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2266A - 쑥뜸기 - Google Patents

쑥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2266A
KR20030092266A KR1020020029880A KR20020029880A KR20030092266A KR 20030092266 A KR20030092266 A KR 20030092266A KR 1020020029880 A KR1020020029880 A KR 1020020029880A KR 20020029880 A KR20020029880 A KR 20020029880A KR 20030092266 A KR20030092266 A KR 20030092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fixing
rotating plate
holes
mugw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9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인
정일주
Original Assignee
권영인
정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인, 정일주 filed Critical 권영인
Priority to KR1020020029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2266A/ko
Publication of KR20030092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226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5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by direct air flow on the patient's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발명은 쑥뜸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주면에 도포층을 적층하고 있는 본체의 결합공으로 결합홈이 내설된 고정용 캡을 결합시키고 상기 고정용 캡의 결합홈으로는 상,하측부로 플랜지와 절곡편을 형성하고 있고 주연부에는 다수개의 통기공을 형성하고 있는 연소통을 결합한뒤 상기 연소통의 내부로 망체를 결합하여 안착시키고 상기 고정용 캡의 상측으로는 고정공들을 형성하고 있는 고정판을 결합시키며 상기 고정판의 상측부에는 조절공등을 형성하고 있는 회전판을 안착시킨뒤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판의 조절공들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것으로 넓게 형성되는 본체의 저면부에 의해 쑥뜸영역이 넓어지게 되므로 쑥뜸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고 쑥을 손으로 뭉쳐서 신속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쑥봉을 만드는데의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쑥 고유의 쑥진 냄새를 제거하여 쾌적한 상태로 쑥뜸을 뜰 수 있고 연소통으로 출입하는 공기의 조절을 간편하게 할 수 있어 연소실에서 타고 있는 쑥의 연소시간 및 온도조절등을 의도한 대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쑥뜸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쑥뜸기{APPARATUS FOR BURN WORMWOOD}
본발명은 쑥뜸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주면에 도포층을 적층하고 있는 본체의 결합공으로 결합홈이 내설된 고정용 캡을 결합시키고 상기 고정용 캡의 결합홈으로는 상,하측부로 플랜지와 절곡편을 형성하고 있고 주연부에는 다수개의 통기공을 형성하고 있는 연소통을 결합한뒤 상기 연소통의 내부로 망체를 결합하여 안착시키고 상기 고정용 캡의 상측으로는 고정공들을 형성하고 있는 고정판을 결합시키며 상기 고정판의 상측부에는 조절공등을 형성하고 있는 회전판을 안착시킨뒤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판의 조절공들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것으로 넓게 형성되는 본체의 저면부에 의해 쑥뜸영역이 넓어지게 되므로 쑥뜸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고 쑥을 손으로 뭉쳐서 신속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쑥봉을 만드는데의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쑥 고유의 쑥진 냄새를 제거하여 쾌적한 상태로 쑥뜸을 뜰 수 있고 연소통으로 출입하는 공기의 조절을 간편하게 할 수 있어 연소실에서 타고 있는 쑥의 연소시간 및 온도조절등을 의도한 대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쑥뜸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쑥뜸기는 본체와 인체가 접촉하여 만들어지는 쑥뜸영역이 매우 좁았기 때문에 쑥뜸효과가 미진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숙뜸기는 쑥봉을 별도로 만들어서 사용을 하게 된다.
즉, 상기의 쑥을 절구에 넣고 공이를 이용하여 쑥을 빠은뒤 빠아진 쑥가루들을 뭉쳐서 쑥봉을 만들어 사용을 하였기 때문에 쑥봉을 만드는 시간의 낭비가 많게되고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었다.
또한, 상기의 쑥봉을 이용한 쑥뜸시에는 조금만 움직여도 쑥봉이 굴러 떨어지기 때문에 화상의 염려가 있었으며 시트나 장판등으로 굴러 떨어지면 시트나 장판을 태우기도 하기 때문에 상당한 주위를 요하였으며 나아가서 화재의 위험도 항상 도사리고 있는 문제점등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상기의 쑥봉은 쑥의 특성상 쑥뜸을 뜰때 많은 연기를 발생시키게 되었고 쑥진의 냄새도 많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상기 쑥진의 냄새는 인체의 피부나 의류등에 묻으면 냄새가 없어지지 않아 주위 사람들로 부터 외면을 당하게 되는 일도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본발명의 목적은,
넓게 형성되는 쑥뜸영역에 의해 쑥뜸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고 쑥을 손으로 뭉쳐서 신속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쑥봉을 만드는데의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쑥 고유의 쑥진 냄새를 제거하여 쾌적한 상태로 쑥뜸을 뜰 수 있고 연소통으로 출입하는 공기의 조절을 간편하게 할 수 있어 연소실에서 타고 있는 쑥의 연소시간 및 온도조절등을 의도한 대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발명은,
내주면에 도포층을 적층하고 있는 본체의 결합공으로 결합홈이 내설된 고정용 캡을 결합시키고 상기 고정용 캡의 결합홈으로는 상,하측부로 플랜지와 절곡편을 형성하고 있고 주연부에는 다수개의 통기공을 형성하고 있는 연소통을 결합한뒤 상기 연소통의 내부로 망체를 결합하여 안착시키고 상기 고정용 캡의 상측으로는 고정공들을 형성하고 있는 고정판을 결합시키며 상기 고정판의 상측부에는 조절공등을 형성하고 있는 회전판을 안착시킨뒤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판의 조절공들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면 본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발명 쑥뜸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2는 본발명 쑥뜸기의 결합된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3은 본발명 쑥뜸기의 공기조절작용을 나타낸 작용도
도4는 본발명 쑥뜸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1-본체 102-도포층
103-결합공 104-공기순환공
105-연기배출공 111-연소통
112-통기공 113-플랜지
114-절곡편 121-망체
131-고정용 캡 132-플랜지
133-결합홈 141-고정판
142-고정공 143-체결공
151-회전판 152-조절공
153-돌출부 154-삽입공
161-나사 162-너트
본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체(101)에 형성된 결합공(103)과,
상기 결합공(103)으로 결합되는 결합홈(133)이 내설된 고정용 캡(131)과,
상기 고정용 캡(131)의 결합홈(133)으로 상측 외주연부에 형성된 플랜지 (113)를 결합하고 있고 주연부에는 다수개의 통기공(112)을 형성하고 있으며 저면부에는 절곡편(114)을 형성하고 있는 연소통(111)과,
상기 연소통(111)의 내부로 결합되어 연소통(111)의 절곡편(114)으로 안착되는 망체(121)와,
상기 고정용 캡(131)의 상측으로 결합되는 다수개의 고정공(142)이 형성된 고정판(141)과,
상기 고정판(141)의 상측부로 결합되는 다수개의 조절공(152)이 형성된 회전판(151)과,
상기 회전판(151)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판의 회전수단을 구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의 회전수단은 고정판(141)중앙으로 형성되는 체결공(143)과,
상기 회전판(151)중앙으로 형성되는 삽입공(154)과,
상기 삽입공(154)과 체결공(143)으로 결합되어 너트(162)에 의해 체결되는 나사(161)로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본체(101)의 내주면에는 세라믹,솔잎향,방향성 한약재를 혼합시킨 도포층(102)을 적층시켰다.
그리고, 상기 본체(101)의 상측 주연부에는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다수개의 공기 순환공(104)과,
상기 본체(101)의 하측 주연부에는 연기를 배출하기 위해 형성되는 다수개의 연기배출공(105)들을 더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회전판(151)의 조절공(152)들을 면수건이 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판(151)의 중앙부로 돌출되는 돌출부(153)를 더 구비하였다.
이와같이된 본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회전판(151)과 고정판(141)을 고정용캡(131)으로 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용 캡(131)의 결합홈(113)으로 플랜지(113)를 결합하고 있는 연소통(111)내부의 망체(121)에 쑥을 투입하게 된다.
상기의 쑥은 손을 이용해 쑥가루를 적정의 크기로 뭉친후 투입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뭉쳐진 쑥의 투입이 완료되면 회전판(151)및 고정판(141)을 고정용 캡(131)으로 다시 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회전판(151)을 회전시켜 회전판(151)에 형성된 조절공(152)들을고정판(141)에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공(142)과 일치를 시킨다.
즉, 상기 회전판(151)과 고정판(141)은 삽입공(154)과 체결공(143)으로 체결되어 있는 나사(161)및 너트(162)에 의해 도3에 나타낸 바와같이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고정판(141)의 고정공(142)을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판(141)의 고정공(142)이 개방된 상태에서 연소통(111)의 망체(121)저부로 불을 붙이면 상기 망체(121)내부의 뭉쳐진 쑥에 점화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쑥의 점화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본발명의 쑥뜸기는 누워서 쑥뜸을 뜨기 위한 것인지 아니면 활동을 하면서 쑥뜸을 뜰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먼저, 누운 상태에서 쑥뜸을 뜰 경우에는 본발명의 본체(101)를 쑥뜸을 뜨기 위한 인체의 부위에 올려 놓은뒤 큰 면수건으로 쑥뜸기를 덮어 놓으면 상기의 면 수건에 의해 본발명 쑥뜸기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쑥의 연소 연기를 여과하는 기능도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소통(111)의 망체(121)내부에 타고 있는 쑥 연기는 본체 (101)의 하측 주연부로 형성된 다수개의 연기배출공(105)으로 배출되어지고 본체 (101)의 상측 주연부로 형성된 다수개의 공기 순환공(104)으로는 본체(101)내,외부의 공기가 순환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쑥뜸을 뜨는 시간이 수분 정도 경과하면 회전판(151)을 회전시켜 고정판(141)의 고정공(142)들을 조금만 열어 놓은 상태에서 본격적인 쑥뜸을 뜨게 된다.
즉, 상기 회전판(151)의 회전에 의해 조절공(152)과 고정판(141)의 고정공 (142)을 일치시키거나 겹치면서 공기의 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쑥의 연소시간 및 온도조절등을 의도한 대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연소통(111)내의 쑥이 연소되면서 발생된 쑥진 냄새는 본체(101)의 내부면으로 적층된 세라믹,솔잎향,방향성 한약재등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도포층(102)과 접촉하면서 제거된후 연기배출공(105)을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쾌적한 상태로 쑥뜸을 뜰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판(151)의 중앙부로 돌출되는 돌출부(153)는 회전판(151)의 조절공(152)들을 면 수건이 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시킨 것이다.
그리고, 본발명의 본체(101)저부면은 종래의 쑥뜸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잇기 때문에 쑥뜸을 뜨는 영역이 매우 넓어지게 되므로 쑥뜸의 효과도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활동을 하면서 쑥뜸을 뜰 경우에는 도4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체(101)에 다수개의 연결고리(163)를 장착하고 상기 연결고리(163)들을 연결하는 밸트 (164)에 의해 인체(171)에 쑥뜸기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활동중에도 쑥뜸을 뜰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연소통(111)의 망체(121)내부에서 타고 있는 쑥은 사방이 막혀 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외부로 쑥이 타고 남은 재들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되며 항상 본체(101)내부에 모여 있는 상태가 되므로 깨끗함을 유지하면 활동중 뜸을 뜰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활동중에 쑥봉이 굴러 떨어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화상을 당할 염려가 없으며 시트나 장판을 태우는 일도 없게 되는 동시에 화재의 위험성도 일소하였다.
이와같이된 본발명은 내주면에 도포층을 적층하고 있는 본체의 결합공으로 결합홈이 내설된 고정용 캡을 결합시키고 상기 고정용 캡의 결합홈으로는 상,하측부로 플랜지와 절곡편을 형성하고 있고 주연부에는 다수개의 통기공을 형성하고 있는 연소통을 결합한뒤 상기 연소통의 내부로 망체를 결합하여 안착시키고 상기 고정용 캡의 상측으로는 고정공들을 형성하고 있는 고정판을 결합시키며 상기 고정판의 상측부에는 조절공등을 형성하고 있는 회전판을 안착시킨뒤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판의 조절공들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넓게 형성되는 쑥뜸영역에 의해 쑥뜸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고 쑥을 손으로 뭉쳐서 신속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쑥봉을 만드는데의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쑥 고유의 쑥진 냄새를 제거하여 쾌적한 상태로 쑥뜸을 뜰 수 있고 연소통으로 출입하는 공기의 조절을 간편하게 할 수 있어 연소실에서 타고 있는 쑥의 연소시간 및 온도조절등을 의도한 대로 조절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본체(101)에 형성된 결합공(103)과,
    상기 결합공(103)으로 결합되는 결합홈(133)이 내설된 고정용 캡(131)과,
    상기 고정용 캡(131)의 결합홈(133)으로 상측 외주연부에 형성된 플랜지 (113)를 결합하고 있고 주연부에는 다수개의 통기공(112)을 형성하고 있으며 저면부에는 절곡편(114)을 형성하고 있는 연소통(111)과,
    상기 연소통(111)의 내부로 결합되어 연소통(111)의 절곡편(114)으로 안착되는 망체(121)와,
    상기 고정용 캡(131)의 상측으로 결합되는 다수개의 고정공(142)이 형성된 고정판(141)과,
    상기 고정판(141)의 상측부로 결합되는 다수개의 조절공(152)이 형성된 회전판(151)과,
    상기 회전판(151)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판의 회전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회전수단은 고정판(141)중앙으로 형성되는 체결공(143)과,
    상기 회전판(151)중앙으로 형성되는 삽입공(154)과,
    상기 삽입공(154)과 체결공(143)으로 결합되어 너트(162)에 의해 체결되는나사(161)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1)의 내주면에는 세라믹,솔잎향,방향성 한약재를 혼합시킨 도포층(102)을 적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1)의 상측 주연부에는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다수개의 공기 순환공(104)과,
    상기 본체(101)의 하측 주연부에는 연기를 배출하기 위해 형성되는 다수개의 연기배출공(105)들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151)의 조절공(152)들을 면수건이 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판(151)의 중앙부로 돌출되는 돌출부(153)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기.
KR1020020029880A 2002-05-29 2002-05-29 쑥뜸기 KR200300922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9880A KR20030092266A (ko) 2002-05-29 2002-05-29 쑥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9880A KR20030092266A (ko) 2002-05-29 2002-05-29 쑥뜸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421U Division KR200288326Y1 (ko) 2002-05-29 2002-05-29 쑥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2266A true KR20030092266A (ko) 2003-12-06

Family

ID=32384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9880A KR20030092266A (ko) 2002-05-29 2002-05-29 쑥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2266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40529A (zh) * 2010-09-25 2011-01-12 沈学谦 灸疗器
KR101436727B1 (ko) * 2013-03-18 2014-09-02 김향숙 온도표시 및 온습도 조절로 인한 쑥진의 흡착 방지 기능이 있는 온구기
CN104188797A (zh) * 2014-08-14 2014-12-10 翟光墨 一种热敏悬灸器
KR101505992B1 (ko) * 2012-05-22 2015-03-31 배삼훈 열기조절 회전판이 구성된 뜸용 판지좌대 .
CN104721041A (zh) * 2015-03-26 2015-06-24 金艳 一种艾灸的装置
CN108096014A (zh) * 2017-12-27 2018-06-01 范锡明 一种旋转调节式艾灸器
KR102138079B1 (ko) * 2019-12-27 2020-07-27 정봉춘 쑥뜸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40529A (zh) * 2010-09-25 2011-01-12 沈学谦 灸疗器
KR101505992B1 (ko) * 2012-05-22 2015-03-31 배삼훈 열기조절 회전판이 구성된 뜸용 판지좌대 .
KR101436727B1 (ko) * 2013-03-18 2014-09-02 김향숙 온도표시 및 온습도 조절로 인한 쑥진의 흡착 방지 기능이 있는 온구기
CN104188797A (zh) * 2014-08-14 2014-12-10 翟光墨 一种热敏悬灸器
CN104721041A (zh) * 2015-03-26 2015-06-24 金艳 一种艾灸的装置
CN108096014A (zh) * 2017-12-27 2018-06-01 范锡明 一种旋转调节式艾灸器
CN108096014B (zh) * 2017-12-27 2023-07-04 范锡明 一种旋转调节式艾灸器
KR102138079B1 (ko) * 2019-12-27 2020-07-27 정봉춘 쑥뜸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25521B2 (en) Acupressure type moxa treatment device
EP0674895B1 (en) Pain treatment device
WO2007024060A1 (en) Vessel for cauterizing with moxa
KR20030092266A (ko) 쑥뜸기
KR200180419Y1 (ko) 약쑥과 솔잎을 내장한 토굴형태의 황토찜질방구조
KR100266907B1 (ko) 훈증 좌욕기
JP2004073824A (ja) 焼却式便所
KR200288326Y1 (ko) 쑥뜸기
CN106859972A (zh) 一种无烟艾砭灸装置
KR100594601B1 (ko) 원적외선 방사 불 한증막
KR200455420Y1 (ko) 훈증기
KR200424452Y1 (ko) 온열쑥찜방석
KR100227816B1 (ko) 쑥뜸기
KR100643783B1 (ko) 무연 쑥 훈증기
KR20090024909A (ko) 뜸 치료기
KR100416337B1 (ko) 원적외선 훈열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333476Y1 (ko) 쑥뜸기
KR200234816Y1 (ko) 좌욕 훈증장치
KR200469204Y1 (ko) 쑥뜸장치
KR100426583B1 (ko) 숯을 이용한 쑥찜질기 및 그 제조 방법
KR100300770B1 (ko) 뜸치료기
CN219049486U (zh) 一种艾灸按摩仪
CN216168834U (zh) 一种艾灸设备
KR200212287Y1 (ko) 쑥뜸구
KR101106938B1 (ko) 건식좌훈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