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425U - 쑥뜸 의료기 - Google Patents

쑥뜸 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425U
KR19990013425U KR2019970026712U KR19970026712U KR19990013425U KR 19990013425 U KR19990013425 U KR 19990013425U KR 2019970026712 U KR2019970026712 U KR 2019970026712U KR 19970026712 U KR19970026712 U KR 19970026712U KR 19990013425 U KR19990013425 U KR 1999001342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wort
smoke
skin
inner cylinder
contact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67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인기
Original Assignee
전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인기 filed Critical 전인기
Priority to KR20199700267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3425U/ko
Publication of KR199900134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425U/ko

Links

Landscapes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쑥뜸 의료기에 관한 것으로, 피부로 부터 격리된 장소에 설치되는 본체의 내부에 쑥을 연소하기 위한 애구통을 설치하고, 상기 애구통으로 부터 발생되는 쑥 연기는 피스톤 펌프에 의해서 피부에 닿는 부위인 접촉헤드에 공급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접촉헤드를 소형화하여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하고 쑥의 연소된 가루가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주변이 오염되지 않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애구통으로 부터 발생되는 쑥 연기가 여러개의 접촉헤드에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여러환부에 대해서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하고 있는 쑥뜸 의료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쑥뜸 의료기
본 고안은 쑥뜸 의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쑥의 연소를 돕고 뜸질을 할 때 열기와 연기가 모두 환부를 거쳐서 밖으로 배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쑥을 태우는 애구통을 피부에 닿는 접촉헤드로 부터 분리되도록 구성하여 사용하기 에 편리하도록 한 쑥뜸 의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쑥을 환부에 놓고 뜸을 뜨기 때문에 쑥이 탈때에 발생하는 연기와 냄새가 지독할 뿐만 아니라 연소부가 피부와 닿게 되어 화상을 입게되는 등 환자를 곤혹스럽게하므로 쑥뜸 시술을 기피하는 현상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한방의학에서는 쑥뜸기를 개발할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어 왔으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여러 가지 형태의 쑥뜸기는 쑥이 타면서 발생하는 연기로 인하여 호흡장애 내지 두통을 유발하거나 타는 쑥의 열에 의해 화상이나 상흔을 입게 되어 치료효과를 상승기키면서도 안전성을 갖는 편리한 쑥뜸의료기는 발견할 수는 없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국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7-10598호에서 공기 흡입구와 배기구를 갖는 경통을 환부에 고정시키고 경통내부에 있는 쑥뜸구기에서 쑥을 연소하는 방식의 쑥뜸 의료기를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에서는 쑥을 태우는 애구통이 피부에 닿는 경통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경통이 사용하기에 불편할 정도로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1개의 의료기 마다 경통이 1개씩 밖에 없으므로 여러환부에 대해 사용하려 할 경우에는 사용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쑥이 연소되면 가루화되어서 애구통으로 부터 새어나올 수가 있게 되는데 상기 고안에서는 애구통이 피부내부에 닿게 되는 경통내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사용도중에 주변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피부로 부터 격리된 장소에 설치되는 본체의 내부에 쑥을 연소하기 위한 애구통을 설치하고, 상기 애구통으로 부터 발생되는 쑥 연기는 피스톤 펌프에 의해서 피부에 닿는 부위인 접촉헤드에 공급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접촉헤드를 소형화하여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하고 쑥의 연소된 가루가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주변이 오염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애구통으로 부터 발생되는 쑥 연기가 여러개의 접촉헤드에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여러환부에 대해서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피스톤펌프에 의해 쑥연기의 공급과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서 장치의 제조원가 절감 및 소형화에 기여하고 있다.
도 1은 본 고안 쑥뜸 의료기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인 애구통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서의 연기흐름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요부인 접촉 헤드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본체 10:애구통
11:덮개부 12:쑥뜸구기
13:돌출부 14:외통
15:공급부 20:피스톤 펌프
21:체크밸브 30:개폐밸브
40:접촉헤드 41:흡입관
42:배기관 43:전선
44:원적외선 발생부 45:내부 연결관
46:외통 47:내통
48:배출구
이하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 요부인 애구통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서의 연기흐름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며, 도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요부인 접촉헤드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횡단면도로서 상기도면에서 보면,
본 고안장치는 내부에 쑥을 연소하기 위한 쑥뜸구기(12)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연소된 쑥 연기가 피부쪽으로 공급되기 위한 공급구(15)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피부를 거쳐 공급된 쑥연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3)가 형성된 애구통(10)과,
그 일단부의 양측에는 상기 애구통(10)의 공급구(15)로 부터 공급된 쑥뜸연기가 내부로 유입된 후 외부로 유출되도록 체크 밸브(21a(21b)가 각각 같은 방향으로 연결되고 그 타단부의 양측에도 체크밸브(21c)(21d)가 각각 같은 방향으로 연결되어진 피스톤 펌프(20)와,
그 외주면에 니크롬선과 같은 원적외선 발생부(44)가 권취된 내화성재질의 내부연결관(45)이 하방으로 향하도록 설치되는 내통(47)과, 상기 내통(47)으로 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배설되며 상기 내통(47)과 연통된 배출구(48)와 상기 피스톤 펌프(20)와 연결된 배기관(42)이 형성된 외통(46)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크밸브(21a)로 부터 병렬로 분기된 관로에 개폐 밸브(30a)(30b)(30c)를 사이에 두고 연결된 흡입관(41)은 상기 내부연결관(45)에 연결되어져 구성된 접촉헤드(40)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애구통(10)과 피스톤 펌프(20)와 개폐밸브들(30a)(30b)(30c)은 모두 환자로 부터 멀리 이격된 장소에 위치하게 되는 본체(1)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1)의 상부판넬에는 상기 피스톤 펌프(20)의 작동을 개시하기 위한 메인스위치(7)와, 각각의 접촉헤드(40a)(40b)(40c) 내부연결관(45)의 외주면에 권취된 원적외선 발생부(44)를 작동하기위해서 설치되는 원적외선 발생 스위치(8a)(8b)(8c)와, 상기 접촉헤드(40a)(40b)(40c)에 쑥뜸연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있도록 상기 개페밸브들(30a)(30b)(30c)을 제어하기 위해 설치되는 공급스위치(9a)(9b)(9c)가 위치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타이머(5)와 상기 타이머(5)에 의해 작동되는 부저(6)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스위치(7)와, 원적외선 발생스위치(8a)(8b)(8c)들과, 연기공급스위치(9a)(9b)(9c)들을 본체(1)로 부터 원격지 조정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리모콘(50)상에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애구통(10)은 쑥연기의 누설을 막기위해 상부에 설치되는 덮개부(11)와, 상기 공급부(15)와 배출구(3)가 형성된 외통(14)과, 상기 외통(14)내부에 설치되며 중간부에는 쑥 연기가 배출되도록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원뿔 형상의 돌출부(13)가 형성되어진 쑥뜸구기(12)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쑥뜸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애구통(10)의 덮개부(11)를 열고 쑥뜸구기(12)내에 필요한 양만큼의 쑥을 공급한 다음 다시 덮개부(11)를 닫아서 외부로 쑥뜸연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계속하여 사용자는 접촉헤드(40a)(40b)(40c)를 선택하여 환부에 댄다음, 본체(1)내의 상부판넬 또는 리모콘(50)에 있는 메인스위치(7)을 작동하여 피스톤펌프(20)에 의해 상기 접촉헤드(40)에 쑥뜸연기가 공급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잠시 후 환부에 위치한 접촉헤드(40)에 해당되는 연기 공급스위치(9)를 조작하면 이에 해당되는 개폐밸브(30)가 열리게 되므로, 애구통(10)내에서 발생된 쑥뜸연기가 접촉헤드(40)의 흡입관(41)을 통하여 내통(47)내부로 공급되어지므로 환부를 치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환부에 닿았던 쑥뜸연기는 배출구(48)와 배기관(42)을 통해 빠져 나가게 되므로 배출구(3)을 통해서 대기로 방출된다.(도3참조)
이 상태에서 원적외선 치료효과를 높이고자 할 경우에는 본체(1)내의 상부 패널 또는 리모콘(50)에 있는 원적외선 발생 스위치(8a)(8b)(8c)를 선택적으로 누르면 되는데, 이 때 전선(43)과 연결된 니크롬선 같은 고저항체 재질의 원적외선 발생부(44)가 발열하게 되므로 환부에 대해서는 원적외선 치료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피스톤 펌프(20)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 양단에 각각 연결된 체크 밸브들(21a)(21b)과 체크밸브들(21c)(21d)이 서로 같은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피스톤로드가 왕복운동할 때 상기 체크밸브(21a)(21b)과 체크밸브들(21c)(21d)은 절대로 동시에 열리지 않으며 선택적으로 열리면서 흡기와 배기를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즉 피스톤펌프(20)의 피스톤로드가 신장할 때 애구통(10)내의 쑥뜸연기는 체크 밸브(21b)를 통해 펌프내부로 유입되며, 펌프내부로 유입된 쑥뜸연기는 피스톤로드가 압축될 때 체크 밸브(21a)를 통해 상기 접촉헤드(40)측으로 공급된다. 또한, 접촉헤드(40)으로 부터 배출된 쑥뜸연기는 피스톤 펌프(20)의 피스톤 로드가 압축될 시에 체크 밸브(21c)를 통해서 펌프내부로 유입되며, 펌프내부로 유입된 쑥뜸연기는 피스톤로드가 신장될 때 체크밸브(21d)를 통해 배출구(3)로 빠져나가게 된다. 한편, 쑥뜸치료를 중단하려 할 경우에는 이상에서 설명한 쑥뜸 치료시의 경우에 대한 역순으로 진행시키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쑥뜸의료기에서는, 피부로 부터 격리된 장소에 설치되는 본체의 내부에 쑥을 연소하기 위한 애구통을 설치하고, 상기 애구통으로 부터 발생되는 쑥 연기는 피스톤 펌프에 의해서 피부에 닿는 부위인 접촉헤드에 공급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접촉헤드를 소형화하여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하고 쑥의 연소된 가루가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주변이 오염되지 않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애구통으로 부터 발생되는 쑥 연기가 여러개의 접촉헤드에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여러환부에 대해서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하고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펌프에 의해 쑥연기의 공급과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서 장치의 제조원가 절감 및 소형화에 기여하고 있다.

Claims (1)

  1. 내부에 쑥을 연소하기 위한 쑥뜸구기(12)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연소된 쑥 연기가 피부쪽으로 공급되기 위한 공급구(15)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피부를 거쳐 공급된 쑥연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3)가 형성된 애구통(10)과,
    그 일단부의 양측에는 상기 애구통(10)의 공급구(15)로 부터 공급된 쑥뜸연기가 내부로 유입된 후 외부로 유출되도록 체크 밸브(21a)(21b)가 각각 같은 방향으로 연결되고 그 타단부의 양측에도 체크밸브(21c)(21d)가 각각 같은 방향으로 연결되어진 피스톤 펌프(20)와,
    그 외주면에 니크롬선과 같은 원적외선 발생부(44)가 권취된 내화성재질의 내부연결관(45)이 하방으로 향하도록 설치되는 내통(47)과, 상기 내통(47)으로 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배설되며 상기 내통(47)과 연통된 배출구(48)와 상기 피스톤 펌프(20)와 연결된 배기관(42)이 형성된 외통(46)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크밸브(21a)로 부터 병렬로 분기된 관로에 개폐 밸브(30a)(30b)(30c)를 사이에 두고 연결된 흡입관(41)은 상기 내부연결관(45)에 연결되어져 구성된 접촉헤드(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 의료기.
KR2019970026712U 1997-09-26 1997-09-26 쑥뜸 의료기 KR1999001342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6712U KR19990013425U (ko) 1997-09-26 1997-09-26 쑥뜸 의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6712U KR19990013425U (ko) 1997-09-26 1997-09-26 쑥뜸 의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425U true KR19990013425U (ko) 1999-04-15

Family

ID=69698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6712U KR19990013425U (ko) 1997-09-26 1997-09-26 쑥뜸 의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342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6423B1 (ko) * 1999-12-29 2002-05-23 문병오 쑥뜸찜기 조합체
KR100643783B1 (ko) * 2004-11-09 2006-11-27 박종오 무연 쑥 훈증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6423B1 (ko) * 1999-12-29 2002-05-23 문병오 쑥뜸찜기 조합체
KR100643783B1 (ko) * 2004-11-09 2006-11-27 박종오 무연 쑥 훈증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36810C (zh) 作为药草辅助医疗的拔罐艾灸器具
JPH01223965A (ja) 人体部位の治療用装置
KR100562368B1 (ko) 부항쑥뜸기 및 이를 사용한 부항쑥뜸 시스템
KR101114127B1 (ko) 국부 훈증이 가능한 좌훈기
KR100436700B1 (ko) 진공 쑥 뜸 기
WO2004032821A1 (en) Moxa cauterizing device
KR19990013425U (ko) 쑥뜸 의료기
CN108938406A (zh) 一种多功能便携艾灸装置
KR100519176B1 (ko) 쑥뜸기
US5553607A (en) Portable steam inhalator
KR100322512B1 (ko) 쑥뜸장치
CN211434138U (zh) 一种手持式无烟艾灸装置
CN111773089A (zh) 一种可分离式艾灸装置
KR100336423B1 (ko) 쑥뜸찜기 조합체
CN2067581U (zh) 强效温灸治疗仪
CN212416350U (zh) 一种可分离式艾灸装置
KR200314230Y1 (ko) 초음파 가열 찜질기
KR20070036843A (ko) 훈증기
CN110917024A (zh) 一种绑带式无烟艾灸装置
CN108371629A (zh) 一种艾灸装置
CN110812208B (zh) 一种吸附式多功能治疗装置
KR200268156Y1 (ko) 손 뜸치료기
KR20050097447A (ko) 의료용 식염수 분사장치
CN218075864U (zh) 一种火罐装置
CN216824123U (zh) 一种智能恒温艾灸治疗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