑥을 연소시키게 된다.
쑥은 쑥연소실(12) 내부의 산소가 없어지면 더이상 연소하지 않게 된다.
이때, 컨트롤장치(70)는 타이머나 산소센서에 의한 반응으로 쑥연소장치(20)의 작동을 중단시켜 쑥연소장치(20)가 과열되지 않게 된다.
쑥연소장치(20)에서 발생한 쑥증기는 이송관(30)을 따라 훈증컵(40)으로 이동하는데 이송관(30) 중간에 설치되어 있는 송풍기(31)에 의해 보다 빠르게 순환하게 된다.
훈증컵(40)과 사용자의 피부(100) 사이 공간에서 순환하는 쑥증기는 훈증컵(40)에 연결된 배출관(50)을 따라 제연정화장치(60)로 이동한다.
이때 제연정화장치(60)의 체크밸브(61)는 제1필터부(62)를 개방시킨 상태이며, 쑥증기는 제연정화장치(60)의 제1필터부(62)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후 순환관(62a)을 따라 다시 쑥연소실(12)로 이동한다.
결국, 쑥연소장치(20)는 내부의 산소양만큼 쑥을 연소시키고, 쑥증기는 송풍기(31)에 의해 빠른 속도로 반복적으로 순환하게 된다.
이때, 이송관(30)의 주변에 열선(32)을 설치하게 되면 훈증컵(40)에 도달하 기 전에 쑥증기가 데워져 약효가 떨어지지 않게 된다.
쑥증기의 순환 횟수는 컨트롤장치(70)에 의해 제어되는데, 컨트롤장치(70)는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체크밸브(61)를 틀어 배출관(50)을 따라 이동하는 쑥증기를 제2필터부(63)로 진입시킨다.
동시에 제2필터부(63) 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공기배출장치(64)를 가동시켜 내부에서 순환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때, 제2필터부(63)는 다단계의 여과 및 탈취 필터가 갖추어져 있어 제2필터부(63)를 거치면서 쑥증기는 냄새가 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치게 되면 쑥연소실(12)과 이송관(30) 배출관(50) 등은 내부의 공기가 빨려나간 진공 상태가 되고, 다시 쑥을 연소시키고자 할 때는 내부에 공기를 채우기 위해서 개폐문(11)을 열어주게 되면 내부에 공기가 가득차게 된다.
이처럼 밀폐된 공간에서 쑥을 연소시키므로 쑥 연소시 공기흡입구 등을 통해 냄새가 밖으로 새나갈 염려가 없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해 연소된 쑥증기가 계속 순환하면서 사용자의 피부를 쏘이도록 되어 있어 적은 양의 쑥으로 환자의 피부에 충분한 약효 성분이 공급된다.
또, 계속적으로 순환할 때마다 이물질이 필터에 걸러지고, 외부 배출시는 다단계의 필터를 거쳐 냄새와 이물질이 분리된 후 배출됨으로써 냄새가 최소화된다.
또한, 이중구조로 된 훈증컵이 피부에 잘 부착되어 쑥증기가 외부로 잘 배출되지 않게 되며 외컵과 내컵 사이 공간에서는 부항의 효과까지 갖게 된다.

Claims (5)

  1. 쑥 훈증기에 있어서,
    쑥을 집어 넣는 개폐문이 일측에 설치되어 있고, 개폐문에 대응되도록 내부에 쑥연소실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 쑥연소실 내부에 설치되어 쑥을 연소시키는 쑥연소장치와;
    하단이 쑥연소실 상부에 연결되어 있어 쑥연소장치의 작동에 의해 발생된 쑥증기를 이송하고, 내부에 송풍기가 설치되어 있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 상단에 연결되어 있고, 바닥면이 사람의 피부와 접하면서 생기는 내부 공간에서 쑥증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순환한 쑥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이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훈증컵과;
    상기 배출관이 상부에 연결되어 있고, 배출관을 따라 이동하는 쑥증기가 체크밸브에 의해 제1필터부 또는 제2필터부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제1필터부는 쑥증기를 여과시킨 후 순환관을 통해 쑥연소실로 보내고, 제2필터부는 쑥증기를 여과, 탈취시킨 후 배출구로 배출하되 공기배출장치가 설치되어 쑥증기를 강제 배출하도록 되어 있는 제연정화장치와;
    상기 쑥연소장치와 제연정화장치와 송풍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쑥연소장치와 제연정화장치의 체크밸브와 공기배출장치의 작동을 조절하는 컨트롤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무연 쑥 훈증기.
  2. 제 1항에 있어서,
    컨트롤장치에는 조작버튼과 타이머가 구비되어 있어, 조작버튼을 누르면 일정 시간 동안 쑥연소장치를 작동시켜 쑥을 연소시키고, 제연정화장치의 체크밸브를 조정해 배출관을 따라 이동하는 쑥증기가 제연정화장치의 제1필터부로 유입되어 쑥증기가 계속 순환하도록 한 후 타이머의 작동에 따라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체크밸브를 조정해 쑥증기가 제2필터부로 유입되도록 하며, 이때 제2필터부의 공기배출장치를 작동시켜 내부 공기를 강제로 배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연 쑥 훈증기.
  3. 제 1항에 있어서,
    쑥연소실 내부에 산소센서가 구비되어 컨트롤장치와 연결되어 있고,
    컨트롤장치에는 조작버튼과 타이머가 구비되어 있어, 조작버튼을 누르면 쑥연소장치를 작동시켜 쑥을 연소시키고, 산소센서에 반응되는 산소의 양에 따라 쑥연소장치의 작동을 중단시키며, 쑥연소장치의 작동과 동시에 제연정화장치의 체크밸브를 조정해 배출관을 따라 이동하는 쑥증기가 제1필터부로 유입되되도록 한 후 타이머의 작동에 따라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체크밸브를 조정해 쑥증기가 제2필터부로 유입되도록 하며, 이때 제2필터부의 공기배출장치를 작동시켜 내부 공기를 강 제로 배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연 쑥 훈증기.
  4. 제 1항에 있어서,
    이송관의 외부에 열선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연 쑥 훈증기.
  5. 제 1항에 있어서,
    훈증컵은 외컵과 내컵의 이중구조로 되어 있되 외컵과 내컵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이송관과 배출관은 내컵에 연결되어 내컵 내부 공간에 쑥증기가 공급, 배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케이스 내부에 공기흡입장치가 더 구비되어 있고, 공기흡입장치와 외컵을 연결하는 공기흡입관이 설치되어 있으며,
    공기흡입장치는 컨트롤장치와 연결되어 있어 컨트롤장치가 공기흡입장치로 하여금 외컵과 내컵사이의 공기를 빨아들여 외컵과 내컵 바닥면이 사용자의 피부에 밀착하여 훈증컵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연 쑥 훈증기.
KR1020040090784A 2004-11-09 2004-11-09 무연 쑥 훈증기 KR100643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784A KR100643783B1 (ko) 2004-11-09 2004-11-09 무연 쑥 훈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784A KR100643783B1 (ko) 2004-11-09 2004-11-09 무연 쑥 훈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5161A KR20060045161A (ko) 2006-05-17
KR100643783B1 true KR100643783B1 (ko) 2006-11-27

Family

ID=37149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0784A KR100643783B1 (ko) 2004-11-09 2004-11-09 무연 쑥 훈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37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82155A (zh) * 2019-12-25 2020-03-17 江西元宗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烟过滤功能的艾灸仪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62883A (zh) * 2016-10-11 2017-04-19 苗立波 一种具有净化功能的艾炙装置
CN108938408A (zh) * 2016-12-29 2018-12-07 王国涛 一种用于艾灸治疗的多床位医疗床
CN107485554B (zh) * 2017-08-11 2023-10-17 张林杰 一种艾草烟气有效控制的艾灸装置
CN110327208A (zh) * 2019-07-24 2019-10-15 佛山市盈康草本理疗产品有限公司 一种脚灸仪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3425U (ko) * 1997-09-26 1999-04-15 전인기 쑥뜸 의료기
KR100336423B1 (ko) 1999-12-29 2002-05-23 문병오 쑥뜸찜기 조합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3425U (ko) * 1997-09-26 1999-04-15 전인기 쑥뜸 의료기
KR100336423B1 (ko) 1999-12-29 2002-05-23 문병오 쑥뜸찜기 조합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82155A (zh) * 2019-12-25 2020-03-17 江西元宗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烟过滤功能的艾灸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5161A (ko) 200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80160A1 (en) Cupping moxa utensil as herb medical auxiliary
KR102113747B1 (ko) 이동식 철판구이 시스템
KR100643783B1 (ko) 무연 쑥 훈증기
KR100378209B1 (ko) 전기 로스터의 공기순환구조
US7127748B2 (en) Incinerating commode
KR200419379Y1 (ko) 쑥뜸장치
KR100276557B1 (ko) 무연뜸기
KR100336423B1 (ko) 쑥뜸찜기 조합체
KR100266907B1 (ko) 훈증 좌욕기
KR200169836Y1 (ko) 무연뜸기용 온구기
KR0170361B1 (ko) 육류구이용 로스터
KR19990034805U (ko) 무연온구기
KR20030092266A (ko) 쑥뜸기
KR200196661Y1 (ko) 구이장치
KR200185837Y1 (ko) 쑥뜸찜기 조합체
CN216536119U (zh) 一种中医艾灸用的烟气导流组件
KR200315623Y1 (ko) 구이장치
TWM357271U (en) Multifunctional hand dryer with rapid sterilization functions
CN110638637A (zh) 一种除油除味艾灸设备
KR20010000056U (ko) 주방용 종합위생처리장치
CN214968862U (zh) 一种中医科用的熏蒸装置
KR20010111081A (ko) 약쑥 연기를 이용한 뜸질방법 및 그 장치
KR101106938B1 (ko) 건식좌훈기기
KR200321502Y1 (ko) 정화장치가 구비된 공기 순환식 숯불 구이기
KR200347333Y1 (ko) 육가공용 훈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